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국가별 경기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알리안츠 스타디움 82,000명 | 머리필드 스타디움 67,144명 | 프린시팔리티 스타디움 73,931명 | |
| | | |
| | | |
아비바 스타디움 51,700명 | 스타드 드 프랑스 81,338명 | 스타디오 올림피코 73,261명 | }}}}}}}}} |
| |
스타드 드 프랑스 Stade de France | |
<colbgcolor=#13305d><colcolor=#fff> 위치 | 프랑스 일드프랑스 생드니 |
개장 | 1998년 1월 28일 |
소유 | 스타드 드 프랑스 컨소시엄 |
좌석 수 | 81,338석 |
그라운드 크기 | 105 x 68 미터 (115 x 74 yd) |
홈 구단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스타드 프랑세 파리 럭비 (일부 경기) 라싱 92 럭비팀 (일부 경기) |
공사비 | 2억 9천만 유로 |
UEFA 등급 | ★★★★ |
홈페이지 | |
[clearfix]
1. 개요
프랑스 파리 북쪽 교외의 생드니에 건설된 국립 경기장으로 81,338명을 수용할 수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및 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의 홈구장이며, 현재는 A매치의 대부분을 이 경기장에서 개최하고 있다. 유럽 축구 연맹(UEFA)이 정하는 경기장 기준에서도 최고의 등급인 UEFA 카테고리 4에 지정되어 있으며, 1999-00 시즌과 2005-06 시즌, 2021-22 시즌에는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을 개최하였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육상트랙을 이동시켜 육상 경기를 실시할 수 있다.이 경기장의 좌석은 이동식이라서 육상 경기가 아닐때는 좌석을 앞으로 이동하여 트랙을 덮는 식으로 경기를 진행하여 이 때문에 시야 문제가 없다.
셀린 디옹, 비욘세, 애드 시런, 레이디 가가, U2, 콜드플레이, 뮤즈나 한국의 방탄소년단, BLACKPINK와 같이 세계적인 대형 팝스타 & 밴드들이 콘서트를 여는 공연장의 역할도 하고 있다.
2024 파리 올림픽을 유치하면서 이곳이 파리 올림픽의 주 경기장이 되었다. 즉 리모델링을 하고 성화대는 이곳과 에펠탑 주변에 설치할 계획이다.
2022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이 이곳에서 개최되었다. 원래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크레톱스키 스타디움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러시아의 개최권 및 유럽축구연맹 자격이 박탈되면서 결승 개최지가 변경되었다.
2. 역사
1998년 월드컵 개최지로 프랑스가 선정되면서 국립 경기장에 건설 논의가 시작되었고, 이에 신축 구장을 건설하기로 하였다. 1995년 4월 30일 건축허가가 났으며 5월 2일부터 건설이 시작되었다. 총 건설비용으로 2억 9천만 유로(한화 약 4300억)가 투입되었으며 1998년 1월 28일 개장하였다. 경기장 이름은 미셸 플라티니의 제안으로 스타드 드 프랑스로 이름지어졌다. 1998년 1월 28일 개장 경기로 프랑스와 스페인의 친선경기가 열렸다.3. 개최 경기
1998년 프랑스 월드컵 결승전을 포함 9경기를 개최하였고. 결승전에서는 프랑스가 브라질을 3-0으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하였다. 현재 프랑스 메이저 축구대회로는 쿠프 드 프랑스 결승전을 매년 개최하고 있다.[1]1999-00 시즌과 2005-06 시즌, 2021-22 시즌에는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이 열렸다. 이후 2016년에는 UEFA 유로 2016 결승전을 포함한 7경기를 개최하였다.
2022년에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리기로 예정되어 있었던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을 대신 개최하게 되었다.
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 사용중이며 2007 럭비 월드컵 결승이 바로 이곳에서 열렸다. 해마다 열리는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의 프랑스 럭비대표팀 경기가 이 경기장에서 치러지며, 프랑스 럭비 클럽 리그인 Top 14의 결승전도 매년 이 경기장에서 치러지며 최다 관중을 끌어 모은다. Clermont VS Toulon (Top 14 Final)
또한, 2007년 프랑스 럭비 월드컵에 이어, 2023 럭비 월드컵이 또 다시 바로 프랑스에서 개최되어 이 경기장은 럭비 월드컵 경기로 사용되었으며, 결승전 역시 이 경기장에서 치러졌다.
그 외 2003년에는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개최하기도 하였다.
4. 사건 사고
현지 시간으로 2015년 11월 13일 저녁, 프랑스와 독일 양국 국가대표팀 친선 축구경기가 벌어지던 중 경기장 인근에서 여러 차례의 폭발이 있었다. 이는 2015년 11월 파리 테러의 일환으로 테러리스트들이 이 경기를 관람하던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 등의 폭살을 노리고 폭탄을 경기장으로 반입하려다가 경찰의 저지를 받자 폭탄을 폭발시켜 자폭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올랑드 대통령은 경기 도중 이를 보고받고 경호팀에 의해 경기장을 벗어나 안전지대로 이동하였다. 한편 경기장 내에서도 폭발이 일어나 3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안타까운 일이 있었다.5. 기타
- 근처에 생드니 포르트 드 파리역이 있다. 파리 지하철 13호선, 파리 트램 8호선이 지나간다. RER 역도 몇개 있지만 어떤 역이건 내려서 20분 정도는 걸어가야 한다.
- 이 경기장에서 UEFA 유로, 챔피언스 리그나 식스 네이션스 등 큰 경기의 결승전이나 최종전 등이 열릴 때 경기 전후로 지붕 위에 폭죽을 설치하고 불꽃놀이가 펼쳐지는 때가 많다.
- 2023년 7월 15일 BLACKPINK의 BORN PINK WORLD TOUR 파리 앙코르 공연이 개최됐다.
-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선 주 경기장으로 지정되어 7인제 럭비 경기와 육상 필드 및 트랙 경기, 폐회식이 이 곳에서 열렸다.
- 2025년 8월 2일, BLACKPINK의 2025 WORLD TOUR 파리 공연이 개최될 예정이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 FIFA WORLD CUP FIFA 월드컵 결승전 개최 경기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연도는 경기일 기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 1회 1930 | 제 2회 1934 | 제 3회 1938 | 제 4회 1950 | 제 5회 1954 |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 스타디오 나치오날레 PNF | 스타드 올랭피크 이브 뒤 마누아르 |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 | 슈타디온 방크도르프 | |
우루과이 | 이탈리아 | 프랑스 | 브라질 | 스위스 | |
제 6회 1958 | 제 7회 1962 | 제 8회 1966 | 제 9회 1970 | 제 10회 1974 | |
로순다 스타디온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훌리오 마르티네스 프라다노스 | 웸블리 스타디움 | 에스타디오 아스테카 | 올림피아슈타디온 뮌헨 | |
스웨덴 | 칠레 | 잉글랜드 | 멕시코 | 독일 | |
제 11회 1978 | 제 12회 1982 | 제 13회 1986 | 제 14회 1990 | 제 15회 1994 | |
에스타디오 마스 모누멘탈 | 에스타디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 에스타디오 아스테카 | 스타디오 올림피코 | 로즈 볼 | |
아르헨티나 | 스페인 | 멕시코 | 이탈리아 | 미국 | |
제 16회 1998 | 제 17회 2002 | 제 18회 2006 | 제 19회 2010 | 제 20회 2014 | |
스타드 드 프랑스 | 요코하마 국제 경기장 | 올림피아슈타디온 베를린 | 사커 시티 |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 | |
프랑스 | 한국-일본 | 독일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브라질 | |
제 21회 2018 | 제 22회 2022 | 제 23회 2026 | 제 24회 2030 | 제 25회 2034 | |
루즈니키 스타디움 | 루사일 스타디움 | 메트라이프 스타디움 | 에스타디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 킹 살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 |
러시아 | 카타르 | 캐나다-미국-멕시코 |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아르헨티나-우루과이-파라과이 | 사우디아라비아 |
(Citius, Altius, Fortius) | ||||
32회 | → | 33회 | → | 34회 |
2020 도쿄 올림픽 도쿄 신국립 경기장 | 2024 파리 올림픽 스타드 드 프랑스 | 2028 LA 올림픽 소파이 스타디움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
| ||||
2001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한국/일본 | → | 200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프랑스 | → | 2005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독일 |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 | 스타드 드 프랑스 | 프랑크푸르트 스타디온 |
| ||||
14회 | → | 15회 | → | 16회 |
유로 2012 폴란드/우크라이나 NSC 올림피스키 스타디움 | 유로 2016 프랑스 스타드 드 프랑스 | 유로 2020 분산개최 웸블리 스타디움 |
| ||||
1998-99 | → | 1999-2000 | → | 2000-01 |
캄 노우 | 스타드 드 프랑스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 ||
2004-05 | → | 2005-06 | → | 2006-07 |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 | 스타드 드 프랑스 | 스피로스 루이스 스타디움 | ||
2020-21 | → | 2021-22 | → | 2022-23 |
이스타디우 두 드라강 | 스타드 드 프랑스 |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 |
| ||||
5회 | → | 6회 | → | 7회 |
2003 럭비 월드컵 호주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 2007 럭비 월드컵 프랑스 스타드 드 프랑스 | 2011 럭비 월드컵 뉴질랜드 이든 파크 | ||
9회 | → | 10회 | → | 11회 |
2019 럭비 월드컵 일본 요코하마 국제경기장 | 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 스타드 드 프랑스 | 2027 럭비 월드컵 호주 미정 |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000000,#e5e5e5 {{{#0d2b88,#7896f2 1998}}} {{{#0d2b88,#7896f2 FIFA 월드컵}}} 프랑스™}}}]] 경기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생드니 | 마르세유 | 파리 | 리옹 | 랑스 | ||||
스타드 드 프랑스 (80,000명) | 스타드 벨로드롬 (60,000명) | 파르크 데 프랭스 (48,875명) | 스타드 드 제를랑 (44,000명) | 스타드 볼라르트-들렐리스 (41,300명) | |||||
낭트 | 툴루즈 | 생테티엔 | 보르도 | 몽펠리에 | |||||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 (39,500명) | 스타디움 드 툴루즈 (37,000명) |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 (36,000명) | 파르크 레스퀴르 (35,200명) | 스타드 드 라 모송 (34,000명)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1994 | 2002 ▶ | }}} |
UEFA 유로 2016 경기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266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생드니 | 마르세유 | 리옹 | 릴 | 파리 | |
스타드 드 프랑스 (81,338석) | 스타드 벨로드롬 (67,394석) | 파르크 올랭피크 리오네 (59,286석) | 스타드 피에르 모루아 (50,186석) | 파르크 데 프랭스 (48,712석) | ||
보르도 | 생테티엔 | 랑스 | 니스 | 툴루즈 | ||
누보 스타드 드 보르도 (42,115석) | 스타드 조프루아기샤르 (41,965석) | 스타드 볼라트들렐리스 (38,223석) | 스타드 드 니스 (35,624석) | 스타디움 뮈니시팔 (33,150석) | ||
◀ 2012 | 2020 ▶ |
| |||
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 경기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rowcolor=#5D6266> 스타드 드 보르도 (42,060석) | 스타드 피에르-모루아 (50,096석) | OL 스타디움 (58,883석) | |
| | | |
스타드 드 마르세유 (67,847석) |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 (35,520석) | 스타드 드 니스 (35,983석) | |
| | | |
<rowcolor=#5D6266> 스타드 드 프랑스 (80,023석) | 스타드 조프루아-기샤르 (41,965석) | 스타디움 드 툴루즈 (33,103석) | |
◀ 2019 | 2027 ▶ |
{{{#!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d7c378> | }}} |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드프랑스 | ||
파리 | |||
센강 트로카데로 정원 | 에펠 탑 스타디움 | 앵발리드 | |
개회식 | | | |
파리 포르트 드 베르사유 | 콩코르드 광장 | 이에나 다리 | |
(예선) | | (경보) | |
아코르 아레나 | 스타드 롤랑 가로스 | 아디다스 아레나 | |
(결선) | (준결승 및 결승) | | |
<rowcolor=#000> 그랑 팔레 | 그랑 팔레 에페메르 | 파르크 데 프랭스 | |
| | (예선, 남자 8강, 여자 8강, 남자 결승, 여자 결승) | |
<rowcolor=#000> 파리시청~앵발리드 | 알렉상드르 3세 다리 | ||
(마라톤) | | ||
일드프랑스 | |||
생드니 | 르부르제 | ||
스타드 드 프랑스 | 파리 아쿠아틱 센터 | 르부르제 스포츠 클라이밍 경기장 | |
(트랙 및 필드 경기) 폐회식 | (예선 및 본선) | | |
일드프랑스 | |||
<rowcolor=#000> 빌팡트 | 콜롱브 | 낭테르 | |
아레나 파리노르 | 스타드 이브 뒤 마누아르 | 파리 라 데팡스 아레나 | |
| (경영) (결승) | (예선) (펜싱) | |
일드프랑스 | |||
<rowcolor=#000> 베르사유 | 몽티니르브르토뇌 | 기영꾸흐 | |
<rowcolor=#000> 베르사유 궁전 | 벨로드롬 나시오날 드 생-캉탱-앙-이블린 | 르 골프 나시오날 | |
(수영, 승마, 레이저 런) | | | |
일드프랑스 | 오드프랑스 | ||
<rowcolor=#000> 엘랑쿠르 | 베르-쉬르-마른 | 릴 | |
<rowcolor=#000> 엘랑쿠르 언덕 | 스타드 노티크 드 베르-쉬르-마른 | 스타드 피에르 모루아 | |
| | (예선) (결선) | |
상트르발드루아르 | 페이드라루아르 | 누벨아키텐 | |
샤토루 | 낭트 | 보르도 | |
국립사격센터 |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 | 마트뮈 아틀랑티크 | |
| (예선, 여자 8강, 남자 동메달 결정전) | (예선, 남자 8강) | |
오베르뉴론알프 |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 ||
리옹 | 생테티엔 | 니스 | |
그루파마 스타디움 | 스타드 조프루아-기샤르 | 알리안츠 리비에라 | |
(예선, 남자 8강, 여자 8강, 남자 준결승, 여자 준결승, 여자 동메달 결정전) | (예선) | (예선) | |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 ||
마르세유 | 타히티 | ||
<rowcolor=#000> 오렌지 벨로드롬 | 마르세유 마리나 | 테아후푸 해변 | |
(예선, 남자 8강, 여자 8강, 남자 준결승, 여자 준결승)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