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0 14:23:31

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ff8832> 상징 국호 · 국기 ·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아일랜드 자유국
정치 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의회(하원 · 상원)
외교 외교 전반 · 아일랜드 여권 · 유럽연합 ·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경제 경제 전반 · 아일랜드 파운드(폐지) · 유로
국방 아일랜드군
사회 Leaving Cert · 대학 · 기타 교육 및 유학 관련 문서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세인트 패트릭 데이 · 게일릭 풋볼 · 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아일랜드 크리켓 대표팀 · 아일랜드 영어 · 아일랜드어 · 아일랜드의 포크 음악 · 켈트족의 축제 · 아일랜드 신화 · 아일랜드/관광
치안·사법 평화수호대
지리 아일랜드섬 · 토리섬 · 렌스터 · 얼스터 · 먼스터 · 코노트
기타 아일랜드인 · 아일랜드/인구 · 아일랜드계 미국인 · 아일랜드계 영국인 · 아일랜드계 러시아인 · 아일랜드계 칠레인 · 아일랜드계 캐나다인 · 아일랜드계 아르헨티나인 · 아일랜드계 멕시코인 · 아일랜드계 호주인 · 아일랜드계 독일인 · 아일랜드계 프랑스인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navy> 파일:럭비유럽.png럭비 유럽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555"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colbgcolor=#fff> 네덜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colbgcolor=#fff>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colbgcolor=#fff>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colbgcolor=#fff> 독일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제명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제명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 밑줄 : 월드 럭비 비회원국 (6개국)
파일:아시아 럭비 고화질.png 아시아파일:럭비 아프리카.png 아프리카파일:럭비 아메리카스 노스.png 북아메리카파일:수드아메리카 럭비 로고(신).png 남아메리카파일:오세아니아 럭비.png 오세아니아파일:럭비유럽.png 유럽
}}}}}}}}} ||

<colcolor=#191919,#fff> 파일:식스 네이션스 럭비 로고.svg파일:식스 네이션스 럭비 로고(화이트).svg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웨일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png
파일:이탈리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nopad> 파일:2025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로고(가로).webp
}}}}}}}}} ||
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Ireland national rugby union team
Foireann rugbaí náisiúnta na hÉireann
소속단체 아일랜드 럭비 풋볼 유니언 (IRFU)
감독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앤디 패럴 (Andy Farrell)
주장 케일런 도리스 (Caelan Doris)
최다 출전 키언 힐리 (Cian Healy)137회
최다 득점 조니 섹스턴 (Johnny Sexton)1,108점
최다 트라이 브라이언 오드리스콜 (Brian O'Driscoll)46회
홈 경기장 아비바 스타디움 (Aviva Stadium)
첫 국제경기 vs 잉글랜드 (0:7)1875년 2월 15일
최대 승리 vs 포르투갈 (106:7)2025년 7월 12일
최대 패배 vs 뉴질랜드 (0:60)2012년 6월 23일
럭비 월드컵 11회 진출
최고 8강
세계 랭킹 최고 1위(2024) / 최저 9위(2013)
역대 전적 764전 367승 32무 365패(48.0%)

1. 개요2. 역대 전적
2.1. 감독별 전적2.2. 주요 대회 성적2.3. 국가별 상대전적
3. 개인 기록4. 유니폼5. 선수단6. 둘러보기

1. 개요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깃발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얼스터, 렌스터, 코노트, 먼스터)
아일랜드북아일랜드 럭비 단일 대표팀이다. 22년 7월부터 65주간 월드 럭비 랭킹 1위를 유지했고, 2023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에서도 압도적인 실력으로 그랜드 슬램을 차지하는 등 현 시대 북반구 최강의 팀으로 여겨지고 있다.

2. 역대 전적

2025 여름 럭비 유니언 국제 경기 이후를 기준으로 한다. 출처

2.1. 감독별 전적

||<tablebordercolor=#006946><rowbgcolor=#006946><rowcolor=#fff> 이름 || 기간 || 총전적 || || || || 승률 ||20세기까지 아일랜드는 그저 그전 별볼일 없는 팀이었다. 럭비 월드컵도 8강 이상 올라가지 못하는 팀이었고 승률도 강팀과는 거리가 멀었다.[1] 21세기에 접어들며 사정은 조금 나아졌지만, 6할대를 찍던 오설리번 시절에도 주요 대회 결과는 신통치 않아서 여름 투어에선 SANZAAR라고 불리는 남반구 4강에게 단 1승도 하지 못했고, 월드컵이나 식스 네이션스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 없이 7년 임기를 마친다.[2] 이후 2009년 식스 네이션스 그랜드 슬램의 기쁨도 잠시, 여전히 여름 평가전에서 SANZAAR 4팀에겐 1승도 챙기지 못했고 식스 네이션스는 타이틀이 전무한, 그야말로 암흑기에 빠진다.

그러다 마침내 2013년, 명장 조 슈미트가 취임하며 분위기가 극적으로 달라진다. 미지근하던 성적은 짧은 기간에 화끈하게 올랐고 2014,2015 식스 네이션스 연속 우승, 여름 투어는 2014 아르헨티나에 2:0, 2016년 남아공에 1:2, 2018년 호주에 2:1로 상당히 괜찮은 결과를 냈다. 무엇보다 2018년 가을 올 블랙스에 승리를 거두고 6년 임기를 7할대 승률로 마쳤으니, 비록 2015 월드컵에선 예상치 못하게 8강에서 아르헨티나에게 졌지만 이런 분위기만 계속 가져가면 충분히 성공할 수 있었다.

2019년 앤디 패럴이 이어서 지휘봉을 잡으며 분위기는 더더욱 치솟는다. 월드컵 8강 이상 가지 못하는 저주때문에 2019년 대회에서 뉴질랜드에게 8강에서 무릎을 꿇었지만 2022년 여름 투어에서 2:1로 역사적인 승리를 거두며 세계 랭킹 1위에 우뚝 올라섰고, 가을 투어에서도 남아공, 호주에 승리하며 현 시점 최강의 팀임을 다시금 확인했다. 2023 식스 네이션스 그랜드 슬램으로 8할대 승률을 달성했으며 국내외 럭비 팬들도 앤디 패럴에 대한 반응이 좋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3 럭비 월드컵에서 끝끝내 8강의 저주를 깨지 못하고 탈락했다. 이정도면 저주같은 미신이 아니라 과학 내지는 법칙이 아닌가 싶다.

2.2. 주요 대회 성적

럭비 월드컵
<rowcolor=#006946> 연도 개최국 최종 순위 비고
1987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8강 8강전 vs 호주(15:33)
199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8강 8강전 vs 호주(18:19)
1995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8강 8강전 vs 프랑스(12:36)
1999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조별리그 8강 플레이오프 vs 아르헨티나(24:28)
2003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8강 8강전 vs 프랑스(21:43)
2007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조별리그 조 3위
201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8강 조별리그 4전 전승
8강전 vs 웨일스(10:22)
201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8강 조별리그 4전 전승
8강전 vs 아르헨티나(20:43)
2019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8강 8강전 vs 뉴질랜드(14:46)
2023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8강 조별리그 4전 전승
8강전 vs 뉴질랜드(24:28)
2027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아일랜드 대표팀은 뉴질랜드를 이긴 적이 있고 식스 네이션스 그랜드 슬램을 할 정도로 강팀이나, 이상하리만큼 월드컵과는 인연이 없다. 10번의 월드컵 중 무려 8번을 8강에서 탈락했다. 심지어 2015년엔 8강에서 절대 질것 같지 않았던 아르헨티나에게 20:43으로 충격패하며 탈락, 2019년엔 그 전까지 여러 차례 이겨본 뉴질랜드에 참패하며 탈락... 아일랜드보다 한 수 아래로 여겨지는 스코틀랜드, 아르헨티나조차 4강 경험이 있는 것에 비하면 지지리도 운이 없다. 오죽했으면 어떤 유튜버가 2023년에 "아일랜드 존X 잘한다! 8강 이길 수 있겠지?" 라는 영상을 올리자 댓글에 "가능! (희망사항)"이란 말이 달렸다.링크 2022년을 월드 럭비 랭킹 1위로 마무리했는데, 아일랜드를 포함해 프랑스, 스코틀랜드 등 북반구가 예전보다 강세인 상황이어서 과연 2023년 프랑스 월드컵에선 어떨지 많은 팬들이 기대를 하고 있었다. 20강 조가 아주 멋지게 짜여서 당시 세계 랭킹 1~4위였던 아일랜드, 프랑스, 뉴질랜드, 남아공 중 2팀만이 4강에 갈 수 있었는데, 결과는 프랑스와 함께 둘 다 떨어졌다. 본 문서에서도 꽤 오래 전에 8강에서 뉴질랜드에 진다고 농담처럼 써놨는데,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홈 네이션스 (1883 ~ 1909 / 1932 ~ 1939)
<rowcolor=#006946> 참가국 우승 그랜드 슬램 트리플 크라운 우든 스푼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11회 7회 5회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10회 2회[3] 6회 2회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9회 5회 7회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7회 2회 10회
파이브 네이션스 (1910 ~ 1931 / 1940 ~ 1999)
<rowcolor=#006946> 참가국 우승 그랜드 슬램 트리플 크라운 우든 스푼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23회 11회 16회 10회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23회 6회 11회 6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회 6회 9회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11회 3회 3회 15회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11회 1회 4회 15회
식스 네이션스 (2000 ~ )
<rowcolor=#006946> 참가국 우승 그랜드 슬램 트리플 크라운 우든 스푼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7회 4회 1회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7회 2회 5회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6회 4회 5회 3회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6회 3회 8회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4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8회
2000년 이후로 7번의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으며 이는 챔피언십 최대 기록이다. 침체기가 많았지만 운 좋게 우든 스푼은 한 번도 받지 않았다이 팀 덕분에

2.3. 국가별 상대전적

<rowcolor=#fff> 상대국 총전적 승률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38전 5승 1무 32패 13.1%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30전 10승 1무 19패 33.3%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04전 37승 7무 60패 35.6%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143전 54승 8무 81패 37.8%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38전 15승 1무 22패 39.5%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136전 59승 7무 70패 43.4%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4전 2승 2패 50%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143전 72승 5무 66패 <colcolor=green> 50.3%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20전 14승 6패 70%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8전 7승 1패 87.5%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8전 7승 1무 87.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38전 34승 4패 89.5%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0전 9승 1패 90%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1전 1승 10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1전 1승 100%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3전 3승 100%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3전 3승 100%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6전 6승 100%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6전 6승 10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10전 10승 100%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1전 11승 100%

3. 개인 기록

<rowcolor=#fff> 타이틀 이름 포지션 기록 기간/시점 비고
최다 출전 키언 힐리 프롭 137회 2009~2025
주장으로서 최다 출전 브라이언 오드리스콜 센터 83회 2002~2012
최다 트라이 브라이언 오드리스콜 센터 46회 1999~2014 경기당 0.35개
최다 득점 조니 섹스턴 플라이하프 1,108점 2009~2023 경기당 9.39점
한 경기 최다 득점 로넌 오가라 플라이하프 32점 2003.6.20 vs 사모아
한 경기 최다 트라이 로넌 켈레허 후커 4개 2021.7.10 vs 미국
최연소 출전 프랭크 휴이트 ? 17세 157일 1924.3.8 vs 웨일스
최고령 출전 조니 섹스턴 플라이하프 38세 92일 2023.10.14 vs 뉴질랜드

4. 유니폼

아일랜드는 전통적으로 초록색 상의와 양말, 흰 바지를 입는다.
<rowcolor=#fff> 연도 장비 제작 유니폼 스폰서
1982~1985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오닐스 -
1985~1991 파일:독일 국기.svg 아디다스
1991~1993 파일:영국 국기.svg 엄브로
1994~1996 파일:미국 국기.svg 나이키
1996~200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퍼머넌트 TSB
2000~2006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캔터베리
2006~2009 파일:영국 국기.svg O2
2009~2014 파일:독일 국기.svg 푸마
2014~2016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캔터베리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3
2016~ 파일:영국 국기.svg 보다폰

5. 선수단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선수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6946> 포지션 소속팀 이름 출전 비고
후커
(4)
파일:IRFU 로고.png 파일:얼스터 럭비 로고.png 롭 헤링
Rob Herring
42회 남아공인[1]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로넌 켈레허
Rónan Kelleher
37회 호주인[2]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거스 맥카티
Gus McCarthy
2회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댄 쉬헌
Dan Sheehan
27회
프롭
(6)
파일:IRFU 로고.png 파일:코나트 럭비 로고.png 핀리 빌럼
Finlay Bealham
46회 호주인[3]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잭 보일
Jack Boyle
-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톰 클라크슨
Tom Clarkson
2회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타이그 펄롱
Tadhg Furlong
78회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키언 힐리
Cian Healy
134회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앤드루 포터
Andrew Porter
70회

(6)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라이언 베어드
Ryan Baird
23회
파일:IRFU 로고.png 파일:먼스터 럭비 로고.png 타이그 번
Tadhg Beirne
56회
파일:IRFU 로고.png 파일:얼스터 럭비 로고.png 이언 헨더슨
Iain Henderson
84회
파일:IRFU 로고.png 파일:얼스터 럭비 로고.png 코먹 이주추쿠
Cormac Izuchukwu
1회 잉글랜드 출신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조 맥카티
Joe McCarthy
16회 미국 출신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제임스 라이언
James Ryan
67회
백 로우
(5)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잭 코난
Jack Conan
46회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케일런 도리스
Caelan Doris
47회 주장
파일:IRFU 로고.png 파일:먼스터 럭비 로고.png 피터 오마호니
Peter O’Mahony
110회
파일:IRFU 로고.png 파일:코나트 럭비 로고.png 키언 프렌더가스트
Cian Prendergast
4회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조시 반더플리어
Josh van der Flier
68회
스크럼
하프

(3)
파일:IRFU 로고.png 파일:코나트 럭비 로고.png 킬린 블레이드
Caolin Blade
3회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제이미슨 깁슨파크
Jamison Gibson-Park
38회 뉴질랜드 출신
파일:IRFU 로고.png 파일:먼스터 럭비 로고.png 코너 머리
Conor Murray
120회
플라이
하프

(3)
파일:IRFU 로고.png 파일:먼스터 럭비 로고.png 잭 크라울리
Jack Crowley
19회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키런 프롤리
Ciaran Frawley
8회 호주 출신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샘 프렌더가스트
Sam Prendergast
3회
센터
(4)
파일:IRFU 로고.png 파일:코나트 럭비 로고.png 번디 아키
Bundee Aki
60회 뉴질랜드 출신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로비 헨쇼
Robbie Henshaw
77회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제이미 오스본
Jamie Osborne
5회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개리 링로즈
Garry Ringrose
63회

(3)
파일:IRFU 로고.png 파일:코나트 럭비 로고.png 맥 핸슨
Mack Hansen
25회 호주 출신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제임스 로우
James Lowe
36회 뉴질랜드인[4]
파일:IRFU 로고.png 파일:먼스터 럭비 로고.png 캘빈 내시
Calvin Nash
8회
풀백
(2)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휴고 키넌
Hugo Keenan
42회
파일:IRFU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지미 오브라이언
Jimmy O'Brien
8회
2025 식스 네이션스 선수단 (1월 15일 기준)
감독: 사이먼 이스터비 (Simon Easterby)임시
홈 경기장: 아비바 스타디움 (Aviva Stadium)


[1] 출전 자격 : 조부모 국적[2] 출전 자격 : 조부모 국적[3] 출전 자격 : 조부모 국적[4] 출전 자격 : 아일랜드 거주
}}}}}}}}}}}}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222> 파일:2023 B&I 라이언스.png홈 네이션스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파일:웨일스 국기.svg 파일:IRFU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8px;"
{{{#22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England rugby logo.png
파일:Scottish Rugby Union.png
파일:Welsh_Rugby_Union_logo.svg.png
파일:아일랜드 럭비협회.svg
파일:2023 B&I 라이언스.png
파일:World Rugby logo.png
}}}}}}}}}}}} ||

[1] 통산 승률이 46%대니까 아마추어 시대에도 미적지근했다고 추측은 할 수 있다.[2] 객관적으로 기록에 남는 성과라고는 2004,2006,2007 식스 네이션스 트리플 크라운 뿐, 우승은 전무했다.[3] 1908,1909년 대회는 프랑스가 중간에 참가하여 추가 경기를 치렀다. 그래서 홈 네이션스 중 두 해만 그랜드 슬램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