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d30731> 상징 | 국호 · 국기 · 국가 · 적룡 |
역사 | 역사 전반 · 브리튼인(로만 브리튼) · 귀네드 왕국 · 웨일스 공국 · 브리튼인의 왕 | |
정치 | 정치 전반(자치권과 자치회의 · 정당 · 독립) · 국가원수(웨일스 공) | |
외교 | 외교 | |
경제 | 경제 · 파운드 스털링 | |
국방 | 영국군 | |
문화 | 웨일스 신화(마비노기온 · 아서왕 전설) · 영어 · 웨일스어 · 웨일스의 음악 · WRU(웨일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FAW(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 | |
지리 | 지리 · 카디프 · 스완지 · 흘란바이르푸흘귄기흘 | |
기타 | 웨일스인 · 웨일스계 미국인 · 웨일스계 캐나다인 · 웰시 코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navy> | 럭비 유럽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555" | | <colbgcolor=#fff> 네덜란드 | | <colbgcolor=#fff> 노르웨이 | | <colbgcolor=#fff> 덴마크 | | <colbgcolor=#fff> 독일 |
| 라트비아 | | 루마니아 | | 러시아제명 | | 룩셈부르크 | |
| 리투아니아 | | 리히텐슈타인 | | 모나코 | | 몬테네그로 | |
| 몰도바 | | 몰타 | | 벨기에 | | 벨라루스제명 |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불가리아 | | 산마리노 | | 세르비아 | |
| 스코틀랜드 | | 슬로바키아 | | 슬로베니아 | | 스웨덴 | |
| 스위스 | | 스페인 | | 아이슬란드 | | 아일랜드 | |
| 안도라 | | 에스토니아 | | 오스트리아 | | 우크라이나 | |
| 웨일스 | | 이스라엘 | | 이탈리아 | | 잉글랜드 | |
| 조지아 | | 체코 | | 크로아티아 | | 코소보 | |
| 키프로스 | | 튀르키예 | | 포르투갈 | | 폴란드 | |
| 프랑스 | | 핀란드 | | 헝가리 | |||
* 밑줄 : 월드 럭비 비회원국 (6개국) | ||||||||
|
<colcolor=#191919,#fff>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 |
| | | |
<nopad> |
| |
웨일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
Wales national rugby union team Tîm rygbi'r undeb cenedlaethol Cymru | |
소속단체 | 웨일스 럭비 유니언 (WRU) |
감독 | |
주장 | 잭 모건 (Jac Morgan) |
최다 출전 | 알런 윈 존스 (Alun Wyn Jones)158회 |
최다 득점 | 닐 젱킨스 (Neil Jenkins)1,049점 |
최다 트라이 | 셰인 윌리엄스 (Shane Williams)58회 |
홈 경기장 | 프린시팔리티 스타디움 (Principality Stadium) |
첫 국제경기 | vs 잉글랜드 (0:8)1881년 2월 19일 |
최대 승리 | vs 일본 (98:0)2004년 11월 26일 |
최대 패배 | vs 남아공 (13:96)1998년 6월 27일 |
럭비 월드컵 | 11회 진출 최고 3위(1987) |
세계 랭킹 | 최고 1위(2019) / 최저 14위(2025) |
역대 전적 | 804전 407승 30무 367패(50.6%) |
1. 개요
웨일스의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다.웨일스는 작은 국력으로 인해 두각을 드러내지 못하는 축구 대표팀과 달리 2020년까지만 해도 잉글랜드와 팽팽한 라이벌 구도를 갖고 있던 세계적인 강호였다. 2003년 세계 랭킹이 집계된 이후 2019년 8월 19일부터 2주간 1위에 오른 적도 있다. 2020년대에 들어선 많이 쇠퇴했으나, 여전히 1티어의 지위는 유지하고 있다.
2. 역대 전적
2025 여름 럭비 유니언 국제 경기 이후를 기준으로 한다. 출처2.1. 감독별 전적
||<tablebordercolor=#c8102e><rowbgcolor=#c8102e><rowcolor=#fff> 이름 || 기간 || 총전적 || 승 || 무 || 패 || 승률 ||개틀랜드 시절 럭비 월드컵은 2011,2019년엔 4강, 2015년 8강에 올라갔다. 2000년 이후 2007년까지 식스 네이션스에서 2005년 그랜드 슬램 이외 타이틀이 전무했던 것을 그가 취임한 뒤 2008,2012,2019 세 번의 그랜드 슬램과 2013 우승을 달성하는 위업을 달성한다. 그가 떠난 후 웨인 피박 시절엔 성적이 워낙 시궁창이어서 결국 전임자가 다시 돌아왔다. 이로써 개틀랜드는 무려 13년 이상 웨일스 감독직을 맡게 되었다. 아예 2027 럭비 월드컵까지 맡기를 원한다고 본인이 밝혔는데, 그렇게 되면 20년 가까이 한 나라의 대표팀 감독으로 재직하게 된다. 본인의 조국도 아닌데 대단하다.하지만 2024 식스 네이션스에서 팀이 전패한 이후 현타가 왔는지 웨일스 럭비 유니언에 사의를 밝혔다. 하지만 협회는 딱 잘라 거절했다고 한다.
2022년 3승 9패를 기록하며 감독이 수많은 팬들과 은퇴한 선수들로부터 욕을 바가지로 먹고 있다. 그중에서도 식스 네이션스 만년 꼴찌 후보인 이탈리아에게 홈에서 패배하면서 1승 4패 5위로 마무리, Autumn Nations Series에선 2티어 국가인 조지아에게 홈에서 패배하는 불과 얼마 전까지 식스 네이션스 우승하던 팀이 맞나 싶은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결국 2022년 시즌 종료 후 감독이 전임 워런 개틀랜드로 전격 교체되었다. 2008년부터 2019년까지 팀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던 인물이다. 그러나 웨일스 럭비는 구조적, 근본적 문제를 안고 있어 쉽게 팀은 회복되지 않았고, 결국 2024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에서 전패로 21년 만에 최하위를 기록했다. 세계 랭킹도 2023년에 기록한 역대 최하위인 10위로 돌아갔다. 이후로도 상황은 악화일로를 달리면서 2024 여름 럭비 유니언 국제 경기에서 연거푸 패하며 역사상 첫 11위로 추락했다. 근간 자체가 무너져가는 웨일스 럭비는 예전의 영광을 다시 찾기 힘들어 보인다.
아니나다를까 2024 가을 럭비 유니언 국제 경기에서 최악의 경기력으로 연거푸 3패를 기록했다. 그리고 이 기록은 2025 식스 네이션스는 물론 2025 여름 럭비 유니언 국제 경기까지 역사상 최다인 18연패로 이어지다 일본과의 2차전에서 승리하며 기어이 끊어내고 말았다.
2.2. 주요 대회 성적
럭비 월드컵 | |||
<rowcolor=#c8102e> 연도 | 개최국 | 최종 순위 | 비고 |
1987 | 3위 | 조별리그 3전 전승 4강전 vs 뉴질랜드(6:49) | |
1991 | 조별리그 | 조 3위 | |
1995 | 조별리그 | 조 3위 | |
1999 | 8강 | 8강전 vs 호주(9:24) | |
2003 | 8강 | 8강전 vs 잉글랜드(17:28) | |
2007 | 조별리그 | 조 3위 | |
2011 | 4위 | 4강전 vs 프랑스(8:9) 3/4위전 vs 호주(18:21) | |
2015 | 8강 | 8강전 vs 남아공(19:23) | |
2019 | 4위 | 조별리그 4전 전승 4강전 vs 남아공(16:19) 3/4위전 vs 뉴질랜드(17:40) | |
2023 | 8강 | 조별리그 4전 전승 8강전 vs 아르헨티나(17:29) | |
2027 |
홈 네이션스 (1883 ~ 1909 / 1932 ~ 1939) | ||||
<rowcolor=#c8102e> 참가국 | 우승 | 그랜드 슬램 | 트리플 크라운 | 우든 스푼 |
11회 | 7회 | 5회 | ||
10회 | 2회[1] | 6회 | 2회 | |
9회 | 5회 | 7회 | ||
7회 | 2회 | 10회 | ||
파이브 네이션스 (1910 ~ 1931 / 1940 ~ 1999) | ||||
<rowcolor=#c8102e> 참가국 | 우승 | 그랜드 슬램 | 트리플 크라운 | 우든 스푼 |
23회 | 11회 | 16회 | 10회 | |
23회 | 6회 | 11회 | 6회 | |
20회 | 6회 | 9회 | ||
11회 | 3회 | 3회 | 15회 | |
11회 | 1회 | 4회 | 15회 | |
식스 네이션스 (2000 ~ ) | ||||
<rowcolor=#c8102e> 참가국 | 우승 | 그랜드 슬램 | 트리플 크라운 | 우든 스푼 |
7회 | 4회 | 1회 | ||
7회 | 2회 | 5회 | ||
6회 | 4회 | 5회 | 3회 | |
6회 | 3회 | 8회 | ||
4회 | ||||
18회 |
2.3. 국가별 상대전적
<rowcolor=#fff> 상대국 | 총전적 | 승 | 무 | 패 | 승률 |
37전 | 3승 | 34패 | 8.1% | ||
43전 | 7승 | 1무 | 35패 | 16.3% | |
49전 | 14승 | 1무 | 34패 | 28.6% | |
143전 | 61승 | 12무 | 70패 | 42.7% | |
105전 | 51승 | 3무 | 51패 | 48.6% | |
136전 | 70승 | 7무 | 59패 | <colcolor=green> 51.5% | |
131전 | 75승 | 3무 | 53패 | 57.3% | |
10전 | 6승 | 4패 | 60% | ||
22전 | 14승 | 1무 | 7패 | 63.6% | |
8전 | 6승 | 2패 | 75% | ||
5전 | 4승 | 1패 | 80% | ||
15전 | 12승 | 1무 | 2패 | 80% | |
34전 | 28승 | 1무 | 5패 | 82.4% | |
12전 | 10승 | 2패 | 83.3% | ||
13전 | 12승 | 1패 | 92.3% | ||
9전 | 9승 | 100% | |||
7전 | 7승 | 100% | |||
4전 | 4승 | 100% | |||
3전 | 3승 | 100% | |||
2전 | 2승 | 100% | |||
2전 | 2승 | 100% | |||
1전 | 1승 | 100% |
3. 개인 기록
<rowcolor=#fff> 타이틀 | 이름 | 포지션 | 기록 | 기간/시점 | 비고 |
최다 출전 | 알런 윈 존스 | 록 | 158회[2] | 2006~ | |
주장으로서 최다 출전 | 샘 워버튼 | 플랭커 | 49회 | 2011~2016 | |
최다 트라이 | 셰인 윌리엄스 | 윙 | 58회[3] | 2000~2011 | 경기당 0.67개 |
최다 트라이 (경기당) | 셰인 윌리엄스 | 윙 | 경기당 0.67개 | 2000~2011 | 총 58회 |
최다 득점 | 닐 젱킨스 | 플라이하프 | 1,049점[4] | 1991~2002 | 경기당 12.06점 |
한 경기 최다 득점 | 닐 젱킨스 | 플라이하프 | 30점 | 1999.3.20 | vs 이탈리아 |
한 경기 최다 트라이 | 콜린 차비스 | 플랭커 | 4개 | 2004.11.26 | vs 일본 |
4. 유니폼
전통적으로 빨간 셔츠와 양말, 흰 바지를 입는다. 종종 바지까지 빨간색으로 할 때도 있고, 흰색이나 회색 무늬를 넣기도 한다. 교체 유니폼은 위아래 양말 모두 회색~암록색.<rowcolor=#fff> 연도 | 장비 제작 | 유니폼 스폰서 |
1970년대~1991 | 엄브로 | - |
1991~1996 | 코튼 트레이더스 | |
1997~2000 | ||
2000~2002 | 레드스톤 텔레콤 | |
2002~2004 | ||
2004~2008 | 브레인스 브루어리 | |
2008~2010 | ||
2010~2017 | 애드미럴 | |
2017~2020 | ||
2020~ | ||
2021~2023 | 카주 | |
2023~ |
5. 사건사고
2023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3라운드 잉글랜드와의 경기를 앞두로 대표팀 선수들이 파업을 예고했다. 사유는 임금 인상을 비롯한 선수들의 복지 향상을 요구했으나 협회가 받아들이지 않으며 갈등이 커졌기 때문이다. 럭비가 생업인 선수들에게 임금과 수당이 타국 선수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고, 테스트 매치 60경기 출전을 달성하지 못한 선수가 해외 클럽에서 활동할 경우 국가대표 선발에서 제외한다는 60-Cap 규정의 폐지가 가장 큰 화두로 떠올랐다[5]. 살아 있는 전설 알런 윈 존스, 전 주장 샘 워버튼을 비롯해 많은 유명 선수들이 동참했고 감독인 워런 개틀랜드또한 잉글랜드전 선수 명단 발표를 데드라인 직전까지 늦추면서 "선수들을 전적으로 지지하지만, 파업은 안된다. 파업한다면 난 그들을 지지하지 않겠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끝모를 갈등으로 팬들은 경기 취소를 걱정하고 있었으나 데드라인 직전 선수 명단이 발표되며 잉글랜드와의 경기는 정상 추진된다.협상의 성과로 60캡 규정이 25캡 규정으로 완화되었고, 기타 여러 제약사항이 일부 해소되었다고 한다. 문제는 25회 이상 출전한 중견급 선수들이 일제히 해외 구단을 알아보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잖아도 지금 웨일스 프로구단은 전력이 이탈리아 급으로 약해졌는데 더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다.
6. 선수단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 | 웨일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선수단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c8102e> 포지션 | 소속팀 | 이름 | 출전 | 비고 | |
후커 (3) | | | 엘리엇 디 Elliot Dee | 51회 | ||
| | 에반 로이드 Evan Lloyd | 5회 | |||
| | 샘 패리 Sam Parry | 7회 | |||
프롭 (6) | | | 케이런 아시라티 Keiron Assiratti | 10회 | ||
| | 윌그리프 존 WillGriff John | 2회 | 잉글랜드인[1] | ||
| | 켐슬리 마티아스 Kemsley Mathias | 5회 | |||
| | 니키 스미스 Nicky Smith | 49회 | |||
| | 가레스 토마스 Gareth Thomas | 35회 | |||
| | 헨리 토마스 Henry Thomas | 4회 | 잉글랜드 출신 | ||
록 (5) | | | 다피드 젱킨스 Dafydd Jenkins | 19회 | ||
| | 윌 롤랜즈 Will Rowlands | 36회 | 잉글랜드 출신 | ||
| | 프레디 토마스 Freddie Thomas | 1회 | 잉글랜드인[2] | ||
| | 크라이스트 치운자 Christ Tshiunza | 15회 | 콩고민주공화국인[3] | ||
| | 테디 윌리엄스 Teddy Williams | 2회 | |||
백 로우 (5) | | | 제임스 보텀 James Botham | 16회 | ||
| | 타울루페 팔레타우 Taulupe Faletau | 104회 | 통가인[4] | ||
| | 잭 모건 Jac Morgan | 17회 | |||
| | 토미 레펠 Tommy Reffell | 23회 | |||
| | 애런 웨인라이트 Aaron Wainwright | 52회 | |||
스크럼 하프 (3) | | | 엘리스 베번 Ellis Bevan | 6회 | 잉글랜드 출신 | |
| | 로드리 윌리엄스 Rhodri Williams | 5회 | |||
| | 토모스 윌리엄스 Tomos Williams | 59회 | |||
플라이 하프 (2) | | | 댄 에드워즈 Dan Edwards | - | ||
| | 벤 토마스 Ben Thomas | 7회 | |||
센터 (4) | | | 에디 제임스 Eddie James | 3회 | ||
| | 조 로버츠 Joe Roberts | 2회 | |||
| | 닉 톰킨스 Nick Tompkins | 38회 | 잉글랜드인[5] | ||
| | 오웬 왓킨 Owen Watkin | 42회 | |||
윙 (4) | | | 조시 애덤스 Josh Adams | 59회 | ||
| | 조시 해서웨이 Josh Hathaway | 2회 | |||
| | 엘리스 미 Ellis Mee | - | 잉글랜드인[6] | ||
| | 블레어 머리 Blair Murray | 3회 | 뉴질랜드인[7] | ||
풀백 (2) | | | 톰 로저스 Tom Rogers | 5회 | ||
| | 리암 윌리엄스 Liam Williams | 92회 | |||
2025 식스 네이션스 선수단 (1월 13일 기준) | ||||||
감독: 워런 개틀랜드 (Warren Gatland) 홈 경기장: 프린시팔리티 스타디움 (Principality Stadium) | }}}}}}}}}}}} |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222> | 홈 네이션스 |
{{{#!wiki style="margin: 0 -8px;" {{{#22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 | |
| ||||
|
<colcolor=#191919,#fff>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 |
| | | |
<nopad> |
[1] 1908,1909년 대회는 프랑스가 중간에 참가하여 추가 경기를 치렀다. 그래서 홈 네이션스 중 두 해만 그랜드 슬램이 있었다.[2] 브리티시 앤드 아이리시 라이언스 12회까지 개인 기록은 170회로 테스트 매치 역대 1위다.[3] 라이언스 2회까지 개인 기록은 60회[4] 라이언스 41점까지 개인 기록은 1,090점이다. 1999년에 263점을 올려 한 해 득점 역대 1위, 그 중 페널티킥만 62번으로 한 해 페널티킥 성공 역대 1위다.[5] 이 규정의 모순 중 하나로, 아직 국가대표 선발이 된 적 없는 선수들은 해외에서 활동해도 선발 대상에서 제외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