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7 07:30:12

누벨아키텐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word-break: keep-all"
레지옹 | région
본토 레지옹 | France métropolitaine
파일:오베르뉴론알프 로고.svg
오베르뉴론알프
파일:부르고뉴프랑슈콩테 로고.svg
부르고뉴​프랑슈콩테
파일:브르타뉴 로고.svg
브르타뉴
파일:상트르발드루아르 로고.svg
상트르발​드루아르
파일: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로고.svg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파일:그랑테스트 로고.svg
그랑테스트
파일:오드프랑스 로고.svg
오드프랑스
파일:일드프랑스 로고.svg
일드프랑스
파일:노르망디 로고.svg
노르망디
파일:누벨아키텐 로고.svg
누벨아키텐
파일:옥시타니 로고.svg
옥시타니
파일:페이드라루아르 로고.svg
페이드라루아르
파일:코르시카 문장.svg
코르시카
[집합체]
해외 레지옹 | Régions D'outre-Mer
파일:과들루프 로고.svg
과들루프
파일:1920px-Emblem_of_Martinique.svg.png
마르티니크
[집합체]
파일:프랑스령 기아나 정부 로고.svg
프랑스령 기아나
[집합체]
파일:Logolareunion.png
레위니옹
파일:Logo_de_Mayotte.svg
마요트
[집합체]
해외 집합체 | Collectivité d'outre-mer
파일:생마르탱 문장.svg
생마르탱
파일:생바르텔레미 비공식 기.svg
생바르텔레미
파일:생피에르 미클롱 기.svg
생피에르 미클롱
파일:왈리스 푸투나 기.svg
왈리스 푸투나
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해외국가]
특별 공동체 | Collectivité Sui Generis 해외 영토 | Territoire D'outre-Mer
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누벨칼레도니
파일:프랑스 국기.svg
클리퍼턴 섬
파일: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 기.svg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
[남극조약]

[집합체] 특별 영토 집합체(collectivité territoriale unique) 지위를 겸함. 다른 레지옹보다 더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가진다.[집합체] [집합체] [집합체] [해외국가] 해외 국가(Pays D'outre-Mer) 지위를 겸함. 자체 법에서 민법 등을 추가로 규정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시민권과 영주권을 가진다.[남극조약] 테르아델리 지구의 경우, 남극조약에 의해 영유권이 동결되었다.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C2022E>
파일:누벨아키텐 로고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샤랑트 문장.svg
샤랑트(16)
(앙굴렘)
파일:샤랑트마리팀 문장.svg
샤랑트마리팀(17)
(라로셸)
파일:코레즈 문장.svg
코레즈(19)
()
파일:크뢰즈 문장.svg
크뢰즈(23)
(게레)
파일:도르도뉴 문장.svg
도르도뉴(24)
(페리괴)
파일:지롱드 휘장.svg
지롱드(33)
(보르도)
파일:랑드 문장.svg
랑드(40)
(몽드마르상)
파일:로트에가론 문장.svg
로트에가론(47)
(아쟁)
파일:피레네자틀랑티크 문장.svg
피레네자틀랑티크(64)
()
파일:되세브르 문장.svg
되세브르(79)
(니오르)
파일:비엔(프랑스) 문장.svg
비엔(86)
(푸아티에)
파일:오트비엔 문장.svg
오트비엔(87)
(리모주)
※ 위에 있는 괄호는 Insee 코드, 아래에 있는 괄호 안은 중심도시 }}}}}}}}}
누벨아키텐
Nouvelle-Aquitaine
파일:누벨아키텐 로고.svg
정부 로고
파일:누벨아키텐 깃발.svg 파일:누벨아키텐 문장.svg
<rowcolor=#fff> 깃발 문장
파일:france-aquitaine-limousin-poitou-charentes.png
<colbgcolor=#c3002a><colcolor=#fff> 행정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중심도시 보르도
ISO 3166 코드 FR-NAQ
NUTS 코드 FRI
INSEE 코드 75
지리
면적 84,036㎢ [1]
인구 6,125,089명(2023년)
인구밀도 72명/㎢
시간대 UTC+1
지역 언어 오일어, 오크어, 바스크어
정치
레지옹 지사[2] 에티엔 기요
의회 의장 알랭 루세
의회 의석 183석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3]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18세기 군구(프로뱅스)와의 비교4. 데파르트망5. 출신 인물

1. 개요


프랑스의 남서부에 위치한 레지옹[4]이다. 기존의 아키텐, 리무쟁, 푸아투샤랑트 레지옹이 합병되어 2016년 1월 1일 출범하였다. 총 12개 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북쪽으로는 페이드라루아르상트르발드루아르 지방, 서쪽으로는 비스케이 만, 동쪽으로는 오베르뉴론알프, 옥시타니 지방, 남쪽으로는 피레네 산맥을 경계로 스페인와 접해있다.

지역별로 지리에 따라 구역을 나누는 대한민국과 달리, 프랑스의 레지옹들은 자체로 여러 군주들의 공국들이 진화한 것이기 때문에 그들마다 특색이 한국보다 더 크게 차이난다. 20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아키텐은 고유한 특색, 그리고 대도시 중 하나인 보르도가 위치해 있음에 따라 구역이 변경되지 않았고, 다만 리무쟁, 푸아투샤랑트와 합병되어 기존 체제와 다른 행정구역이라는 뜻으로 '새로운'이라는 뜻의 '누벨(nouvelle)'을 붙여 누벨아키텐(Nouvelle-Aquitaine)이라고 새로이 명명했다.

언어로는 남부 프랑스 방언인 오크어가스코뉴어가 주로 쓰여왔고(2021년 현재는 당연히 표준 프랑스어를 쓰지만) 피레네 근처 가스코뉴 지방에는 바스크족이 살고 있어 바스크어 사용지역도 존재한다.

2. 역사

아키텐은 고대 로마의 갈리아 식민지 시절부터 아퀴타니아라는 지명으로 불렸으며, 이후 서고트 왕국이 쳐들어와 이곳을 지배했다가 6세기 이후로 프랑크 왕국에 소속되어 중세 동안 아키텐 공국가스코뉴 공국[5]으로 자치권을 임명받아 준독립 상태로 있었다. 아키텐 공국 시절 기욤 10세를 상속한 아키텐의 엘레오노르루이 7세와 결혼하면서 그들 사이에 아들이 태어났으면 그 아들을 통해 카페 왕조에 상속될 예정이었으나 딸 둘만 낳고 이혼하면서 무산되었다. 이후 엘레오노르가 헨리 2세와 결혼하면서 아키텐은 잉글랜드 국왕에게 귀속되었고, 100년 전쟁까지 잉글랜드의 프랑스 내 요충지였다. 100년 전쟁의 결과 승리한 프랑스가 되찾았고, 프랑스의 중앙집권이 강화되면서 현재처럼 완전히 프랑스 영토화되었다.

3. 18세기 군구(프로뱅스)와의 비교

파일:누벨아키텐과 18세기 군구.svg
18세기 군구(프로뱅스)와의 비교[6]

4. 데파르트망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C2022E>
파일:누벨아키텐 로고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샤랑트 문장.svg
샤랑트(16)
(앙굴렘)
파일:샤랑트마리팀 문장.svg
샤랑트마리팀(17)
(라로셸)
파일:코레즈 문장.svg
코레즈(19)
()
파일:크뢰즈 문장.svg
크뢰즈(23)
(게레)
파일:도르도뉴 문장.svg
도르도뉴(24)
(페리괴)
파일:지롱드 휘장.svg
지롱드(33)
(보르도)
파일:랑드 문장.svg
랑드(40)
(몽드마르상)
파일:로트에가론 문장.svg
로트에가론(47)
(아쟁)
파일:피레네자틀랑티크 문장.svg
피레네자틀랑티크(64)
()
파일:되세브르 문장.svg
되세브르(79)
(니오르)
파일:비엔(프랑스) 문장.svg
비엔(86)
(푸아티에)
파일:오트비엔 문장.svg
오트비엔(87)
(리모주)
※ 위에 있는 괄호는 Insee 코드, 아래에 있는 괄호 안은 중심도시 }}}}}}}}}

파일:aquitaine-limousin-charentes.png

5. 출신 인물


[1] 레지옹 중 가장 면적이 넓다[2] 지롱드 데파르트망의 지사를 겸임한다.[3] 프랑스 IP를 쓰지 않으면 제대로 뜨지 않는 문제가 있다.[4] 관할 구역 안에 2~8개의 도(道)가 있는 프랑스의 광역 자치 단체를 의미한다.[5] 국명으로 인해 이 지역을 가스코뉴라고 부르기도 한다. 다른 명칭은 바스코뉴 공국으로 현대 스페인의 바스크와 연관이 있다.[6] 귀옌, 가스코뉴
앙구무아
푸아투
오니
리무쟁
나바르, 베아른
마르슈
소뮈르
생통주
그 외
[7] 이곳의 주도인 아쟁(Agen)은 건자두(pruneau)가 특산물이며 지리적 표시제(PDO)로 보호받고 있다.[8] 파리식: 피레네자틀랑티크, 남부식: 피레네아틀랑티크[9] 바스크인들이 거주한 지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