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word-break: keep-all"  | 레지옹 | région | ||||
| <nopad> 본토 레지옹 | France métropolitaine | |||||
|   오베르뉴론알프  |   부르고뉴프랑슈콩테  |   브르타뉴  | |||
|   상트르발드루아르  |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   그랑테스트  | |||
|   오드프랑스  |   일드프랑스  |   노르망디  | |||
|   누벨아키텐  |   옥시타니  |   페이드라루아르  | |||
|   코르시카[집합체]  | |||||
| <nopad> 해외 레지옹 | Régions D'outre-Mer | |||||
|   과들루프  |   마르티니크[집합체]  |   기아나[집합체]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레위니옹  |   마요트[집합체]  | }}} | ||
| 해외 집합체 | Collectivité d'outre-mer | |||||
|   생마르탱  |   생바르텔레미  |   생피에르 미클롱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왈리스 푸투나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해외국가]  | }}} | ||
| 특별 공동체 | Collectivité Sui Generis | |||||
|   누벨칼레도니  | |||||
| 해외 영토 | Territoire D'outre-Mer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클리퍼턴 섬  |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남극조약]  | }}} | ||
| }}}}}}}}}}}}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fb700,#ffb700> | }}} | |||||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코트도르(21) (디종)  |  두(25) (브장송)  |  쥐라(39) (롱르소니에)  |  니에브르(58) (느베르)  | |||
|  오트손(70) (브줄)  |  손에루아르(71) (마콩)  |  욘(89) (오세르)  |  테리투아르드벨포르(90) (벨포르)  | ||||
| ※ 위에 있는 괄호는 Insee 코드, 아래에 있는 괄호 안은 중심도시 | }}}}}}}}} | ||||||
  프랑스의 레지옹{{{#!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부르고뉴프랑슈콩테  Bourgogne-Franche-Comté  | }}} | ||
| <colbgcolor=#ffb700,#ffb700><colcolor=#000,#000> 행정 단위 | 레지옹 | ||||
| 중심 도시 | 디종[1] | ||||
| 면적 | 47,784㎢ | ||||
| 인구 | 2,793,968명(2023년) | ||||
| 인구 밀도 | 59명/㎢ | ||||
| 지역 언어 |   부르고뉴어, 프랑슈콩테어, 프랑코프로방스어   | ||||
| 레지옹 지사[2] |  [[관선#官選| 관선 ]]  | 폴 무리에 | |||
| 레지옹 의회의장 |   | 제롬 뒤랭 | |||
| ISO 3166-2 | FR-BFC | ||||
| NUTS 코드 | FRC | ||||
| INSEE 코드 | 27 | ||||
|   | |||||
| 위치 | 
|   | 
1. 개요
프랑스 동부의 레지옹. 2016년 프랑스의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기존 부르고뉴 레지옹과 프랑슈콩테 레지옹이 합병되어 만들어졌다. 북쪽으로는 그랑테스트, 서쪽으로는 상트르발드루아르, 일드프랑스, 남쪽으로는 오베르뉴론알프, 동쪽으로는 스위스와 접해 있다.
두 지역의 통합이 자발적으로 이뤄졌다고 알려져 있지만, 주민들의 온도차는 존재했다. 2015년에 BVA가 진행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부르고뉴 주민은 여론이 좋지만 프랑슈콩테 주민들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왔다.
2. 상징
| <colcolor=black>  | ||
| 로고 | ||
|   |   | |
| 깃발[4] | 문장 | |
3. 지명 개정
처음 레지옹을 개편했을 때는 노르망디 레지옹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알파벳 순으로 나열한 이름이었다. 이후 레지옹 의회의 표결을 통해 유지 혹은 새로운 이름이 확정됐다.2016년 2월에 부르고뉴프랑슈콩테 레지옹 의회가 홈페이지를 통해 새 이름을 제안받았다. 많은 후보들이 있었는데 주민들은 뷔르공디(Burgondie), 프랑슈부르고뉴(Franche-Bourgogne)[5], 세카니(Séquanie)[6] 등을 제치고 부르고뉴프랑슈콩테(Bourgogne-Franche-Comté)에 참가자 11,461명 중 71%가 동의했다.
2015년 10월 23일의 기사에 나온 설문에 의하면 부르고뉴 프랑슈콩테가 55%로 가장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16년 3월 19일, 레지옹 의회가 만장일치로 레지옹 이름을 부르고뉴프랑슈콩테로 유지하기로 결정 했다.
4. 데파르트망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fb700,#ffb700> | }}} | |||||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코트도르(21) (디종)  |  두(25) (브장송)  |  쥐라(39) (롱르소니에)  |  니에브르(58) (느베르)  | |||
|  오트손(70) (브줄)  |  손에루아르(71) (마콩)  |  욘(89) (오세르)  |  테리투아르드벨포르(90) (벨포르)  | ||||
| ※ 위에 있는 괄호는 Insee 코드, 아래에 있는 괄호 안은 중심도시 | }}}}}}}}} | ||||||
8개 데파르트망으로 이루어져 있다.
4.1. 18세기 군구(프로뱅스)와 비교
|   | 
| 부르고뉴프랑슈콩테와 18세기 군구[9] | 
부르고뉴 공국과 부르고뉴 백국의 영토의 대부분이 그대로 이어졌다.[10] 니에브르 데파르트망은 역사적으로 느베르 백국이었고 부르고뉴 공국과 관계가 있으며, 부르고뉴국에 속하기도 했다.
[1] 레지옹 의회는 브장송에 있다. 대신에 디종에는 레지옹 지사가 있는 청사가 있다.[2] 코트도르 데파르트망의 지사가 부르고뉴프랑슈콩테의 지사를 겸임한다.[관광청] [4] 양쪽 레지옹의 깃발을 합친 이 깃발은 디종과 브장송의 레지옹 청사에 게양되고 있다.[5] 프랑슈콩테 쪽이 앞으로 간 이름[6] 프랑슈콩테의 옛이름[7] 레지옹 청사 소재지[8] 레지옹 의회 소재지[9] ■ 부르고뉴
■ 프랑슈콩테
■ 니베르네
■ 샹파뉴
■ 알자스
■ 오를레아네
■ 몽벨리아르
■ 일드프랑스
■ 그 외[10] 지도에 없는 부르고뉴 공국 영토의 일부분은 앵 데파르트망으로 현재 오베르뉴론알프 레지옹에 있다.
	
	
	
	
	
	
	■ 프랑슈콩테
■ 니베르네
■ 샹파뉴
■ 알자스
■ 오를레아네
■ 몽벨리아르
■ 일드프랑스
■ 그 외[10] 지도에 없는 부르고뉴 공국 영토의 일부분은 앵 데파르트망으로 현재 오베르뉴론알프 레지옹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