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19:42:52

셀 수에서 넘어옴
셈 수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1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5획
중학교
7급
일본어 음독
スウ, (ス), サク, シュ, ソク
일본어 훈독
かず, かぞ-える, しばしば
표준 중국어
shǔ, shù, shuò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clearfix]

1. 개요

數는 '셈 수'라는 한자로, '셈', '(數)' 등을 뜻한다. '삭'으로 읽으면 '자주','촉'으로 읽으면 '촘촘하다'라는 뜻이지만 잘 쓰이지 않는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셈 <colbgcolor=#fff,#1f2023>자주, 빠르다
중국어 표준어 shǔ <colbgcolor=#fff,#1f2023>shù shuò
광동어 sou2 sou3 sok3
객가어 su, sṳ
민북어 su̿
민동어 sáuk
민남어 sò͘[文] / siàu[白] siàu / sok
오어 su (T2)
일본어 음독 スウ, (ス), シュ サク, ソク
훈독 かず, かぞ-える しばしば
베트남어 sổ số sác

뜻을 나타내는 (칠 복)과 소리를 나타내는 (끌 루)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6578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LVOK(中女人大)로 입력한다.

이 한자는 다음자(多音字)로서, 동사 '셈하다', '세다'의 뜻일 때는 상성으로, 명사 '셈', '숫자'의 뜻일 때는 거성으로 읽는다. 표준중국어, 광동어, 베트남어에서만 명사와 동사의 뜻이 구별된다.

그 외에도 '자주', '잦다'의 뜻으로 쓰일 때도 있는 데 이 때는 '삭'(所角切)이라고 읽는다. 그래서 자진한잎을 한자로 數大葉이라고 쓰는데 이것은 삭대엽이라고 읽어야 한다. 따라서 가곡에서 삭대엽에 딸린 개별 곡은 마땅히 초삭대엽·이삭대엽·삼삭대엽·편삭대엽이라고 읽어야 하지만 네이버 백과사전조차 속음에서 설명되어 있듯이 그릇된 소리로 읽고 있다.

또한 위 표에는 나오지 않지만 '촘촘하다'의 의미로서는 '촉'이라는 음으로 읽는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자주
    • (자주 기)
    • (여러/자주 루)
    • (자주 빈)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𡰓[⿰婁尤]/𡰍[⿰婁尢](구부릴 루)
  • (단지 루)
  • /𩀮[⿰婁隹](들거위 루)
  • (땅이름 루)
  • (모직물 루)
  • (새길/해골 루)
  • (약탈할 루)
  • 𧢃[⿰婁見](자세히볼 루)
  • 𠞭[⿰婁刂](잘게썰 루)
  • 𤬏(하눌타리 루)
  • 𣤋[⿰婁欠](흉악할 루)
  • 𢿘[⿰婁攴](셈 수)[5]
  • 𱍿[⿰婁久]
  • 𡢺[⿰婁庂]
  • 𡗆[⿰婁多]
  • 𭒰[⿰婁姿]
  • 𰚆[⿰婁殳]
  • 𬧻[⿰婁車]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𠐍[⿰亻數](나라이름 속)
  • 𥖻[⿰石數](돌 수)
  • 𡂡[⿰口數](들이마실 수)
  • (버릴 수)
  • /𡾄[⿱山數](숲 수)
  • 𤻺[⿸疒數](여윌 수)[6]
  • (우거질 수)
  • (조리 수)
  • 𣰟[⿰數毛](담요 유)[7]

[文] 문독[白] 백독[사이시옷] 한자어에 사이시옷이 적용되는 여섯 개뿐인 사례 중 하나다.[사이시옷] 한자어에 사이시옷이 적용되는 여섯 개뿐인 사례 중 하나다.[5] (셈 수)의 동자[6] (여윌 수)의 동자[7] (담요 유)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