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陽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양수(수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양수(수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positive number
2. 羊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양수(신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양수(신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임신시 자궁에 차는 그 양수이다.
3. 讓受
taking over일반적으로 사물을 남에게서 받는 행위를 가리키는데 보통 법적 용어로 많이 쓰이며 타인의 권리나 재산 혹은 법률상의 지위 따위를 넘겨받는 일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서 어떤 회사가 사옥을 매입했다면 해당 토지 및 건물에 대한 유형자산 양수계약을 맺었다라고 표현한다. 상장회사라면 공시로 주요사항보고서(유형자산양수결정)이라고 발표가 된다. 반대말은 양도(讓渡)라고 하며 합쳐서 양수도계약이라고 일반적으로 일컫는다.
법학이나 법적 개념에서 자주 쓰인다.
4. 揚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펌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펌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농업, 공업 등에 필요한 물을 퍼올림.
물을 퍼올리는 도구로는 용두레, 양수기 등이 있다.
5. 陽樹
🌳 나무의 분류 | |||||
잎의 수명 | 잎의 모양 | 햇빛의 양 | |||
낙엽수 | 상록수 | 활엽수 | 침엽수 | #s-5 | 음수 |
양수10(陽樹)
1. 식물 어릴 때 햇볕에서는 잘 자라지만 그늘에서는 잘 자라지 못하는 나무. 음수(陰樹)에 비하여 어릴 때 생장이 빠르고 입지(立地)에 대한 요구 조건이 적으며, 수목으로는 수명이 짧은 편이다. 아까시나무, 자작나무, 사시나무, 버드나무, 오동나무, 은행나무 따위가 있다. ‘양지나무’로 순화. ≒양지나무.
sun tree1. 식물 어릴 때 햇볕에서는 잘 자라지만 그늘에서는 잘 자라지 못하는 나무. 음수(陰樹)에 비하여 어릴 때 생장이 빠르고 입지(立地)에 대한 요구 조건이 적으며, 수목으로는 수명이 짧은 편이다. 아까시나무, 자작나무, 사시나무, 버드나무, 오동나무, 은행나무 따위가 있다. ‘양지나무’로 순화. ≒양지나무.
어릴 때 햇볕에서는 잘 자라지만 그늘에서는 잘 자라지 못하는 나무이다. 음수(陰樹)에 비해 어릴 때 생장이 빠르다.
6. 兩水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에 있는 지역이다.두물머리로 유명하며,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곳이다. 양수역도 있으나, 양수역은 양수리가 아닌 용담리(목왕로)에 있다.
요덕 제15호 관리소로 유명한 함경남도 요덕군에 이 지명을 쓰는 곳이 있으나, 두음법칙은 안 써서 '량수리'로 표기한다.
7. 兩數
쌍수라고도 한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문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문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고구려의 신수 陽燧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양수(상상의 동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양수(상상의 동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중국의 축구선수
양쉬 문서로.10. 삼국지의 인물들
10.1. 후한 말, 삼국시대 위나라의 인물 楊修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양수(삼국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양수(삼국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0.2. 중국 서진의 인물 羊琇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양수(서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양수(서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