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72f08><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14px" | ||||||||
<colbgcolor=#f72f08><colcolor=#fff> 4권역 | 9401 | 9403 | 9404 | 9408 | 9409 | |||
7권역 | 9701 | 9703 | 9707 | 9711 | 9714 |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파주시 교하동(신성교하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5가(숭례문.한국일보) | ||
종점 행 | 첫차 | 05:00 | 기점 행 | 첫차 | 06:20 |
막차 | 01:00 | 막차 | 02:20 | ||
평일배차 | 30~50분 (1일 30회) | 주말배차 | 45~70분 (1일 22회) | ||
운수사명 | 제일여객 | 인가대수 | 7대(예비 1대)[1] | ||
노선 | 신성교하차고지 - 청석마을8단지 - 청석마을9단지 - 숲속길마을7단지 - 교하중앙공원 - 책향기마을14단지 - 초롱꽃마을12단지/물향기마을12단지 - 대화역 - 문촌마을 - 주엽역 - 강선마을 - 일산동구청 - 마두역 - 알미공원/안산공원 - 고양경찰서.토당청소년수련관 - 행신초등학교 - 행신동 - 소만마을 - 서정마을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모래내시장.가좌역 - 연세대학교 - 금화터널 → 광화문.광화문빌딩 → 신한은행본점 → 숭례문 → 서대문경찰서 → 금화터널 → 연세대학교 → 이후 역순 |
2. 개요
제일여객에서 운행하는 광역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4.9km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운정3지구 개발에 따라 2014년 1월 9일 교하동 신 차고지로 기점이 바뀌었다.
- 2014년 7월 16일에 9711B번이 신설되면서 1대가 감차되었다.
- 2017년 5월 1일에 신성교통에서 서울운수로 이관됐다.
- 2017년 9월 14일에 서울운수와 제일여객이 노선을 맞바꾸면서 제일여객으로 이관되었다. 관련 공문 이에 따라 서울운수는 교하동에서 철수하고, 제일여객은 대화동(이마트덕이점)에서 철수했다.
- 2018년 8월 15일부터 숭례문 정류장의 버스 정차 위치가 신한은행본점 정류장 방향으로 30m 옮겼다.
- 2020년 1월 20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75분에서 185분으로 10분 늘어나고, 이와 동시에 평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2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21년 4월 1일을 기해 평일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85분에서 190분으로 늘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고 이와 동시에 첫차 공차회송도 폐지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1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21년 10월 9일부터 파주시의 요청으로 (대화역방향)초롱꽃마을12단지(ID: 30895), (교하방향)물향기마을A22(ID: 30896)정류장에 추가 정차한다.관련 공문
4. 특징
- 8880번이 개통할 때 인가 대수만으로는 배차간격을 맞추기 어려워 신설한 급행 광역버스 노선이다. RH 이외의 다른 시간대에는 공기를 실어나른다. 퇴근 시간대의 경우는, 광화문역 정류소에서 1000번이나 1200번, M7106번, M7119번을 기다리다가 9714번이 먼저 오면, 앉아서 갈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뛰어와 타는 사람들이 있다.[2] 하지만 명성운수가 파업하거나 수도권 전철 3호선, 경의·중앙선이 고장나는 날에는 사람 적은 이 노선이 헬게이트로 돌변한다.
- 9709번같이 심야 시간이 되면 이 노선의 진가가 발휘된다. 위에 적은 대로 평일과 주말 모두 막차가 교하동차고지에서 새벽 1시까지 있으며, 숭례문에서는 새벽 2시 20분 전후에 출발한다. 이렇기 때문에 심야에 사람들의 소중한 발이 되고 있다.
- 9709번 버스가 경기도 버스로 전환되면서, 이 노선은 서울특별시 최북단 광역버스가 되었다. 파주시에서 출발하는 유일한 서울 광역버스인 건 덤.
- 상술했듯이 고속(화)도로를 경유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전 차량에 안전띠가 설치되어 있다. 이런 차량을 타게 된다면 안전띠를 꼭 착용하자.
-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중에서 9401번과 함께 1기 신도시와 2기 신도시를 모두 경유하는 버스이기도 하다.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노선 중 가장 큰 번호를 가지고 있다. 반대로, 가장 작은 번호를 가진 노선은 01.
- 706번과 기종점이 같았으나, 706번이 녹번동으로 단축됨과 동시에 773번으로 노선 번호가 바뀌면서 이제는 아니다. 두 노선 모두 파주 ↔ 고양, 고양 ↔ 서울 간 심야버스 역할을 하고 있다. 첫차는 773번이 4시 30분으로 이 노선보다 30분 빠르며, 막차도 00:30분으로 30분 더 빠르고, 파주.일산 코스도 서로 다르다. 773번은 운정, 탄현역 입구를 거쳐서 대화교삼거리로 내려오지만, 9714번은 삽다리(동패동)와 만자고개(가좌동 입구)를 무정차 통과해서 대화교삼거리로 내려온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9714번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1,217명 | - |
2014년 | 1,296명 | △ 79 |
2015년 | 1,307명 | △ 11 |
2016년 | 1,059명 | ▽ 248 |
2017년 | 954명 | ▽ 105 |
2018년 | 871명 | ▽ 83 |
2019년 | 784명 | ▽ 87 |
2020년 | 617명 | ▽ 167 |
2021년 | 684명 | △ 67 |
※ 하차 인원 미포함 |
4.2. 시간표
2022.2.1기준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시청역, 서울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시청역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역, 주엽역, 정발산역, 마두역, 백석역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역
수도권 전철 5호선: 광화문역, 서대문역[3]
서울 지하철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가좌역, 서울역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서울역
-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 M2341 | 8001 | 8002 | |
M4403 | 8501 | 8502 | 4403 | |
M7412 | 9700 | 9711 | ||
M7106 M7119 M7129 | 1000(고양) | 1100 | 1200 | |
1900 | 9714 | |||
M2323 | 1000-1 | M2353 | 1003 | |
M4102 | G8110 | M4108 | 4108 | |
M4434 | 6001 | M4448 | 6002 | |
M4455 | 5003 | M6427 | 6427 | |
M6628 | 1000(인천) | M7111 | G7111 |
| |
광역급행 | |
<colcolor=#fff> 직행좌석 | |
서울광역 | |
서울간선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의정부시 | |
수락리버 | ||
구리/남양주 | 201구리 202담터 1155담터 | |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3, 4권역 | 하남, 성남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성남시 | |
하남시 |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 |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4, 5권역 | 과천, 안양, 군포, 의왕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과천/안양/군포/의왕 | |
과천/안양/군포 | ||
안양/군포 | ||
안양시 | 152교대 6515교대 500석수 5618석수 | |
과천시 |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 |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의왕시 경유 노선은 군포시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5, 6권역 | 광명, 부천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광명시 | |
철산리버 | ||
부천시 | ||
철산리버: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고양시 | |
동산동 | ||
덕은동 | ||
대덕동 | ||
파주/양주 | 704송추 773교하 774파주읍 9714교하 | |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