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이크 앤더슨 Mike Anderson | |
본명 | 마이클 제임스 앤더슨 Michael James Anderson |
출생 | 1966년 7월 30일 ([age(1966-07-30)]세) |
텍사스 주 오스틴 | |
국적 |
|
학력 | 사우스웨스턴 대학 |
신체 | 190cm, 90kg |
포지션 | 투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1988년 아마추어 자유계약 (CIN) |
소속팀 | 신시내티 레즈 (1993) LG 트윈스 (1998) 쌍방울 레이더스 (1999) |
지도자 | 유진 에메랄즈 투수코치 (2000) 랜싱 러그너츠 투수코치 (2001~2004) 웨스트 텐 다이아몬드 잭스 투수코치 (2006) 베이커즈필드 블레이즈 투수코치 (2007) |
프런트 | 텍사스 레인저스 스카우트 |
가족 | 남동생 브라이언 앤더슨 |
1. 개요
미국의 전 야구 선수.2. 선수 경력
2.1. 미국 프로야구 시절
마이너리그에서 10시즌 동안 77승 59패 3.86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메이저리그 성적은 1993년 신시내티 레즈에서 3경기 5⅓이닝, 평균자책점 18.56의 안 좋은 성적을 기록한 게 전부였다.2.2. LG 트윈스
| |
LG 트윈스 시절 |
여담으로 KBO 외국인 투수 첫 세이브의 주인공이다.
2.3. 쌍방울 레이더스
LG와 재계약에 실패했지만 1999년에 쌍방울에서 선발 투수로 뛰게 되었다. 김성근 감독은 "LG가 앤더슨을 활용하지 못했다." "장기를 살려준다면 충분히 좋은 활약을 해줄 것." 이라면서 기대감을 나타내었고 앤더슨도 자기는 원래 마무리 체질이 아니며 선발로 뛰면 15승은 할 수 있다고 자신감을 나타내었다.4월 8일 전주에서 열린 삼성전에서 93호 시즌 1호의 이승엽에게 1점 솔로 홈런을 허용한 용병이었다.
하지만 19경기 2승 9패, 평균자책점 6.75의 초라한 성적만을 남기고 말았다. 여기에 당시 쌍방울 감독이던 김성근과 투구폼 문제 등으로 마찰을 빚어 두 차례나 2군행을 지시받기도 했고, 김성근 감독에 대해 반발하는 의미로 팀 훈련에 무단 불참하기도 했다. 이에 김성근 감독은 앤더슨의 퇴출을 강력하게 주장했으나 앤더슨이 이에 대해 구단 사장에게 항의하는 등 한바탕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결국 시즌 후 재계약에 실패하여 한국을 떠나게 되었고, 쌍방울은 1999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해체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3. 그 이후
한국을 떠난 후 은퇴를 했다고 알려졌다. 이후 마이너리그 코치와 스카우트 일을 시작했는데 2012년 8월 스카우트 자격으로 오랜만에 방한,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을 방문해 이병규, 유지현, 차명석 등 LG 시절 같이 뛰던 동료들과 해후했으며 당시 LG 사령탑이던 김기태 감독과 인사를 하기도 했다.[1] 동시에 삼성 이승엽에 대한 근황도 물어봤고, LG 시절 룸메이트였던 손혁 해설위원과 같이 LG 홈 경기를 지켜보기도 했다.
2014년에는 강정호를 보기 위해 목동 야구장을 방문하였다. 그리고 2015년에는 박병호를 보기 위해 다시 목동구장을 방문했고, LG 시절 룸메이트 손혁이 넥센 히어로즈 투수코치로 있었기 때문에 손혁과 만나 사진을 찍기도 했다.
그의 동생인 브라이언 앤더슨은 미국 폭스 스포츠 위스콘신의 스포츠 아나운서으로, 밀워키 브루어스의 전담 중계방송 캐스터로 활약중이다.[2] 2020년 코로나 사태를 극복하고 무관중 개막전을 시작한 KBO 리그를 알리면서 자신의 형이 KBO에서 뛴 적이 있었다고 밝혔다.
4. 연도별 성적
역대 성적]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1993 | CIN | 3 | 3⅓ | 0 | 0 | 0 | 0 | 18.56 | 12 | 3 | 13 | 0 | 4 | 2.81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1998 | LG | 45 | 55⅔ | 4 | 7 | 21 | 0 | 3.56 | 53 | 4 | 19 | 4 | 30 | 1.29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1999 | 쌍방울 | 19 | 69⅓ | 2 | 9 | 0 | 0 | 6.75 | 94 | 12 | 41 | 5 | 31 | 1.95 |
MLB 통산 (1시즌) | 3 | 3⅓ | 0 | 0 | 0 | 0 | 18.56 | 12 | 3 | 13 | 0 | 4 | 2.81 | |
KBO 통산 (2시즌) | 64 | 125 | 6 | 16 | 21 | 0 | 5.33 | 147 | 16 | 60 | 9 | 61 | 1.66 |
5. 여담
- KBO 리그 외국인 선수 최초의 세이브 기록을 가지고 있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c30452><tablebgcolor=#c30452> | LG 트윈스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앤더슨 펠릭스 | 펠릭스(2) 대톨라 | 해리거 테이텀(2) 쿡슨(3)(2) 스미스(3) | 해리거 발데스 로마이어(2) 린튼(3) | 만자니오 마르티네스 퀸란(2) 케펜(3) |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
마르티네스 쿡슨(2) 알칸트라(3) | 마틴 후타도(2) 쿠퍼(3) | 클리어 마테오(2) 왈론드(3) | 아이바(2) 카라이어(3) 텔레마코(2) 베로커(3) | 하리칼라(2) 옥스프링(3) 발데스 |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
옥스프링 브라운(2) 페타지니(3) | 페타지니 옥스프링(2) 바우어(3)(2) 존슨(3) | 오카모토 곤잘레스(2) 더마트레(3) | 주키치 리즈 | 주키치 리즈 |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주키치 리즈 | 리오단 티포드 조쉬벨(2) 스나이더(3) | 소사 루카스 한나한(2) 히메네스(3) | 소사 히메네스 코프랜드(2) 허프(3) | 소사 허프 히메네스(2) 로니(3)(2) |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가르시아 윌슨 소사 | 윌슨 켈리 조셉(2) 페게로(3) | 윌슨 켈리 라모스 | 켈리 라모스(2) 보어(3) 수아레즈 | 켈리 플럿코 루이즈(2) 가르시아(3)(2) | |
2023년 | 2024년 | 2025년 | 2026년 | 2027년 | |
켈리 플럿코(2) 오스틴 | 켈리(2) 에르난데스(3) 오스틴 엔스 | 치리노스 에르난데스(2) 코엔 윈(4) 톨허스트(3) 오스틴 | |||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c81e><tablebgcolor=#ffc81e> | 쌍방울 레이더스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c81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98년 | 1999년 | ||
미영입 | 앤더슨 비아노(1) | |||
(1) 시즌 중 방출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c81e><tablebgcolor=#ffc81e> | 쌍방울 레이더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c81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90년~1999년 | |||
1991~1992 | 1993 | 1994 | 1995 | |
조규제 | 김성길 | 김석기 | 박성기 | |
1996 | 1997~1998 | 1999 | | |
김원형 | 김기덕 | 앤더슨 |
마이크 앤더슨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신시내티 레즈 등번호 56번 | ||||
제프 카이저 (1993) | → | <colcolor=#fff> 마이크 앤더슨 (1993) | → | 헥터 카라스코 (1994) | |
LG 트윈스 등번호 16번 | |||||
황대연 (1996.5.7.~1997) | → | <colbgcolor=#000> 앤더슨 (1998) | → | 신윤호 (1999~2008.5.31.) | |
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51번 | |||||
김형주 (1997) | → | 앤더슨 (1999) | → | 팀 해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