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4 09:36:13

안양대학교

대한신학교에서 넘어옴


파일:안양대학교 시그니처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캠퍼스
안양캠퍼스 강화캠퍼스
학교 정보
역사 상징 임원 재단
학부 대학원 식당(매점)
교통 주변 환경 사건 사고
학생 정보
학풍 학생자치기구 동아리 출신 인물
관련 기관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 ||
<colcolor=#fff> 안양대학교
安養大學校
Anyang University
파일:안양대학교 UI.svg
<colbgcolor=#26409A> 교훈 진리(眞理)
표어 한구석 밝히기
상징
<colbgcolor=#26409A><colcolor=#fff> 비전 미래 가치를 선도하는 창의융합 강소대학
동물
산양
교목 은행나무
교화 민들레
교색
파란색
노란색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분류 사립대학
지역 경기도 | 인천광역시
개교 1948년 8월 ([age(1948-08-01)]주년)
장로회 야간 신학교
설립자 고봉 김치선 목사[1]
종교 개신교 (대한예수교장로회 대신총회)[2]
재단 및 법인 학교법인 우일학원[3]
총장 제13대 장광수[4]
주소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삼덕로37번길 22 (안양동 708-113)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중앙로 602-14 (삼성리 380-2)
재학생
학부생
4,019명(2024년)[5]
대학원생
516명(2024년)
교원
전임 175명(2024년)
비전임
222명(2024년)
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대학 (2025년)
링크 파일:안양대학교 심볼.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1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안양캠퍼스
강화캠퍼스
}}}}}}}}}}}} ||

1. 개요2. 교명3. 역사4. 임원진5. 상징6. 학풍7. 안양대학교 학부/전공안내8. 안양대학교 대학원 학과/전공 안내9. 학사제도10. 대학평가11. 캠퍼스 및 교내 시설
11.1. 안양캠퍼스11.2. 강화캠퍼스11.3. 舊 서울캠퍼스(없어짐)
12. 수리산 입구13. 교통14. 주변 환경15. 학내언론16. 학생자치기구17. 동아리18. 인터넷 커뮤니티
18.1. 안양대학교 에브리타임18.2. 수리안18.3. 안양대학교 대나무숲18.4. 디시인사이드 안양대 갤러리18.5. 기타 커뮤니티
19. 출신인물20. 사건 사고21. 방송 촬영22. 여담23. 둘러보기

1. 개요

안양대학교의 경관, 홍보 영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7px -1px -11px"
파일:안양대학교 정문.jpg
안양대학교 안양캠퍼스 정문
파일:안양대 강화캠퍼스 전경.jpg
안양대학교 강화캠퍼스 전경
안양대학교 홍보 영상 (2022) }}}}}}}}}
한구석 밝히기
안양대학교 - ANYANG UNIVERSITY (AYU)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삼덕로 37번길 22 (안양동)과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중앙로 602-14에 위치한 4년제 사립대학교이며 대한민국의 주요 장로회 교단 중 하나인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교단과 인준한 기독교 학교이다.[6] 애국적인 목회와 설교로 유명했던 김치선 목사가 1948년에 개교한 대한신학교가 학교의 시초이다.

학교 재정의 건전성을 보여주는 법인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은 18.9%로 점차 상승하긴 하나 여전히 평균에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치다. 특히 최근 공시지가 상승으로 대부분 수도권 대학은 드라마틱한 상승률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아쉬운 수치이다.

2. 교명

안양대학교(安養大學校, ANYANG UNIVERSITY)

현재 안양대학교에서는 영문 약칭으로 AYU를 사용한다. 2000년대까지는 AU를 주로 사용했다.[7]

역설적으로 안양대학교는 대한신학교에서 시작한 개신교 장로회 계열 미션스쿨이지만 본래 '안양(安養)'은 '마음을 편히 하며 쉬는 것, 극락'을 뜻하는 불교 용어이다. 하지만 안양은 안양사에서 따온 지명(地名)으로 의미가 굳어졌기에 교명에 대해서는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다. 사실 기독교는 평강과 천국을 추구하는 종교라서 기독교계 미션스쿨 이름으로도 손색이 없다.

그래서 안양대생의 별명은 아냥이, 냥이이다.[8] 안양의 어감이 냥냥과 비슷해서 그렇다. 어원이 고양이여서 그런지 멸칭으로도 쓰이지만 애칭으로 자주 쓴다.

중국 허난성 안양시안양사범대학(Anyang normal university), 안양공학원(Anyang Institute of Technology)이 소재한다. 안양공학원은 2011년에 자매결연을 하였으며 같이 안양시내에 '중국중원문화경제교류원'까지 개원할 정도로 교류를 했지만[9] 안양사범대학은 서로 관계가 없다.

외국인 유학생에게는 Onion University(양파 대학교)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이유는 Anyang과 Onion이 발음이 비슷해서 그렇다.

타대학 훌리들이 안양대를 억까하기 위해 안산대학교로 의도적으로 바꿔서 부르기도 하며, 오르비, 수만휘 등의 수험생 커뮤니티에서는 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를 "안산 한양대"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를 "안양대"라고 줄여부르기도 하기에 수험생들이 혼동하기도 한다. 다만 안양시의 안양대학교도 인지도가 많이 올라갔기에 실생활에서 안산에 있는 한양대 에리카, 안산대랑 혼동당할 일은 거의 없다.[10] 모두 개신교계가 관여한 학교이지만, 애초에 장로회 학풍이 강한 안양대는 설립자가 침례회 신자였지만 개신교 학풍이 거의 없는 한양대 에리카, 감리회 학풍이 옅고 결국 간호대학 명성이 강한 안산대랑 캐릭터가 확연히 다르다. 또한 한양대 에리카는 공대와 약대가 유명하고, 안산대는 간호학과가 유명하고 안양대는 사회과학대가 유명하고 신학대학이 있다. 만약 2026년부터 강화캠퍼스에 간호학과가 세워진다면 지역 및 개신교 교파 및 대학병원 보유 여부 차이로 안산대와 구분하는 방식이 생겨날듯 싶다.

3.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양대학교/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안양대학교 심볼 흰색.svg 안양대학교의 역사
파일:안양대학교 70년.jpg
1948 <colbgcolor=#ffffff> 서울캠퍼스 <colbgcolor=#ffffff> 안양캠퍼스 <colbgcolor=#ffffff> 강화캠퍼스
장로회야간신학교
1949~1979 대한신학교
1980~1990 안양캠퍼스로 이동 대한신학교
1991~1992 대신대학
1993~1994 대신대학교
1995~2000 안양대학교
2001 안양대학교

안양대학교가 안양시에 있는 것은 대한신학교가 과거 수도권정비계획법의 영향으로 서울 서대문구에 건립되지 못하고 관악구에 가장 가까운 만안구에 건립되었기 때문이다. 덕분에 인서울 대학교수도권 대학교의 경계선이 되었다.

형제학교 격으로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이 세운 대신총회신학연구원, 대신목회대학원, 미주대한신학대학교 등의 "대신"이 들어간 신학교가 여럿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정부의 인가를 받은 미주대한신학대학을 제외하면 미인가이다. 안양대학교가 예장대신의 대신 교육기관 시리즈 중에서 원조이다.

대구포항에 있는 대한신학교는 이름만 같고 아예 다른 기관이다. 김치선 목사의 아들인 김세창 목사가 김영실 박사에게 대한신학교 운영권을 넘겨서 교단에게 축출당하여 대한예수교장로회(전통대신)으로 갈라져 나오며 세운 신학교이다. 하지만 대한신학교의 역사는 안양대학교가 정식이라서 대구와 포항의 대한신학교는 미인가이다.

안양시 석수동에 있는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는 예장 대신이 목사를 더 양성할 필요성을 느껴서 설립한 대학원대학교였으나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석수)가 갈라져 나오며 예장 대신석수의 신학교가 되었다.

참고로 장로회야간신학교와 이름이 비슷한 장로회신학대학교와 상관없다. 그리고 연성대학교의 전신이었던 안양과학대학과도 상관없다.

4. 임원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양대학교/임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임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임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A2C6B, #26409A, #26409A, #1A2C6B);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장로회신학교 교장
대한신학교 교장
초대
윤필성
제2-3대
김치선
제4-5대
김세창
제6대
이의완
제7대
김영실
대신대학 학장
대신대학 총장
안양대학교 총장
제1대
김영실
제1-2대
김영실
제3-5대
김승태
제6대
이은규
제7대
김석준
안양대학교 총장
제8대
정창덕
제9대
유석성
제10대
장병집
제11-12대
박노준
제13대
장광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A2C6B, #26409A, #26409A, #1A2C6B);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대한기독학원 이사장
초대
마두원
제2-3대
김연준
제4-5대
이의완
제6대
김세창
제7대
김현근
대한기독학원 이사장
우일학원 이사장
제8대
권용식
제9대
김영실
제10대
오선환
제11-12대
유준
제13-14대
이창걸
우일학원 이사장
제15-16대
박원근
제17-18대
김광태
제19대
위성호
제20대
문순권
}}}}}}}}} ||

5. 상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양대학교/상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상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상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안양대 마스코트.jpg
산양(아름이, 다운이)
파일:안양대학교 산양.jpg
일우 중앙도서관 산양 동상

6. 학풍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양대학교/학풍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학풍#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학풍#|]]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한구석 밝히기.jpg
한구석 밝히기

7. 안양대학교 학부/전공안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양대학교/학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학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학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안양대학교의 이전 학과}}}에 대한 내용은 [[안양대학교/역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안양대학교/역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안양대학교/역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안양대학교의 이전 학과: }}}[[안양대학교/역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안양대학교/역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안양대학교/역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안양대학교 심볼.svg 안양대학교의 단과대학
공통
예술대학 창의융합대학 아리교양대학
안양캠퍼스
신학대학 인문대학
강화캠퍼스

수도권정비계획법 때문에 정원을 늘릴 수 없고 신학교가 모태이기 때문에 신학과 관련된 인문계열, 교회음악과에서 발전한 음악계열은 기초학문으로써 쉽게 이어져온 반면, 학교가 신학교에서 종합대학으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이공계열 학과를 추가하다보니 공과대학은 실용적이고 응용학문성격을 띈 학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2017년 학과 통폐합 후 공과대학이 간학문적인 커리큘럼으로 짜여졌고 연계전공이나 복수·부전공 등을 활용해 진로의 다양성을 취할 수 있다.

전국에서 얼마없는 수산학과를 갖고 있다. (강화캠퍼스 해양바이오공학과) 또한, 전국 유일하게 화장품 디자인에 특화된 화장품발명디자인학과를 보유중이다. 또한, 신설학과로 뷰티메디컬디자인학과, AI융합학과, 게임컨텐츠학과, 스포츠지도학과 등 실용학문적인 성격이 강한 희귀학과, 인기학과를 신설하였다.

수시 내신, 정시 수능 커트라인은 커트라인을 공개하지 않는 학과를 제외하면 백분위 82~70(2019 기준. #)으로 정시는 국어, 영어, 수학, 사탐/과탐, 제2외국어 중 3과목을 반영한다. 내신은 2021년까지는 1학년 20% 2학년 40% 3학년 40%로 반영했으나 지금은 전체 학년 모두 33.3%로 동일하게 본다. 입학전형의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수시 기준 입결 순서는 2022학년도 학생부교과전형 평균기준 컴공>유교>관경이 상위권이며, 학생부면접전형기준은 글경>디미디>국문>유교 순이지만 디미디는 모집인원에 1명 미달했다. 마지막으로 학생부종합전형 기준으로는 관경>글경>유교 순이지만 유교과는 모집인원에 1명 미달했다. 유교, 관경, 글경이 전체적으로 상위권에 위치해있다. 경쟁률로 따지자면, 실기전형을 보는 학과 제외 중국언어문화학과가 경쟁률이 가장 높았다.

상경, 예술, 디자인 계열에서 경쟁력이 있는 대학이다. 사회과학대학은 단과대학으로 치면 학교의 모태가 되는 신학대학 다음으로 오래 체재가 유지된 단과대학이다. 김영실 전 총장이 전국 최초로 경기대에 관광학과를 설립한 후 안양대에 관광경영학과를 세웠기 때문에 이름이 있는 편이다. 식품영양학과와 사범계열 학과가 안정적으로 인정받는다. 前도시환경바이오공학부 소속인 도시정보공학과와 환경에너지공학과는 교수진이 탄탄한 이미지가 있다. 도시정보공학과는 정부기관 연구사업에 지정되거나 환경에너지공학과는 미세먼지 연구에 특화하여 미세미세 어플 개발도 하였고 환경부에 미세먼지 관리 특성화 대학원으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예술대학은 100/1은 우습게 넘어갈 정도로 경쟁률이 매우 세다. 신학과는 입결 스펙트럼이 넓다. 창의융합대학은 시간이 지날수록 수준이 올라가고 있는 추세이다.

학과 통합을 통해 내실을 다졌는지 대학 평가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기 시작했으며 계속 실적을 내고 있어서 전망이 밝다.

수도권의 신학교 출신 종합대학들 중에선 나름 종합화가 잘된 편이다. 특히 공과대학 덕분에 종합대학으로써 이미지가 매우 강해졌다. 물론 자연과학대, 의대, 보건대 등 다른 이과계열 학과가 없어 지방의 신학교 출신 종합대학에 비해 종합화가 덜 되었다.

2022학년도에 대규모 학과제 개편이 실시되었다. 학부제를 폐지하고 각 전공을 독립된 학과로 분리하였다. 또한, 예체능계열 신설학과가 다수 생겨나 인문예술대학을 인문대학과 예술체육대학으로 분리하여 단과대학의 수가 5개로 다시 변경되었다.

2024년도에는 박노준 총장의 영향으로 인하여 예술체육대학을 예술대학과 스포츠대학으로 분리하여, 단과대학의 수가 6개로 늘어났다.

8. 안양대학교 대학원 학과/전공 안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양대학교/대학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대학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대학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안양대학교 심볼.svg 안양대학교의 대학원
일반대학원
공학계열
특수대학원
폐지된 대학원


안양대학교 대학원은 안양캠퍼스에 있다. 아리관과 일우중앙도서관에 수업실, 대학원생 연구실, 원우회실, 대학원 채플실이 있다.

안양캠퍼스 학부 학생들과 교류가 잦아 동아리 활동을 같이 하기도 한다. 게다가 안양대 학부 출신 대학원생들도 많다. 그래서 학부 학생들은 대학원생들을 고학번처럼 인식한다.

대한신학교의 역사가 깊었고 동문과 아웃풋이 많기에 개신교계에서 신학대학원의 인기가 높고 수준이 높다고 인정받는 편이다. 경영행정대학원은 안양시와 인근 서울과 수도권 지역의 행정과 경영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교육대학원은 금천구, 관악구, 안양시, 광명시, 과천시의 교사들이 심화된 교육학을 배우기 위해서 진학한다. 글로벌대학원은 국제적인 사회복지와 상담을 위해 세워진 대학원이다. 일반대학원은 박사과정을 위한 대학원이다.

9. 학사제도

9.1. 복수전공

  • 1학년 수료자로, 3학년 2학기까지 신청 가능하며 전체 평점평균 3.0 이상인 자
  • 다전공은 2학년 수료자로 3학년 2학기까지 신청 가능하며 평점평균 3.0이상인 자
  • 이수학점
    주전공은 48학점, 복수전공은 42학점을 이수해야한다.
  • 유의사항
  • 일반계열학과 학생들은 사범계열(기독교교육과, 유아교육과), 공연예술학과, 음악학과(피아노 전공, 성악 전공, 관현악 전공)을 복수전공할 수 없다.
2. 4학년 진급 후에는 신청 불가
3. 편입생 및 외국인학생 신청 불가

9.2. 부전공

  • 1학년 수료자로, 3학년 2학기까지 신청 가능하며 전체 평점평균 3.0 이상인 자
  • 이수학점
    주전공은 60학점, 복수전공은 21학점을 이수해야한다.
  • 유의사항
  • 일반계열학과 학생들은 사범계열(기독교교육과, 유아교육과), 공연예술학과, 음악학과(피아노 전공, 성악 전공, 관현악 전공)을 부전공할 수 없다.
2. 4학년 진급 후에는 신청 불가
3. 편입생 및 외국인학생 신청 불가

9.3. 연계전공

연계전공 (連携專攻)
interdisciplinary major
전공 협력 학과
창업전공 아리교양대학
스마트공간정보전공 도시정보공학과(안양캠퍼스) + 스마트시티공학과(강화캠퍼스)
빅데이터리터러시디자인전공 글로벌경영학과(안양캠퍼스) + 화장품발명디자인학과(안양캠퍼스)
소셜데이터사이언스전공 글로벌경영학과(안양캠퍼스) + 행정학과(안양캠퍼스) + 통계데이터사이언스학과(안양캠퍼스)

9.4. 자기설계전공

9.5. 소단위전공

■ ‘소단위 전공과정’ 이란 학생이 적은 학점으로 다양한 전공 분야의 과정을 이수할 수 있는 전공 과정
■ 2인 이상의 교수자에 의해 9~12학점 ( 전공과정 별 상이 )으로 구성된 융복합 교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하며, ‘MD(마이크로디그리, Micro Degree) 로 불리는 전공 과정
소전공 (小专修)
Micro Degree
전공 이수 과목
ESG ESG의 이해, ESG 경영전략, ESG 환경경영전략
지식재산융합 지식재산 이해와 활용, 지식재산 서비스 실무, 지식재산 실무 캡스톤디자인
상담학 상담이론과 실제, 심리검사, 진로상담
경영데이터분석과 컨설팅 컨설팅 사고와 문제해결, 경영데이터분석 이론과 실제, 컨설팅 비즈니스 이해와 프로젝트
브랜드매니저 브랜드 R&D 전략, 바이오테크 상품 기획, 전략적 브랜드 자산 관리

9.6. 전과

  • 지원자격
  • 전과는 4학년 재학 중 2회에 제한함.
2, 1학기 이수자 ∼ 6학기 이수자로서 직전학기까지의 총평점평균이 2.0 이상인 자
(편입으로 입학한자는 1학기 이수자 ∼ 2학기 이수자)
3. 자유전공 , 계열별 자유전공 입학생은 학과가 배정된 이후 1학기 이상 4학기 이하 이수자
  • 유의사항
  • 학적, 학년이 4학년 진급자는 전과불가
2. 캠퍼스간 유사 전공 전과 허용[11]
3. 예체능 계열 학과 전과 허용(복수/부 전공으로 예체능 계열 학과를 이수하는건 불가능하지만, 전과는 허용된다)
  • 지원제한
  • 주·야 교차 전부·전과는 허용하나 동일학과로의 전과는 허용되지 않는다.
    *예:글로벌경영학과(야간)->행정학과(주)->글로벌경영학과(주간)
2. 사범계열학과(기독교교육과, 유아교육과)로의 전과는 제적인원 내에서 허용가능하며, 적인성검사 실시

10. 대학평가

10.1. QS 세계 대학 랭킹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C2F59><tablebgcolor=#0C2F59> 파일:안양대학교 UI.svg안양대학교
}}}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colbgcolor=#0C2F59> 아시아 701-750위 801+위 801-850위 801-850위
동아시아 357위 공동 364위[12] 공동 347위[13] 공동 347위[14]

10.2. CWTS 레이던 랭킹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C2F59><tablebgcolor=#0C2F59> 파일:안양대학교 UI.svg안양대학교
}}}
2019-2022년 2020-2023년 2024년 2025년
<colbgcolor=#0C2F59> 전세계 - 2172위 442위 375위
국내 - 59위 3위 3위

[단독] ‘개정’ 2025라이덴랭킹 세종대 14.7%'최고'..UNIST 안양대 KAIST 포스텍 톱5, 베리타스 알파, 박한성 기자를 참고하였다.

11. 캠퍼스 및 교내 시설

이원화 캠퍼스라서 안양대학교 학생들은 안양캠퍼스와 강화캠퍼스의 수강신청과 시설을 모두 이용해도 되며 상호 교양선택 과목 2과목 및 교직과목에 한해서 교류가 가능하다. 다른 캠퍼스의 동아리 활동도 가능하다. 강화캠퍼스는 안양캠퍼스의 공간적인 연장선이기에 딱히 서로 차별하지 않는다. 어차피 입결이 어떻건 재학생의 성장과 아웃풋을 중요시하는 "한구석을 밝히는" 학풍이라서 차별도 없다.

4년제 종합대학 중에서 성공회대, 한성대, 성결대와 함께 캠퍼스 크기가 작은 편이지만 4년제 종합대학에 있을 시설은 다 있다. 그래도 원래 수리관, 대신관, 문화관만 있었는데 꾸준히 부지 확장을 실시해서 넓어진거다. 학교가 소유한 토지 상당부분이 수리산 그린벨트에 묶여있어서 더 크게 확장을 못한다. 그대신 건물을 높게 올리는 방식으로 용적률을 늘렸다. 창의융합산학관, 대신관, 문화관을 제외한 건물들이 8층을 넘긴다.

작은 교정을 오밀조밀하게 활용하기 때문에 다른 대학교 교정보다 탄소 발자국이 훨씬 적다는 이유로 환경부로부터 2012년 저탄소 그린캠퍼스에 선정되었다. 안양시그린벨트가 상당히 많은 도시이고 수리산에 교정이 위치해 있어 공기가 맑은 편이다.

안양캠퍼스의 면적은 47,434㎡이고, 강화캠퍼스의 면적은 200,229㎡이다. 대체로 신입생 때는 학교가 너무 작다며 불평하지만 3,4학년 때는 동선 절약이 쉽다며 꽤 편하다고 느낀다. 대학원생이 된다면 동선이 더욱 줄어들어서 상당히 흡족해한다.

11.1. 안양캠퍼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양대학교/안양캠퍼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안양캠퍼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안양캠퍼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ampus_map_anyang.jpg
안양대학교 안양캠퍼스
  • 안양캠퍼스: 대신관, 수리관, 수봉관, 문화관, 새솔관, 일우 중앙도서관, 아리관, 비전관, 창의융합산학관, 상징탑, 기숙사

11.2. 강화캠퍼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양대학교/강화캠퍼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강화캠퍼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강화캠퍼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ampus_map_ganghwa.jpg
안양대학교 강화캠퍼스
  • 강화캠퍼스: 이공인문학관, 생활관, 학생회관, 팔각정

11.3. 舊 서울캠퍼스(없어짐)

1948~1961년까지 남산캠퍼스를 사용했다가 박정희 정부에 의해 캠퍼스를 빼앗겼고, 1961~1989년까지 청파동 캠퍼스를 사용하였다가 안양캠퍼스로 교사를 옮기게 된다.

구 남산캠퍼스는 현재 서울시청 남산별관이 위치해있고, 구 청파동 캠퍼스는 현재 청파중앙교회가 자리하고 있다.

아무래도 1960~1990년대의 대신 교단은 근본주의 장로회 성향이 매우 강했기에 학교 캠퍼스에 대한 시청각 자료를 남기기 싫어했는지, 인터넷에 서울캠퍼스 관련 사진과 자료를 찾기 매우 힘든 편이다.

12. 수리산 입구

파일:안양대학교 수리산 입구.jpg
안양 캠퍼스가 수리산 입구에 위치해 있기에 전국에서 가장 높은 최고 기울기를 가진 4년제 대학교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너무 높은 경사도 때문에 재학생들에게 안양 마운틴, 수리산 등반코스 등의 애칭으로 불린다. 그렇기에 안양 캠퍼스 입구는 수리산 등반코스 중의 일부라서 안양대 독서실의 벤치에 앉아있으면 풀장비 주민들이 등산 스틱을 들고 다니시는 걸 볼 수 있다. 택시 강추합니다.

캠퍼스의 높이도 높은 편이라서 수리관 학생식당에서 안양시 전경이 다 보인다. 안양시 스카이뷰를 감상하면서 학식을 먹을 수 있다. 반대로 만안구에서 안양캠퍼스가 크게 눈에 띄기에 안양캠퍼스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안양 타워

하지만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마의 41도 구간만 빼면 전체적으로 완만한 편이라서 겁먹을 필요없다. 오히려 길이가 짧아서 다른 대학교보다 난이도가 훨씬 쉬운 편이다.

안양대와 높은 경사로 비교당하는 상명대동의대는 안양대보다 경사도는 낮지만 긴 경로 때문에 더 악명 높다. 한편 동아대 승학 캠퍼스의 경우 최고 기울기는 안양대보다는 낮지만 평균 기울기가 안양대보다 1도 더 높다. 그리고 중고등학교와 전문대는 안양대보다 기울기가 더욱 높은 곳이 많다. 당장 안양대 바로 옆에 있는 근명고등학교가 안양대보다 경사가 심하다(...)

수리산의 다른 입구에 4호선 수리산역이 설치되어 있지만 군포시라서 정반대에 있다. 1호선 안양역이 가장 가깝다.

높은 경사를 농담으로 승화시켜서 스스로 산양으로 자칭하는 자학개그도 있다. 산양은 안양대 상징이기도해서 꽤 웃픈 개그이다. 2009년 중앙일보 UCC 대회에 안양대 경사를 봅슬레이로 비유해 최우수상을 받은 용자도 있었다.

한편 강화캠퍼스도 퇴미산, 퇴모산, 혈구산에 둘러싸여있다. 하지만 학교가 보유하고 있는 지역 중에서 평지 부분만 캠퍼스로 개발한 덕에 평탄하며, 등산로가 학교와 이어져있지 않다.

13.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양대학교/교통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교통#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교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안양대학교 안양캠퍼스 위치
안양대학교 강화캠퍼스 위치
안양캠퍼스는 교통이 매우 편리하고 강화캠퍼스는 교통이 불편했지만 점점 개선되어가고 있다.

안양캠퍼스로 갈 때 스쿨버스를 놓치면 안양1번가에서 쇼핑하면서 걸어오면 된다. 일반 시내버스로는 15분정도 소요된다. 돈이 많은 학우는 택시를 타고 학교를 와도 된다. 안양역에서 안양대까지 택시비로 6~7천원 정도 든다.

강화캠퍼스는 강화도가 최전방이라서 개발이 제한되어 있어 인프라가 거의 없다. 그래도 강화도에서 유일하게 여러 전공이 개설된 대학이라서 강화도 관련 교육은 뛰어난 편이다. 2022년부터 체육대학이 개설되면서 공부 및 훈련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으로 체육계에 주목받고 있다.

14. 주변 환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양대학교/주변 환경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주변 환경#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주변 환경#|]]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학내언론

  • 안양대신문: 학내 월간지. 2021년 기준으로 창간된지 38주년이다.
  • Anyang Tribute: 학내 영어 월간지, 안양대신문과 다른 내용이다.
  • ABC: 안양대의 라디오 방송부, 매일 점심에 방송한다.
  • Logos Media: 학내 언론 분과 동아리

16. 학생자치기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양대학교/학생자치기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학생자치기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학생자치기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7. 동아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양대학교/동아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동아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동아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8. 인터넷 커뮤니티

18.1. 안양대학교 에브리타임

바로가기

교내에서 가장 활발한 커뮤니티이다. 2017~2018년도에는 쉬운 접근성과 익명성으로 온갖 뻘글과 특정인, 특정단체 저격글과 분탕글이 많았다. 그래서 이때에는 커뮤니티 목적이 아니라 시간표 위젯만 이용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2018~2019년도부터 교내 단체들에서 공지나 홍보글을 에브리타임에 올리기 시작하였다. 이후 페미성향, 정치성향, 총학생회 관련 뜨거운 논쟁을 거치면서 커뮤니티 성향이 중립적, 학내정보와 일상 공유 등 순한맛으로 바뀌었다. 자유게시판에 학교와 상관없는 민감한 주제(ex:정치)가 올라오면 자유게시판이 아닌 관련게시판에 글을 올리라거나 무관심, 비꼬기 등으로 넘어간다. 하지만, 총학생회나 학교에 대해서 비판적인 태도는 고수하고 있다.

2020년을 기점으로 타 커뮤니티와 갭을 벌리면서 2022년 현재 유일하게 활성화된 안양대학교 커뮤니티로 남게되었다.

18.2. 수리안

파일:수리안.png
홈페이지

안양대학교 공식 커뮤니티이다. 이름의 유래는 수리산 + 천리안

2012년 학교의 억압받는 자유게시판을 벗어나 자유로운 의견 게시와 소통의 공간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각종 이벤트와 다양한 정보들이 올라오며 꾸준히 관리하고 있어서 굉장히 깔끔하게 운영된다. 2013년, 2014년이 부흥기이며 2015년과 2016년에는 관리 부재로 인하여 폐지된 듯하였으나 2016년 말부터 운영이 시작되어 2017년 12월 기준으로 조금 되살아났다. 페이스북 페이지 안양대학교 수리안을 '좋아요'하면 꾸준히 이벤트 소식이 올라오기 때문에 '좋아요'를 누르는 것을 추천한다. 가끔 리뷰를 대가로 영화나 연극을 공짜로 볼 수 있는 이벤트도 열리니 유심히 살펴보자.

그뿐만 아니라 수리안 운영진이 페이스북 수리안 계정을 운영하는데 수리안에게 건의하고 싶은 내용이나 하고 싶은 말을 얘기하면 잘 들어준다. 페이스북 페이지에는 공식적인 내용들이 공지되고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서는 간단간단한 내용들이 올라간다. 2017년부터는 플러스 친구를 운영하고 있다. 친구를 추가하면 학생 식단 표와 셔틀버스 확인이 가능하고 이벤트가 있을 경우 메시지로 알려준다. 수리안의 설립자는 도시정보공학과 출신이며 이후 2대 대표 디지털미디어디자인학과 출신, 3대 대표 컴퓨터공학과 출신을 지나 4대 대표로 컴퓨터공학과 출신이 이어가고 있다.

2018~9년을 기점으로 학교의 커뮤니티기능이 페이스북 대나무숲에서 에브리타임으로 옮겨가게되어 대나무숲 운영 주체인 수리안은 사실상 글리젠이 없는 유령커뮤니티가 되었다. 설상가상으로 서버이상으로 인해 2019년~2020년 사이에 있었던 데이터가 사라지면서 수리안을 이용하는 학생이 아예 사라지게 되었다. 교내 단체에서는 소통창구를 에브리타임이나 인스타그램을 활용하고 있으며 수리안 활성화에 관심을 보이지 않아 버려진 커뮤니티가 되었다.

18.3. 안양대학교 대나무숲

파일:안양대 대나무숲.jpg
페이스북 페이지

2016년 총학생회 운영 개입 논란으로 없어졌었으나 수리안이 ‘안양대 제보함’을 서비스함으로써 다시 개설되었다. 학우들의 많은 요청으로 ‘안양대 제보함’이라는 이름을 ‘안양대학교 대나무숲’으로 변경하여 운영 중이다. 다른 대나무숲에 비해서 굉장히 깔끔하게 운영되며 다양한 소식이나 이벤트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2019년도까지는 타 대학교 대나무숲처럼 활성화되었지만, 1) 2020년부터 학교 비대면과 2) 학생들의 페이스북 사용이 줄어들게되어 2020년 6월 마지막 제보글과 2020년 11월 마지막 자체 게시글 이후 운영이 중단되었다.

18.4. 디시인사이드 안양대 갤러리

바로 가기

디시인사이드답게 굉장히 비관적인 분위기가 특징이다. 그래서 안양대학교 학생들에게 불호가 심하고 상주하는 사람도 없고 글리젠도 거의 없는 정전갤이다.

익명성을 가지고 아무나 글을 쓸 수 있는 특징 때문에 다른 대학교 훌리건들과 애교심이 없는 재학생도 안양대를 깎아내린다. 입시 시즌에 합격인지 물어보는 고3들이 어떤 성적을 들고와도 '합격입니다'라거나 '총장이 인사하러 온다'는 자조적인 농담을 하기도 한다.

안양대 학생들은 이용해봤자 멘탈만 털리고 댓글도 안 달리기 때문에 안대갤을 거의 이용할 일이 없다. 다른 경기도권 대학들은 그래도 훌리건이 알음알음 있지만 안양대는 규모도 적은 편이라서 그런지 훌리건도 거의 없다.

18.5. 기타 커뮤니티

19. 출신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양대학교/출신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출신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출신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양대학교/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양대학교/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 방송 촬영

학교를 무대로 삼는 작품을 소개하는 취지상 뉴스는 제외한다.
구분 작품 연도 출연진 촬영장소 내용
드라마 아이리스 2 2013 이다해 아리비전센터 -
드라마 힐러 2014~2015 지창욱, 박민영, 유지태, 박상원 일우중앙도서관 -
드라마 너를 기억해 2015 서인국, 장나라 일우중앙도서관, 아름다운리더관 -
시사교양 김제동의 톡투유 2015 김제동, 권소연, 홍진영 안양캠퍼스 운동장 [15]
드라마 88번지 2016 최종훈, 오승아, 김재현, 한지선, 유현수, 문수아, 윤예희 안양캠퍼스 전체 [16]

22. 여담

  • 타 4년제와는 달리 ROTC는 없다. 2005년에 육군과 제휴하긴 했지만 학군단을 설치할 장소가 없어서 무산되었다. 그래서 안양대 출신으로 장교가 되려면 학사장교에 지원하거나 육군3사관학교로 편입하거나 신학대학에서 군종사관후보생 선발시험에 통과해야한다.
  • 안성전이라고 부르는 성결대와의 안양시 4년제 대학 라이벌 이벤트가 있다. 축구, 피구, 응원단 등의 종목에서 서로 자웅을 겨룬다. 이때 학생들이 서로의 대학의 이름을 이용한 말장난 플랜카드를 걸어두기도 한다. 냥냥대 성대결절 야옹 성길 고연전처럼 서로 잡아먹을듯한 분위기까진 아니고 안양시의 개신교계 4년제 종합대학으로써 서로 친목을 다지자는 우호적인 분위기가 강하다. 2018년엔 같이 안양천에서 봉사활동을 하기도 했다. 게다가 안양대학교의 교단인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과 성결대학교의 교단인 예수교대한성결교회는 서로 친밀한 편이다.
  • 학교의 교단인 예장 대신백석대학교의 교단인 예장 백석과 통합한다는 떡밥이 돌아다닐 때 안양대와 백석대가 통합한다는 설레발이 있었다. 그러나 수도권정비계획법 때문에 수도권대학과 비수도권대학 간의 통합의 경우엔 분교가 아니라 이원화 캠퍼스로 학교가 통합되면 대규모 감축이 필수적이기에 학사행정에서의 대격변이 필연적이다.[17] 예장 합동[18], 예장 통합[19], 예장 고신[20] 등 다른 교단이 산하 대학교들을 합치지 않고 각자 두는 것도 이와 같은 이유 때문이다. 참고로 이는 가톨릭[21], 불교 조계종[22], 원불교[23], 통일교[24]도 마찬가지다. 결국 예장 대신과 예장 백석의 통합은 결렬났고 안양대는 예장 대신에 잔류하였기에 식은 떡밥이 되었다. 한편 백석대는 백예대백문대와의 통합을 추진했으나 백예대와의 통합은 수도권정비계획법 때문에 백예대 방배동 캠퍼스의 모든 정원을 천안으로 옮겨야해서[25] 무산되었고 백문대는 백석대와 캠퍼스를 공유하는 특성상 천안의 전문대라서 아직까진 충원률이 낮진 않아서 통합의 실익이 없다고 보여 무산되었다. 다만 윤석열 정권 이후로는 같은 수도권 대학(및 전문대학) 간의 통합과 같은 비수도권 대학(및 전문대학) 간의 통합에는 학교 간 통폐합에서 정원 의무감축이 사라졌다. 만약 비수도권 대학과 안양대와의 통합이 성사될 시에 통합대학의 학부과정이 안양캠퍼스와 강화캠퍼스를 여전히 이용하려면 안양대를 중심으로 합병해야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23. 둘러보기

파일:안양대학교 심볼.svg 안양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립 <colbgcolor=#fff,#191919>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경기캠퍼스) ·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교통대학교(의왕캠퍼스)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수원캠퍼스, 시흥캠퍼스)(대학원)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 블루.svg 한경국립대학교
사립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 파일:강남대학교_UI.svg 강남대학교 ·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 파일:경동대학교 UI.svg 경동대학교(메트로폴캠퍼스) ·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 파일:대진대학교 UI.svg 대진대학교 ·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바이오메디캠퍼스) · 파일:동양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대학교(동두천캠퍼스)
파일:루터대학교 UI.svg 루터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자연캠퍼스)
파일:서울신학대학교 UI.svg 서울신학대학교 · 파일:서울장신대학교 UI.svg 서울장신대학교 · 파일:성결대학교 UI.svg 성결대학교 · 파일:성균관대학교 엠블럼.svg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파일:수원가톨릭대학교 UI.svg 수원가톨릭대학교 · 파일:수원대학교 심볼.svg 수원대학교 · 파일:신한대학교 UI.svg 신한대학교
파일:아신대학교 심볼.svg 아신대학교 ·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안양대학교 ·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삼애캠퍼스) · 파일:예원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예원예술대학교(양주캠퍼스) · 파일:용인대학교 엠블럼.svg 용인대학교 · 파일:을지대학교 UI.svg 을지대학교(성남캠퍼스 · 의정부캠퍼스)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고양캠퍼스) ·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다빈치캠퍼스) · 파일:중앙승가대학교 UI.svg 중앙승가대학교
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 ·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총신대학교(양지캠퍼스)(대학원)
파일:칼빈대학교 UI.svg 칼빈대학교
파일:평택대학교 엠블럼.svg 평택대학교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한국항공대학교 · 파일:한세대학교 엠블럼.svg 한세대학교 ·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ERICA · 파일:협성대학교 UI.svg 협성대학교 ·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화성캠퍼스) · 파일:화성의과학대학교 UI.svg 화성의과학대학교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대학원)은 경기도에 대학원만 있는 캠퍼스이다.
}}}}}}}}} ||
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전문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립 <colbgcolor=#fff,#191919>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인천캠퍼스)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인천대학교
사립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메디컬캠퍼스) · 파일:겐트 대학교 로고.png 겐트 대학교(글로벌캠퍼스)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안양대학교(강화캠퍼스) ·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국제캠퍼스) · 파일:University_of_Utah_seal.svg 유타 대학교(아시아 캠퍼스) · 파일:인천가톨릭대학교 UI.svg 인천가톨릭대학교 ·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파일:청운대학교 심볼.svg 청운대학교(인천캠퍼스)
파일:State_University_of_New_York_seal.svg 한국뉴욕주립대학교 · 파일:George_Mason_University_seal.svg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원격대학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인천지역대학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파일:안양시 CI_White.svg 안양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국립 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경기캠퍼스)
사립 파일:성결대학교 UI.svg 성결대학교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안양대학교
전문
대학
파일:대림대학교 UI.svg 대림대학교
파일:연성대학교 엠블럼.svg 연성대학교
대학원
대학
파일: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png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원격
대학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안양시학습관 }}}}}}}}}

{{{#!wiki style="margin: -12px -0px"<tablebordercolor=#004097>
파일:경기도 휘장_청색바탕용.svg ·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파일:강남대학교_UI.svg 강남대학교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파일:경기대학교 워드마크 화이트.svg 경기대학교 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파일:단국대학교_심볼(화이트).svg 단국대학교
파일:대진대학교 UI.svg 대진대학교 파일:루터대학교 UI.svg 루터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파일:서울신학대학교 UI.svg 서울신학대학교 파일:서울장신대학교 UI.svg 서울장신대학교
파일:성결대학교 UI.svg 성결대학교 파일:수원대학교 심볼.svg 수원대학교 파일:신한대학교 UI.svg 신한대학교 파일:아신대학교 엠블럼.svg 아신대학교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안양대학교 파일:용인대학교 엠블럼.svg 용인대학교 파일:인천가톨릭대학교 UI.svg 인천가톨릭대학교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인천대학교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 파일:칼빈대학교 UI.svg 칼빈대학교 파일:평택대학교 엠블럼.svg 평택대학교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 블루.svg 한경국립대학교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엠블럼.svg 한국공학대학교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한국항공대학교 파일:한세대학교 엠블럼.svg 한세대학교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 파일:협성대학교 UI.svg 협성대학교 파일:화성의과학대학교 UI.svg 화성의과학대학교
협의회 회장 소속 대학:
}}}}}}}}} ||

대한민국의 개신교 산하 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감리회, 그리스도의교회, 루터교회, 성공회 산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감리회 기독교대한감리회(기감)
파일:감리교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감리교신학대학교
파일:목원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목원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신대원
연세대학교[1]
파일:협성대학교 UI.svg
신대원
협성대학교
감리회 계열 초교파[2]
파일:남서울대학교 UI.svg
남서울대학교
파일:배재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배재대학교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이화여자대학교
[1] 감리회 계열과 장로회 계열이 공동 운영함.
[2] 재단이 감리회 계열이지만 어느 교단에도 소속하지 않은 대학.
연세대, 이화여대, 배재대는 재단과 별개로 신학대학원이 KAICAM과 인준하였다.
그리스도의교회 그리스도의교회교역자협의회
(무악기파)
그리스도의 교회협의회
(유악기파)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강서대학교
파일:서울기독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기독대학교
파일:동서대학교 로고.svg
동서대학교
루터교회 기독교한국루터회(기루)
파일:루터대학교 UI.svg
신대원
루터대학교
성공회 대한성공회
파일:성공회대학교 UI.svg
신대원
성공회대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장로회 산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장로회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고신)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대신)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백석)
파일:고신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고신대학교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신대원
안양대학교
파일:백석대학교 UI.svg
신대원
백석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통합)
파일:대전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대전신학대학교
파일:부산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부산장신대학교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
파일:서울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장신대학교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신대원
연세대학교[4]
파일:영남신학대학교 교표.svg
신대원
영남신학대학교
파일:장로회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장로회신학대학교
파일:한남대학교 UI.svg
신대원
한남대학교
파일:한일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한일장신대학교
파일:호남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호남신학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피어선)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한영글로벌)
한국기독교장로회
(기장)
파일:평택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평택대학교
파일:서울한영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한영대학교
파일:한신대학교 UI.svg
신대원
한신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합동)
파일:광신대학교 UI.svg
신대원
광신대학교
파일:대신대학교 UI.svg
신대원
대신대학교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총신대학교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
파일:칼빈대학교 UI.svg
신대원
칼빈대학교
장로회 계열 초교파[5]
파일:경성대학교 UI.svg
신대원
경성대학교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파일:신한대학교 UI.svg
신한대학교
파일:전주대학교_심볼.svg
전주대학교
파일:창신대학교 UI.svg
창신대학교
[4] 장로회 계열과 감리회 계열이 공동 운영함.
[5] 재단이 장로회 계열이지만 어느 교단에도 소속하지 않은 대학.
연세대, 경성대, 한남대는 재단과 별개로 신학대학원이 KAICAM과 인준하였다.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성결교회, 오순절교회, 침례회, 재림교회, 초교파 산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성결교회 기독교대한성결교회
(기성)
대한기독교나사렛성결회
(나사렛/나성)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예성)
파일:서울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신학대학교
파일:나사렛대학교 UI.svg
신대원
나사렛대학교
파일:성결대학교 UI.svg
신대원
성결대학교
오순절교회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기하성)
파일:한세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한세대학교
파일:순복음총회신학교 UI.svg
순복음총회신학교[3]
[3] 학사학력 인정 각종학교.
재림교회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재림)
파일:삼육대학교 UI.svg
신대원
삼육대학교
침례회 기독교한국침례회
(기침)
침례회 계열
초교파
[6]
파일:한국침례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한국침례신학대학교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6] 재단이 침례회 계열이지만 어떤 교단에도 소속하지 않은 대학
초교파 한국독립교회선교단체연합회(KAICAM)
파일:계명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계명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파일:아신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아신대학교
파일:한국성서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한국성서대학교
파일:호서대학교 UI.svg
신대원
호서대학교
無교단 초교파[7]
파일:강남대학교_UI.svg
신대원
강남대학교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파일:예수대학교 UI.svg
예수대학교
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
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7]: 어떤 교단에도 소속하지 않은 개신교 성향 대학
}}}}}}}}} ||
신대원
: 해당 교단의 목사를 양성하는 신학대학원 목회학과 설치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대한민국의 장로회 산하 고등교육기관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개혁)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개혁국제)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고신)
파일:개신대학원대학교 UI.svg
신대원
개신대학원대학교
파일:국제신대 UI.jpg
신대원
수도국제대학원대학교
파일:고신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고신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대신)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대신석수)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순장)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신대원
안양대학교
파일: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png
신대원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파일: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로고.svg
신대원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백석)
파일:백석대학교 UI.svg
신대원
백석대학교
파일:백석문화대학교 심볼.svg
백석문화대학교
파일:백석예술대학교 UI.svg
백석예술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제신)
대한예수교장로회[1]
(예장중앙)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피어선)
파일:제신대 UI.png
신대원
제네바신학대학원대학교
파일:온석대 UI.png
신대원
온석대학원대학교
파일:평택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평택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통합)
파일:광주보건대학교 UI.svg
광주보건대학교
파일:기독간호대학교 심볼.svg
기독간호대학교
파일:경안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경안대학원대학교
파일:대전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대전신학대학교
파일:부산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부산장신대학교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
파일:서울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장신대학교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파일:숭실사이버대학교 엠블럼.svg
숭실사이버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2]
파일:영남신학대학교 교표.svg
신대원
영남신학대학교
파일:장로회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장로회신학대학교
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
파일:한일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한일장신대학교
파일:호남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호남신학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한영글로벌)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합신)
한국기독교장로회
(기장)
파일:서울한영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한영대학교
파일:합신대 UI.gif
신대원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파일:한신대학교 UI.svg
신대원
한신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합동)
파일:광신대학교 UI.svg
신대원
광신대학교
파일:대신대학교 UI.svg
신대원
대신대학교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총신대학교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
파일:칼빈대학교 UI.svg
신대원
칼빈대학교
파일:대전과학기술대학교 UI.svg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장로회 계열 초교파[3]
파일:경성대학교 UI.svg
경성대학교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파일:대구사이버대학교 UI.svg
대구사이버대학교
파일:신한대학교 UI.svg
신한대학교
파일:전주대학교_심볼.svg
전주대학교
파일:창신대학교 UI.svg
창신대학교
파일:경민대학교 교표.svg
경민대학교
파일:경북과학대학교 심볼.svg
경북과학대학교
파일:선린대학교 심볼.svg
선린대학교
파일:숭의여자대학교 UI.svg
숭의여자대학교
파일:신안산대학교 UI.svg
신안산대학교
파일:전주기전대학 UI.svg
전주기전대학
파일:전주비전대학교 UI.svg
전주비전대학교
[1] 백기환 목사가 창립한 정통교단.
[2] 장로회 계열과 감리회 계열이 공동 운영함.
[3] 재단이 장로회 계열이지만 어느 교단에도 소속되지 않은 대학. 그러나 예장합동과 연관있는 경성대와 예장고신과 연관있는 창신대를 제외하면 모두 예장통합과 연관있다.
}}}}}}}}} ||

학교법인 대진교육재단/우일학원
중원대학교 안양대학교

파일:열린대학교육협의회 심볼.svg
OCU 컨소시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f5f5,#000> 주관 대학
(10개교)
국립강릉원주대학교 국립공주대학교 국립부경대학교 제주대학교 충북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용인대학교 인제대학교
회원 대학
(73개교)
경상국립대학교 국립군산대학교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국립목포대학교 국립목포해양대학교
국립순천대학교 국립경국대학교 국립창원대학교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국립한밭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부산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육군사관학교
인천대학교 진주교육대학교 한경국립대학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가야대학교 경남대학교 경동대학교 경성대학교 경희대학교
고신대학교 광운대학교 국민대학교 극동대학교 김천대학교
나사렛대학교 남부대학교 단국대학교 대진대학교 동명대학교
동서대학교 동신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의대학교 백석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 부산장신대학교 서강대학교 서경대학교 서울신학대학교
서울장신대학교 서울한영대학교 서원대학교 선문대학교 성결대학교
성공회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세명대학교 숭실대학교
신라대학교 신한대학교 아신대학교 안양대학교 영산대학교
울산대학교 유원대학교 인천가톨릭대학교 제주국제대학교 중앙대학교
중원대학교 창신대학교 청운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한신대학교
한서대학교 협성대학교 호서대학교 홍익대학교
운영 대학
(1개교)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 ||

{{{#!wiki style="margin: -6px 0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 }}}
{{{#!wiki style="margin-bottom: -5px; margin-left: -11px; margin-right: -11px; margin-top: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margin-top: -5px"
분야 대학명 담당
부처
<colbgcolor=#f5f5f5,#000> 미래형자동차 가천대학교, 경남대학교, 경성대학교, 경일대학교, 국립공주대학교, 단국대학교,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원광대학교, 인천대학교, 전북대학교, 청주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한양대학교, 호서대학교 교육부, 산업통상부
자원개발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국립부경대학교, 세종대학교,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
수소산업 명지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숭실대학교, 아주대학교, 중앙대학교
온실가스감축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건국대학교, 동아대학교, 아주대학교, 연세대학교, 인하대학교, 전남대학교, 전북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한양대학교
이차전지 가천대학교, 부산대학교, 인하대학교
시스템반도체 가천대학교, 강남대학교, 경희대학교, 광운대학교,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국립부경대학교, 국립한밭대학교, 국민대학교, 단국대학교, 대구대학교, 동국대학교, 명지대학교, 부산대학교, 삼육대학교, 선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숭실대학교, 아주대학교, 연세대학교, 울산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인제대학교, 인하대학교, 전북대학교, 중앙대학교, 청주대학교, 충남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호서대학교, 홍익대학교
바이오헬스 가천대학교, 국민대학교, 부산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우석대학교
신기술융합디자인 성균관대학교, 인천대학교, 청주대학교,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홍익대학교
AI반도체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숭실대학교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의료인공지능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아주대학교, 한림대학교 교육부, 보건복지부
디지털물산업 국민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세종대학교, 연세대학교, 충남대학교 대한민국 교육부, 환경부
그린리모델링 경북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교육부, 국토교통부
공간정보 경북대학교, 경희대학교, 남서울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안양대학교, 인하대학교, 전북대학교, 청주대학교
정보보안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지식재산 경북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경희대학교, 고려대학교, 광운대학교, 국민대학교, 군산대학교, 단국대학교, 대진대학교, 동국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의대학교, 삼육대학교, 서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신한대학교, 아주대학교, 안양대학교, 영남대학교, 인제대학교, 인하대학교, 제주대학교, 중앙대학교, 청주대학교, 충남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한남대학교, 한라대학교, 한서대학교 교육부, 지식재산처
}}}}}}}}} ||

{{{#!wiki style="margin: -8px;"<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fff>파일:U10+경기남부일자리협의회.png
듀얼 거버넌스 - 경기남부University10+
경기남부대학연합/일자리협의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경기남부 U10+
4년제 종합대학
파일:강남대학교_UI.svg
강남대학교
파일:성결대학교 UI.svg
성결대학교
파일:수원대학교 심볼.svg
수원대학교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안양대학교
파일:평택대학교 엠블럼.svg
평택대학교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 블루.svg
한경국립대학교
파일:한세대학교 엠블럼.svg
한세대학교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
파일:협성대학교 UI.svg
협성대학교
2년제 전문대학
파일:오산대학교 UI.svg
오산대학교
파일:경기도일자리재단 로고.svg }}}}}}}}}

[1] 흔히들 안양대 설립자로 착각하는 김영실 박사는 안양대 초대 총장이자 중흥자이다.[2] 학교 정관상 개신교계 학교로 운영되고 있지만, 학교법인은 대진성주회가 매입하였다. 다만 기독교 학교로 존치하고 있는 상태이며, 아직 신학대학 및 신학대학원의 학풍도 개혁주의 장로회이다.[3] 대진성주회[4] 정보 관련 전문가로 꼽히는 행정고시 출신 전직 공무원이다. 한국과학기술원 객원교수를 거치기도 했다.[5] 휴학생 미포함[6] 엄밀히 말하면 개신교 장로회 학풍이 강하긴 하나 학교정관에는 기독교 정신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천주교나 정교회를 믿는 학생도 딱히 배타적으로 다루진 않는다.[7] 여담으로 현재 AU 약칭은 아주대학교안산대학교가 사용하고 있다,[8] 냥대생이라 하기에는 한양대학교가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지라..[9] 안양공학원은 전신이 안양대학이었는데, 한국의 안양대학교와 한자까지 똑같았다. 물론 자매결연만 했을 뿐 서로 큰 연관은 없다.[10] 한양대 에리카와는 사실 진지한 비교라기보다 대학교 훌리들의 안양대 놀리기에 가까웠지만 한때 안산대학교는 산업대학 승격을 통한 4년제 승격을 추진했기에 정말로 안양대학교와의 혼동이 심해지기도 했다. 물론 수도권 집중현상에 대한 비판 때문에 안산대의 산업대학 승격 시도도 좌절되었다.[11] 25년 현재 캠퍼스간 유사 전공에 해당하는 학과는 도시정보공학과(안양캠퍼스) ↔ 스마트시티공학과(강화캠퍼스)가 유일하다[12] 삼육대, 건양대, 한서대 등과 공동 순위[13] 한성대, 삼육대, 국립공주대 등과 공동 순위[14] 한남대, 국립공주대, 삼육대 등과 공동 순위[15] 11회, 12회[16] 등장인물도 모두 안양대 재학생이라는 설정이다. 참고로 작중 설정과 달리 안양대는 학부에 심리학과가 없다. 그대신 교육대학원에 상담심리학과가 있다. 문예창작과도 없지만, 국어국문학과가 개설되어있다.[17] 백석대와 유사한 학과는 다음과 같다. (안양대-백석대) 순으로 (신학과, 기독교학과 - 기독교학부), (국어국문학과, 영미언어문학과, 러시아언어문학과, 중국언어문학과 - 어문학부), (유아교육과 - 사범학부), (공연예술학과, 음악학과, 실용음악과 - 문화예술학부), (디지털미디어디자인학과 - 디자인영상학부), (스포츠지도학과 - 스포츠과학부), (컴퓨터학과, 소프트웨어학과, 정보전기전자공학과, 융합소프트웨어전공, AI융합학과 - 컴퓨터공학부), (통계데이터사이언스학과 - 스마트IT공학부), (공공행정학과, 글로벌경영학과, 행정학과 - 경상학부), (관광학과, 관광경영학과 - 관광학부) 하지만 어디까지나 참고용인게, 현재로써는 아무리 이원화 캠퍼스가 된다고 한들 유사전공을 통폐합하지 않고 내버려둬도 큰 상관은 없다. 학과명칭만 다르게 하면 된다.[18] 광신대, 대신대, 총신대, 칼빈대, 중부대, 대전과기대[19] 숭실대, 서울여대, 한남대, 대전신학대, 부산장신대, 서울장신대, 영남신학대, 장로회신학대, 한일장신대, 호남신학대, 경안대[20] 고신대, 계신대[21] 가톨릭대, 서강대, 인가대, 수가대, 가톨릭관동대, 대가대, 대전가대, 목가대, 광가대, 꽃동네대, 부가대, 가톨릭상지대, 수성대[22] 동국대(서울, 경주), 중앙승가대, 서울불교대[23] 원광대, 영산선학대, 원불교대[24] 선문대, 선학UP대[25] 현재는 수도권정비계획법 상 서울에 새로운 대학을 세울 수 없어서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