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und support equipment (GSE)
airport equipment
1. 개요
공항에서 사용하는 차량이다. 항공사 소속 차량들은 지상조업용이고 공항 운영기관 소속 차량들은 안전순찰과 이용객 편의를 위해서 사용한다.2. 종류
2.1. 항공기용 삼각대 잭
Aircraft tripod jack. 수리 혹은 주차 중 항공기의 꼬리가 처지거나 땅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장비다. 유압 실린더 방식을 사용하며 직원이 직접 설치, 회수한다. 꼭 필수적인 장치는 아니며 보잉 747과 같은 큰 항공기에 사용된다.
2.2. 정비용 이동식 사다리
Aircraft service stairs. 항공기 정비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다. 다른 사다리에 비해 매우 높고 낮은 계단 경사, 미끄럼 방지 발판, 자동 폐쇄 통로 차단기가 설치 되어 있다. 가끔씩 탑승교나 스텝카 사용이 불가 할 때 승객을 이걸로 태우기도 한다.
2.3. 토잉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잉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잉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4. 급유차
항공기에 항공유를 공급하는 차량이다. 2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일반 유조차처럼 탱크가 설치된 차량이고 나머지는 공항 내부의 파이프라인에 연결해 기름을 공급하는 역할만 하기 때문에 탱크가 없다.2.5. 스텝카(계단차)
계단을 장착한 차량. 탑승교가 없는 공항에서 사용하며 탑승교가 있는 공항이더라도 저비용 항공사들은 대부분 슬롯 이용료를 절감하고자 탑승교가 아닌 스텝카를 사용한다. 그리고 대통령을 비롯한 유명인과 고위 정치인의 해외 순방에도 사용된다.
2.6. 램프버스
이 차량은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에서 다니는 네오플란의 N9112L이다.
공항에서 터미널과 탑승장을 연결하는 버스. 승객이 직접 주기장이나 활주로를 건너는 것은 안전에 위험이 가게 되므로 램프버스로 이동하는데 1층이나 지하에 위치한 탑승구에서 탑승이 가능하고 보딩은 계단차를 이용한다. 저상버스가 많이 투입되며 공항은 도로교통법과 자동차관리법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공도상의 한계인 폭 2.5m와 전장 14m를 초과하고 최저지상고가 기존의 저상버스보다 더 낮은 버스가 다닌다. 애초에 사전적인 의미의 저상버스에 부합하는 최초의 버스가 공항 램프버스인 네오플란 에어라이너다. 승객을 최대한 수용하고자 좌석을 줄이고 지하철 전동차와 같이 롱시트로 내부를 설계하고 항공기나 다른 작업차량들이 식별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경광등도 설치한다. 그렇다고 고상버스가 운행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자동차관리법이 적용되지 않아서 시내버스로 운행하다가 퇴역한 에어로시티와 BS106L, BS110CN이 아직도 현역이다. 운행하던 차량이 노후되어 수리조차 불가능하면 시내버스에서 운행하다가 퇴역한 버스를 중고로 구입하거나 신차를 구입한다.
국내의 경우 김포, 제주, 인천공항에서는 찍어도 상관없으나 김해공항을 포함한 그 외의 공항은 군사공항으로 램프버스를 촬영해도 군사시설보호법에 의거하여 벌금을 물게 된다.
2.7. 셔틀버스
주차장과 터미널을 왕복하는 버스. 인천공항은 제1여객터미널과 제2여객터미널을 연계하는 역할과 공항에 입주한 회사들을 연계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요금은 무료다. 교통약자의 이동권도 담당하기 때문에 이용하는 승객이 많다. 김포와 김해공항에도 셔틀버스가 있다.
2.8. 케이터링 트럭
기내식을 운반하는 차량이다. 공항 인근의 기내식 센터에서 기내식을 공급받기 때문에 도로주행이 가능하도록 번호판을 부착하고 운행한다. 작업을 용이하게 하려고 운전석이 일반적인 트럭보다 앞에 설치되어 있다.
2.9. 급수차
항공기에서 사용할 물을 공급하는 차량이다.2.10. 오물수거차
항공기에서 발생한 오물을 처리하는 차량이다. 분뇨수거차와 같은 역할이다.2.11. 터그카
수하물이나 화물을 돌리를 이용해 견인하는 차량. 트랙터라는 별명으로도 불리는데 모양은 트랙터에 가깝고 견인하는 방식은 트랙터 트럭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텍스트론, 토요타 등이 생산/판매한다.
2.11.1. 돌리
사실상 터그카와 같이 나오며 대부분에 게임, 영화 등에서는 돌리가 아닌 카트로 불린다.2.12. 에어 컨디셔닝 유닛
항공기 내에 온기나 냉기를 넣어주는 차량이다. 무동력 카트 차대에 올려놓고, 트랙터 같은 것으로 끌어서 옮기는 경우가 많으며 대형 공항의 경우 아예 탑승교 밑에 GPU와 함께 붙여놓는 곳도 많다.
2.13. 에어 스타트 유닛
압축 공기를 만들어 항공기 내에 넣어주는 차량이다. 이 압축공기는 엔진 시동에 쓰인다.
주로 자체적으로 시동을 걸 수 없는 항공기에 사용되며 지상전원설비와 함께 다니는 일이 많다.
소형 항공기용은 이렇게 카트 형태의 차대에 ASU를 얹어놓은 형태며 중형 이상의 여객기용은 사진과 같이 트럭 차대를 쓴다.
2.14. 카고 컨베이어
항공기 아래쪽에 있는 수화물칸 화물의 상하차시 사용하는 차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