男 사내 남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田, 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7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ダン, ナン | ||||||
일본어 훈독 | おとこ, おのこ | ||||||
- | |||||||
표준 중국어 | ná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男은 '사내 남'이라는 한자로, '사내', '남자(男子)'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사내 |
음 | 남 | |
중국어 | 표준어 | nán |
광동어 | naam4 | |
객가어 | nàm | |
민북어 | nâng | |
민동어 | nàng | |
민남어 | lâm | |
오어 | noe (T3) | |
일본어 | 음독 | ダン, ナン |
훈독 | おとこ, お, おのこ | |
베트남어 | nam |
읽기 7급 II, 쓰기 6급에 해당하는 한자. 부수는 田(밭 전)이다. 사내, 남자(男子)라는 뜻이 있으며, 女(여자 녀)와는 반대되는 뜻을 가지고 있다. 회의자로, 侽(남)의 본자이다. 田(밭 전)과 力(힘 력)이 합쳐져 논이나 밭을 가는 사람이라는 뜻이 되었고, 남자라는 뜻이 되었다. 이는 옛날 농경사회 시절, 주로 근력이 더 발달한 남자가 밭갈이 같은 힘을 쓰는 일을 담당하던 문화에서 비롯되었다.
3. 용례
3.1. 단어
- 남(男)
- 남경(男莖)
- 남공(男工)
- 남군(男軍)
- 남근(男根)
- 남녀(男女)
- 남동생(男同生)
- 남매(男妹)
- 남색(男色)
- 남성(男性/男聲)
- 남신(男神)
- 남아(男兒)
- 남우(男優)
- 남인최통(男人最痛)
- 남자(男子)
- 남작(男爵)
- 남장(男裝)
- 남창(男唱/男娼)
- 남초(男超)
- 남탕(男湯)
- 남편(男便)
- 남학교(男學校)
- 남학생(男學生)
- 독남(獨男)
- 득남(得男)
- 말남(末男)
- 무남(無男)
- 미남(美男)
- 삼남(三男)
- 생남(生男)
- 선남(仙男/善男)
- 유부남(有婦男)
- 이남(二男)
- 일남(一男)
- 장남(長男)
- 정남(丁男/貞男/情男)
- 차남(次男)
- 처남(妻男)
- 추남(醜男)
- 호남(好男)
3.2. 고사성어/숙어
- 갑남을녀(甲男乙女)
- 남남북녀(南男北女)
- 남녀노소(男女老少)
- 남녀칠세부동석(男女七歲不同席)
- 남아수독오거서(男兒須讀五車書)
- 남아일언중천금(男兒一言重千金)
- 남존여비(男尊女卑)
- 무남독녀(無男獨女)
- 선남선녀(善男善女)
- 여존남비(女尊男卑)
3.3. 인명
- 고영남(高榮男)
- 김순남(金順男)
- 김정남(金正男): 북한의 인물
- 나광남(羅光男)
- 댜오이난(刁亦男)
- 마스코데라 쿠스오(増子寺 楠男)
- 박일남(朴一男)
- 서수남(徐壽男)
- 연남건(淵男建)
- 연남산(淵男産)
- 연남생(淵男生)
- 우시야마 카즈오(牛山 一男)
- 유남호(柳男鎬)
- 이일남(李一男)
- 정남(鄭男)
- 조영남(趙英男)
- 칸베 토시오(神部 年男)
3.4. 지명
3.5. 창작물
- 男兒當自強
- 男女比1:39の平行世界は思いのほか普通 - 남녀비 1:39의 평행세계는 의외로 평범
3.6. 기타
- 음식남녀(飮食男女) - 이안 감독의 1995년 영화.
- 남간(男看)
- 남소(男紹): '남자 소개'의 준말
- 남적남(男敵男)
- 남주(男主)
- 남친(男親)
- 남혐(男嫌)
- 완소남(完所男): '완전 소중한 남자'의 준말
- 이대남(二代男)
- 이번남(二番男)
- 일번남(一番男)
- 철벽남(鐵壁男)
- 초식남(草食男)
- 축대남(蹴代男)
- 한남(韓男), 한남충(韓男蟲)
- Official髭男dism: 일본의 록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