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 | |||
善 | 男 | 善 | 女 |
착할 선 | 사내 남 | 착할 선 | 계집 녀 |
1. 개요
원래는 불교 용어였다. 산스크리트어로 불교를 믿는 양갓집 평신도 청년 남성, 여성을 각각 뜻하는 꿀라뿌뜨라(kulaputra)와 꿀라두히뜨르(kuladuhitr)가 한문으로 훈역되면서 선남자(善男子)와 선녀인(善女人)이 되었고, 이를 네 문자로 줄여 현재의 형태가 되었다. 여기서의 ‘양갓집‘은 단순히 귀족이나 부잣집 가문이라는 뜻보다는 “붓다의 가족“, 즉 붓다의 자손이라는 비유적인 의미에 가깝다.2. 현대에서
현대 한국어에서는 대체로 아래와 같은 맥락으로 표현 된다.세 가지 용법 모두 대체로 제3자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보기 좋은 남녀를 뜻한다는 점이 동일하다. 단지 '보기 좋다'고 평가 받는 이유가 각 용례마다 조금씩 다를 뿐이다. 특히 오늘날 젊은 층에서는 3의 맥락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으며, 연애와 관련된 맥락에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썸이라는 단어와 결합한 어형인 썸남썸녀 같은 관용구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