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9:15:11

발터 P22

P22에서 넘어옴
P22
Walther P22
파일:external/www.budsgunshop.com/72072.jpg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자동권총
원산지
[[독일|]][[틀:국기|]][[틀:국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2003년~현재
생산 발터(총기회사)
생산년도 2003년~현재
기종
파생형 문단 참고
제원
탄약 .22 Long Rifle
급탄 10발들이 박스탄창
작동방식 블로우백
총열길이 87mm (P22)
127mm (P22 Target)
전장 159mm
전고 114mm
전폭 28mm
중량 0.43kg (P22)
0.525kg (P22 Target)
}}}}}}}}}
1. 개요2. 상세3. 바리에이션4. 에어소프트건5. 기타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발터 사가 생산하는 자동권총. .22 LR 탄을 사용한다.

2. 상세

같은 회사의 PPQ와 매우 유사하게 생겼지만 PPQ과 비교했을 때 전체적인 크기가 축소되어있으며, .22구경 탄을 사용하며 세부적으로 해머의 존재 여부와 안전장치의 변경 등 약간씩 차이점이 있다.
  • 각부 상세
파일:external/www.waltherarms.com/walther_p22_feature-graphic_oct15-web-1.jpg

3. 바리에이션

  • P22 초기형
    파일:external/tonyrogers.com/walther_p22_left_1200px.jpg
  • P22 Target 총열을 연장한 모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Walther_P22_Target_Pragl.jpg
  • P22Q P22의 후기형 모델.
    파일:external/www.impactguns.com/waltherp22fde2.jpg

4. 에어소프트건

에어소프트건으로는 2003년도에 아카데미과학이 발매했었다.발매 당시 해머 코킹 기능이 생략되고 탄피 배출구도 별도의 부품이 아닌 붙박이로 몰드 처리되어 있는데도 7000원이어서 가격 대비 퀄리티는 별로 좋지 못했다. 이후 2년 뒤인 2005년도에 토이스타에서 P22를 발매하게 된다. 토이스타에서 P99를 발매하겠다고 발표했던 상태에서 P99의 발매를 취소하고 P22를 발매한 터라 갑작스런 P22의 발매를 아쉬워하던 유저들이 많았다. 아카데미 제품과는 매커니즘의 별다른 차이점도 없었기 때문에 더욱 아쉬워했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이 제품에 별다른 메리트가 없었던 것은 아닌데, 아카데미 제품보다 저렴한 가격대에 무광 검정으로 통일된 차분한 색감, 아카데미에 비해 안정적인 집탄성과 성능은 장점이었다. 당시 아카데미 제품은 너무 홉업이 과하게 걸리고 탄이 좌우로 휘는 등 불안정했다.

토이스타가 P99 발매를 취소하고 기존에 만들던 것을 또 만들 수밖에 없었던 것은 토이스타가 우마렉스와의 계약 조건이 맞지 않아서 계약이 성사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당시 아카데미과학은 우마렉스와의 계약기간이 만료되었으며 합동과학이 우마렉스와 계약해서 P99 콤팩트를 발매한 상태였고 토이스타는 최종적으로 우마렉스와 P22를 발매하기로 계약했던 것이다. 현재는 토이스타가 생산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지만 재고는 여기저기에 조금씩 남아있는 상태. 이후 토이스타는 P22의 개량형인 P22Q를 제작했으나 수요성을 문제로 국내 내수용은 발매되지 않았다.

5. 기타

버지니아 공대 총기난사 사건 당시 총기난사범 조승희가 범행 당시 글록 19 권총과 함께 사용한 권총이다.

소녀전선에서 5성급 권총으로 등장한다.

6. 둘러보기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현대 우크라이나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우크라이나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2478ff> 소총 <colbgcolor=#2478ff> 볼트액션 <colbgcolor=#FFFFFF,#191919>모신나강, PTRD-41
반자동소총 SVT-40, SKS, SUB-2000D, Springfield Saint, NEA-15, POF P415, 루거 AR556, Adams Arms P1D MSR-15, POF 레볼루션, KMR-A, PTRS-41, 루거 SFAR
돌격소총 StG44, AKM, AKMS, AK-63D, 56식 자동소총C, PM md. 63.D, AR-M9D, AK-74*, PM md. 90.D, AKS-74U, Vepr*, AK-74MC, KM-AKC, AK-103C, AK-12C, FNCD, Vz.58D, M70D, M14D, M16A2D/M16A4D, G3D, FN FALD, M4A1D, G36KD, SCAR(L/H)D, F2000D, Wz.88D, C7(A1/A2/NLD)D, MSBS GrotD, SIG516, H&K HK416D, QBZ-97, DDM4, ARX-200, M5 카빈D, MDRX, ACARD, CETME LD, FAMASD, XCR
저격소총 Fort-301*, Z-008, VPR-308*, Z-10, SVD, SVDMC, 85식 저격소총, M82*, M99, M107A1, ZVI 팔콘D, AW308D, AXD, 레밍턴 M700D, FR-F2D, M98D, SV-98C, T-5000C, OSV-96C, KSVKC, WKW 윌크D, HLR 338D, Snipex T-Rex, Snipex Rhino Hunter, Snipex Alligator, Snipex 모노마흐, Snipex M100, Savage 10, Savage 110, M21 SWSD, M24 SWSD, SIG SSG-3000*, SRS-A1, HTI, TAC-50, C14D, LRT-3D, CADEX CDXD, RPR*, RAR*, SIG100*, SIG CROSS, R93*, 부시마스터 BA50, BFG-50, PGM 헤카트 II, FA-50T
기관단총 PPSh-41, PPS-43, 톰슨 기관단총, MP40, 칼 구스타프 m/45, Vz.23, MP5*, Vz.61D,KRISS VectorD, UZID, Z-84 Corto, 루거 MP9*, Fort-230, 보르즈 기관단총, PM-63D, SP9
권총 PM, Makarych*, TT-33,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4, PPK, 발터 P22, P08, PSM*, Fort-12*, Fort-14TP, MP-443C, GSh-18C,CZ75D, CZ P-07D, P-10CD, M9D, R7 MakoD, SFP9D, SIG P320, Canik TP9, PL-15C
지원화기 기관총 DP-27, DP-28, SGMT, RPK, RPK-74, 자스타바 M72, PK, PKM, 자스타바 M84D, MG-1MD, PKPC, KordC, KPVC, DShK, DShKM, NSV, PM M1910, RPD, Vz.59D, MG34, M53D, CETME AmeliD, MG3, MG42/59D, Ksp 58D, C6D, M240D, FN 미니미D, C9D, C9A2D, M2(A1)D, AN/M3D, M249D, M249E3D, W85, UKM-2000PD, AAT-52D, PZD 556D, MG5D, Laska K2, Ares Shrike
유탄발사기 UAG-40*, 댜코노프 총류탄, AGS-17, AGS-30C, RGM-40, RG-6C, GP-25, GP-34C, Fort-600, GM-94C, Mk.19 Mod.3D, M32D, RGP-40D, AG36D, M320(A1)D, M203D, GMGD, FN40GLD, RDS40D, 팔라트D, M11 RGDD
대전차화기 대전차로켓 RPG-7, RPG-7V, RPG-7D, 69식 화전통, ATGL-L, LGL-7D, PSRL-1, PzF 3D, RPG-16, RPG-18, RPG-22, BULSPIKE-AT, DRTG-73D, M80 Zolja, M72A5, NM72F1, M72 ECD, RPG-26, RPG-27, RShG-1, RPG-29, RPG-30C, RPG-32, RPG-76D, SMAWD, M141 BDMD, RGW-90D, APILASD
대전차 미사일 Corsar, 스키프, 쉐르쉔, 아뮬렛, 9K115-2, 9M113, 9K111, 9K135C, NLAW, FGM-148, 밀란 대전차 미사일D, TOWD, RBS 56D, 아케론 MPD
무반동총 SPG-9 "Spis", AT4D, 칼 구스타프 M4D, C90D, Pvpj 1110D, Alcotán-100D, RPO-A, RPV-16, RPG-75(M)D
박격포 82-BM-37, KBA-118, LMR-2017D, m/68D, M224 LWCMSD, 63식D, MP-60, M60-16, UB-81, UPIK-82, M60CMAD, KBA-48M, M69A, 20N5D, 2B9, 2B14, M252 MERMD, HM-16, HM-19, M84D, 2B16, Vz.82, М120-15, 2S12, 120-PM-43, MP-120, 120 KRH 92D, Mod.63D, MO-120-HBD, M120 BMSD, M240
견인포 122mm 2A18 D-30, 85mm D-44, 85mm D-48, BS-3, 100mm 2A19 MT-12, 152mm M1955 D-20, M-46, 150mm 2A65, 152mm 2A36, M2A1D, M101D, {M114}D, M119D, L119D, M777D, FH70D, TRF1D, Mod.56D
대공포 보포스 40mm 포D, 57mm S-60, KS-19, L/70D, ZU-23, 자스타바 M55D, 자스타바 M75D, 72-K, 오리콘 GDF, {MANTIS}
맨패즈 9K310, 9K38, PiorunD, 9K32, 9K34, FIM-92, Starstreak HVM, 미스트랄D, LWM 마틀렛D, SungurD, RBS 70D, Anza 2D
자폭 무인기 스위치블레이드 300/600D, 피닉스 고스트D, UJ-32 Lastivka, 라텔-S
지뢰 TM-57, TM-62M, PTM-3, MON, UDSh, AT2D, DM12 PARM-2D, PTKM-1RC, DM-31D, M18A1D, Mini HailstormD, POMZ, PFM-1, HPD-2A2D, M/47D, M/56D, Mi AC AH F1D, FFV-028D, M/52D, PMN, RAAMD, PK-14D, PT Mi-BaD, YaRM
폭약 M112D, M/97D, KZ-6, C4D, M1 관형폭약D, M2A4D, UR-83P, Minröjningsorm 1D
수류탄 F1 수류탄, RG-42, RGD-2, RGD-5, RKG-3, M67, OF 37, DM41D, DM51D, DM61D, M/54D, L109D, Zarya-3, RGR, RG-60TB, Sirpalekäsikranaatti M50D, F1D/N, GHO-1D, Mecar M72D, M50 P3D, NR20C1D, M18D, DG-01, L83A2, L84A3
<colbgcolor=#ffe400>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Fort-221, Fort-223, Fort-224*, MCX, ACR, AS Val, ASM ValC, Malyuk, WAC-47, Z-15, Fort-227, Fort-228, Fort-229, CZ 브렌 2D, AUG HBARD, AK-105C, C8D, 헤넬 MK556, CR 308D. DD Mk.18D,SIG716
저격소총 VSS, TRG-22, T3, TS.M.308, TS.M.338, HS.50, M110 SASS, CheyTac Intervention, Horizon's Lord, 베레타 Victrix Corvus*, 바렛 MRAD, SAN 511*, Mk.14 EBRD, HK417D, VSSKC
특수소총 APS
기관단총 스콜피온 EVO 3, P90, PP-91C, MPX, APC9 PRO*, B&T MP9*
산탄총 Saiga-12*, Fort-500, Fort-500T, Fort-500M*, KS-23, 모스버그 500D, 베넬리 M4D, TOZ-87, BTS12*, RS S1, CZ1012, Target X7, M26 MASS, Sierra 12, KSG
권총 스테츠킨 APS, SPP-1, Fort-17, Fort-20, Fort-21, PB, 글록 17/19/45D, Fort-15, 나강 M1895, CZ82D
기관총 Fort-401
수류탄 RGO, RGN, Mk.14 Mod 0 ASMD, RGT-27S, RGT-27S2
*: 우크라이나 내무부 예하에서 사용
C: 노획 장비
D: 여러 국가들에서 지원물자로 기증
{중괄호}: 도입 예정 장비
N: F1 수류탄과 이름만 같은 현대적인 호주산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발터(총기회사) 로고.svg 발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191919> 발터 제품 라인업
자동권총 PP · PPK · P38 · 국민권총 · P5 · P88 · P99 · P22 · PPQ · PDP
기관단총 MPL · MPK
산탄총 반자동 산탄총
소총 <colbgcolor=#fff,#191919> 볼트액션 VG-1 · VG-2
반자동 게베어 41(W) · 게베어 43 · WA2000 · G22
자동 MKb42(W)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