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0 13:30:58

BART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애니메이션 심슨 가족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바트 심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북동부
뉴잉글랜드 매사추세츠 보스턴 (보스턴 지하철 · MBTA 커뮤터 레일)
코네티컷 하트퍼드 라인 · SLE
중부 대서양 뉴욕 뉴욕 (뉴욕 지하철 · 스태튼 아일랜드 철도 · NJTRO · 롱아일랜드 철도 · 메트로 노스 철도 · PATH)
버팔로 메트로 레일 · 로체스터 지하철
뉴저지 NJTRO · PATH · 뉴어크 경전철 · 리버 라인 · HBLR
펜실베이니아 필라델피아 (SEPTA · PATCO) · 피츠버그 경전철
남부
남부 대서양 메릴랜드 볼티모어 (볼티모어 지하철 · MARC · 볼티모어 경전철)
워싱턴 D.C. 워싱턴 메트로 · DC 스트리트카
버지니아 VREX · 더 타이드
노스캐롤라이나 샬럿 경전철
조지아 애틀랜타 (MARTA 레일 · 애틀랜타 노면전차)
플로리다 마이애미 (마이애미 메트로레일 · 트라이레일) · 선레일 · TECO 라인 스트리트카
동남 중앙 테네시 NRTX · 멤피스 트롤리
서남 중앙 아칸소 리버 레일 스트리트카 · 포트 스미스 트롤리
루이지애나 뉴올리언스 노면전차
오클라호마 오클라호마시티 노면전차
텍사스 댈러스 (댈러스 경전철 · 댈러스 노면전차 · A-트레인 ·텍스레일 · TRE) · 캐피탈 메트로레일
엘파소 노면전차 · 휴스턴 메트로레일
중서부
동북 중앙 미시간 Q라인
오하이오 신시내티 (신시내티 벨 커넥터 · 신시내티 지하철) · RTA · 클리블랜드 경전철
위스콘신 밀워키 노면전차 · 케노샤 노면전차
일리노이 시카고 (시카고 전철 · Metra · NICD)
서북 중앙 미네소타 MNRX · 미니애폴리스 경전철
미주리 캔자스시티 노면전차 · 세인트루이스 메트로링크
서부
산악 콜로라도 덴버 (RTD · 플레이트 밸리 트롤리) · 포트콜린스 시영 철도
뉴멕시코 뉴멕시코 레일러너 익스프레스
유타 프론트러너 · 솔트레이크시티 경전철
애리조나 밸리 메트로 · 선 링크
네바다 라스베이거스 모노레일
태평양 워싱턴주 사운더 커뮤터 레일 · 시애틀 (시애틀 경전철 · 시애틀 노면전차) · 이사콰 밸리 트롤리
오리건 WES 커뮤터 레일 · 포틀랜드 경전철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SF Muni Metro · BART · ACE · 칼트레인 · SMART)
로스앤젤레스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 메트로링크)
샌디에이고 (스프린터 · 샌디에이고 코스터 · 샌디에이고 트롤리)
새크라멘토 경전철 · VTA 경전철
하와이 스카이라인
해외 영토·준주
카리브 푸에르토리코 산후안 도시철도
※ : 미국에는 한국의 수도권 전철, 동남권 광역전철처럼 한 도시권 내의 광역, 도시철도 시스템을 하나로 묶어 지칭하는 용어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취소선 : 취소 및 폐지된 체계, 밑줄 : 미개통 체계
}}}}}} ||
BART
(Bay Area Rapid Transit)
파일:BART 로고.svg
개통 1972년 9월 11일
영업 거리 180.1km
노선 수 6
역 수 46
운임 제도 거리비례
궤간 1676mm
전기 방식 제3궤조 직류 1000V
신호 방식 ATO
차량 수 669량
http://www.bart.gov/
파일:external/www.urbanrail.net/BART-MacArthur2-02.jpg
MacArthur역

1. 개요2. 역사3. 특징4. 노선5. 운행 차량6. 철도무스메
6.1. 베일리6.2. 님버스6.3. 재스민6.4. 미라

1. 개요

샌프란시스코시의 광역도시권인 베이 에어리어(Bay Area) 일대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시스템. 도시철도이지만 트램형 지하 경전철인 뮤니 메트로가 완행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간 급행 역할만 한다. 이외에 샌프란시스코오클랜드를 연결하는 광역철도 역할도 겸한다. 노선 전반에 걸쳐 총 50개의 역이 있고, 131.4마일(211.5km)[1]길이의 6개 노선이 있다. 2016년 평균 평일 승객 수와 주말 승객 수는 각각 432,300명과 330,420명으로, 샌프란시스코 광역권에 걸맞는 대규모 철도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북아메리카 서부 지역 최초의 지하철 또는 경전철이다.

특이한 점으로 광궤를 사용한다. 규격은 1,676mm 인도 광궤. 다만 오클랜드 국제공항 - 콜리세움 구간의 경전철표준궤를 사용한다. 또한 여타 지하철 노선과는 달리 일반적인 영업 최고속도가 110km/h정도로 상당히 빠른 편이며, 설계 최고속도는 130km/h에 이른다. 세계적으로도 도시철도를 겸하는 광역전철이 130km/h 정도로 달리는 경우는 흔하지 않으며, 대중교통의 불모지인 북미 기준으로 봤을 때 상당히 우수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로스앤젤레스 메트로와 같이 미국 미시시피강 이서 지역에서 유이한 중전철 지하철이다.

2. 역사

샌프란시스코 을 건너 오클랜드 등지를 잇는 철도 시스템은 20세기 초부터 있었다. 당시 노면전차의 형태로 베이 브릿지 하부의 철길을 이용해 베이 에이리어 곳곳을 잇던 노선은 1958년 폐선되었다. 이후 1950년대 후반에 들어서며 샌프란시스코와 주변 카운티들의 협업으로 베이 에이리어 고속 교통(Bay Area Rapid Transit; BART)이라 명명된 광역철도 노선이 계획되었다. BART는 샌프란시스코 만을 통과하는 해저 터널트랜스베이 튜브(Transbay Tube)를 중심으로, 오클랜드, 버클리, 리치먼드 등 샌프란시스코 광역권 곳곳을 연결할 계획이었다.

바트는 1964년에 대통령 린든 존슨이 착공식에 참석하며 공사를 시작하였고, 난공사 끝에 1972년 9월 11일에 맥아더(MacArthur) 역과 프리몬트(Fremont)역 구간을 처음으로 개통하였다. 노선의 핵심인 트랜스베이 터널은 2년 후인 1974년 완공되었으며, 당시 세계에서 가장 깊은 해저 터널이었다. 터널 공사에만 1억 8천만 달러가 들어갔다고 한다. 터널 개통 이후, 맥아더에서 샌프란시스코 다운타운을 거쳐 데일리 시티(Daly City)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바트 시스템에는 당시 최신 기술이었던 ATC가 도입되었고, 다년간의 시행착오를 거쳐 현재는 완전 무인 운전으로 운영 중에 있다.

한동안 데일리 시티 - 프리몬트의 단일 노선으로 운영하던 바트는 1996년 본선 상의 콜마(Colma)에서 피츠버그/베이 포인트(Pittsburg/Bay Point)로 향하는 첫 지선을 개통하였고, 이듬해 1997년에는 더블린/플레전턴(Dublin/Pleasanton)으로 가는 3번째 지선이 완공되었다. 수 년 후인 2003년에는 샌프란시스코 남부의 밀브레(Millbrae)까지 연장되었고, 드디어 지역 내 최대의 허브 공항인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을 잇게 되었다. 같은 해에 오클랜드 공항으로 향하는 경전철이 동일한 바트 시스템의 이름으로 개통되면서, 도시권 내의 주요 공항과 모두 연결되는 노선망을 확보하였다.

2017년 3월부터는 실리콘 밸리 연장 프로젝트라는 이름 하에 프리몬트부터 웜 스프링스/사우스 프리몬트(Warm Springs/South Fremont)까지, 2018년 산호세의 베리예사/노스 산호세(Berryessa/North San Jose)역까지의 연장 구간을 개통하였다. 2018년에는 피츠버그/베이 포인트역에서 안티오크(Antioch)역까지 디젤을 동력으로 하는 eBART가 개통하였고, 추후 2030년까지 베리예사/노스 산호세에서 산타클라라(Santa Clara)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2018년 1월부터는 봄바르디어에서 제작한 신형 열차운행을 시작했다. 좌석이 약간 변경되었고 LCD 모니터 도입, 출입문 닫을 때 경고음, 그리고 마침내 자동 안내방송이 추가되었다.[2] 외관도 차량 전두부가 일반적인 모양[3]으로 바뀌었다. 이로서 BART 차량의 특징이던, 기관차석에서 볼 때 전두부 우측 창문만 있던 모습[4]이 신형 차량에선 없어지게 되었다. 본 문서 맨 위쪽의 사진이 구형 차량이다.

3. 특징

전반적으로 개막장스러운 청결도를 자랑하는 뉴욕 지하철이나 시설이 근대 유물 수준인 MBTA 같은 동부 중전철 등에 비하면 전반적으로 청결도, 시설 면에서는 훨씬 낫다. 다만 한동안 열차들이 너무 낡았던 게 문제였는데[5], 2017년부터 신형 차량들이 도입되며 해결되고 있으니 다행.

노선망 역시 뉴욕 지하철이나 시카고 전철처럼 사방팔방으로 쫙 퍼져나가는 건 아닐지라도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과 샌프란시스코 다운타운과 데일리 시티, 오클랜드 등의 위성도시들을 신속하게 연결시켜줘서 상당히 효율적이다. 어차피 샌프란시스코 도심 내부 이동은 뮤니 메트로가 보완해주므로, 바트는 주변 도시들과의 광역전철 역할에 집중하고 있는 중이다.

노선이 뻗어있는 곳이 전체적으로 유동 인구도 많고 도로 교통량도 많은 곳이다보니 파업이나 시위로 인한 역 폐쇄, 혹은 다른 이유로 인해 운행 정지라도 할 경우 주변 도로에는 그야말로 엄청난 헬게이트가 펼쳐질 만큼 대중교통으로서의 중요도는 매우 높다. 이 쪽 동네가 다 그렇지만 출퇴근 시간에는 고속도로 정체가 만연해서 이 때는 바트를 타는 것이 시간상으로 훨씬 이득인 경우도 많다. 어떤 노선들은 정말로 고속도로 한 가운데로 지나가기도 하는데, 출퇴근 시간에 이런 노선에 타면 빽빽히 막혀 있는 차들을 감상하며 앞질러가는 쾌감(...)을 느낄 수 있다.

콜리세움 역에서 오클랜드 공항으로 가는 노선은 일단 바트 소속이긴 하지만, 기술적으로는 경전철과 훨씬 유사하여 다른 노선들과 이질적이다. 이 노선을 이용하면, 인외마경이라는 오클랜드 내부를 직접 거치지 않고 바로 샌프란시스코나 다른 베이 에어리어 지역으로 갈 수 있다.

다만 가장 큰 문제는 가격으로, 명색이 전철임에도 커뮤터 레일급의 어마어마한 가격을 보여준다. 공항에서 샌프란시스코 다운타운의 Embarcadero역까지 무려 8달러가 넘게 든다! 그야말로 비싼 물가가 상징인 샌프란시스코답다[6] 게다가 샌프란시스코 시내 지하철이라고 할 수 있는 뮤니 메트로 및 Samtrans, AC Transit 같은 바트가 지나가는 카운티 교통국들과의 환승할인 역시 없어서 지갑의 부담을 더해준다는 점도 문제점. 이런 문제 때문에 아예 차를 교외의 바트 역 (West Oakland Bart Station) 까지 끌고와서 주차하고 바트를 타고 시내로 들어가는 사람들도 많다.

그리고 뉴욕 지하철보다는 훨씬 낫지만 여기도 분위기가 아주 좋다고 할 수는 없다. 사람 많은 출퇴근 시간이라면 그나마 괜찮지만 밤에 혼자 이용한다거나 할 때는 주의해야 하며, 가끔 이상한 사람들이 출몰하여 눈쌀을 찌푸리게 만들고, 특히 치안이 좋지 않은 북쪽의 리치몬드 역이나 오클랜드 근방을 지날 때 특히 그렇다. 난데없이 구걸을 하는 사람들도 자주 볼 수 있으며 서로 시비를 걸어 싸움이 나는 광경도 의외로 자주 보인다. 이런 사람들은 무시하는게 현명하지만, 만약 무시할 상황이 아닐 때는 일단 다른 칸으로 피신하고 바트 경찰에 곧바로 신고할 것. 신고하면 경찰이 다음 역에 대기하다가 곧바로 용의자를 끌어내 상황을 정리해버린다.

4. 노선

파일:system-map-everyday-until-9pm.png파일:system-map-9pm-to-midnight.png
오전 5시 ~ 오후 9시[7] 오후 9시 ~ 자정
시간표
노선 구간 역 수
리치몬드(Richmond) ↔ 밀브레(Milbrae) 23
리치몬드(Richmond) ↔ 베리예사(Berryessa)/노스 산호세(North San Jose) 21
더블린(Dublin)/플레전튼(Pleasanton) ↔ 데일리 시티(Daly City) 18
베리예사(Berryessa)/노스 산호세(North San Jose) ↔ 데일리 시티(Daly City) 22
안티오크(Antioch) ↔ SFO/밀브레(Millbrae) 28
콜리세움(Coliseum) ↔ 오클랜드 국제공항(Oakland International Airport) 2


노선도를 자세히 보면 Yellow Line 말단 Pittsburg/Bay Point와 Pittsburg Center 사이에 보면 Change Train at the Platform이라고 적힌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미국 대중교통의 투자 부족에서 비롯되었다. 원래는 4번 고속도로를 확장하면서 대중교통 투자가 적극적인 캘리포니아답게 옆에 위치한 유니언 퍼시픽의 노선을 매입해 Bart 연장에 이용하고자 했다. 그러나 매매하고자 하던 생각이 없던 유니언 퍼시픽이 거부하면서 협상이 결렬되었고 결국 고속도로 한가운데에 연장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비용 상승으로 인하여 완공을 못하게 될 것으로 보이자 광궤 제3궤조 전철화된 기존 노선과 직통을 포기하고 비전철화 표준궤로 노선을 건설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eBART[8]를 따로 발주하는 등 노력을 들였고 기존 노선과 직결이 불가능하기에 중간에 환승 전용 역[9]을 추가해 환승할 수 있게 했다. 결과론적으로 추가적인 운영비용이 들게 되는 근시안적 정책이라고 볼 수 있다.[10] Pittsburg/Bay Point에서 환승이 아닌 추가적으로 환승전용역을 설치한 이유는 BART에서 공식 답변으로 물어봤으나 답변으로 알 수 없다라고 한다. 다만 회차선 겸 승강장으로 써서 선로용량을 확보하기 노력일 것이라고 추정된다.

5. 운행 차량

6. 철도무스메

현지 시간으로 2023년 5월 24일, 영미권 철도 운영사 최초로 철도무스메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트위터
각 캐릭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BART 공식 웹사이트에서 읽어볼 수 있다.
캐릭터는 크게 네 명으로, BART 웹사이트를 통한 공모로 제작했다고 한다.

6.1. 베일리

파일:BART_베일리.png
베이 에어리어에 거주하는 온라인 인플루언서로, 현지 투어 가이드를 직업으로 한다고 한다.

6.2. 님버스

파일:BART_님부스.png
반려 매를 데리고 다니는 스토리텔러이자 역사학자로, 바트 전담 음유시인(?)이라고 한다.

6.3. 재스민

파일:BART_재스민.png
베이 에어리어에 거주하는 고등학생으로, 철덕이라고 한다.

6.4. 미라

파일:BART_미라.png
BART에서 차장으로 근무하고 있다고 한다.

[1] 경전철인 오클랜드 국제공항 - 콜리세움 구간 5.1km 포함.[2] 이전 바트 차량들은 기관사가 역마다 일일이 방송을 했어야 했다.[3] 한국의 옛 초저항이나 일본에서 흔히 굴러다니는 233계같은 중문 형태.[4] 한국 서울지하철 2~4호선에서 쓰이던 GEC 차량에서 한쪽 창문 부분만 막힌 상태.[5] 당장 1세대 열차들 중 일부 초도편성은 초저항 1차분보다 6년 전에 생산되었다.[6] 여기서 하나 알아둬야 할 점은, 출발역 혹은 도착역이 공항이면 가격이 확 뛴다는 점이다. 심지어 공항에서 딱 한 정거장 가는데도 가격이 8달러에 가깝다! 그래도 공항으로 가는 유일한 전철 대중 교통 수단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탄다. 이는 오클랜드 국제공항의 경우도 마찬가지.[7] 토요일 오전 6시 ~ 오후 9시, 일요일 오전 8시 ~ 오후 9시[8] Electric BART가 아닌 Extenstion BART이다. 즉. 디젤 열차로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9] 출구가 없으며 비상시 램프만 구비되어 있다. 막차 시간대에는 보안 요원이 확인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10] 다만 대중교통의 건설비가 운영비보다 재원 확보가 어렵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는 행정적, 정치적으로 불가피한 조치라고 볼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