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리스트 == null
{{{#!html 해당 인물의 최근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 == null
[[훌리안 알바레스/2025-26 시즌]]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훌리안 알바레스/2025-26 시즌#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훌리안 알바레스/2025-26 시즌#|]]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2 == null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3 == null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4 == null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5 == null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6 == null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7 == null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8 == null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9 == null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0 == null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해당 인물의 최근 활약상: }}}{{{#!if 같은문서1 == null
[[훌리안 알바레스/2025-26 시즌]]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훌리안 알바레스/2025-26 시즌#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훌리안 알바레스/2025-26 시즌#|]]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if 같은문서2 == null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if 같은문서3 == null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if 같은문서4 == null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if 같은문서5 == null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if 같은문서6 == null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if 같은문서7 == null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if 같은문서8 == null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if 같은문서9 == null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if 같은문서10 == null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
1 J. 무소 · 2 J. M. 히메네스 10 알렉스 B. · 11 알마다 · 12 카를로스 M. · 13 [[얀 오블락|오블락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00032; font-size: .8em"]] · 14 M. 요렌테 · 15 랑글레 · 16 몰리나 · 17 한츠코 18 마르크 푸빌 · 19 J. 알바레스 · 20 줄리아노 · 21 하비 갈란 · 22 라스파도리 · 23 니코 · 24 르노르망 | ||||
|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75AADB,#75AADB><colcolor=#000,#000> 클럽 | | CA 리버 플레이트 | |
2018-19 · 2019-20 · 2020-21 · 2021-22 |
| 맨체스터 시티 FC |
2022-23 · 2023-24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2024-25 · 2025-26 |
국가대표 | | 아르헨티나 (2021~ ) |
CA21 · F22 · WC22 · CA24 · O24 · WC26 |
평가 | 플레이 스타일 · 관련 언사 |
기록 | 대회 기록 · 개인 수상 · 통산 성적 |
<colbgcolor=#d00032,#d00032><colcolor=#fff>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No. 19 | |||||||
훌리안 알바레스 Julián Álvarez | |||||||
출생 | 2000년 1월 31일 ([age(2000-01-31)]세) | ||||||
코르도바주 칼친 | |||||||
국적 |
|
| ||||||
신체 | 키 170cm / 체중 71kg[1] | ||||||
포지션 | 스트라이커[2] | ||||||
주발 | 오른발 (양발) | ||||||
등번호 | 아르헨티나 대표팀 | 9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19 | ||||||
소속 | <colbgcolor=#d00032,#d00032><colcolor=#fff> 유스 | 아틀레티코 칼친 (2014~2016) CA 리버 플레이트 (2016~2020) | |||||
프로 | CA 리버 플레이트 (2018~2022) 맨체스터 시티 FC (2022~2024) → CA 리버 플레이트 (2022 / 임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4~ ) | ||||||
국가대표 | 48경기 13골[3] (아르헨티나 / 2021~ )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d00032,#d00032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00032,#d00032><colcolor=#fff,#fff> 역대 등번호 | 아르헨티나 대표팀 - 9번[4], 27번[5] CA 리버 플레이트 - 9번 맨체스터 시티 FC - 19번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19번 | |||||
가족 | 아버지 쿠스타보 알바레스 어머니 마리아나 알바레스 첫째형 라파엘 알바레스 둘째형 아구 알바레스 | ||||||
후원사 | 아디다스 |
1. 개요
아르헨티나 국적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축구 역사상 최초로 한 시즌에 월드컵 우승과 트레블을 동시에 달성한 선수이다.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훌리안 알바레스/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훌리안 알바레스/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국가대표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훌리안 알바레스/국가대표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훌리안 알바레스/국가대표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플레이 스타일
훌리안 알바레스는 기동력, 드리블 등 모든 능력이 준수하지만 공격수로서 가장 큰 장점은 양발을 모두 잘 쓴다는 것.
장지현
최전방 공격수와 공격형 미드필더를 모두 수준급으로 소화할 수 있는 공격수로, 아르헨티나 시절과 시티 입단 초기에는 팬들의 찬사를 받으며 제2의 세르히오 아구에로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외형적으로 아구에로를 연상시키는 공격수였다. 하지만 맨시티 입단 후에는 그 자리에 같은 팀의 엘링 홀란드라는 매우 확고한 주전 멤버를 밀어내지 못해서[6] 주로 공격형 미드필더를 소화하게 되었고, 그에 따라 플레이 스타일이 바뀌었다.장지현
알바레스의 가장 돋보이는 장점은 성실함을 바탕으로 한 활동량. 풍부한 활동량을 바탕으로 시도하는 성실한 전방 압박과 수비 가담으로 상대 수비수의 빌드업을 방해하는 현대적인 공격수의 면모를 보인다. 공격 상황에서도 알바레스의 부지런함은 매우 돋보이는데, 뛰어난 전술 이해도를 바탕으로 민첩한 침투 뿐만 아니라 전방위적인 움직임을 가져가 주면서 동료 공격수나 미드필더들에게 공간을 만들어주는 플레이를 보여준다.[7] 거기에 공격형 미드필더도 소화할 정도로 순간적인 패스 센스도 뛰어나서 간결한 연계는 물론이고 마치 폴스 나인처럼 센터백을 끌고 내려온 뒤 그 공간에 들어가는 공격수나 미드필더에게 공격적인 패스로 찬스메이킹을 하는 모습도 종종 보여준다.
23-24 시즌에는 이러한 범용성을 바탕으로 전반기 장기 부상으로 빠진 케빈 더 브라위너의 자리에 들어가 시티의 볼순환과 찬스 메이킹을 담당하였는데, 원래 공격형 미드필더였던 것처럼 간결하면서도 자연스러운 모습을 보여줬을 정도로 공격을 전개하는 데에 탁월한 센스를 보였다. 다만 후반기에는 역시 더 브라위너의 대체 역할은 무리였는지 공격형 미드필더 자리에서 폼이 매우 떨어진 모습을 보였다. 상술하였듯 알바레스가 해당 자리에서 보여주는 모습은 열심히 끊임없이 움직이며 팀의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지, 더브라위너처럼 공격 전체를 계속 전두지휘할 정도는 아니기 때문.[8]
활동량과 패스 센스 외의 장점으로는 강력한 양발 슈팅과 센스 있는 슈팅 스킬이 꼽힌다. 박스 안팎에서 슈팅 찬스가 났을 때 굉장히 위협적인 선수로, 강력한 킥력을 바탕으로 슈팅은 물론 좌우 전환 패스나 세트피스에서도 위협적인 모습을 보인다. 실제로 23-24 시즌 전반기 물이 올랐을 때는 프리킥으로 여러 득점을 기록하기도 했다. 종종 센스 있는 칩샷으로 키퍼를 속이거나 어려운 슈팅 자세에서도 임팩트를 잘 맞추는 등 슈팅에 대한 전반적인 감각이 상당히 뛰어나다. 또한 왜소한 피지컬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투지와 잘 잡힌 신체 밸런스를 갖추고 있어 온몸을 무기로 활용해 득점할 수 있는 선수이다.
적은 부상 빈도 역시 강점이다. 맨시티 이적 후 2년 동안 소속팀에서만 100경기를 넘게 소화했고 대표팀에서도 많은 경기를 소화했지만 부상없이 꾸준하게 경기를 출전할 수 있는 내구도와 체력을 가지고 있다.
다만 온 더 볼 상황에서의 볼 컨트롤 능력은 조금 부족한 편이다. 왜소한 체구를 가지고 있음에도 무게 중심이 낮게 잡혀 있어서 버티는 힘은 의외로 좋은 편이나, 퍼스트 터치를 비롯한 볼 컨트롤이 불안정한 편. 그러다 보니 공을 간수하고 지켜내는 역량은 상당히 떨어진다. 특히 폼이 안 좋을 때에는 유독 터치가 튀는 편으로, 본인도 이를 인지하고 있는지 볼을 가지고 있는 시간을 줄이고 간결한 플레이를 하려는 성향이 짙다.
상당한 활동량, 간결한 연계, 뛰어난 킥력을 바탕으로 한 골 결정력 등등 팀 동료인 앙투안 그리즈만의 초기 모습과 공유하는 바가 많기 때문에 디에고 시메오네 체제에서 뛰어난 활약을 하고 있다. 다만 그리즈만은 2018 러시아 월드컵을 기점으로 웬만한 월드클래스 미드필더 급의 빌드업 이해도와 플레이메이킹을 갖추게 되었기에, 훌리안 역시 이 부분에서 스텝업을 이룰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사실 현대 축구에서 스트라이커가 이러한 연계 플레이에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면 자연스레 신체능력 저하가 와도 롱런할 수 있는 기틀이 되기 때문에, 훌리안 본인에게도 이 부분에서의 성장이 이루어 진다면 더 좋은 평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4. 기록
4.1. 대회 기록
- CA 리버 플레이트 (2018~2022)
- 리가 프로페시오날: 2021
- 코파 아르헨티나: 2018-19
- 트로페오 드 캄페오네스: 2021
- 수페르코파 아르헨티나: 2019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018
- 맨체스터 시티 FC (2022~2024)
- 프리미어 리그: 2022-23, 2023-24
- FA컵: 2022-23
- UEFA 챔피언스 리그: 2022-23
- UEFA 슈퍼컵: 2023
- FIFA 클럽 월드컵: 2023
4.2. 개인 수상
- FIFA 클럽 월드컵 득점왕: 2023
- 라리가 올해의 팀: 2024-25
- 리가 프로페시오날 득점왕: 2021
- 남아메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 2021
- 남아메리카 올해의 팀: 2021
- 남아메리카 U-20 챔피언십 토너먼트의 팀: 2019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올해의 선수: 2024-25
5. 기타
5.1. 여담
- 별명은 아라냐(La Araña, '거미'), 엘 옴브레 아라냐(El Hombre Araña, '스파이더맨')이다. 이 별명은 훌리안이 어릴적에 만들어진 별명인데, 인구가 2,000명에 불과한 작은 마을 칼친에서 자란 훌리안은 형들과 함께 마을에 있는 작은 경기장에서 만나 함께 축구를 하면서 많은 시간을 보냈고, 4살도 안 된 어린 시절에 형들과 축구를 하던 중 어느 날 형이 마치 작은 거미(La Araña) 같다고 말한 것이 별명의 유래가 되었다고 한다. 딱 붙어서 포기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지었다고.[9] 알바레스 본인도 이 별명에 대한 애착이 강해서 인스타그램 이름칸에도 거미 이모지가 있고, 트위터에는 아예 이름 대신 아라냐를 적어놓았다. 전 소속팀인 맨시티의 홈인 에티하드 스타디움 장내 아나운서도 알바레스가 득점하면 등번호와 이름만 외치는 다른 선수들과 달리 알바레스의 경우 '엘 아라냐 훌리안 알바레스'라고 꼬박꼬박 별명을 붙여서 불러준다. 그래서 그런지 아틀레티코로 이적했을 때 구단 측에서 스파이더맨과 연관된 오피셜을 보여줬다.
| |
- 세 형제 중 막내로 두 형과 쌍둥이처럼 외모가 닮았다. 형 중에 한 명이 맨체스터의 한 축구팀에서 뛰고 있다고 한다. 공교롭게도 국가대표 팀메이트인 알렉시스 맥 알리스터도 똑같이 3형제 중 막내이다.
- 펩 과르디올라가 바이에른 뮌헨 감독이었을 당시에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의 4강전 경기를 휴대폰으로 봤었다고 한다.
- 2012년에 리오넬 메시와 사진을 찍은 적이 있는데, 이 일이 계기가 되어 더더욱 축구에 몰두해 실력을 연마했다고 한다. 그리고 10년 뒤엔 결국 메시와 월드컵에서 뛰는 꿈을 이루었고, 벤치에서 출발했지만 준수한 활약으로 주전으로 도약해 그의 라스트 댄스를 도왔다. 해당 사진이 있는 국내 기사 실제로 알바레스는 메시의 생일에도 "역사상 최고의 선수의 생일을 축하한다. 너무 고마워요, 나의 아이돌"이라며 팬심을 드러낸 적이 있다. 그리고 4강전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여주고 결승에서도 뛰어난 투지를 보여주며 결초보은하는데 성공했다.
- 부에노스아이레스에 '훌리안 알바레스 거리'가 있다고 한다. 물론 알바레스 본인의 이름을 딴 것은 아니고 18세기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의 역사적인 법학가였던 훌리안 알바레스의 이름을 딴 것이라 한다. 즉 동명이인인 셈. 2022 카타르 월드컵 4강전에서 알바레스가 골을 넣자 많은 시민들이 이 거리로 뛰쳐나와서 알바레스를 연호했다고 한다.
|
- 한국 커뮤니티에서는 주로 '유관귀신'이라는 별명으로 불린다.[10] 가는 팀마다 우승을 밥 먹듯이 한다는 건데, 20대 초반인데도 쟁쟁한 선배들조차 하지 못한 리가 프로페시오날,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프리미어 리그, FA컵,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으로 사실상 모든 클럽 대항전을 점령했고 메이저 국가 대항전 역시 FIFA 월드컵, 코파 아메리카 우승으로 올림픽 정도를 제외하면 다 우승해봤다.[11] 심지어 클럽 축구계의 엔드컨텐츠라고 할 수 있는 트레블도 달성해 2022-23 시즌에 월드컵 우승, 트레블을 한 시즌 안에 달성하는 축구 역사상 유일무이한 대기록도 작성했다.[12][13][14] 2024-25 시즌에도 훌리안의 '유관력'은 여지없이 발휘 중인데, 훌리안이 나간 맨체스터 시티는 전반기에 로드리의 부상 이탈과 동시에 문제점이 한꺼번에 터져 처참하게 망가졌으나, 훌리안을 영입한 아틀레티코는 라리가 전반기를 1위로 마치며 상승세를 이어나가고 있었으나... 후반기에 챔스 16강 탈락, 코파 델 레이 4강 탈락, 리그 최종 3위에 그치며 무관에 그치는 바람에 알바레스가 가진 유관귀신이라는 별명도 깨지고 말았다.[15] 거기다 전 소속팀인 맨시티도 챔스 16강 PO 탈락(즉, 16강 본선도 못 갔다는 소리다.), 리그 우승 실패(최종 3위), 마지막 남은 FA컵조차 결승에서 약체인 크리스탈 팰리스에게 한 골도 못 넣고 패배함에 따라 무관에 그치고 말았다.[16] 그나마 2025년부터 32개 구단이 참가하는 대회로 개편된 FIFA 클럽 월드컵 2025에서 우승을 차지하면 2024-25 시즌 완전 무관이라는 사태는 피할 수 있긴 하지만[17][18] 앞선 각주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기준에서 봤을 때 무관에 그쳤다는 평가는 피할 수 없다. 설상가상으로 훌리안 알바레스가 소속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같은 대회에 나가는 레알 마드리드, 바이에른 뮌헨, 맨시티, 인테르, PSG처럼 대규모 클럽대항전의 영원한 우승후보라고 평가받는 유럽의 거대 클럽보다 명백히 약한 데다 클럽 월드컵 무대 자체가 처음인 만큼 개편 이전에도 해당 대회에서 잔뼈가 굵은 팀들을 모두 이기고 우승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19] 참고로 훌리안 알바레스가 현재 뛰고 있는 아틀레티고 마드리드와 과거에 뛰었던 맨체스터 시티 FC 모두 2025년에 열리는 클럽 월드컵에 참가한다. 따라서 훌리안 알바레스는 맨시티가 떨어져야 본인의 완전 무관이라는 사태를 피할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더 높아지는 데다 맨시티를 4강~결승전에서 만난다면[20] 무조건 꺾어야 2024-25 시즌 완전 종료 이전에 차지할 수 있는 유일한 트로피를 들거나 들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마주하는 셈. 하지만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클럽 월드컵 B조에서 만난 보타포구 FR과 시애틀 사운더스를 이겼음에도 불구하고 B조에서 아틀레티코를 4:0으로 대파한 것을 발판으로 삼아 2승 1패&득실차 +5로 조1위를 기록한 아틀레티코와 PSG처럼 2승 1패&득실차 +1을 거둔 보타포구 FR에게 득실차에서 밀리는 바람에(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득실차는 -1) B조 3위라는 성적으로 탈락함에 따라 2024-25 시즌의 훌리안 알바레스는 완전 무관이 확정되었다. 거기다 클럽 월드컵 B조 조별리그에서 치른 3경기에 참가한 훌리안 알바레스는 1도움에 그치는 등 평소보다 훨씬 못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21]
- 전 소속팀 선배인 게오르기 킨클라제와 매우 닮은 것으로 현지 SNS에서 유명하다.
- 거액에 아틀레티코로 이적했지만 주전 경쟁 상대가 맨체스터 시티에 있을 때와 동일한 노르웨이의 거구 왼발 골잡이다. 디에고 시메오네는 그리즈만, 쇠를로트, 훌리안을 모두 적절히 로테를 돌리며 기용하고 있으며, 이 세 명으로 쓰리톱을 완성시키는게 목표라고 한다.
5.2. WAGs
|
알바레스가 CA 리버 플레이트에서 뛰고 있었던 2022년 여름경부터 데이트를 해왔다고 한다.
6. 알바레스에 대한 언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훌리안 알바레스/관련 언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훌리안 알바레스/관련 언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5-26 시즌 스쿼드 | ||||
1 | 2 (3C) | 3 | 4 | 5 | |
후안 무소 Juan Musso 1994.05.06 ([age(1994-05-06)]) 2025~2028 | 호세 히메네스 José María Giménez 1995.01.20 ([age(1995-01-20)]) 2013~2028 | 마테오 루제리 Matteo Ruggeri 2002.07.11 ([age(2002-07-11)]) 2025~2030 | 코너 갤러거 Conor Gallagher 2000.02.06 ([age(2000-02-06)]) 2024~2029 | 조니 카르도주 Johnny Cardoso 2001.09.20 ([age(2001-09-20)]) 2025~2030 | |
6 (C) | 7 | 8 | 9 | 10 | |
코케 Koke 1992.01.08 ([age(1992-01-08)]) 2009~2026 | 앙투안 그리즈만 Antoine Griezmann 1991.03.21 ([age(1991-03-21)]) 2022~2027 | 파블로 바리오스 Pablo Barrios 2003.06.15 ([age(2003-06-15)]) 2022~2030 | 알렉산데르 쇠를로트 Alexander Sørloth 1995.12.05 ([age(1995-12-05)]) 2024~2028 | 알렉스 바에나 Álex Baena 2001.07.20 ([age(2001-07-20)]) 2025~2030 | |
11 | 12 | 13 (VC) | 14 | 15 | |
티아고 알마다 Thiago Almada 2001.04.26 ([age(2001-04-26)]) 2025~2030 | 카를로스 마르틴 Carlos Martín 2002.04.22 ([age(2002-04-22)]) 2023~2029 | 얀 오블락 Jan Oblak 1993.01.07 ([age(1993-01-07)]) 2014~2028 | 마르코스 요렌테 Marcos Llorente 1995.01.30 ([age(1995-01-30)]) 2019~2027 | 클레망 랑글레 Clément Lenglet 1995.06.17 ([age(1995-06-17)]) 2025~2028 | |
16 | 17 | 18 | 19 | 20 | |
나우엘 몰리나 Nahuel Molina 1998.04.06 ([age(1998-04-06)]) 2022~2027 | 다비드 한츠코 Dávid Hancko 1997.12.13 ([age(1997-12-13)]) 2025~2030 | 마르크 푸빌 Marc Pubill 2003.06.20 ([age(2003-06-20)]) 2025~2030 | 훌리안 알바레스 Julián Álvarez 2000.01.31 ([age(2000-01-31)]) 2024~2030 | 줄리아노 시메오네 Giuliano Simeone 2002.12.18 ([age(2002-12-18)]) 2022~2028 | |
21 | 22 | 23 | 24 | ||
하비 갈란 Javi Galán 1994.11.19 ([age(1994-11-19)]) 2023~2026 | 자코모 라스파도리 Giacomo Raspadori 2000.02.18 ([age(2000-02-18)]) 2025~2030 | 니콜라스 곤살레스 Nicolás González 1998.04.06 ([age(1998-04-06)]) 2025~2026[1] | 로뱅 르노르망 Robin Le Normand 1996.11.11 ([age(1996-11-11)]) 2024~2029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5-26 시즌 리저브팀 콜업 명단 | |||||
26 | 27 | 28 | 29 | 31 | |
일리아스 코스티스 Ilias Kostis 2003.02.27 ([age(2003-02-27)]) 2022~2027 | 하노 몬세라테 Jano Monserrate 2006.01.28 ([age(2006-01-28)]) 2024~2027 | 타우픽 세이두 Taufik Seidu 2008.01.20 ([age(2008-01-20)]) 2025~2029 | 라야네 벨라이드 Rayane Belaid 2005.02.11 ([age(2005-02-11)]) 2024~2027 | 살비 에스키벨 Salvi Esquivel 2005.09.30 ([age(2005-09-30)]) 2024~2027 | |
42 | |||||
하비 세라노 Javi Serrano 2003.01.16 ([age(2003-01-16)]) 2021~2026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5-26 시즌 임대 선수 | |||||
1 | 7 | 11 | |||
호라치우 몰도반 Horațiu Moldovan 1998.01.20 ([age(1998-01-20)]) 2025~2026 레알 오비에도 임대 2026.06.30 복귀[옵션] | 로드리고 데 파울 Rodrigo De Paul 1994.05.24 ([age(1994-05-24)]) 2025 인터 마이애미 CF 임대 2025.12.31 복귀[옵션] | 토마 르마 Thomas Lemar 1995.11.12 ([age(1995-11-19)]) 2025~2026 지로나 FC 임대 2026.06.30 복귀 | |||
구단 정보 | |||||
<rowcolor=#fff> 감독: 디에고 시메오네 / 홈구장: 리야드 에어 메트로폴리타노 | |||||
<rowcolor=#000,#fff> 출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공식 웹사이트, 라리가 공식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9월 27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 <rowcolor=#000>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골 | 소속 클럽 | |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 1 | 왈테르 베니테스 Walter Benítez | 1993년 3월 19일 ([age(1993-03-19)]세) | 1 | 0 | | ||
12 | 헤로니모 룰리 Gerónimo Rulli | 1992년 5월 20일 ([age(1992-05-20)]세) | 6 | 0 | | |||
23 | 에밀리아노 마르티네스 Emiliano Martínez | 1992년 9월 2일 ([age(1992-09-02)]세) | 54 | 0 | | |||
DF | 2 | 나우엘 몰리나 Nahuel Molina | 1998년 4월 6일 ([age(1998-04-06)]세) | 53 | 1 | | ||
3 | 니콜라스 탈리아피코 Nicolás Tagliafico | 1992년 8월 31일 ([age(1992-08-31)]세) | 71 | 1 | | |||
4 | 곤살로 몬티엘 Gonzalo Montiel | 1997년 1월 1일 ([age(1997-01-01)]세) | 36 | 1 | | |||
6 | 레오나르도 발레르디 Leonardo Balerdi | 1999년 1월 26일 ([age(1999-01-26)]세) | 6 | 0 | | |||
8 | 마르코스 아쿠냐 Marcos Acuña | 1991년 10월 28일 ([age(1991-10-28)]세) | 61 | 0 | | |||
13 | 크리스티안 로메로 Cristian Romero | 1998년 4월 27일 ([age(1998-04-27)]세) | 42 | 3 | | |||
19 | 니콜라스 오타멘디 Nicolás Otamendi | 1988년 2월 12일 ([age(1988-02-12)]세) | 125 | 7 | | |||
- | 후안 포이스 Juan Foyth | 1998년 1월 12일 ([age(1998-01-12)]세) | 20 | 0 | | |||
- | 훌리오 솔레르 Julio Soler | 2005년 2월 16일 ([age(2005-02-16)]세) | 0 | 0 | | |||
MF | 5 | 레안드로 파레데스 Leandro Paredes | 1994년 6월 29일 ([age(1994-06-29)]세) | 74 | 5 | | ||
7 | 로드리고 데 파울 Rodrigo De Paul | 1994년 5월 24일 ([age(1994-05-24)]세) | 79 | 2 | | |||
8 | 엔소 페르난데스 Enzo Fernández | 2001년 1월 17일 ([age(2001-01-17)]세) | 37 | 5 | | |||
14 | 에세키엘 팔라시오스 Exequiel Palacios | 1998년 10월 5일 ([age(1998-10-05)]세) | 37 | 0 | | |||
18 | 니코 파스 Nico Paz | 2004년 9월 8일 ([age(2004-09-08)]세) | 4 | 0 | | |||
20 | 알렉시스 맥 알리스터 Alexis Mac Allister | 1998년 12월 24일 ([age(1998-12-24)]세) | 38 | 4 | | |||
21 | 프랑코 마스탄투오노 Franco Mastantuono | 2007년 8월 14일 ([age(2007-08-14)]세) | 2 | 0 | | |||
- | 클라우디오 에체베리 Claudio Echeverri | 2006년 1월 2일 ([age(2006-01-02)]세) | 0 | 0 | | |||
- | 알란 바렐라 Alan Varela | 2001년 7월 4일 ([age(2001-07-04)]세) | 0 | 0 | | |||
FW | 9 | 훌리안 알바레스 Julián Álvarez | 2000년 1월 31일 ([age(2000-01-31)]세) | 44 | 12 | | ||
10 | 리오넬 메시 Lionel Messi | 1987년 6월 24일 ([age(1987-06-24)]세) | 194 | 114 | | |||
15 | 니콜라스 곤살레스 Nicolás González | 1998년 4월 6일 ([age(1998-04-06)]세) | 44 | 6 | | |||
16 | 티아고 알마다 Thiago Almada | 2001년 4월 26일 ([age(2001-04-26)]세) | 11 | 4 | | |||
17 | 줄리아노 시메오네 Giuliano Simeone | 2002년 12월 18일 ([age(2002-12-18)]세) | 6 | 1 | | |||
- | 발렌틴 카르보니 Valentín Carboni | 2005년 3월 5일 ([age(2005-03-05)]세) | 3 | 0 | | |||
- | 호세 마누엘 로페스 José Manuel López | 2000년 12월 6일 ([age(2000-12-06)]세) | 0 | 0 | | |||
일정 | 2026 FIFA 월드컵 남미 지역예선 | 2025년 9월 5일(금) | 홈 | | ||||
2025년 9월 10일(화) | 원 |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7일 |
훌리안 알바레스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둘러보기 틀 모음 | |||
개인 수상 | ||||
| | |||
베스트팀 | ||||
|
FIFA 월드컵 우승 멤버 |
훌리안 알바레스의 기타 정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연도별 전 세계 축구 이적료 1위 | ||||
2023 데클란 라이스 (1억 1160만 €) | → | 2024 훌리안 알바레스 (9500만 €) | → | 2025 알렉산더 이삭 (1억 4,500만 €) |
1 아르마니 · 2 M.콰르타 · 3 탈리아피코 · 4 몬티엘 · 5 파레데스 · 6 페첼라 · 7 데 파울 · 8 아쿠냐 · 9 쿤 아구에로 · 10 메시 ⓒ 11 디 마리아 · 12 마르체신 · 13 로메로 · 14 팔라시오스 · 15 곤살레스 · 16 코레아 · 17 도밍게스 · 18 로드리게스 · 19 오타멘디 20 로 셀소 · 21 코레아 · 22 L. 마르티네스 · 23 E. 마르티네스 · 24 고메스 · 25 마르티네스 · 26 몰리나 · 27 J. 알바레스 · 28 무소 |
|
1 아르마니 · 2 포이스 · 3 탈리아피코 · 4 몬티엘 · 5 파레데스 · 6 페첼라 · 7 데 파울 · 8 아쿠냐 · 9 J. 알바레스 · 10 메시 ⓒ 11 디 마리아 · 12 룰리 · 13 로메로 · 14 팔라시오스 · 15 코레아 · 16 T. 알마다 · 17 고메스 · 18 로드리게스 · 19 오타멘디 20 맥 알리스터 · 21 디발라 · 22 L. 마르티네스 · 23 E. 마르티네스 · 24 E. 페르난데스 · 25 마르티네스 · 26 몰리나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
1 아르마니 · 2 M. 콰르타 · 3 탈리아피코 · 4 몬티엘 · 5 파레데스 · 6 페첼라 · 7 데 파울 · 8 아쿠냐 · 9 J. 알바레스 · 10 메시 ⓒ 11 디 마리아 · 12 룰리 · 13 로메로 · 14 팔라시오스 · 15 곤살레스 · 16 로 셀소 · 17 가르나초 · 18 로드리게스 · 19 오타멘디 20 맥 알리스터 · 21 카르보니 · 22 L. 마르티네스 · 23 E. 마르티네스 · 24 E. 페르난데스 · 25 마르티네스 · 26 몰리나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3F3F; font-size: 0.8em;" |
2019년 골닷컴 선정 NXGN (U-20) 유망주 50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11px" | 제이든 산초 |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 캘럼 허드슨오도이 | 필 포든 | 호드리구 |
알폰소 데이비스 | 산드로 토날리 | 디에고 라이네스 | 모이스 킨 | 모건 깁스화이트 | |
라이언 세세뇽 | 페란 토레스 | 소피안 디오프 | 이선 암파두 | 에릭 가르시아 | |
메이슨 그린우드 | 티모시 웨아 | 파울리뉴 | 아구스틴 알멘드라 | 오렐리앵 추아메니 | |
도미니크 소보슬라이 | 브누아 바디아실 | 키야나 후버르 | 피에트로 펠레그리 | 아메드 주니어 트라오레 | |
얀피테 아르프 | 아벨 루이스 | 이강인 | 윌렘 죄벨스 | 라이언 흐라벤베르흐 | |
리안 브루스터 | 에밀 스미스 로우 | 엘링 홀란드 | 조슈아 서전트 | 링콩 | |
세르히오 고메스 | 훌리안 알바레스 | 후안 미란다 | 아민 구이리 | 오잔 카바크 | |
티아고 알마다 | 레오나르도 캄파나 | 안토니오 마린 | 가브리에우 브라장 | 안테 팔라베르사 | |
무함마드 이하타렌 | 브레네르 | 야리 페르스하런 | 쿠보 타케후사 | 크리스티안 프뤼흐틀 |
[1]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공식 프로필[2] 세컨드 스트라이커, 윙어도 소화 가능하며 맨시티에서는 엘링 홀란드의 존재로 인해 공격형 미드필더로도 출전했었다.[3] 2025년 9월 10일 기준[4] 피날리시마 2022,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2024 코파 아메리카 미국[5] 2021 코파 아메리카 브라질[6] 알바레스가 시티에서 스트라이커 포지션으로 뛰었던 경우는 홀란드가 부상으로 결장하거나, 비교적 약팀을 상대로 한 로테이션 경기밖에 없다.[7] 이러한 지능, 활동량, 이타심을 바탕으로 2022년 카타르 월드컵에서 리오넬 메시를 완벽하게 보좌했다.[8] 그럼에도 잠시나마 덕배의 공백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좋은 모습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알바레스의 공격 전개 능력이 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9] 공교롭게도 어엿한 축구선수가 된 지금의 플레이 스타일도 왕성한 활동량과 수비에 대한 전방 압박으로 공을 향해 딱 붙어서 포기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에 꽤나 잘 어울리는 별명이다.[10] 해외축구 갤러리에서 '무관귀신'이라는 별명이 붙은 손흥민과 해리 케인의 정반대 케이스라는 이유로 생긴 별명이다.[11] 사실 올림픽도 2024년 파리 올림픽에 출전해 올림픽 메달을 딸 기회가 있었으나 아쉽게도 8강에서 프랑스한테 져서 탈락했다.[12]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리가 프로페시오날과 월드컵을 제외하면 전부 교체 자원으로 이룬 우승이었다는 점이다. 물론 맨체스터 시티에는 같은 포지션에 하필이면 엘링 홀란드라는 괴물 공격수가 있어서 그렇지 알바레스도 교체 자원으로서는 충분히 훌륭한 활약을 해줘 시티의 트레블에 기여한 건 사실이고 월드컵에서의 활약으로 다른 팀이라면 충분히 주전으로 뛸 실력이라는 것을 증명해냈다.[13] 펠레가 1962년 브라질 주립리그, 전국리그,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인터컨티넨탈컵, 월드컵 우승을 달성하며 한 해에 5개의 우승컵을 들어올렸지만 당시 산투스가 컵대회에 불참하여 트레블로 봐야 할지 논란이 있다.[14] 반대로 무관귀신이라 불리며 훌리안과 반대로 무관력이 상당한 해리 케인 역시 훌리안과 마찬가지로 안 좋은 의미로 대기록을 세운 적이 있는데 토트넘에서 뮌헨으로 이적한 2023-24 시즌에서 분데스리가 득점왕, 유러피언 골든슈, 챔스 득점왕, 유로 득점왕 등 한 시즌에 무려 4개의 득점왕을 따냈는데도 정작 리그, 챔스, 유로 등 모든 대회에서 무관이라는 말도 안 되는 업적을 쌓았다(...). 심지어 공격포인트마저 5대 리그에서 1위까지 했다.[15] 알바레스 입장에서는 2020년에 우승에 실패한 이후 5년 만의 무관 시즌이며, 유럽 진출 이후에 맞는 첫 무관 시즌이다. 아이러니한 사실은 원래 코파 2021은 2020년에 코파 2020 타이틀을 달고 조국인 아르헨티나와 콜롬비아에서 열렸어야 했으나, 코로나 19 범유행 사태와 이로 인해 촉발된 콜롬비아 내부의 폭동으로 인해 두 나라 모두 개최권을 포기하는 바람에 대회 개최지가 2브라질로 넘어간 것도 모자라 2021년에야 대회를 가질 수 있었다. 즉, 2020년에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에 훌리안 알바레스가 뽑힌 상태에서 우승했다면 그 기뿜을 자국 영토 안에서 누렸다는 것. 결국 코로나는 알바레스가 맞을 수 있었던 기쁨을 빼앗는 것도 모자라(그나마 2021년에 브라질에서 열린 대회에서는 아르헨티나가 우승했을 때 명단에 든 덕분에 우승의 기쁨 자체는 누릴 수 있었다.) 종식 이후에는 "프로 데뷔 이래 국대나 클럽 커리어 둘 다 무관으로 끝낸 시즌이 전무한 선수"라는 타이틀을 가지지 못 하게 만든 셈.(바꿔 말하자면 2020년에 코로나가 없었을 때 코파 아메리카 2020에 나간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엔트리에 알바레즈가 있던 상황에서 우승했다면 프로 데뷔와 첫 우승을 경험한 2018년부터 2024년까지는 클럽 혹은 국대에서 우승을 못한 시즌이 없었을 것이다.)[16] 단, 맨시티는 2024-25 시즌 극초반에 치른 FA 커뮤니티 실드에서 맨유를 승부차기에서 제압하고 트로피를 든 덕분에 완전 무관까지는 피했다. 다만 축구계에서 유관과 무관을 나누는 기준은 시즌 초반부터 후반까지 다양한 팀들과 여러 경기를 치르는 특성으로 인해 제일 중요하게 보는 1부 리그와 FA컵, 경우에 따라 대륙 내 클럽 대항전(유럽의 경우, UEFA가 주관하는 챔피언스 리그와 유로파 리그, 컨퍼런스 리그) 3개 대회 우승 여부로 결정하기 때문에 세 대회에서 하나라도 우승하지 못 한 맨시티는 무관이라는 평가를 들어도 할 말이 없다. 실제로 2024-25 시즌 레알 마드리드는 시즌 도중에 UEFA 슈퍼컵과 FIFA 인터컨티넨탈컵 2024에서 우승을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라리가와 코파 델 레이 준우승과 챔스 4강 탈락이라는 결과로 인해(거기다 레알 마드리드는 같은 시즌의 맨시티와 달리 스페인의 슈퍼컵인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사실도 있다.) 세간에서 무관 시즌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17] 이는 FIFA 클럽 월드컵 2025 대회가 2024-25 시즌의 연장선 격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2024-25 시즌을 끝으로 구단을 떠나는 선수들 가운데 해당 대회에 참가한다고 의사를 표명한 선수와 그렇지 않을 것이라는 의사를 표명한 선수가 갈리는 것이(전자에 해당되는 선수로는 FC 바이에른 뮌헨 소속의 토마스 뮐러와 레알 마드리드의 루카 모드리치가 있으며, 후자의 해당되는 선수로는 맨시티의 케빈 더 브라위너와 바이에른 뮌헨의 에릭 다이어가 있다.) 그 증거이다.[18] 그리고 훌리안 알바레스는 맨시티가 2024년 하반기에 참가한 FA 커뮤니티 실드 당시에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이적 사가로 인해 명단에서 제외를 당한 데다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과 남미 축구 연맹은 2026 FIFA 월드컵 지역예선 일정이 2025-26 시즌 초반까지 있는지라 1등을 위한 트로피가 걸린 메이저 대회를 개최하지 않기 때문에 국가대항전에서 우승을 차지할 기회도 없다. 그나마 2024-25 시즌 직전에 치른 2024 파리 올림픽 남자축구 부문에서 아르헨티나 U-23 축구대표팀 신분(연 23세를 초과하는 나이로 인해 와일드카드로 발탁)으로 참가했을 당시에는 8강에서 프랑스 U-23 축구대표팀에게 1-0을 패배하면서 빈손으로 본국에 돌아오는 바람에 해당 시즌을 유관으로 끝냈다고 주장할 마지막 여지조차 사라지고 말았다.[19] 거기다 레알과 뮌헨, 맨시티와 인테르는 세간의 기대보다 실망스러운 성적을 낸 채로 2024-25 시즌을 마무리했던 바람에 본인들이 참가해야만 하는 대회와 경기의 숫자를 강제로 늘린 FIFA에 대한 원망과는 별개로 해당 대회를 마지막 명예 회복 기회로 여기고 득달같이 달려들 가능성이 매우 높다. 게다가 해당 팀들은 개편 이전의 클럽 월드컵에 최소 1번은 참가한 적이 있는 데다 그때마다 우승을 거두고 돌아갔던 만큼 관련 DNA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인 반면,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해당 대회에 참가한 적도 없는 것은 둘째치고 사실상의 전신으로 취급받는 대회인 인터컨티넨탈컵(2024년에 창설된 FIFA 인터컨티넨탈겁과는 별개이자 그 전신격인 대회이다.)에서는 한 번만 나간 것이 고작인지라 관련 DNA는 사실상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다.(이마저도 1974년에 유러피언 컵을 우승한 바이에른 뮌헨이 못 나가는 바람에 준우승팀인 아틀레티코가 대신 나간 것이다. 그나마 그때는 우승했다.) 그나마 내세워볼 만한 체급에 어울리지 않는 경험을 가진 팀은 PSG가 있긴 하나(클월 첫 참가), 2024-25 시즌에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정규 시즌 무관에 그친 반면에 PSG는 구단 역사상 첫 트레블을 노릴 정도로 사정이 좋은 데다 트레블 달성 이후 도전할 수 있는 전관왕 타이틀도 개편 이후에 치러지는 클월 우승 시에 더욱 올라가는 만큼(이전에는 클월이 1년에 한 번씩 개최된 데다 그마저도 유럽 팀과 전력 차가 많이 나는 비유럽 쪽의 6팀을 포함에서 7팀만 참가하며, 결정적으로 유럽 팀은 4강부터 배정받았던 만큼 트레블을 한 어지간해서는 유럽 팀이 우승했었다. 하지만 대회 개편 이후부터 클월은 4년에 1번씩 열리는 데다 참가할 수 있는 구단의 수도 32개로 늘은 만큼 전보다 권위가 더 높아졌다. 당연히 개편된 클월이 있는 해에 전관왕을 한 구단이랑 없는 해의 전관왕을 한 구단은 달성 난도와 위상에서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죽기살기로 덤벼들 것이 분명하며, 설령 트레블에 실패해도 인테르에게 당한 걸 푼다는 자세로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게 난적이 될 것이다. 이외의 빅클럽들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비슷한 사정과 전력을 가진 클럽들이 다수인지라 만나지도 못 할 가능성이 높고, 따라서 결승에서는 일반적인 빅클럽보다는 당장 빅 이어를 차지해도 이상하지 않을 메가 클럽들을 만나게 될 확률이 높다.[20] 조별리그의 경우, 두 팀은 조가 다르기 때문에(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B조, 맨시티는 E조) 만날 일이 없다. 그리고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맨시티 중 한 팀이 조별리그 2위를 한 상황에서 두 팀 모두 16강과 8강을 통과했을 경우, 4강에서 만날 수 있다. 만일 두 팀이 모두 조별리그 1위 혹은 조별리그 2위를 한 상태라면 대진표 상 결승전 이전까지는 만날 수 없다.[21] 여담으로 훌리안 알바레스가 완전 무관을 하고 맨시티가 3개의 주요 대회에서 우승에 실패한 2025년에는 오랜 기간 무관으로 지냈던 프로축구 구단들과 선수들이 우승을 통하여 성불하는 상황이 여러 차례 발생하였다. 어쩌면 알바레스와 맨시티가 가진 강한 유관력이(훌리안 알바레스는 맨시티 시절을 제외하고 보더라도 본인이 프로로 데뷔한 CA 리버 플레이트에서 데뷔 시즌부터 다양한 우승을 경험한 데다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에서는 2번의 코파 아메리카 우승과 1번의 FIFA 월드컵 우승, 2022 피날리시마 우승을 연속으로 했으며, 트레블과 월드컵 우승을 단일 시즌에 달성한 최초의 선수이자 현재까지는 유일한 선수라는 대기록까지 세웠다. 그리고 맨시티는 2017-18 시즌부터 2023-24 시즌까지는 리그, FA컵, 리그컵, 챔스 가운데 최소 하나씩은 우승을 경험했던 데다 훌리안 알바레스가 해당 구단에서 맞은 두 번째 시즌인 2022-23 시즌에는 잉글랜드에 위치한 구단 중에서는 두 번째로 트레블을 달성했으며, 2023-24 시즌에는 잉글랜드에 위치한 구단 가운데 최초로 1부 리그 4연패를 달성한 데다 같은 시즌 FA컵에서 결승까지 오른 이후 맨유에게 패하기 전까지는 더블까지 노리던 팀이었다.) 2025년에 성불하게 된 구단들과 선수들에게 분산되었을 때 그들이 가진 강한 무관력을 같은 시즌 만에 거의 다 받아버린 꼴이 된 셈. 단적으로 앞선 각주에서 훌리안 알바레스와 정반대의 예시로 든 해리 케인은 훌리안 알바레스가 리그/챔스/FA컵 무관이 확정된 2024-25 시즌에 분데스리가 우승을 통한 무관 탈출에 성공했다. 즉, 두 선수는 같은 시즌에 정반대의 결과를 맞은 셈이다.[22] 본명은 마리아 에밀리아 페레로(Maria Emilia Ferrero)이지만 중간 이름을 첫 번째로 사용하고 있다.
분류
- 훌리안 알바레스
- 2018년 데뷔
- 2000년 출생
- 코르도바 주 출신 인물
- 아르헨티나의 남자 축구 선수
- CA 리버 플레이트/은퇴, 이적
- 맨체스터 시티 FC/은퇴, 이적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현역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
- 아르헨티나의 코파 아메리카 참가 선수
- 2021 코파 아메리카 브라질 참가 선수
- 2024 코파 아메리카 미국 참가 선수
- 2024 파리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올림픽 축구 와일드카드
- 아르헨티나의 FIFA U-20 월드컵 참가 선수
- 2019 FIFA U-20 월드컵 폴란드 참가 선수
- FIFA 월드컵 우승 선수
- 남자 축구 스트라이커
- 남자 축구 세컨드 스트라이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