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의 前 레이싱 드라이버 | ||||
| ||||
<colbgcolor=#eeeeee,#191919> 이름 | 필리피 마사[1] Felipe Massa | |||
출생 | 1981년 4월 25일 ([age(1981-04-25)]세) 브라질 상파울루주 상파울루 | |||
국적 |
| |||
배우자 | 배우자 아나 하파엘라 바시(2007년 결혼) | |||
자녀 | 필리피뉴 마사(2009~) | |||
서명 | ||||
정보 더 보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eeeeee,#191919> F1 | |||
출전 횟수 | 272경기 | |||
월드 챔피언 | 0회 | |||
그랑프리 우승 | 11회 | |||
포디움 | 41회 | |||
폴 포지션 | 16회 | |||
패스티스트 랩 | 15회 | |||
첫 그랑프리 | 2002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 |||
첫 그랑프리 우승 | 2006 호주 그랑프리 | |||
마지막 그랑프리 우승 | 2008 브라질 그랑프리 | |||
마지막 그랑프리 | 2017 아부다비 그랑프리 | |||
소속 | 자우버 페트로나스 (2002, 2004~2005) 스쿠데리아 페라리 (2006~2013) 윌리엄스 마르티니 레이싱 (2014~2017) | }}} |
<bgcolor=#fff> | |
마사의 공식 로고 | 마사의 2010년 헬멧 |
1. 개요
브라질 출신의 前 레이싱 드라이버. 포뮬러 1에선 2002년부터 2017년까지 경쟁했으며, 2008년에는 스쿠데리아 페라리 말보로 소속으로 1점 차로 준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포뮬러 E와 스톡카 프로 시리즈에서 활동했고, 2025년 IMSA 웨더텍 스포츠카 챔피언십의 데이토나 24시를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마사는 또한 CIK - FIA 카트 레이싱 협회장을 맡기도 했었다.
2. 선수 경력
2.1. 포뮬러 1
2.1.1. 자우버 F1 팀
|
이후 페라리의 테스트 드라이버를 거쳐 2004년 다시 자우버[2]로 돌아와 12포인트 12위, 그 이듬해인 2005년에는 전직 챔피언 자크를 발라버리며 11포인트 13위를 기록한 후, 드디어 2006년 페라리의 정식 드라이버로 입성한다.
2.1.2. 스쿠데리아 페라리
2.1.2.1. 2006 시즌
|
2.1.2.2. 2007 시즌
2007년에는 슈마허의 뒤를 이어 영입된 키미 래이쾨넨과 짝을 맞춰 94포인트 4위를 기록했다. 캐나다 그랑프리에서는 피트 레인의 신호등을 무시한 채 피트 아웃한 이유로 흑색기를 판정받아 피트인 하게 되었다. 본래 터키 그랑프리까지 챔피언십 순위에서 팀메이트 래이쾨넨보다 앞서며 페라리가 계약상 퍼스트 드라이버로 밀어주고 있었다. 다음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는 래이쾨넨을 앞서며 3위로 퀄리파잉을 마쳤지만, 레이스에서 서스펜션이 고장나며 리타이어했다. 이후 래이쾨넨의 챔피언십을 지원해주는 역할을 맡았다.2.1.2.3. 2008 시즌
2008 시즌은 마사에게는 천추의 한으로 남게 될, 마지막으로 챔피언십 경쟁을 한 시즌이었다. 페라리의 차량인 F2008은 그리드 내에서 가장 빠른 차량이었지만 내구성 문제가 심각해 마사와 래이쾨넨 둘 다 고전을 했다. 그래도 싱가포르 GP 전까지 마사는 시즌 5승을 거두며 커리어 최고의 페이스를 보이고 있었고, 루이스 해밀턴과 함께 유력한 챔프 후보로 각광받고 있었다. |
프랑스 GP에서는 팀메이트 래이쾨넨에 이어 2위 그리드에서 시작했다. 그러나 래이쾨넨의 차량의 문제가 발생해 점점 느려졌고, 마사가 우승을 차지해 순식간에 챔피언십 1위 자리에 올랐다.
|
싱가포르 GP에서 르노의 넬슨 피케 주니어 레이스 도중 방호벽에 충돌하는 사고로 리타이어했고, 세이프티 카가 발령되면서 마사를 포함한 대다수의 드라이버가 피트스탑을 시도했는데 마사가 피트스탑 도중 연료호스가 채 분리되지 않은 채 출발하는 바람에(일명 아나콘다 사건) 시간 손해+페널티까지 받게 된다. 결국 폴 포지션을 차지했던 마사는 포인트권에서 멀어지고, 챔피언십 경쟁에서 불리해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후 피트스탑을 유발한 넬슨 피케의 사고는 페르난도 알론소의 우승을 위한 르노 팀 차원에서의 조작임이 밝혀진다. 2008년 싱가포르 그랑프리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크래쉬 게이트 문서 참고.
|
2.1.2.4. 2009 시즌
2009년 시즌 도중 맥라렌과 만나 여러 이적 논의를 가졌는데, 맥라렌측은 마사를 2010 시즌 드라이버로 이적시키고 싶어했으나, 마사 측은 스쿠데리아 페라리에 남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한다.#마사의 커리어를 바꾼 끔찍한 사고 |
2009년에는 페라리의 F60이 망작이 되면서 망한 차량으로 고군분투했다. 그런 와중 큰 부상이 그를 덮치는데, 헝가리 GP 예선에서 마사 앞에서 달리던 브런 GP의 바리첼로의 차량에서 떨어져 나온 스프링이 마사의 헬멧을 강타했고, 의식을 잃은 마사는 스로틀과 브레이크를 둘다 밟은 채로 배리어에 들이받은 것.사고 직후 사진. 혐짤 주의 다행히 생명에 지장은 없었지만, 부상 회복에 시일이 오래 걸린다는 진단에 따라 시즌 아웃되고 말았다. 마사의 빈 자리를 두고 슈마허의 복귀설 등 여러 설이 나돌았지만, 결국 루카 바도어, 지안카를로 피지켈라가 마사를 대체하여 남은 시즌을 달리게 되었다. 그리고 슈미의 복귀설은 이듬해 메르세데스 GP에서 이뤄지게 된다. 마사는 시즌 아웃이 된 아쉬움을 고국 브라질 GP에서 체커기를 흔드는 것으로 달래야 했다.
2.1.2.5. 2010 시즌
부상에서 회복된뒤 복귀한 2010년, 팀에는 다시 큰 변화가 생겼다. 키미 래이쾨넨이 물러나고 막강한 스폰서를 앞세운 페르난도 알론소가 마사의 새 동료가 된 것. 그리고 팀은 마사를 무자비하게 희생시켜 가며 페르난도 알론소 원탑 체제로 돌리기 시작한다. 조정된 디퓨저와 같은 업그레이드된 파츠들을 알론소에게만 적용하는 등 페라리는 맹목적으로 알론소를 밀어주고 있었다.그중 팀오더 논란이 나온 독일 GP. 47랩째까지 1위로 순항하고 있던 마사에게 담당 레이싱 엔지니어 롭 스메들리의 "Fernando is faster than you. Can you confirm you understood that message?"(페르난도가 너보다 더 빠르다. 무슨 말인지 알아듣겠나?)라는 팀 라디오가 흘러 나왔고, 이후 마사는 속도를 줄여 2위였던 페르난도 알론소에게 자리를 비켜준다. 그리고 이후 "OK mate, good lad. Just stay with him now. Sorry."(OK 친구, 착한 친구군. 그대로 그와 유지해라. 미안하다.)라는 팀라디오가 다시 나오면서 이는 페라리의 팀 오더였음이 확실해졌다. 사실상 2010시즌의 유일한 우승 기회를 이렇게 날리면서 2010 시즌은 144포인트로 6위에 그친다.[5][6]
2.1.2.6. 2011 시즌
해밀턴과 마사의 충돌 장면들 |
2011시즌도 상황이 딱히 변하진 않았고, 차량도 이전처럼 시원찮아 중상위권에서 꾸준히 포인트를 올리는 것으로 그쳤다.[7] 포디엄조차 한번 오르지 못하고 118포인트 6위. 이 와중에 루이스 해밀턴과의 악연이 계속 화제가 되었는데, 2011시즌 루이스 해밀턴의 과격한 드라이빙에 가장 많이 희생된 드라이버가 바로 마사. 모나코 GP에서 해밀턴과의 충돌로 프론트윙을 잃고 방호벽에 충돌하여 리타이어한 것을 시작으로 싱가폴 GP에선 해밀턴이 마사의 리어 타이어를 충격, 펑쳐가 난 마사가 엄청난 시간손해를 보며 9위로 처진다. 격분한 마사가 해밀턴의 인터뷰 도중 난입해 해밀턴을 비꼬기도. 그럼에도 다음 GP인 일본 GP에서 다시 해밀턴과 마사의 컨택으로 마사의 프런트윙이 일부 손상되자, 더이상 참다 못한 마사가 FIA에 제소한 상태. 둘의 갈등이 어떤식으로 결말이 지어질지 알 수 없는 상황. 인도 GP에서는 그간의 양상과는 조금 다른 컨택이 이루어졌는데, 오버테이크 시도를 하던 해밀턴을 마사가 블로킹하는 과정에서 컨택이 일어나 드라이브 스루 페널티를 받는 일도 있었다.[8] 결국 최종전 브라질 GP에 와서, 해밀턴이 마사와 화해를 하면서 일단락 되는 모습.
2.1.2.7. 2012 시즌
2012 시즌 전반기에는 2011 시즌은 저리가라 할 정도로 고전했다. 헝가리 GP까지 Q3에 오른 건 단 네 차례 뿐이었으며 바레인, 모나코, 캐나다, 영국, 헝가리 GP에서 획득한 25포인트로 14위에 머물고 있었다. 페르난도 알론소의 164포인트와 비교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었고 이런 부진한 성적에 페라리가 마사를 대체할 드라이버를 찾고 있다는 루머가 언론에 퍼지기도 했다.[9] 페라리 측이나 루머의 주인공이 된 드라이버들은 모두 부인했지만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면 그 루머가 현실이 되지 않는다는 보장도 없기 때문에 분발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마사가 2009년 부상의 후유증이 아직도 남아있기 때문인가 하는 의문을 가지기도 했다. 참고로 마사의 포디움 피니쉬는 2010년 코리아 GP 이후로 소식이 전무했다. |
한국 GP에서는 6그리드에서 출발하였는데 처음부터 내달린 페텔과 웨버는 따라잡지 못했지만 루이스 해밀턴과 키미 래이쾨넨을 제치고 4위까지 올라왔다. 하지만 팀메이트인 알론소가 3위였기에 간격을 유지하라는 팀 오더가 내려왔고 그대로 4위를 기록해야만 했다.[10] 만약 3위권 내에 알론소 또는 팀 오더가 없었다면 그대로 추월해 포디움 피니쉬 할 기세였기에 팬들은 아쉬워 할 수밖에 없던 경기. 하지만 알론소와 간격을 유지해야 하는 상황이었음에도 몇차례나 알론소를 추격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팬들에게 남은 경기 동안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으리란 기대를 갖게 해 주었다.
인도와 아부다비 GP에서도 6,7위를 기록하며 꾸준이 순위권에 들어오고 있었으나 미국 GP에서는 팀메이트인 알론소 보다 높은 순위를 차지한 결과 알론소의 스타팅 그리드를 끌어올리기 위한 페라리에 의해 기어박스 봉인을 떼이는 바람에 5그리드 페널티를 받게 되었다. 하지만 무난한 레이스를 펼치며 각각 3,4위를 차지해 마사도 페라리도 어느 정도 목적은 달성한 셈이 되었다.
그리고 대망의 마지막 브라질 GP. 마사는 투어링카 레이서였던 자신의 아버지를 기념하기 위한 특별 헬멧을 쓰고 경기에 임했다. 퀄리파잉 결과는 5그리드. 이번에도 알론소 보다 앞서 있었기에 또 다시 같은 일이 벌어지지 않을 까 하는 우려도 있었으나 다행히 순위변동은 없었다.
그리고 경기가 시작되었는데 마사는 스타트 직후 앞서 치고 나가며 2위까지 오른 뒤 다른 드라이버들을 강하게 압박하기 시작했다. 다른 경쟁자들이 치고 올라오지 못하게 철저히 방어를 하면서 알론소의 순위를 끌어올리려 애썼고 본인의 순위가 뒤쳐짐에도 지속적인 압박을 가했다. 최우선 목표는 당연히 알론소의 경쟁 상대인 페텔이었는데 레드불 피트에서 마사를 조심하라는 말을 전하기도 했다. 비가 내리는 와중에도 타이어를 교체하지 않고 최대한 스틴트를 길게 가져가면서 알론소의 순위를 끌어올리는 데 모든 것을 쏟아부으며 본인의 순위를 조금씩 끌어올린결과 최종 결과는 3위. 시즌 2번째 포디움이며 08년 이후 4년만에 고국의 포디움에 오르는 데 성공했다. 포디움에 올라서 눈물을 흘렸는데 후에 인터뷰에서 밝히길 포디움에 올랐다는 기쁨보다 그동안의 압박에서 벗어나게 된 것이 기뻤기 때문이라고 밝혀 팬들의 마음을 짠하게 만들었다.
이로서 마사가 획득한 포인트는 122점으로 7위를 기록했다. 그 동안의 부진을 벗어나 시즌 후반 멋진 모습을 보여준것에 대해 팬들은 환호하고 있으며 페라리와의 계약 또한 2013년까지 연장되었음이 확정되었다.
2.1.2.8. 2013 시즌
2013 시즌 초반엔 나름 좋은 모습을 보이며 스페인 GP에서 3위로 포디움에 올랐으나 그 뒤 부진에 빠지며 페라리는 마사를 대신해 키미 래이쾨넨과 계약을 맺었고, 페라리와 마사의 길고 길었던 연은 여기서 끝나게 된다. 드라이버 순위는 2012 시즌과 마찬가지로 7위.2.1.3. 윌리엄스 레이싱
2.1.3.1. 2014 시즌
|
윌리엄스에서의 첫 레이스 호주 GP에서는 코바야시 카무이와 추돌하며 리타이어를 기록했다. 그리고 말레이시아 GP에서는 팀이 발테리 이즈 패스터 댄 유를 시전하며 보타스에게 자리를 내주라는 팀오더를 냈지만 페라리 시절에 순순히 자리를 알론소에게 내줄 때와는 달리 전혀 자리를 내주지 않으며 팀메이트 보타스의 앞에서 레이스를 마쳤다.
캐나다 GP 에서 이적 후 첫 포디움에 올라갈 찬스를 맞았으나, 3위 자리를 두고 세르히오 페레스와 치열하게 배틀을 하다 결국 충돌하며 큰 사고를 내며 리타이어했다.
2014 오스트리아 폴 포지션을 차지한 마사 |
2014 시즌 전반적으로 팀메이트 보타스와 비교했을 때 크게 밀리진 않지만 아쉬운 성적을 기록하며 134포인트로 드라이버 순위 7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시즌 동안 3번의 포디움과 오스트리아 그랑프리에서 폴 포지션을 따내며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특히 마사가 따낸 폴은 2025 시즌 기준 윌리엄스의 마지막 폴 포지션 기록이다.
2.1.3.2. 2015 시즌
2015 시즌에서는 본인도 윌리엄스에 적응을 마치며 2014 시즌에 비해 보타스와의 경쟁에서는 크게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2014 시즌의 첫 포디움이 12번째 그랑프리였던 이탈리아 그랑프리였던 데 비해 2015 시즌엔 8번째 그랑프리 오스트리아에서 첫 포디움을 가져가며 페이스를 올렸으나 2015 시즌 윌리엄스의 레이스카는 한때 컨스트럭터 2위도 위협했던 2014 시즌에 비해 퇴보하며 딱 컨스트럭터 3위에 걸맞은 수준이 되었기 때문에 결국 2015 시즌 성적도 2014 시즌과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2015 시즌은 121포인트로 드라이버 순위 6위를 기록했다.2.1.3.3. 2016 시즌
2016 시즌에선 윌리엄스의 레이스카가 더욱 똥차가 되어 버린 가운데 시원찮은 성적을 내고 있었으며 벨기에 그랑프리까지 포디움에 단 한 번도 올라가지 못했다. 그리고 이탈리아 그랑프리가 있는 주에 포뮬러 1 은퇴를 선언하면서 그의 포뮬러 1 커리어는 2016 시즌을 끝으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 |
마사에게 많은 기억이 서려 있는 홈 그랑프리 브라질에선 아쉽게도 경기 도중 리타이어하고 말았다. 마사는 처음엔 담담한 듯 했으나 브라질 국기를 등에 걸치고 피트로 걸어올 땐 감정이 북받쳤는지 눈물을 글썽였다. 그 모습에 마샬이 울음을 터뜨렸고 피트로 들어오자 모든 팀의 크루들이 나와 기립박수를 하며 그의 커리어를 리스팩트했다. 2016 시즌 최고의 명장면.
그런데 연말, 마사의 은퇴가 번복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신예 랜스 스트롤이 윌리엄스로 들어오긴 하지만 팀메이트였던 보타스의 이적설이 강하게 돌고 있기 때문. 현재 대부분의 드라이버 라인업이 거의 고정된 상태에서 젠슨 버튼과 니코 로즈버그, 펠리페 마사가 한꺼번에 은퇴해버리는 상황에서 윌리엄스 입장에서는 다른 데서 데려올 드라이버가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실제로 마사가 윌리엄스와 조건제 계약을 체결했음이 사실로 드러났으며, 보타스가 이적할 경우에는 다시 F1 무대로 돌아와 랜스 스트롤과 함께 참가하게 된다. 허나 아직까지는 가능성이 반반인 편이였는데 보타스가 메르세데스로 이적하며 다시 복귀하게 되었다.
2.1.3.4. 2017 시즌
|
Obrigado Massa |
|
2018 일본 그랑프리의 마사 |
2.2. 포뮬러 E
|
한동안 휴식의 시간을 갖더니 벤추리 그랑프리 팀과 3년 계약을 체결하면서 공식적으로 포뮬러 E에 데뷔를 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후 개막한 사우디전에서 1:13:950로 14위를 기록했다. 레이싱에서 손을 뗀지 많은 시간이 흘렀다지만 개막전부터의 성적 하락은 여러모로 이해하지 못하겠다는 팬들도 많다.
2019년 5월 11일 팀의 홈 레이스인 모나코 e-prix에서 3위로 개인 첫 포뮬러 E 포디움에 입성하게 된다.
하지만 19~20 시즌은 계속해서 부진한 성적을 보이다 결국 WEC 출신인 노먼 나토[11]에게 밀려 시트를 잃었다.
3. 연도별 성적
<colbgcolor=#ebecf0> 시즌 | 시리즈 | 팀 | 경기 | 우승 | 폴 포지션 | 패스티스트 랩 | 포디움 | 포인트 | 순위 |
1998 | 포뮬러 쉐보레 브라질 | ? | ? | ? | ? | ? | ? | ? | 5위 |
1999 | 팀 마스터카드 | 10 | 3 | ? | ? | ? | ? | 1위 | |
2000 | 포뮬러 르노 2000 유로컵 | 크램 컴페티션 | 9 | 3 | ? | ? | 4 | 140 | 1위 |
포뮬러 르노 2000 이탈리아 | 8 | 4 | 4 | 3 | 5 | 147 | 1위 | ||
2001 | 유로 포뮬러 3000 | 드레이코 주니어 팀 | 8 | 6 | 6 | 5 | 6 | 60 | 1위 |
유로피언 슈퍼투어링 챔피언십 | 팀 노르다우토 | 4 | 0 | 0 | 0 | 0 | 71 | 23위 | |
시실리 24시 | 알파 로메오 | 1 | 0 | 0 | 0 | 1 | - | 2위 | |
2002 | 포뮬러 1 | 자우버 페트로나스 | 16 | 0 | 0 | 0 | 0 | 4 | 13위 |
2004 | 18 | 0 | 0 | 0 | 0 | 12 | 12위 | ||
2005 | 19 | 0 | 0 | 0 | 0 | 11 | 13위 | ||
2006 | 스쿠데리아 페라리 | 18 | 2 | 3 | 2 | 7 | 80 | 3위 | |
2007 | 17 | 3 | 6 | 6 | 10 | 94 | 4위 | ||
2008 | 18 | 6 | 6 | 3 | 10 | 97 | 2위 | ||
2009 | 10 | 0 | 0 | 1 | 1 | 22 | 11위 | ||
2010 | 19 | 0 | 0 | 0 | 5 | 144 | 6위 | ||
2011 | 19 | 0 | 0 | 2 | 0 | 118 | 6위 | ||
2012 | 20 | 0 | 0 | 0 | 2 | 122 | 7위 | ||
2013 | 19 | 0 | 0 | 0 | 1 | 112 | 8위 | ||
2014 | 윌리엄스 마티니 레이싱 | 19 | 0 | 1 | 1 | 3 | 134 | 7위 | |
2015 | 19 | 0 | 0 | 0 | 2 | 121 | 6위 | ||
2016 | 21 | 0 | 0 | 0 | 0 | 53 | 11위 | ||
2017 | 20 | 0 | 0 | 0 | 0 | 43 | 11위 | ||
2018 | 스톡카 브라질 | 시메드 쉐보레 팀 | 2 | 0 | 0 | 0 | 0 | 0 | NC[12] |
2018-19 | 포뮬러 E | 벤추리 그랑프리 | 13 | 0 | 0 | 0 | 1 | 36 | 15위 |
2019-20 | 11 | 0 | 0 | 0 | 0 | 3 | 22위 | ||
2020 | 포르쉐 인듀어런스 시리즈 | ? | 3 | 0 | 0 | 0 | 0 | 166 | 5위 |
2021 | 스톡카 브라질 | 루브락스 포디움 | 24 | 0 | 0 | 0 | 0 | 88 | 24위 |
2022 | 스톡카 프로 시리즈 | 22 | 0 | 0 | 0 | 0 | 98 | 24위 | |
2023 | 24 | 2 | 0 | 0 | 5 | 224 | 10위 | ||
2024 | TMG 레이싱 | 24 | 1 | 0 | 1 | 7 | 885 | 2위 | |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 | 라일리 | 1 | 0 | 0 | 0 | 1 | 328 | 39위 |
4. 헬멧 디자인
|
마사의 역대 헬멧 디자인 |
헬멧은 측면에 형광 노란색 X자와 상단 헬멧을 덮는 노란색 삼각형이 있는 디자인이다. 상단 섹션은 녹색 그라데이션으로 채색되었는데, 포뮬러 1 데뷔 전에 이 부분은 파란색으로 채색되어 있었다. 2010년까지 헬멧에 상단을 둘러싼 흰색 링도 있었다. 2008년에는 형광 노란색 X의 끝이 더 갈라졌으며, 2011년에는 노란색 삼각형이 측면에 두 개의 파란색 선으로 상단 전면 전체를 덮었다.
2011년 브라질 그랑프리에서는 페라리와 함께한 100번째 그랑프리를 기념하기 위해 특별 헬멧 디자인을 사용했다.
5. 드라이빙 스타일
마사의 드라이빙 스타일 분석 영상(영어) |
6. 여담
- 그의 모습을 본뜬 레고 미니피겨가 레고 레이서 시리즈 8144, 8168 제품으로 출시된 적이 있었다.
- 2016년 헝가리 GP 기자 회견에서는 드라이버들이 각각 무슨 차를 가지고 있는지 묻는 기자의 질문에, 라페라리와 F40을 소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PrimoCast와의 인터뷰에서는, 페라리 288 GTO도 보유 중이라고 밝혔다.
- 페라리 시절 때 마사의 레이스 엔지니어는 롭 스메들리(Rob Smedely)였는데 마사와의 사이가 보통 사이가 아니라는 말이 있다. 그 예로, 마사와 롭 스메들리간의 팀 라디오 내용의 벨소리도 있을 정도며 마사가 끔찍한 사고를 당했을 때 롭 스메들리가 마사의 가족을 부양할 걱정도 했다고 한 걸 보면 말 다했다. 2011시즌에는 마사를 베이비라고 불렸는데 당시 F1 공식 사이트에서 제공했던 시즌 리뷰 영상을 보면 마사가 선전할 때마다 롭 스메들리의 "Good Boy"라는 팀 라디오를 들을 수 있었다. 멀리 갈 필요 없이 경기 때 TV를 보고 있으면 마사가 선전할 때 항상 롭 스메들리를 비춰준다. 윌리엄즈에서는 롭 스메들리가 차량 성능 책임자로 승진하며 그들의 팀 라디오를 들을 일은 당분간 없어지게 되었다.
알론소가 나보다 빠르냐구? 아니야!!
알론소가 더 빠르냐는 질문에 '아니야!'라고 유쾌하게 답변하기도 했었다.
7. 어록
여봐들, 세상에. 나 이 짓 하기엔 너무 늙은 거 같아. 너무 늙었다고! 하하.
Yeah guys, Oh my god! I'm too old for that! too old! Haha.
허튼소리, 너 아직 젊어! 이제 시작이라고 친구!
Rubbish, Not too old! We're just starting out mate!
2015년 이탈리아 GP, 체커 상황 중 ##
Yeah guys, Oh my god! I'm too old for that! too old! Haha.
허튼소리, 너 아직 젊어! 이제 시작이라고 친구!
Rubbish, Not too old! We're just starting out mate!
2015년 이탈리아 GP, 체커 상황 중 ##
젠장할! 달려보자! x나게 달려보자고!!
Caramba! Vamo! Vamo ******!
아빠, 난 아빠가 자랑스러워요. 그리고 어떤 선택을 하시더라도 난 아빠를 응원할게요. 난 아빠를 사랑해요. 그리고, 경기 시작할 때 멋있었어요. 사랑해요 아빠!
Daddy, I'm so proud of you, And... wher... whatever you go, i will support you. I love you. by the way I loved your start. Pai te amo!
사랑한다! 정말 사랑해! 너희 모두 사랑한다! 정말 고맙고 모두 사랑해! 감사합니다. 여러분 모두 사랑해요.
Te amo! Te amo! Eu amo todos voces! Thank you, I love you all. Thank you so much. I love all of you guys.
2017년 브라질 GP, 아들 펠리피노 마사와의 라디오 中 #[13]
Caramba! Vamo! Vamo ******!
아빠, 난 아빠가 자랑스러워요. 그리고 어떤 선택을 하시더라도 난 아빠를 응원할게요. 난 아빠를 사랑해요. 그리고, 경기 시작할 때 멋있었어요. 사랑해요 아빠!
Daddy, I'm so proud of you, And... wher... whatever you go, i will support you. I love you. by the way I loved your start. Pai te amo!
사랑한다! 정말 사랑해! 너희 모두 사랑한다! 정말 고맙고 모두 사랑해! 감사합니다. 여러분 모두 사랑해요.
Te amo! Te amo! Eu amo todos voces! Thank you, I love you all. Thank you so much. I love all of you guys.
2017년 브라질 GP, 아들 펠리피노 마사와의 라디오 中 #[13]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포뮬러 1 월드 챔피언십 역대 그랑프리 우승자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195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No. | 드라이버 | 첫 그랑프리 우승 | |||
<colbgcolor=#f00><colcolor=#fff> 1 | 1950 영국 그랑프리 | |||||
2 | 1950 모나코 그랑프리 | |||||
3 | 1950 인디애나폴리스 500 | |||||
4 | 1951 인디애나폴리스 500 | |||||
5 | 1951 프랑스 그랑프리 | |||||
6 | 1951 영국 그랑프리 | |||||
7 | 1951 독일 그랑프리 | |||||
8 | 1952 스위스 그랑프리 | |||||
9 | 1952 인디애나폴리스 500 | |||||
10 | 1953 인디애나폴리스 500 | |||||
11 | 1953 프랑스 그랑프리 | |||||
12 | 1955 모나코 그랑프리 | |||||
13 | 1955 인디애나폴리스 500 | |||||
14 | 1955 영국 그랑프리 | |||||
15 | 1956 아르헨티나 그랑프리 | |||||
16 | 1956 인디애나폴리스 500 | |||||
17 | 1956 벨기에 그랑프리 | |||||
18 | 1957 인디애나폴리스 500 | |||||
19 | 1957 영국 그랑프리 | |||||
20 | 1958 인디애나폴리스 500 | |||||
21 | 1959 모나코 그랑프리 | |||||
22 | 1959 인디애나폴리스 500 | |||||
23 | 1959 네덜란드 그랑프리 | |||||
24 | 1959 미국 그랑프리 | }}}}}}{{{#!folding [ 196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No. | 드라이버 | 첫 그랑프리 우승 | |
<colbgcolor=#f00><colcolor=#fff> 25 | 1960 인디애나폴리스 500 | |||||
26 | 1960 이탈리아 그랑프리 | |||||
27 | 1961 네덜란드 그랑프리 | |||||
28 | 1961 프랑스 그랑프리 | |||||
29 | 1961 미국 그랑프리 | |||||
30 | 1962 네덜란드 그랑프리 | |||||
31 | 1962 벨기에 그랑프리 | |||||
32 | 1962 프랑스 그랑프리 | |||||
33 | 1963 독일 그랑프리 | |||||
34 | 1964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 |||||
35 | 1965 이탈리아 그랑프리 | |||||
36 | 1965 멕시코 그랑프리 | |||||
37 | 1966 이탈리아 그랑프리 | |||||
38 | 1967 남아프리카 그랑프리 | |||||
39 | 1967 모나코 그랑프리 | |||||
40 | 1968 프랑스 그랑프리 | |||||
41 | 1968 영국 그랑프리 | |||||
42 | 1969 미국 그랑프리 | }}}}}}{{{#!folding [ 197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No. | 드라이버 | 첫 그랑프리 우승 | |
<colbgcolor=#f00><colcolor=#fff> 43 | 1970 이탈리아 그랑프리 | |||||
44 | 1970 미국 그랑프리 | |||||
45 | 1971 남아프리카 그랑프리 | |||||
46 | 1971 이탈리아 그랑프리 | |||||
47 | 1971 미국 그랑프리 | |||||
48 | 1972 모나코 그랑프리 | |||||
49 | 1973 네덜란드 그랑프리 | |||||
50 | 1973 프랑스 그랑프리 | |||||
51 | 1974 남아프리카 그랑프리 | |||||
52 | 1974 스페인 그랑프리 | |||||
53 | 1974 스웨덴 그랑프리 | |||||
54 | 1975 브라질 그랑프리 | |||||
55 | 1975 스페인 그랑프리 | |||||
56 | 1975 네덜란드 그랑프리 | |||||
57 | 1975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 |||||
58 | 1976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 |||||
59 | 1977 벨기에 그랑프리 | |||||
60 | 1977 스웨덴 그랑프리 | |||||
61 | 1977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 |||||
62 | 1978 모나코 그랑프리 | |||||
63 | 1978 캐나다 그랑프리 | |||||
64 | 1979 프랑스 그랑프리 | }}}}}}{{{#!folding [ 198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No. | 드라이버 | 첫 그랑프리 우승 | |
<colbgcolor=#f00><colcolor=#fff> 65 | 1980 브라질 그랑프리 | |||||
66 | 1980 미국 서부 그랑프리 | |||||
67 | 1980 벨기에 그랑프리 | |||||
68 | 1981 프랑스 그랑프리 | |||||
69 | 1982 모나코 그랑프리 | |||||
70 | 1982 독일 그랑프리 | |||||
71 | 1982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 |||||
72 | 1982 프랑스 그랑프리 | |||||
73 | 1982 시저스 팰리스 그랑프리 | |||||
74 | 1985 포르투갈 그랑프리 | |||||
75 | 1985 유럽 그랑프리 | |||||
76 | 1986 멕시코 그랑프리 | |||||
77 | 1989 캐나다 그랑프리 | |||||
78 | 1989 일본 그랑프리 | }}}}}}{{{#!folding [ 199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No. | 드라이버 | 첫 그랑프리 우승 | |
<colbgcolor=#f00><colcolor=#fff> 79 | 1992 벨기에 그랑프리 | |||||
80 | 1993 헝가리 그랑프리 | |||||
81 | 1995 캐나다 그랑프리 | |||||
82 | 1995 영국 그랑프리 | |||||
83 | 1995 포르투갈 그랑프리 | |||||
84 | 1996 유럽 그랑프리 | |||||
85 | 1996 모나코 그랑프리 | |||||
86 | 1997 산마리노 그랑프리 | |||||
87 | 1997 유럽 그랑프리 | |||||
88 | 1999 호주 그랑프리 | }}}}}}{{{#!folding [ 200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No. | 드라이버 | 첫 그랑프리 우승 | |
<colbgcolor=#f00><colcolor=#fff> 89 | 2000 독일 그랑프리 | |||||
90 | 2001 산마리노 그랑프리 | |||||
91 | 2001 이탈리아 그랑프리 | |||||
92 | 2003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 |||||
93 | 2003 브라질 그랑프리 | |||||
94 | 2003 헝가리 그랑프리 | |||||
95 | 2004 모나코 그랑프리 | |||||
96 | 2006 헝가리 그랑프리 | |||||
97 | 2006 터키 그랑프리 | |||||
98 | 2007 캐나다 그랑프리 | |||||
99 | 2008 캐나다 그랑프리 | |||||
100 | 2008 헝가리 그랑프리 | |||||
101 | 2008 이탈리아 그랑프리 | |||||
102 | 2009 독일 그랑프리 | }}}}}}{{{#!folding [ 201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No. | 드라이버 | 첫 그랑프리 우승 | |
<colbgcolor=#f00><colcolor=#fff> 103 | 2012 중국 그랑프리 | |||||
104 | 2012 스페인 그랑프리 | |||||
105 | 2014 캐나다 그랑프리 | |||||
106 | 2016 스페인 그랑프리 | |||||
107 | 2017 러시아 그랑프리 | |||||
108 | 2019 벨기에 그랑프리 | }}}}}}{{{#!folding [ 202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No. | 드라이버 | 첫 그랑프리 우승 | |
<colbgcolor=#f00><colcolor=#fff> 109 | 2020 이탈리아 그랑프리 | |||||
110 | 2020 사키르 그랑프리 | |||||
111 | 2021 헝가리 그랑프리 | |||||
112 | 2022 영국 그랑프리 | |||||
113 | 2022 상파울루 그랑프리 | |||||
114 | 2024 마이애미 그랑프리 | |||||
115 | 2024 헝가리 그랑프리 | }}}}}}}}}}}} |
[[프랑스 그랑프리|{{{#fff '프랑스 그랑프리}}}]]'' {{{#fff 역대 우승 드라이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1906 | 1907 | 1908 | 1912 |
| | | | |
시스 페렌츠 | 펠리체 나차로 | 크리스티안 라우텐슐라거 | 조르주 부알로 | |
<rowcolor=#fff> 1913 | 1914 | 1921 | 1922 | |
| | | | |
조르주 부알로 | 크리스티안 라우텐슐라거 | 지미 머피 | 펠리체 나차로 | |
듀센버그 | ||||
<rowcolor=#fff> 1923 | 1924 | 1925 | ||
| | | | |
헨리 세그레이브 | 주세페 캄파리 | 알베르 디보 | ||
선빔 | 들라주 | 들라주 | ||
<rowcolor=#fff> 1926 | 1927 | 1928 | 1929 | |
| | | | |
쥘 구 | 윌리엄 그로버 윌리엄스 | 윌리엄 그로버 윌리엄스 | ||
들라주 | ||||
<rowcolor=#fff> 1930 | 1931 | 1932 | ||
| | | | |
아킬레 바르치 | 루이 시롱 | |||
<rowcolor=#fff> 1933 | 1934 | 1935 | 1936 | |
| | | | |
주세페 캄파리 | 루이 시롱 | 루돌프 카라치올라 | ||
<rowcolor=#fff> 1936 | 1937 | 1938 | 1939 | |
| | | | |
루이 시롱 | 만프레트 폰 브라우히치 | 헤르만 뮐러 | ||
탈보 | ||||
<rowcolor=#fff> 1947 | 1948 | 1949 | ||
| | | | |
루이 시롱 | 루이 시롱 | 장피에르 포지 | ||
탈보 | 탈보 | 들라이예 | ||
<rowcolor=#fff> 1950 | 1951 | 1952 | ||
| | | | |
루이지 파지올리 | ||||
<rowcolor=#fff> 1953 | 1954 | 1956 | 1957 | |
| | | | |
피터 콜린스 | ||||
<rowcolor=#fff> 1958 | 1959 | 1960 | 1961 | |
| | | | |
토니 브룩스 | 잔카를로 바게티 | |||
<rowcolor=#fff> 1962 | 1963 | 1964 | 1965 | |
| | | | |
<rowcolor=#fff> 1966 | 1967 | 1968 | 1969 | |
| | | | |
<rowcolor=#fff> 1970 | 1971 | 1972 | 1973 | |
| | | | |
<rowcolor=#fff> 1974 | 1975 | 1976 | 1977 | |
| | | | |
<rowcolor=#fff> 1978 | 1979 | 1980 | 1981 | |
| | | | |
<rowcolor=#fff> 1982 | 1983 | 1984 | 1985 | |
| | | | |
<rowcolor=#fff> 1986 | 1987 | 1988 | 1989 | |
| | | | |
<rowcolor=#fff> 1990 | 1991 | 1992 | 1993 | |
| | | | |
<rowcolor=#fff> 1994 | 1995 | 1996 | 1997 | |
| | | | |
<rowcolor=#fff> 1998 | 1999 | 2000 | 2001 | |
| | | | |
<rowcolor=#fff> 2002 | 2003 | 2004 | 2005 | |
| | | | |
<rowcolor=#fff> 2006 | 2007 | 2008 | 2018 | |
| | | | |
<rowcolor=#fff> 2019 | 2021 | 2022 | ||
| | | ||
}}}}}}}}} |
[1] 발음: \[fiˈlipi ˈmasɐ\]. 브라질 포르투갈어로는 '필리피 마사'라 발음한다. 그러나 국내와 영어 문화권에서는 '펠리페 마사'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2] 당시 자우버는 페라리 엔진을 썼다. 페트로나스로 이름만 바꿔서...[3] 토요타 전략 팀은 비가 오는 상황 속에서 타이어를 갈지 않고 마지막 랩까지 버티는 전략을 구사했으며, 이 덕분에 티모 글록은 잠시나마 7위에서 4위까지 올라갔다. 이후 페텔에게 추월당해 마지막 랩에서는 5위로 달리고 있었다.[4] 시즌 리뷰 영상을 보면 희비가 엇갈리는 순간을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마사의 가족들은 마사의 챔피언 등극을 환호하다가 굳어버렸고 열받은 페라리 크루는 핏 내부의 전광판을 박살내기까지 했다. 실제로 그해 토요타는 07년의 굴욕적인 부진에서 벗어나는 데 성공하여 프랑스 GP 결승전에서 3등을 하여 포디움에도 1번 오른적이 있었으나 TF108은 빗길에 약했었다.[5] 이 때문에 마사의 팬 들은 마사가 재기할 기회를 페라리가 팀 오더로 망쳐버렸다고 여기고 있다. 탑기어에서는 뉴스 코너에서 해당 팀 라디오를 갖고 조롱하기도 했으며 시간이 한참 지났음에도 포뮬러 원 팬들에게 종종 회자된다.[6] 공교롭게도 2018년에도 똑같은 독일 GP에서 페라리는 키미 래이쾨넨에게 뒤쳐지고 있던 제바스티안 페텔에게 포지션을 양보하라는 팀 오더를 내렸다. 이때는 키미가 그럴 거면 돌려서 말할 필요없다고 투덜거린 것 빼고는 알론소와 마사 때만큼이나 논란이 되지는 않았지만, 대신 팀 오더 덕분에 1등으로 치고 나간 페텔은 얼마 후 실수로 벽에다 차를 박아버려 리타이어하고 말았다.[7] 하지만 팀메이트 알론소와의 성적이 상당히 차이났기 때문에 마사의 기량 하락도 한몫했다는 의견이 있었다.[8] 관대하게 생각하면 레이스 중의 사고로 보고 넘어갈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도 있었다. 그러나 인도 GP의 스튜어트가 하필이면 영국 출신의 드라이버였던 재키 스튜어트였었다.[9] 대표적인 인물로 자우버 소속의 세르히오 페레스가 있었다. 물론 몬테제몰로 회장은 경험이 부족하므로 택도 없다는 반응이었지만.[10] 한국 GP를 기준으로 페텔은 알론소를 6점 차로 앞서고 있다. 페라리로서는 챔피언 가능성이 없는 마사 보다는 알론소 위주로 레이스를 운영할 수밖에 없는 상황. 마사 또한 알론소를 우선적으로 지원하겠다는 입장이다.[11] WEC에서 리벨리온 소속으로 참가하던 드라이버이다.[12] 게스트 드라이버로 시즌을 참가하였기에 포인트를 부여받지 못하였다.[13] 마사는 해당 GP 퀄리파잉에선 10위, 본선에서 7위로 들어왔다. 그리고 마사의 마지막 브라질 F1 GP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