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00:51:30

키읔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웃음을 표현하는 초성체 'ㅋ'에 대한 내용은 ㅋ(인터넷 용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글 기본 자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5%;"
{{{#!folding [ 현대 한글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colbgcolor=#eee,#000> 기본 자모
자음(14개) · · · · · · · · · · · · ·
모음(10개) · · · · · · · · ·
기타 자모
자음 겹자음(5개) · · · ·
겹받침(11개) · · · · · · · · · ·
겹모음(11개) · · · · · · · · · ·
}}}}}}}}}
[ 옛한글 ]
||<tablewidth=100%><-3><width=1000> · 개별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옛한글/자모 문서 참고
· 일부 자모는 옛한글 글꼴이 필요함
||
기본 자모 · · ·
중국어 표기용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기타 한글 초성 채움 문자
겹자모

각자
병서
· ·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ᄽ · ᄿ · ᅏ · ᅑ) · · ·
합용
병서
ㅂ계 합용병서(ㅲ · ㅳ · ㅄ · ㅶ · ㅷ)
ㅅ계 합용병서(ㅺ · ㅼ · ㅽ · ㅾ)
ㅄ계 합용병서(ㅴ · ㅵ · ᄤ · ᄥ · ᄦ · ꥲ)
연서 · 훈민정음의 순경음(ㆄ · ㅸ · ㅹ · ㅱ)
중성 · · · · · (ᆖ) · (ᆢ) ·
종성 · ·
}}} ||


1. 한글 자모의 열한 번째2. ㅋ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3. 제자 원리4. 키읔 받침5. 인터넷 용어6. 장기하와 얼굴들 4집 타이틀곡7. 여담

1. 한글 자모의 열한 번째

<colbgcolor=#ddd,#292929> 이름 키읔 [키윽]
분류 자음(거센소리)
음성 <colbgcolor=#e7e7e7,#363636> 어두 [1]
kʰʷ[2]
어중의 초성 [3]
kʰʷ[4]
종성 [5]
종성+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 앞 [6]
ɡ[7]
종성+모음으로 시작하는 실질 형태소 앞 ɡ[8]
비음, 유음 앞 ŋ[9]
[clearfix]
한글 자모의 열한 번째 글자.

ㅋ 받침이 붙은 단어는 모음 조사가 붙었을 때 /ㅋ/으로 발음해야 한다.[10] 글자의 이름인 키읔에서만 모음 조사가 붙었을 때 받침은 /ㅋ/이 아닌 /ㄱ/ 소리를 낸다.[11]

음가는 세게 발음되는 유기 무성 연구개 파열음(kʰ)이 기본적이며 종성에서는 불파음([k̚]), 비음 앞에서는 [ŋ]라는 음가를 가진다.

2. ㅋ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

그런데 21세기 들어 40대 이하의 젊은 서울 사람들은 더 이상 어두의 ㄱ과 ㅋ의 소리를 기식성(VOT)으로 구별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그 대신, 후행 모음의 음높이의 차이로 구별한다고 하는데, 평탄하게 소리내면 ㄱ이고, 높게 내면 ㅋ이며, 둘의 기식성은 동일하다고 한다. 동남방언에서는 음절 모음의 음높이가 성조를 명세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에 이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역시 2010년대 들어서는 20대 이하의 여성을 기준으로 발화에서 기식성의 차이가 거의 사라졌다고 한다. 20대 이하의 여성은 언어변화의 가장 선행하는 집단으로 알려져있다.[12]

반면에 20대 이하의 경상도 남성에게서는 여전히 기식성의 차이가 나타난다고 한다. 서울 지역은 남녀 불문하고 2000년 기준 40대 이하에서는 ㄱ과 ㅋ이 더 이상 기식성으로 구별되지 않는다.

3. 제자 원리

ㄱ에 획을 가한 형태다.

4. 키읔 받침

현대 한국어에 키읔 받침을 쓰는 단어는 매우 희귀하다. 일반적인 사전에서 찾을 수 있는 단어로는 ○○녘 (새벽녘, 저녁녘, 북녘 등), 부엌[13]과 파생어, 키읔 뿐이다. 이러한 희소성 때문인지 두벌식 타자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타자기(세벌식, 네벌식 등)들에 받침 ㅋ 활자 자체를 넣지 않았다. 합자 형태가 아닌 기본 글자임에도 받침 활자가 없는 것은 ㅋ이 유일했다.

이렇듯 희귀하다 보니 잘못 발음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원칙대로라면 '동녘에서', '부엌을'과 같은 경우 [동녀케서], [부어클]로 발음해야 하지만, [동녀게서], [부어글]과 같이 ㄱ 받침인 것처럼 읽는 경우가 매우 많다. 오랜 시간이 흘러 그 누구도 [동녀케서], [부어클]과 같이 읽지 않는다면 향후 받침 ㅋ은 ㄱ으로 완전히 대체되어 '동녁', '부억'과 같이 바뀔 가능성도 있을 것이다. 이럴 경우 ㅋ 받침은 '키읔'이라는 이름을 쓸 때 빼고는 한국어에서 완전히 사라지며 ㅋ이 연음되는 경우도 없어진다.

5. 인터넷 용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ㅋ(인터넷 용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채팅 같은 곳에서 초성체 중 사용빈도가 가장 높다. 인터넷상에서 ㅋ를 딱 하나만 쓰는 경우는 여러 개를 쓰는 것에 비해 비웃음, 도발 등 부정적 의미가 내포된 경우가 많다.

6. 장기하와 얼굴들 4집 타이틀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내 사랑에 노련한 사람이 어딨나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장기하와 얼굴들 4집 타이틀곡. 제목답게 'ㅋ'이 124번 나오며 자음 중 가장 많이 쓰였다.[14]

맥주 마니아로 유명한 장기하는 타이틀곡과 같은 이름으로 크래프트 맥주 회사인 더부스와 콜라보 맥주도 출시했다. 홉이 강조된 IPA 스타일 맥주로 정식 제품명 역시 'ㅋ 아이피에이'. 알코올 함량은 4.5%로 IPA 스타일의 맥주 치고는 꽤 낮은 편이다. 향은 진한데 비해 맛 자체는 쓴맛이 강조되고 풍부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7. 여담

  • 기역 때문에 키역/키옄으로 잘못 읽는 사람이 꽤 있다.
  • 훈몽자회에서의 이름은 기(箕)의 훈인 '키'라고 읽는다.
  • 사실 중세 한국어에는 ㅋ이 그다지 많지 않았다. 기껏해야 캐다, , 크다, 정도.[15] 한국 한자음 중 이 자음으로 시작되는 한자가 '쾌' 자 단 하나뿐인 유일한 자음이다.[16][17] 원래 ㅋ발음을 내던 계모(溪母)가 대부분 ㄱ발음의 견모(見母)로, 극히 일부는 효모(曉母)로 흡수되었기 때문이다.[18] 따라서 사전에서 ㅋ으로 시작하는 단어 중 '쾌'로 시작하지 않는 단어는 대부분 고유어나 외래어다. 성씨 중에도 '쾌씨'라는 희귀 성씨가 있는데 여기도 쾌할 쾌를 사용한다.
  • 두벌식 기준으로 라틴 문자 z와 같은 버튼이기 때문에 잠자는 의성어 zzz가 ㅋㅋㅋ가 되기도 한다.
  • 가타카나 와 비슷하게 생겼다. 서양권에서는 F를 거꾸로 한 모습이라고 한다.
  • ㄱ과 혼동된다는 이유로 1996년 이후에는 차량 번호판에서는 ㅋ을 사용하지 않는다.
  • ㅋ을 누르고 한자키를 누르면 현대 한글 자모가 나온다. 여기서 세 번째 페이지로 가서 9를 누르면 ㅋ이 나온다. 다만 한글 자모는 한자 키 없이도 입력할 수 있기에 이런 방식으로 입력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ㄳ, ㅘ 등의 몇몇 겹받침이나 겹모음을 낱자로 입력할 수 없는 환경[19]에서는 쓰이기도 한다.
  • 천재교육 중학교 2-1 국어 교과서에 이 곡의 가사 중 일부분 (너는 쿨쿨 자나봐 문을 쿵쿵 두드리고 싶지만 어두컴컴한 밤이라 문자로 콕콕콕콕콕콕 찍어서 보낸다)이 운율의 예시 중 같은 소리의 반복으로 나왔다.


[1] [2] 순음화.
설명: 연구개음의 영향으로 [w\], 즉 [ɰʷ\]에서 [ɰ\]가 탈락해 [ʷ\]로 변동됨.
[3]스, 암, 서[4] 순음화. 아마린
설명: 연구개음의 영향으로 [w\], 즉 [ɰʷ\]에서 [ɰ\]가 탈락해 [ʷ\]로 변동됨.
[5][서\][6]을[서녀\] 바라보며[7] 키읔 한정. 유성음화. 키은[키으\] 한글 자음이다.[8] 안[부어\][9]만큼[붕만큼\][10] 예: 서녘을 << 서녀클>>.[11] 예).키읔을: <<키으클>> (X), <<키으글>> (O)[12] 그러나 발화에서의 융합은 기식성에 따른 평음 격음 구분이 동남방언에서 사라졌다는 의미는 아니다. 왜냐하면 인지실험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와야하는데 아직까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는 않았기 때문이다.[13] 부엌의 준말인 '붴'이라는 단어도 있다.[14] 코러스 부분에서는 64번 사용했으며 'ㅋ'이 총 합쳐서 188번 사용되었다.[15] 는 각각 옛말 '갈'과 '고'에서 ㅎ 발음이 거센소리로 변한 것이고, '켜다'는 'ᅘᅧ다'에서 ㆅ이 ㅎ을 거쳐 ㅋ으로 변한 것이다.[16] 상용 한자로는 快(쾌할 쾌) 자가 있으며 벽자까지 범위를 넓히면 '夬, 筷, 儈, 噲' 등 몇 개 더 있기는 하다. 음은 모두 동일하게 '쾌'이다.[17] '駃(버새(수말과 암나귀 사이의 교잡종) 결)'은 '빠르다'의 훈일 때 '쾌'로 읽는다고 한다. #[18] 정반대로 '괘'에서 '쾌'로 변하기도 하였다.[19] ㄱ과 ㅅ을 누르면 'ㄳ'이 아니라 'ㄱㅅ'이 입력되거나 ㅗ와 ㅏ를 누르면 'ㅘ'가 아니라 'ㅗㅏ'가 출력되는 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