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18 15:40:26

울외

🥬 채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color=#fff> 십자
화과
<colcolor=#fff> 배추속 Brassica oleracea: 양배추 · 콜라비 · 콜리플라워 · 브로콜리 · 케일 · 콜라드 · 적채
Brassica rapa: 배추(봄동 · 얼갈이배추) · 순무 · 채심 · 청경채
기타: · 쌈추 · 유채 · 자차이 · 루타바가
기타 마카 · (무청 · 시래기 · 우거지) · 열무 · 알타리무 · 냉이 · 와사비 · 로켓(루꼴라)
가지
가지과 (고추속) 고추 · 피망 · 파프리카 · 페페론치노 · 할라피뇨 · 청양고추 · 부트 졸로키아 · 하바네로
가지과 (가지속) 가지 · 감자 · 토마토
나팔꽃과 고구마 · 공심채 ·
천남성과 토란 · 타로 · 구약감자
범의귀과 돌나물 · 돌단풍
박과 · 수박 · 여주 · 멜론 · 호박(애호박 · 늙은호박) · 오이 · 단호박 · 수세미 · 울외 · 동아
석죽
비름과 시금치 · 비름 · 명아주 · 사탕무 · 근대 · 비트 · 퉁퉁마디
기타 쇠비름 · 루바브 · 하수오
미나
리목
미나리과 미나리 · 셀러리 · 당귀 · 흥거 · 신선초 · 참나물 · 시호 · 당근 · 파스닙 · 고수 · 파슬리
두릅나무과 두릅 · 인삼
비짜
루목
비짜루과 아스파라거스 · 둥굴레 · 무릇 · 용설란 · 비짜루
수선화과(부추속) 마늘 · 대파 · 양파 · 샬롯 · 부추 · 쪽파 · 삼동파 · 달래 · 락교 · 리크(코끼리마늘) · 차이브 · 명이나물
아욱과 아욱 · 목화 · 오크라 · 카카오 · 말아욱
국화
국화과 곤드레 · 엔디브 · 치커리 · 곤달비 · · 쑥갓 · 우엉 · 참취 · 곰취 · 민들레 · 씀바귀 · 상추 · 양상추 · 야콘 · 아티초크 · 머위 · 로메인 상추 · 돼지감자 · 부지갱이 · 고들빼기
초롱꽃과 도라지 · 더덕 · 잔대
콩과 · 대두(콩나물 · 풋콩) · 녹두(숙주나물) · 강낭콩 · 렌틸 · 작두콩 · 땅콩 · 서리태 · 완두 · 병아리콩 · · 구아 · 아피오스 ·
버섯류 송이버섯 · 능이버섯 · 표고버섯 · 팽이버섯 · 영지버섯 · 참송이버섯 · 새송이버섯 · 트러플 · 양송이버섯 · 목이버섯 · 살구버섯 · 노루궁뎅이버섯 · 느타리버섯 · 만가닥버섯
기타 고사리 · 연근 · 죽순 · 생강 · 카사바 · · 으름 · 파극천 · 옻순
※: 과채류, 견과류, 곡류, 균류이지만 채소로 보기도 함
비가공 식품/재배물 기타 틀: 고기 · 곡물 · 과일 · 채소 · 해조류 · 향신료 }}}}}}}}}
파일:external/www.narazuke.com/1889704899_iUt0Vvor_ss1.jpg
울외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박목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 학명은 Cucumis melo, var. conomon.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월과(越瓜), 채과(採瓜)라고 불렀다. 성숙하면 백색으로 되므로 일본에서는 백과(白瓜/しろうり)라고 한다. 흔하게 부르는 이름은 아니지만 '큰참외'라고도 부르는 듯. 별로 참외 같지는 않다.[1] 과일로서 날로 먹기에는 달지도 않고 향도 별로 없어 주로 장아찌를 담가 먹었다. 현대 한국에서는 거의 잊혀진 과일이지만, 삼국시대의 식단에도 나왔고 불과 조선시대까지도 수라상에 올랐을 정도로 반찬으로 오래 섭식된 음식이다.

한국에서는 거의 잊힌 음식이 되었지만 아직도 일본 나라현의 특산물인 '나라즈케'(奈良漬け)의 재료로써 생산 소비되어 명맥을 잇고 있다. 술지게미(청주박)에 울외를 절여 숙성시킨 츠케모노(장아찌)로 아삭한 식감이 일품이다. 특히 물에 만 밥과 함께 먹으면 별미. 나라 여행을 가보면 선물가게마다 진공 포장한 나라즈케를 여행선물로 팔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나라즈케는 특이하게 한국에서 아직도 전라북도 군산시 지방을 중심으로 생산되고 있는데, 일제강점기에 군산에 일본인들이 많이 살았던 역사적 흔적이다. 곡창지대인 김제시 만경평야에서 생산한 쌀을 수탈하여 일본으로 실어 나르는 거점이 군산항이었기 때문에 군산에 일본인들이 많이 살았다고 하며, 현재도 군산시,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일대에는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건물(적산가옥)이 많이 남아 있다.[2] 재료인 울외 역시 군산 일대가 전국 생산량의 70% 가깝다고 하며, 오래 전부터 군산 지역에 유명 청주업체의 양조장이 있던 것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그렇다 보니 전라북도에서는 지역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이것을 먹어 본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많고, 근래 들어서는 군산 이외에도 정읍시, 순창군 등에서도 울외 재배와 함께 나라즈케를 생산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 '나라 지방의 츠케모노'라는 의미로 '나라즈케'가 맞는 이름이지만 어째서인지 전북 지역의 어르신들은 '나나즈케', '나나스께', '나나스끼' 등등 와전된 이름으로 부르는 일이 많다. 심지어는 판매하는 상자 인쇄에도 '나나즈케'라고 적혀 있는 일이 있을 정도이다. '나라즈케'라는 정확한 이름으로 아는 사람이 전북 현지에는 별로 없다.[3]

'울외'라는 이름은 군산 지역에서 3대째 나라즈케를 생산하고 있는 어느 기업의 창업주가 월과, 백과 등의 이름을 대체하기 위해 고유어로 붙인 이름이라고 한다. 해당 업체에서는 상표권 침해이므로 '울외 장아찌'라는 이름을 다른 업체가 사용하지 말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워낙 일반명사화해서 실제로 상표권이 인정될지는 알 수 없다.


[1] 반으로 갈라 보면 길쭉한 참외를 반으로 가른 것처럼 생겼다.[2] 비슷하게 인근인 익산시에서는 지금도 쌀겨에 절인 일본식 단무지를 흔하게 구할 수 있다. 단무지 항목으로.[3] 어중에서 일본어행 발음은 치경 설측 탄음으로, 발성 시 한국어(치경 탄음)보다 혀에 힘이 조금 더 들어가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일본어 명칭을 귀로 듣고 익혔을 일제강점기 한국인들에게는 음색이 ㄹ과 미세하게 다르게 들렸기 때문에 이러한 와전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