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아시아의 역사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0.92em; letter-spacing:-1.2px" | ||||||||||
| 고 대 | 옥수스 문명 / 안드로노보 문화 | |||||||||
| 스키타이 사카 | ||||||||||
| 다하에 / 마사게타이 | 스키타이 사카 | 흉노 | ||||||||
| 아케메네스 조 페르시아 | ||||||||||
| 헬레니즘 제국 알렉산드로스의 정복 | ||||||||||
|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 강거 | |||||||||
| 대월지 (토하라인) | ||||||||||
| 쿠샨 왕조 (월지 계) | 열반 | |||||||||
| 사산 조 페르시아 | {{{#!wiki style="margin:-20px 0px -30px -2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 | ||||||||
| 에프탈(백 훈족) | ||||||||||
| 에프탈 공국 | 돌궐 제국 | |||||||||
| 서돌궐 | ||||||||||
| 라쉬둔 칼리파 | ||||||||||
| 우마이야 왕조 | 안서도호부 | 투르게쉬 칸국 | 안서도호부 | |||||||
| {{{#!wiki style="margin:-20px -10px -18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 | |||||||||
| 중 세 | 타히르 왕조 / 사파르 왕조 | |||||||
| 사만 왕조 | ||||||||
| 가즈니 왕조 | 카라한 칸국 | |||||||
| 셀주크 제국 | 요 | 동 카라한 칸국 | ||||||
| 서요 (카라 키타이) | ||||||||
| 호라즘 왕조 | 서요 | |||||||
| 근 세 ~ 근 대 | 몽골 제국 | |||||||||
| 차가타이 칸국 | 킵차크 칸국 | |||||||||
| 티무르 제국 | 모굴리스탄 칸국 | |||||||||
| {{{#!wiki style="margin:-2px -10px -35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 | 부하라 칸국 | 야르칸드 칸국 | 투르판 칸국 | ||||||
| 히바 칸국 | ||||||||||
| 히바 칸국 | 청 | |||||||||
| 멘셰비키 | 투르키스탄 자치국 | 알라시 자치국 | 투르키스탄 자치국 | |||||||
| 현 대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 ||||||||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구성국 | ||||||||||||
| {{{#!wiki style="color: #FFD700; 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0.6px; word-break: keep-all"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벨로루시 | |||||||||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 | ||||||||||
| 카자흐 | 우즈베크 | 타지크 | ||||||||||
| 키르기스 | 투르크멘 | 아르메니아 | ||||||||||
| 그루지야 | 아제르바이잔 | 몰도바 | ||||||||||
| 해체된 구성국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카렐리야-핀란드 | ||||||||||
| 위성국 · 괴뢰국 | }}}}}}}}} | |||||||||||
| 우즈베크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1924~1936) Oʻzbekiston Sotsialistik Sovet Respublikasi Узбекская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ая Совет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Uzbek Socialist Soviet Republic | ||
|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36~1991) Ўзбекистон Совет Социалистик Республикаси[1] Узбекская Советская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Uzbek Soviet Socialist Republic | ||
| | | |
| 국기 | 국장 | |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Бутун дунё пролетарлари, бирлашингиз![2]] | ||
| 위치 | ||
| | ||
| 1924년 12월 5일 ~ 1991년 8월 31일 | ||
| 성립 이전 | 소련 붕괴 이후 | |
| 부하라 PSR |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 |
| 호라즘 SSR | ||
| 투르키스탄 ASSR | ||
| 국가 |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 |
| 위치 | 중앙아시아 | |
| 수도 | 부하라(~1925년) 사마르칸트(1925년~1930년) 타슈켄트(1930년~1991년) | |
| 정치 체제 | 일당제 | |
| 언어 | 우즈베크어, 러시아어 | |
| 민족 | 우즈베크인, 러시아인 | |
| 종교 | 국가 무신론 | |
| 통화 | 소련 루블 | |
1. 개요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모습을 담은 소련 시절 다큐멘터리. 참고로 브레즈네프 서기장이 전용기를 타고 방문한 모습도 담겨져 있다. 1966년 타슈겐트 지진의 피해를 복구한 이후의 모습이라는 점, 그리고 브레즈네프 서기장이 생존해있던 시대이기 때문에 1970년대의 다큐멘터리로 추정된다.)
중앙아시아에서 소련의 구성 공화국 중 하나였다. 1924년 성립되었고, 1991년까지 계속되었다. 1930년까지 수도는 사마르칸트였지만 이후 타슈켄트로 천도. 소련 말기 기준으로 인구 면에서 소련의 3인자격인 공화국이었다. 1970년 조사까지는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약간 더 인구가 많았다. 중앙아시아의 중심지였는데 일례로 중앙아시아에서 지하철은 우즈베크 SSR의 수도이자 소련 제4의 도시[3]인 타슈켄트에밖에 없었다. 카자흐 공화국의 알마아타에서도 지하철이 공사 중이었지만 소련 붕괴 때까지 완공되지 못한 상태였다.
여담으로 러시아어식 약자로 쓸 경우 УзССР가 되는데, 이는 약자가 УССР였던 우크라이나 SSR과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함이었다.
우즈베크 SSR은 레닌훈장 3회, 10월 혁명 훈장 1회, 인민우호훈장 1회 수훈하였다.
2. 상징
2.1. 국기
| |
| 1925년 7월 22일 ~ 1926년 1월 9일[4] |
| |
| 1926년 1월 9일 ~ 1927년 7월 11일[5] |
| |
| 1927년 7월 11일 ~ 1931년 2월 28일[6] |
| |
| 1931년 2월 28일 ~ 1935년 1월[7] |
| |
| 1935년 1월 ~ 1937년 2월 14일 |
| |
| 1937년 2월 14일 ~ 1941년 1월 16일 |
| |
| 1941년 1월 16일 ~ 1952년 8월 29일[8] |
| |
| 1952년 8월 29일 ~ 1991년 11월 18일 |
우즈베크어 위키백과
영어 위키백과
우즈베크어 위키백과와 영어 위키백과에 나온 이미지가 조금씩 다르다.
2.2. 국장
| |
| 1925년 7월 22일 ~ 1931년 2월 28일 |
| |
| 1931년 2월 28일 ~ 1937년 3월 2일 |
| |
| 1937년 3월 2일 ~ 1941년 1월 16일 |
| |
| 1941년 1월 16일 ~ 1978년 4월 19일 |
| |
| 1978년 4월 19일 ~ 1992년 7월 2일 |
3. 역사
1924년 10월 27일, 러시아령 투르키스탄과 구 부하라 에미르국, 히바 한국(일명 호라즘 한국)의 영역을 합쳐서 성립되었다. 부하라 에미르국과 히바 한국은 러시아 제국의 부용국이었다가, 볼셰비키 혁명 이후인 1920년에 칸이 쫓겨나고 소비에트 정권이 수립되어 있었다.▲ 1927년의 우즈베크 SSR 영역
산하의 자치공화국이던 타지크 ASSR가 1929년에 분리되어 나갔다. 1930년 타슈켄트로 천도하였고, 1936년, 러시아 SFSR에 속해 있었던 카라칼파크 ASSR을 얻어 호라즘 지역의 월경지가 해소되었다.
1960년대 들어 관개농업을 통한 목화산업을 육성하였으나, 그 결과 아랄해가 황폐화되었다. 또한 1980년대엔 목화 생산량을 뻥튀기하는 방식으로 일부 공산당 간부들이 엄청난 뒷돈을 챙기는 부정부패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뒤늦게야 발각되어 몇몇 간부들에겐 사형 판결까지 내려졌으나, 소련 해체 직후 전부 석방되어 솜방망이 처벌로 끝나고 말았다.#
1966년 4월 26일에는 타슈켄트에서 규모 5.2의 지진이 발생했다. 타슈겐트의 건물 대부분은 러시아 혁명 이전에 건설된 낙후된 건물들이었기 때문에 피해가 커져 도시의 80%가 파괴되고 15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 그리고 수십만명이 집을 잃고 노숙자가 되었다. 결국 소련 정부가 발벗고 나서서 타슈겐트 지진의 피해를 복구했고 1970년대에 타슈겐트는 제법 현대적인 도시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960년대와 1970년대는 우즈벡 SSR 문화 진흥에 있어서 중요한 시기였다. 1959년부터 1983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우즈벡 SSR의 서기장을 지낸 샤로프 라시도프(1917~1983)는 브레즈네프와의 친분으로 높은 자치권을 보장받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경제발전을 해냈고 우즈벡 고유문화 진흥에도 관심을 가지면서 적극적으로 문화 부흥에 나섰다. 우선 라시도프는 종교에 관대하여서 종교에도 관대하여서 많은 모스크가 재개장하였고, 타슈켄트가 소련 이슬람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우즈베키스탄의 역사를 담은 사극들이 제작되어 흥행하거나, 역사학자들을 지원해서 우즈베키스탄의 역사를 정리한 우즈베키스탄사라는 서적을 출간하고, 젊은 문학인들을 발굴하며, 우즈벡 자체 애니메이션 산업도 구축되어 미국, 일본, 한국. 중국 등에서 제작된 외국 애니메이션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1990년대 이후보다 자생성이 높다고 평가될 정도로 우즈베키스탄 문화사에서 리시도프의 업적은 지대하다. 하지만 리시도프는 중앙정부에게 면화 생산량을 일부러 뻥튀기해서 보고하거나, 족벌정치를 일삼고 측근들에게 특권을 나눠주는 등 부패한 정치인이기도 했으며, 결국 유리 안드로포프가 집권하면서 시범타로 리시도프와 측근들의 비리를 털기 시작했고, 결국 대다수의 우즈벡 SSR의 고위층이 입건되는 초대형 스캔들이 생겼다. 이를 면화스캔들이라고 불러진다. 다만 이후로는 면화스캔들에 연계된 사람들은 카리모프에 의해 사면되었고, 라시도프는 21세기 우즈벡에서는 훌룡한 정치인으로 평가받는다.
1989년 당시 11개 주, 1개 자치공화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때 인구는 1,990만을 기록했으며, 고려인은 18만 명으로 우즈베크 SSR에서 일곱 번째로 많은 민족이었다.
1991년 12월 26일 소련 해체와 함께 독립하였고, 현재의 우즈베키스탄으로 이어졌다.
4. 매체에서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의 캠페인 '작전명 레드 서커스'의 배경이다.
5.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0099b5>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
| 역사 | 역사 전반 · 마사게타이 · 돌궐 · 서돌궐 · 강거 · 카를루크 · 셀주크 제국 · 카라한 왕조 · 호라즘 왕조 · 차가타이 칸국 · 티무르 제국 · 모굴리스탄 칸국 · 부하라 칸국 · 히바 칸국 · 코칸트 칸국 · 소련(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
| 외교 | 외교 전반 · 독립국가연합 · 상하이 협력 기구 ·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 |
| 경제 | 경제 전반 · 우즈베키스탄 숨 | |
| 국방 | 우즈베키스탄군 | |
| 문화 | 문화 전반 · 관광 · 노루즈 · 요리 · 삼사 · 플롭 · 샤슐릭 · 라그만 ·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 우즈베크어 · 우즈베키스탄/언어 | |
| 인물 | 알콰리즈미 · 알 비루니 · 티무르 · 울루그 베그 · 이슬람 카리모프 ·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 |
| 도시 | 타슈켄트 · 사마르칸트 · 파야리크 · 나망간 · 누쿠스 · 무이나크 · 부하라 · 샤흐리삽스 · 아사카 · 안디잔 · 우르겐치 · 코칸트 · 테르메즈 · 페르가나 · 히바 | |
| 지리 | 트란스옥시아나 ·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톈산 산맥 · 아랄해 · 페르가나 계곡 | |
| 사회 | 우즈베키스탄 마피아 | |
| 민족 | 우즈베크 · 부하라 유대인 · 러시아계 우즈베키스탄인 · 우즈베키스탄계 한국인 · 고려인 | |
| }}}}}}}}} | ||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구성국의 역사 | ||||||
| {{{#!wiki style="color: #FFD700; 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0.6px; word-break: keep-all" | 러시아 원년 ~ 1936년 | 러시아 1936년 ~ 1993년 | ||||
| 카자흐 1936년 ~ 1991년 | ||||||
| 키르기스 1936년 ~ 1991년 | ||||||
| 호라즘✝︎ 원년 ~ 1925년 | 투르크멘 1925년 ~ 1991년 | |||||
| 부하라✝︎ 원년 ~ 1925년 | 우즈베크 1924년 ~ 1929년 | 우즈베크 1929년 ~ 1991년 | ||||
| 타지크 1929년 ~ 1991년 | ||||||
| 우크라이나 원년 ~ 1940년 | 우크라이나 1940년 ~ 1991년 | |||||
| 몰도바 1940년 ~ 1991년 | ||||||
| 벨로루시 원년 ~ 1991년 | ||||||
| 자캅카스 원년 ~ 1936년 | 그루지야 1936년 ~ 1991년 | |||||
| 아제르바이잔 1936년 ~ 1991년 | ||||||
| 아르메니아 1936년 ~ 1991년 | ||||||
| - | 리투아니아 1940년 ~ 1990년 | |||||
| 라트비아 1940년 ~ 1991년 | ||||||
| 에스토니아 1940년 ~ 1991년 | ||||||
| 카렐리야-핀란드 1940년 ~ 1956년 | 러시아로 병합 | |||||
| ✝︎: 부하라 SSR과 화레즘 SSR은 소련 성립 당시 구성국이 아니었으며 부하라는 1924년 2월 17일, 화레즘은 1924년 10월 27일에 가입하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