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가장 비싼 경기장 TOP 20 (2023년 기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순위 | 경기장 | 국가 | 종목 | 리그 | 홈팀 | 개장 | 건축비용 |
1 | 소파이 스타디움 | | 미식축구 | NFL | 로스앤젤레스 램스 로스앤젤레스 차저스 | 2020년 | $5 billion | |
2 | 얼리전트 스타디움 | | 미식축구 | NFL | 라스베이거스 레이더스 | 2020년 | $1.8 billion | |
3 | 메트라이프 스타디움 | | 미식축구 | NFL | 뉴욕 자이언츠 뉴욕 제츠 | 2010년 | $1.6 billion | |
4 | 메르세데스- 벤츠 스타디움 | | 미식축구 축구 | NFL MLS | 애틀랜타 팰컨스 애틀랜타 유나이티드 FC | 2017년 | $1.5 billion | |
양키 스타디움 | | 야구 축구 | MLB MLS | 뉴욕 양키스 뉴욕 시티 FC | 2009년 | $1.5 billion | ||
6 | 도쿄 국립 경기장 | | 종합 | 없음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일본 럭비 국가대표팀 | 2019년 | ¥157 billion | |
7 |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 | 종합 | 없음 |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 싱가포르 크리켓 국가대표팀 | 2014년 | S$1.87 billion | |
8 |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 | | 축구 | PL | 토트넘 홋스퍼 FC | 2019년 | £1 billion | |
9 | AT&T 스타디움 | | 미식축구 | NFL | 댈러스 카우보이스 | 2009년 | $1.3 billion | |
리바이스 스타디움 | | 미식축구 | NFL |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 | 2014년 | $1.3 billion | ||
11 | 글로브 라이프 필드 | | 야구 | MLB | 텍사스 레인저스 | 2020년 | $1.1 billion | |
12 | US 뱅크 스타디움 | | 미식축구 | NFL | 미네소타 바이킹스 | 2016년 | $1.061 billion | |
13 | 웸블리 스타디움 | | 축구 | 없음 |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2007년 | £789 million | |
14 | 바클리스 센터 | | 농구 | NBA WNBA | 브루클린 네츠 뉴욕 리버티 | 2012년 | $1 billion | |
15 | UBS 아레나 | | 아이스하키 | NHL | 뉴욕 아일런더스 | 2021년 | $1 billion | |
16 | 시티 필드 | | 야구 | MLB | 뉴욕 메츠 | 2009년 | $900 million | |
17 | 리틀 시저스 아레나 | | 아이스하키 농구 | NHL NBA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 2017년 | $862 million | |
18 | 미즈호 PayPay 돔 후쿠오카 | | 야구 | NPB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1993년 | ¥76 billion | |
19 | 루카스 오일 스타디움 | | 미식축구 | NFL | 인디애나폴리스 콜츠 | 2008년 | $720 million | |
20 | 내셔널스 파크 | | 야구 | MLB | 워싱턴 내셔널스 | 2008년 | $693 million | |
※ 본 정보는 위키백과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리노베이션 사례는 제외함. |
| |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 |
Singapore National Stadium | |
위치 | 싱가포르 칼랑 |
소유 | 스포츠 싱가포르 |
수용인원 | 55,000명 (축구/럭비), 52,000명 (크리켓) 50,000명 (육상) |
기공 | 2010년 9월 29일 |
개장 | 2014년 6월 30일 |
잔디 | Eclipse Stabilised Turf (하이브리드 잔디, 2015년 설치) |
건설 비용 | 18억 7천만 SGD |
홈팀 |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 싱가포르 국가 크리켓팀 |
1. 개요
말레이어: Stadium Nasional Singapura중국어: 新加坡国家体育场
타밀어: சிங்கப்பூர் தேசிய அரங்கம்
싱가포르의 경기장으로 2010년부터 공사에 들어가서 2014년에 개장한 개폐식 돔구장이다.
축구, 럭비, 크리켓, 육상 경기를 겸용할 수 있는 다목적 경기장이다.
2. 소개
1973년에 동쪽 근교 칼랑(Kallang)에 개장한 같은 이름의 국립 경기장(National Stadium of Singapore)을 대체하기 위해서 지어졌으며 2007년에 폐장하고 2010년에 철거한 이후 같은 부지에 새롭게 개발한 OCBC 아쿠아틱 센터(수영장), OCBC 다목적 경기장, 싱가포르 스포츠 박물관, 스포츠 허브 도서관, 칼랑 웨이브 몰 및 싱가포르 실내 경기장을 포함한 종합 스포츠 단지인 싱가포르 스포츠 허브(Singapore Sports Hub)의 주요 시설물 중 하나로 지어진 경기장이다.OCBC가 투자하여서 이 은행의 이름이 여기저기에 붙었다.
주로 축구, 럭비, 크리켓 경기 및 각종 행사를 개최하며 수용 인원은 55,000명이다. 트랙이 접이식 가변석으로 되어있는 등 축구, 럭비, 크리켓, 육상 경기를 겸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축구 전용구장으로 지어진 경기장이 절대 아님에도 불구하고 축구 경기 시에는 전용구장처럼 쓰일 수 있다.
3. 세계 최대 규모의 돔구장
경기장 지름이 310.0 m에 달하는 상당히 크고 아름다운 돔구장이며,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세계 최대 기록을 가지고 있던 AT&T 스타디움(275.0 m)을 넘어서는 세계 최대의 돔 구조물이 되었다.다만, 육상을 포함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지어진지라 최대 수용 인원은 55,000명으로 AT&T 스타디움의 최대 수용 인원인 105,000명과 비교해볼때 50%를 약간 넘기는 수준이다.
이렇듯 싱가포르의 경기장 인프라가 뛰어나기 때문에 단독으로는 대회 개최가 어려워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과 공조할 경우 공동개최로 아시안컵 정도는 개최할 만한 여유가 있는 나라다. 싱가포르 축구팀이 약체라고는 해도 축구 열기가 적지는 않은 편이며 최근 들어 축구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는 추세다.
럭비의 경우 2016년부터 월드 럭비 세븐스 시리즈의 싱가포르 대회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2014년 10인제 럭비 세계 대회도 열린 바 있다.
4. 기타
-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은 그 동안에 국립경기장 재개발로 근처 라벤다(Lavender) 일대의 잘란브사르 스타디움(Jalan Besar Stadium)을 홈구장으로 쓰다가 4년 만에 다시 국립 경기장으로 복귀했다.
- 개장 이후 2016년까지 국경일 퍼레이드를 개최했으며 이후 안전 문제로 인한 제약 때문에 2017년부터 마리나 베이 수상 무대로 위치를 옮겨서 개최하고 있다. 마리나 베이가 넓이가 아주 압도적으로 넓다.
- 서클선 경기장역에서 나오면 바로 있는 곳이 이 경기장이다.
- 보이그룹 Stray Kids가 케이팝 4세대 최초로 이 곳에 입성했다.
- 2023년 5월 13~14일 2일간 BLACKPINK의 BORN PINK WORLD TOUR 싱가포르 공연이 개최되었다.
- 2024년에는 3월에 테일러 스위프트가 디 에라스(The Eras) 동남아시아 유일 공연을 개최했다.[1]
- 같은 해 9월에 프란체스코 2세 교황의 동남아시아 방문 때[2] 이 곳에서 동남아시아 아세안권 최대규모의 미사를 집전했다. 인도차이나반도-말레이반도 역내 국가 중 유일하게 가톨릭 신자 비중이 높은 나라가 싱가포르이며 경제력도 높아서 미사도 규모가 크게 집전했다. 이 당시 가톨릭 신자들이 의미있게 존재하는 말레이시아, 베트남은 물론 소수나마 가톨릭 신자들이 존재하는 미얀마,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그리고 아세안 유일 가톨릭 국가인 필리핀의 가톨릭 신자들은 물론 멀지 않은 나라인 호주의 가톨릭 신자들도 이때 교황 집전 미사 참례를 위해 싱가포르를 찾았다. 이 방문은 동남아시아를 상좌부 불교와 이슬람교만으로 생각했던 한국인들에게도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