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13:22:55

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파일: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Japan national rugby union team
ラグビー日本代表
별칭 브레이브 블라썸스 (Brave Blossoms)[1]
소속단체 일본 럭비 풋볼 협회 (JRFU)
감독 파일:호주 국기.svg 에디 존스 (Eddie Jones)
주장 타테카와 하루미치 (立川理道)
최다 출전 오노 히토시 (大野均)98회
최다 득점 고로마루 아유무 (五郎丸歩)708점
최다 트라이 오하타 다이스케 (大畑大介)69회
홈 경기장 도쿄 국립경기장 (Japan National Stadium)
첫 국제경기 vs 캐나다 (9:8)1932년 1월 31일
최대 승리 vs 대만 (155:3)2002년 7월 1일
최대 패배 vs 뉴질랜드 (17:145)1995년 6월 4일
럭비 월드컵 10회 진출
최고 8강(2019)
세계 랭킹 최고 7위(2019) / 최저 20위(2006)
역대 전적 386전 163승 11무 212패(42.2%)
소셜 미디어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역대 감독3. 역대 전적
3.1. 주요 대회 성적3.2. 국가별 상대전적
4. 개인 기록5. 유니폼6. 외국인 선수 기용 관련7. 선수단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일본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다. 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대표팀으로 2011 럭비 월드컵 무렵까지만 해도 승점 자판기에다 세계 무대에서 동네북 취급을 받았지만, 2010년대 중반 이후 전력이 급상승하여 마침내 월드 럭비는 2023년 4월 11일 디렉터 회의를 통해 일본을 1티어 국가로 격상했다. 지금은 정상급 강팀과 붙어도 예전처럼 일방적으로 당하지 않고, 어중간한 강팀들과는 반반 구도를 간다.

아시아 최고의 럭비 인프라와 시설, 전력을 갖고 있어 2019 럭비 월드컵이 최초로 아시아에서, 바로 일본에서 개최되었으며 일본을 홈 이점을 살려 8강에 진출하였다.

한국인으로 럭비 월드컵에 본선에 출전한 김철원, 구지원도 일본 대표팀 소속으로 출전했다.

2024년부터 퍼시픽 네이션스 컵에 정식으로 편입됨에 따라 마땅한 정기전이 없었던 문제가 해결되었다. 2026년 이후 럭비 챔피언십 참가를 목표로 문을 두드리고 있는데, 그 전까지 공백을 매울 수 있게 되었다.

2. 역대 감독

아쉽게도 과거 감독별 전적은 확인할 수 없다.
<rowcolor=#fff> 아마추어 시대
{{{#!folding [ 펼치기 · 접기 ]<rowcolor=#e00> 이름 기간
<colbgcolor=#fff><colcolor=#000>카야마 시게루 1930~1934
키타지마 추지 1936, 1956
오쿠무라 타케노스케 1952~1953
니시노 코조 1958
치바 토무 1959
와다 마사오 1959
카사이 샤스지로 1963
오시니 테츠노스케 1966~1971
오카 히토시 1972
요코이 히사시 1972
사이토 료 1974
오카 히토시 1975
요코이 히사시 1976
히비노 히로시 1976
사이토 료 1976~1978
미야지 카츠미 1978
요코이 히사시 1978~1979
이마자토 료조 1979
야마모토 이와오 1980
사이토 료 1980~1981
야마모토 이와오 1982
히비노 히로시 1982~1984
미야지 카츠미 1984
오카 히토시 1985~1986
미야지 카츠미 1987
히비노 히로시 1987~1988
슈쿠자와 히로아키 1989~1991
코야부 오사무 1992~1995 }}}
<rowcolor=#fff> 프로 시대
<rowcolor=#e00> 이름 기간
<colbgcolor=#fff><colcolor=#000>야마모토 이와오 1996
히라오 세이지 1997~2000
무카이 쇼고 2001~2003
하기모토 미츠타케 2004~2005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피에르 엘리살드 2005~2006
오타 오사무 (임시) 2006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존 커완 2007~2011
파일:호주 국기.svg 에디 존스 2012~2015
파일:호주 국기.svg 스콧 와이스맨틀 (임시) 2013
<rowcolor=#fff> 이름 기간 총전적 승률
<colbgcolor=#fff><colcolor=#000>나카타케 류지 (임시) 2016 4전 4승 10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마크 해멋 (임시) 2016 1전 1승 10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제이미 조셉 2016~2023 50전 23승 1무 26패 48%
파일:호주 국기.svg 에디 존스 2024~ 11전 4승 7패 36.4%

3. 역대 전적

2024 가을 럭비 유니언 국제 경기 이후를 기준으로 함. 출처

3.1. 주요 대회 성적

럭비 월드컵
<rowcolor=#e00> 연도 개최국 최종 순위 비고
1987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조별리그 조 4위
199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조별리그 조 3위[2]
1995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조별리그 조 4위
1999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조별리그 조 4위
2003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조별리그 조 4위
2007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조별리그 조 4위[3]
201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조별리그 조 5위
201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조별리그 조 3위
2019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8강 조별리그 4전 전승
8강전 vs 남아공(3:26)
2023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조별리그 조 3위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럭비 월드컵의 첫 대회인 1987년 대회부터 진출하고 있지만 동네북으로 착실하게 임무를 다하는데(...) 2015년까지 단 1번도 토너먼트를 넘어본 적이 없다. 2011년 대회 조예선에서는 통가에게도 졌으며 캐나다와도 비기며 1무를 기록한 것에 만족[4]하며 조 꼴찌로 일본은 탈락했다. 그러나...

2015년 9월 19일 잉글랜드 월드컵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34-32로 꺾는 초거대 이변을 연출했다. 전세계가 진짜 충격을 먹은 일이었는데, 남아공 럭비 대표팀, 즉 스프링복스올 블랙스 다음 가는 최강의 팀 지위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런 팀이 최강의 승점 자판기에게 졌다. FIFA 월드컵으로 치면 "일본이 월드컵 본선에서 독일이나 이탈리아 등 유럽 우승팀이나 아르헨티나브라질같은 남미 우승팀을 잡은 정도이다. 카잔의 기적?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하지만 스코틀랜드에게 10-45로 패배하여 순위가 추락했다. 그나마 이후 상대인 미국사모아를 이겼는데 문제는 남아공, 스코틀랜드, 일본이 서로 3승 1패씩 한 것이다. 토너먼트에 진출하려면 한 조의 상위 2팀만이 갈 수 있는데 여기서 럭비 월드컵만의 특별한 승점 방식인 4트라이 이상시 승점 1점, 7점차 이하의 패배시 승점 1점을 얻는 승점으로 남아공이 16점으로 1위, 스코틀랜드가 14점으로 2위, 일본이 12점으로 조 3위를 차지했다. 지금까지 럭비 월드컵에서 3승을 하고도 토너먼트에 진출을 하지 못한 경우는 단 한번도 없었다고 한다. 이때까지 승점 자판기 수준의 일본이 많은 성과를 보여주었다. 만약 일본이 트라이를 조금만 더 했더라면 그리고 스코틀랜드에게 대패만 하지않았더라면 일본이 처음이자 첫 원정 8강을 달성할 수도 있었다.

이로부터 4년뒤 일본이 개최국으로 럭비 월드컵을 하게 되었다. 지난번에 이어서 이번엔 같은 조에 속해있던 아일랜드를 잡는 이변을 보여주었다. 아일랜드는 일본과의 경기 직전 세계 랭킹 1위였다. 러시아, 사모아, 스코틀랜드를 모두 격파하고 일본의 첫 8강을 달성했다. 8강에 진출하는 순간을 일본에서 5500만명이 지켜봤다고 한다. 참고로 이때 아일랜드를 제외하고 모두 트라이를 4개씩 해서 승점 4점을 얻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지난 대회에서 트라이가 적어서 8강을 떨어진 걸 의식했는지 아주 열심히 트라이를 만들려했다. 그렇지만 이렇게 공격만해서 수비가 무너졌는지 8강에서 남아공에게 패배해 일본이 4강에 진출하는 일은 없었다.

이제 조 3위정도는 가볍기때문에 굳이 수준에도 맞지 않는 아시아 럭비 챔피언십에 참가할 필요가 없어졌다. 결국 대회에서 이탈했고 현재 고정적으로 참가하는 국제 대회는 없다[5].
아시안 럭비 챔피언십 (1969 ~ 2007)
<rowcolor=#e00> 주요 참가국 우승 총전적 승률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5회 67전 61승 6패 9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5회 70전 48승 1무 21패 68.6%
이하 생략
아시안 파이브 네이션스 (2008 ~ 2014)
<rowcolor=#e00> 주요 참가국 우승 총전적 승률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7회 28전 28승 100%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28전 15승 13패 53.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4전[6] 13승 11패 54.2%
이하 생략
아시아 럭비 챔피언십 (2015 ~ 2017)[7]
<rowcolor=#e00> 참가국 우승 총전적 승률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3회 12전 11승 1무[8] 91.7%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12전 5승 1무 6패 4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2전 1승 11패 8.3%
퍼시픽 네이션스 컵 (2006 ~ 2023)
<rowcolor=#e00> 주요 참가국 우승 준우승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6회 5회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4회[9] 4회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3회[10]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3회
<rowcolor=#fff> 퍼시픽 네이션스 컵 (2024 ~)
<rowcolor=#e00> 주요 참가국 우승 준우승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1회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회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일본은 과거부터 아시아를 넘어 자국 럭비를 더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 그 일환으로 퍼시픽 네이션스 컵에 2006년부터 참가하고 있다. 총 15승 25패 승률 37.5%로 약해 보이지만 그건 잘 못하던 2000년대 시절 얘기고 2011, 2014, 2019년에 우승을 차지한다. 우승을 3번이나 했을 정도로 좋은 성적을 거뒀다. 2015년까지 매년 참가하다가 2016~18년, 2022년엔 불참.

3.2. 국가별 상대전적

<rowcolor=#fff> 상대국 총전적 승률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6전 6패 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6전 6패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6전 6패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1전 1패 0%
파일:브리티시 앤드 아이리시 라이언스 로고.svg B&I 라이언스 1전 1패 0%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8전 1무 7패 0%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10전 1승 9패 10%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10전 1승 9패 10%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9전 1승 8패 11.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7전 1승 6패 14.3%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20전 4승 16패 2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9전 2승 8패 2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3전 1승 2패 33.3%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19전 7승 12패 36.8%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5전 11승 1무 13패 44%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19전 10승 9패 52.6%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26전 16승 2무 8패 61.3%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7전 5승 2패 7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6전 29승 1무 6패 80.6%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29전 24승 1무 4패 82.8%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6전 5승 1패 83.3%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6전 5승 1패 83.3%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7전 6승 1패 85.7%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5전 5승 100%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아랍 연맹 3전 3승 100%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3전 3승 100%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3전 3승 100%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3전 3승 100%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2전 2승 100%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1전 1승 10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1전 1승 100%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1전 1승 100%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1전 1승 100%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1전 1승 100%

4. 개인 기록

<rowcolor=#fff> 타이틀 이름 포지션 기록 기간/시점 비고
최다 출전 오노 히토시 98회 2004~2016
주장으로서 최다 출전 미우치 타쿠로 No.8 45회 2002~2008
최다 트라이 오하타 다이스케 69회 1996~2006 경기당 1.19개
최다 트라이 (경기당) 알리시 투푸아일레이 센터 경기당 1.61개 2009~2011 총 21회
최다 득점 고로마루 아유무 풀백 708점 2005~2015 경기당 12.64점
한 경기 최다 득점 구리하라 토오루 60점 2002.7.21 vs 대만
한 경기 최다 트라이 오하타 다이스케 8개 2002.7.7 vs 대만

5. 유니폼

흰 바탕에 빨간 줄이 그려진 셔츠를 주로 채용한다. 어웨이는 어두운 무채색, 남색, 흰색, 붉은색 등 아무렇게나 만든다.

6. 외국인 선수 기용 관련

일본은 홍콩과 더불어 아시아 럭비 대표팀들 중에서도 귀화 선수나 외국인 선수가 많이 거치는 대표팀 중 하나인데, 위키백과를 확인해보면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이 링크는 일본이 남아공을 격파한 경기의 스쿼드인데, 이 가운데 루크 톰슨[11], 마이클 브로드허스트[12], 저스틴 이브스, 마이클 리치[13], 헨드릭 투이, 말레 사우[14], 칸 헤스케스는 뉴질랜드 태생 일본 귀화 선수, 류 콜리니아시 홀라니, 아마나키 렐레이 마피[15]는 통가 태생 일본 귀화 선수, 크레이그 윙은 호주 태생 일본 귀화 선수, 마쓰시마 코타로(松島 幸太朗)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태생[16]이다.

이는 월드 럭비의 규정상 해당 국가에서 출생해서 해당 국가의 영주권을 보유하고 있거나, 부모 또는 조부모 중 한 명이 해당 국가 출신이거나, 대표팀 선발 직전 연속으로 5년 이상을 해당 국가에서 거주하거나, 누적 10년을 해당 국가에서 거주한다면 해당 국가의 국적을 취득하지 않아도 해당 국가의 대표팀으로 출전할 수 있는 규정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일본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도 적용된다.[17][18]

7. 선수단

재팬 럭비 리그 원이라는 큰 프로 리그가 있고, 선수를 해외로 수출하기보단 수입(?)해오는 경우가 많다보니 대표팀은 전원 일본 리그에서 뛰고 있는 인원들이고, 상당수가 일본 혈통이 아니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선수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e00> 포지션 소속팀 이름 출전 비고
후커
(3)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도시바 브레이브 루퍼스 도쿄 엠블럼.svg 하라다 마모루
原田衛
7회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코벨코 고베 스틸러스 엠블럼.svg 마쓰오카 켄타
松岡賢太
2회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엠블럼.svg 사카테 아쓰시
坂手淳史
46회
프롭
(6)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쿠보타 스피어스 엠블럼.svg 오페티 헬루
Opeti Helu
- 통가인[1]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도요타 베어블리츠 엠블럼.svg 미우라 쇼고
三浦昌悟
14회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시즈오카 블루 레브스 엠블럼.svg 모하라 타카요시
茂原隆由
5회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요코하마 캐논 이글스 엠블럼.svg 오카베 타카토
岡部崇人
4회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우라야스 D-락스 엠블럼.svg 타케우치 슈헤이
竹内柊平
10회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쿠보타 스피어스 엠블럼.svg 타메후사 케이지로
為房慶次朗
7회

(5)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도요타 베어블리츠 엠블럼.svg 아키야마 다이치
秋山大市
1회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도시바 브레이브 루퍼스 도쿄 엠블럼.svg 워너 디언스
Warner Dearns
18회 뉴질랜드인[2]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코벨코 고베 스틸러스 엠블럼.svg 아마나키 사우마키
Amanaki Saumaki
5회 통가 출신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쓰비시 사가미하라 다이너보어스 엠블럼.svg 에피네리 울루이비티
Epineri Uluiviti
2회 피지인[3]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하나조노 긴테쓰 라이너스 엠블럼.svg 사나일라 왕가
Sanaila Waqa
7회 피지인[4]
백 로우
(6)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리코 블랙 램스 도쿄 엠블럼.svg 아마토 파카타바
Amato Fakatava
10회 통가인[5]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도쿄 산토리 선골리앗 엠블럼.svg 히메노 카즈키
姫野和樹
32회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쿠보타 스피어스 엠블럼.svg 파울루아 마키시
Faulua Makisi
12회 통가인[6]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도요타 베어블리츠 엠블럼.svg 이자이아 마푸수아
Isaiah Mapusua
4회 뉴질랜드인[7]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도쿄 산토리 선골리앗 엠블럼.svg 시모카와 칸지
下川甲嗣
10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위니옹 보르도 배글 로고.png 테비타 타타푸
Tevita Tatafu
18회 미국령 사모아인[8]
스크럼
하프

(4)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쿠보타 스피어스 엠블럼.svg 후지와라 시노부
藤原忍
6회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우라야스 D-락스 엠블럼.svg 이누마 렌
飯沼蓮
-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엠블럼.svg 코야마 타이키
小山大輝
6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 사이토 나오토
齋藤直人
21회
플라이
하프

(2)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리코 블랙 램스 도쿄 엠블럼.svg 나카쿠스 이치고
中楠一期
-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쿠보타 스피어스 엠블럼.svg 타테카와 하루미치
立川理道
60회 주장
센터
(6)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코벨코 고베 스틸러스 엠블럼.svg 하마노 준타
濱野隼大
1회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리코 블랙 램스 도쿄 엠블럼.svg 이케다 유키
池田悠希
-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요코하마 캐논 이글스 엠블럼.svg 카지무라 유스케
梶村祐介
4회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도요타 베어블리츠 엠블럼.svg 니콜라스 맥커런
Nicholas McCurran
4회 뉴질랜드인[9]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엠블럼.svg 오사다 토모키
長田智希
14회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엠블럼.svg 딜런 라일리
Dylan Riley
24회 호주인[10]

(3)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도요타 베어블리츠 엠블럼.svg 시오사이아 피피타
Siosaia Fifita
13회 통가인[11]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도시바 브레이브 루퍼스 도쿄 엠블럼.svg 조네 나이캄불라
Jone Naikabula
13회 피지인[12]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시즈오카 블루 레브스 엠블럼.svg 말로 투이타마
Malo Tuitama
4회 사모아인[13]
풀백
(2)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도시바 브레이브 루퍼스 도쿄 엠블럼.svg 마쓰나가 타쿠로
松永拓朗
-
파일:와세다대학 로고.svg 야자키 요시타카
矢崎由高
6회
2024 가을 투어 선수단 (10월 15일 기준)
감독: 에디 존스 (Eddie Jones)
홈 경기장: 도쿄 국립경기장 (Japan National Stadium)


[1] 출전 자격 : 일본 거주[2] 출전 자격 : 일본 거주[3] 출전 자격 : 일본 거주[4] 출전 자격 : 일본 거주[5] 출전 자격 : 일본 거주[6] 출전 자격 : 일본 거주[7] 출전 자격 : 일본 거주[8] 출전 자격 : 일본 거주[9] 출전 자격 : 일본 거주[10] 출전 자격 : 일본 거주[11] 출전 자격 : 일본 거주[12] 출전 자격 : 일본 거주[13] 출전 자격 : 일본 거주
}}}}}}}}}}}}

8. 둘러보기

파일:퍼시픽 네이션스 컵(2024~).png
퍼시픽 네이션스 컵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Logo_Fiji_Rugby_2019.png 파일:럭비 사모아.png 파일:Tonga_Rugby_Logo.png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파일: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미국럭비대표팀.png 파일:1280px-Rugby_Canada_logo.pn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 ||



[1] 2003년을 기점으로 기존 Cherry Blossoms를 대체하는 중[2] 4위는 짐바브웨[3] 5위는 캐나다[4] 2007, 2011년 연속으로 캐나다랑 비겼다.[5] 여름 투어와 가을 평가전이 있지만 그건 어느 팀이나 한다[6] 2011시즌 강등[7] 2017시즌 이후 이탈, 말레이시아로 대체[8] 경기 취소[9] 2014년 일본과 공동 우승[10] 2014년 사모아와 공동 우승[11] 2007년 일본 귀화.[12] 뉴질랜드 청소년 대표 출신이다.[13] 2013년 일본 귀화. 어머니가 피지 혈통이다.[14] 뉴질랜드 태생이나 사모아 혈통이다.[15] 통가 청소년 대표 출신.[16] 모친이 일본인으로 5세부터 일본 국적이 있었다.[17] 세 가지 규정 중 한 가지만 충족해도 타국 대표팀으로 출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가족 중에 남아공 사람이 없는 순수 중국인이 남아공에 5년 연속 혹은 10년을 누적으로 거주하고, 럭비를 엄청 잘한다고 하면 이 사람은 국적을 불문하고 남아공 대표로 럭비 월드컵의 선수로 등록이 가능하다.[18] 해당 국가에서 출생을 한 경우에는 외국인이 아닌 국내 선수로 간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