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3 22:53:58

소련 군정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d00,#d00> 상징 하켄크로이츠 · 국가수리 · 나치식 경례 · 독일의 노래 ·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 · 철십자
이념 나치즘 · 파시즘 · 대독일주의 · 반유대주의 · 네오나치즘 · 전체주의 · 국수주의 · 인종주의 · 지도자원리
역사 독일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 · 수권법 통과 · 장검의 밤 · 라인란트 재무장 · 1936 베를린 올림픽 · 오스트리아 병합 · 뮌헨 협정 · 수정의 밤 · 폴란드 침공 · 제2차 세계 대전 · 독소전쟁 · 플렌스부르크 정부 · 독일의 항복
정치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 · 국가판무관부 · 퓌러 · 히틀러유겐트 · 대관구(가우) · 역대 나치당 당수· 게르만 기독교인
외교 외교 전반 · 추축국 · 반코민테른 협정 · 독소 불가침 조약 · 나치 독일-이탈리아 왕국 관계 · 나치 독일-일본 제국 관계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나치 독일의 괴뢰국
경제 경제 · 4개년 계획 · 메포어음 · 아우토반 · 폭스바겐 · 나치 독일의 전범기업
군사 독일 국방군 · 친위대(무장친위대) · 국방군최고사령부 · 돌격대 · 게슈타포 ·국가보안본부 · 아인자츠그루펜 · 6호 전차 티거 · U보트 · Bf 109 · MG42 · 우란프로옉트
전쟁범죄 나치 독일의 전쟁범죄 · 독일 친위대의 전쟁범죄 · 국방군의 전쟁범죄 · 홀로코스트 · 절멸수용소(아우슈비츠) · 오라두르쉬르글란 학살 · T4 작전 · 아기공장 · 반제 회의 · 벨라루스 초토화작전 · 치클론 B · 뉘른베르크 전범 재판
인물 아돌프 히틀러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하인리히 힘러 · 헤르만 괴링 · 마르틴 보어만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 빌헬름 카이텔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아돌프 아이히만 · 베르너 폰 브라운
선전물 푈키셔 베오바흐터 · 의지의 승리 · 나의 투쟁 ·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기타 환타 · 하얀 장미 · 황금당 배지 · 나치의 남미 도주 ·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 아돌프 히틀러/밈&만평
관련 틀 아돌프 히틀러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나치즘 · 파시즘 · 네오 나치즘 · 행정구역과 점령지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폴란드 제2공화국 그리스 왕국
<rowcolor=#322e2b> 폴란드 군정청
Militärverwaltung in Polen
그리스국 (그리스 군정청)
Ελληνική Πολιτεία
프랑스 중부
프랑스 군정청
Militärverwaltung in Frankreich
벨기에 · 북프랑스 룩셈부르크
벨기에-북프랑스 군정청
Militärverwaltung in Belgien und Nordfrankreich
룩셈부르크 군정청
Militärverwaltung Luxemburg
소련 내 점령지 세르비아
소비에트 연방 군정청
Militärverwaltung in der Sowjetunion
세르비아 주재 독일군 군정관 관할영토
Gebiet des Militärbefehlshabers in Serbien
행정구역 및 점령지 · 국가판무관부 · 괴뢰국 · 보호령 · 군정청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위치 국가판무관부명 국가판무관
<colbgcolor=#322e2b> 노르웨이 노르웨이 국가판무관부
Reichskommissariat Norwegen
요제프 테르보펜
네덜란드 네덜란드 국가판무관부
Reichskommissariat Niederlande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벨기에 · 북프랑스 벨기에-북프랑스 국가판무관부
Reichskommissariat Belgien-Nordfrankreich
요제프 그로헤
발트 3국 · 벨라루스 동방지역 국가판무관부
Reichskommissariat Ostland
힌리히 로제
에리히 코흐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
Reichskommissariat Ukraine
에리히 코흐
행정구역 및 점령지 · 국가판무관부 · 괴뢰국 · 보호령 · 군정청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군정청
Militärverwaltung in der Sowjetunion
Военное управление в Советском Союзе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국가판무관부
파일:나치 독일 국방군최고사령관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장.svg
군정청기 국장
Ein Volk, Ein Reich, Ein Führer
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가, 하나의 지도자
파일:소련 군정청.png
지도 ▲
<colcolor=#ffffff> 1941년 6월 22일~ 1944년 10월 13일
역사
1941년 6월 22일 독소전쟁 발발 (바르바로사 작전)
1941년 12월 5일 소련 점령지 분리
1944년 6월 22일 바그라티온 작전
1944년 10월 13일 소련에 재병합 및 멸망
위치 동유럽, 소련 서부 지역
정치체제 군정청, 국가판무관부, 식민지, 공화제[1], 일당제, 전체주의, 일당독재[2], 권위주의적 독재, 국가사회주의
국가(國家)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나치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나치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국가(國歌) Deutschlandlied
독일인의 노래
Horst Wessel Lied[3]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
정당
국가원수 퓌러(Führer)
국가판무관 힌리히 로제(Hinrich Lohse)
에리히 코흐(Erich Koch)
주둔군 독일 국방군
언어 독일어[공식], 러시아어, 기타 언어
통화 라이히스마르크, 소련 루블(일부)
존속 기간 약 3년 4개월
면적 약 1,600,000km2
관련 사건 바르바로사 작전, 독소전쟁

1. 개요2. 역사3. 상세4. 관련 문서

1. 개요

1941년 6월 22일, 독소전쟁에서 나치 독일이 소련을 침공하고 동유럽소련 서부 지역을 점령한 후 세운 군정청이다. 육군집단 후방지역사령부가 점령한 소련 영토를 관할하였다.

2. 역사

소련 군정청은 전방의 작전 지역과 후방의 육군 관할 구역으로 나뉘어 있었다. 러시아나 캅카스 지역 말고도 벨로루시 SSR 일부, 우크라이나 SSR 일부가 여기에 들어갔는데 이 지역들은 추후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로 편입이 고려되기도 했으나 전황 악화 및 행정적 실효성 미비의 이유로 무산되었다. 이후 1944년 8월 소련이 이 지역을 대부분 수복하면서 사라졌고 남은 점령지는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와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 관할로 들어간다. 하지만 이때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는 해체 직전이었으며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는 그나마 일부 영토가 남아있긴 했으나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로 들어간 관할 지역 역시 얼마 안 가 대부분의 지역을 소련탈환당하고 만다.

3. 상세

점령 초창기의 소련서부 지역을 관리하고 나치 독일의 경제·군사적 이익을 극대화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나치독일의 군정청은 보통 기존 현지의 행정 체계를 해체하고, 독일인 관리와 "군인 중심의 통치 구조"를 세워 점령지의 정치적 통제와 자원 약탈을 체계적으로 수행하였지만 특히 동부 전선 점령지는 수탈과 학살이 서부전선에 비해 좀 더 심한 편이였다.

아돌프 히틀러는 동부 점령지를 "독일 제3제국동방 식민지"로 재편하고자 했으며, 장기적으로는 현지 주민들을 독일화(Germanisierung)하거나 제거하여 레벤스라움 정책을 완성하려 했다.

나치 독일의 소련 군정청은 군사 점령 기관이자 인종 이데올로기를 실현하는 도구로 기능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동부 전선의 잔혹한 전쟁 범죄와 인명 피해의 핵심적인 행정적 기반이 되었다.

특히 농산물광물 자원 등을 독일 본토로 수송해 전쟁 물자를 확보하는 데 집중하였으며, 동시에 반독 세력과 유대인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학살강제노동 정책을 시행했다.

4. 관련 문서


[1] 명목상[2] 나치 독일은 히틀러가 퓌러에 집권 한 뒤부터 전체주의 국가로 변질된 것이 맞기는 하지만, 그 전까진 나치당 역시 바이마르 공화국에 소속된 하나의 당으로서 범민주주의 체제 안에 포함되어 있었다.[3] 본래 나치당의 당가였지만 실질적으로는 국가의 역할도 겸했다. 일반적으로 '독일의 노래'를 선창하고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를 후창하는 식이었다.[공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