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4 19:38:22

방공 협정

반코민테른 협정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9px; word-break: keep-all"
{{{#000,#999
<colbgcolor=#536349> 연표 사건
1936년
3월
라인란트 재무장 |
7월
스페인 내전 발발 |
12월
방공 협정
1937년
7월
중일전쟁 발발(루거우차오 사건) · 제2차 국공합작 |
8월
상하이 전투 |
12월
난징 전투(난징 대학살) · 파나이 호 사건
1938년
3월
오스트리아 병합 |
6월
1938년 황허 홍수 |
7월
하산 호 전투 |
9월
뮌헨 협정
1939년
4월
스페인 내전 종결 |
5월
할힌골 전투 |
8월
독소 불가침조약 |
9월
폴란드 침공(제2차 세계 대전 발발) · 가짜 전쟁 |
11월
겨울전쟁
1940년
4월
노르웨이 침공 |
5월
프랑스 침공 · 됭케르크 철수작전 |
7월
영국 본토 항공전 |
9월
삼국 동맹 조약 |
10월
그리스 침공
1941년
5월
비스마르크 추격전 |
6월
바르바로사 작전(독소전쟁 발발) · 계속전쟁 |
9월
레닌그라드 공방전 |
10월
모스크바 공방전 |
12월
진주만 공습(태평양 전쟁 발발) · 말레이 해전 · 남방작전
1942년
4월
둘리틀 특공대 |
6월
청색 작전 · 미드웨이 해전 |
7월
엘 알라메인 전투 |
8월
스탈린그라드 전투 · 과달카날 전역 |
11월
과달카날 해전 · 횃불 작전 · 노르웨이 중수 사건
1943년
1월
카사블랑카 회담 |
2월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 |
4월
바르샤바 게토 봉기 |
7월
쿠르스크 전투 ·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
9월
이탈리아 왕국의 항복(이탈리아 내전 발발) |
11월
카이로 회담 · 테헤란 회담
1944년
4월
대륙타통작전 |
6월
바그라티온 작전 · 노르망디 상륙 작전 · 필리핀해 해전 · 사이판 전투 |
7월
브레턴우즈 회의 ·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
8월
바르샤바 봉기 |
9월
마켓 가든 작전 |
10월
레이테 만 해전 |
12월
벌지 전투
1945년
2월
얄타 회담 · 드레스덴 폭격 · 이오지마 전투 |
3월
연합군의 일본 본토 공습(도쿄 대공습) · 연합군의 독일 본토 침공 |
4월
베를린 공방전 · 오키나와 전투 |
5월
나치 독일의 항복 |
7월
포츠담 회담 |
8월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 만주 전략 공세 작전 · 일본 제국의 항복(옥음방송) |
9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 매년 전황·추세 등 상세한 내용은 연표 해당 연도 참고 }}}}}}}}}}}}
일독이 방공 트리오([ruby(日独伊防共, ruby=にちどくいぼうきょう)]トリオ)》, 1938년 노래.
1. 개요2. 가입국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방공 협정() 또는 반코민테른 협정(독어: der Antikominternpakt, 중국어: )은 1930년대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등이 공산주의 조직(코민테른)을 막는다는 명분으로 파시즘을 정당화하고 침략 전선을 강화하기 위해 맺은 협약이다. 1936년 11월 25일 독일과 일본 양국이 첫 협정에 조인하며 시작되었다. 그러나 불과 3년 뒤인 1939년 8월 23일에 맺어진 독소 불가침조약(Nichtangriffspakt)으로 그 의미는 퇴색했고, 충격을 받은 일본은 독소 불가침조약이 깨지고 1941년 6월 22일 독소전쟁이 발발했을 때에도 독일의 소련 침공 요구에 침묵하며 1941년 4월 13일소련-일본 중립 조약 (Soviet–Japanese Neutrality Pact, 日ソ中立条約)을 유지했다.[1]

2. 가입국

3. 관련 문서


[1] 서로 중립을 지키는 조약이지만, 조약 유효 기간이 1년 넘게 남았음에도 1945년에 소련은 일본의 괴뢰국인 만주국을 침공한다.[2] 옵서버 자격으로 가입. 1945년 연합국 가입, 추축국에 선전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