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938년 황허 홍수는 1938년 6월 9일부터 황허 중하류에 발생한 대규모 홍수이다. 중일전쟁 중 일본의 진격을 막기 위해 국민정부가 일으켰다.2. 전개
2.1. 배경
중일전쟁 당시 중국은 후퇴를 거듭, 일본은 1938년 초 안양을 시작으로 허난 일대를 공격하기 시작한다. 6월 카이펑이 위기에 처해 중국은 란펑현[1]에서 마지막 방어전을 치르지만 패배, 6일 카이펑은 일본에 의해 점령된다.어떻게든 일본의 다음 목표인 정저우를 지켜야 했던 장제스는 황허 제방을 무너뜨리기로 결정한다.
2.2. 수공
1938년 6월 7일 국민혁명군 제53군 1단은 화완구(花園口) 제방을 부수기 시작, 이틀 후 무너뜨린다. 천정천[2]이었던 황허가 인근으로 넘쳐 진격하던 일본 육군 제14, 16사단은 큰 피해를 입고, 중국은 정저우를 지킨다.원래 계획은 인근의 다른 하천으로 물이 빠지는 것이었으나 10일 상류의 폭우, 제방 붕괴 확대로 화북 평야에 감당할 수 없는 양의 물이 쏟아지기 시작한다.
2.3. 피해
피해지역은 걷잡을 수 없이 안후이, 장쑤성 일대까지 확대, 당시 이렇게 피해가 커질 줄 몰랐고 침수 지역이 온통 전쟁터라 대비가 어려웠던 정부는 화완구 인근에만 홍수경보와 대피령을 발령했지만, 결국 89만명이 사망하고, 1,250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이 일로 300만명이 아사했다.3. 이후
- 허난은 전쟁통에 제대로 복구가 되지 않았고, 4년 후에는 허난 대기근까지 맞는다.
4. 기타
- Hearts of Iron IV에서 중국 군벌들이 디시전으로 일으킬 수 있는 이벤트다. 발동 시 보급 및 진격 속도가 절망적으로 느려지고 지속시간은 2년.
- 북지파견군의 노래의 2절에서 언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