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8 13:43:01

발렌티노 로시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fff><tablewidth=320><tablebgcolor=#fff,#fff>파일:BMW M 로고.svg 2025 BMW M
워크스
드라이버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Phillip Eng 2025.jpg
파일:Robin Frijns 2025.jpg
파일:kevin magnussen 2025.jpg
파일:raffaele-marciello 2025.jp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필립 엥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로빈 프라인스 파일:덴마크 국기.svg 케빈 마그누센 파일:스위스 국기.svg 라파엘레 마르치엘로
파일:Rene Rast 2025.jpg
파일:Sheldon_Van_Der_Linde 2025.jpg
파일:Dries_Vanthoor 2025.jpg
파일:Marco_Wittmann 2025.jpg
파일:독일 국기.svg 르네 라스트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셸든 반더린데 파일:벨기에 국기.svg 드리스 반투르 파일:독일 국기.svg 마르코 비트만
파일:Bill_Auberlen_BMW.jpg
파일:Connor_De_Phillippi 2025.jpg
파일:Ugo_de_Wilde 2025.jpg
파일:미국 국기.svg 빌 아벌렌 파일:미국 국기.svg 코너 드 필리피 파일:벨기에 국기.svg 우고 데 와일드 파일:브라질 국기.svg 아우구스토 파푸스
파일:Robby_Foley 2025.jpg
파일:Dan_Harper 2025.jpg
파일:Max_Hesse 2025.jpg
파일:Jens_Klingmann 2025.jpg
파일:미국 국기.svg 로비 폴리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댄 하퍼 파일:독일 국기.svg 막스 헤세 파일:독일 국기.svg 옌스 클링만
파일:Jesse_Krohn 2025.jpg
파일:Valentino_Rossi 2025.jpg
파일:Maddison_Snow 2025.jpg
파일:Kelvin_van_der_Linde 2025.jpg
파일:핀란드 국기.svg 제시 크론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발렌티노 로시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스노우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켈빈 반더린데
파일:Neil_Verhagen 2025.jpg
파일:Charles_Weerts 2025.jpg
파일:미국 국기.svg 닐 베르하겐 파일:벨기에 국기.svg 샤를 위르츠 }}}}}}}}}

파일:월드 인듀어런스 챔피언십 로고.svg
파일:LMGT3 Green.png 2025 WEC LMGT3 참가 팀/드라이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 제조사/번호 <colbgcolor=#fff> 차량 & 팀 / 드라이버 <colbgcolor=#fff,#fff> 제조사/번호 <colbgcolor=#fff> 차량 & 팀 / 드라이버
2025 시즌 엔트리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svg
10번
파일:2025_WEC_Aston_Martin_Vantage_Racing_Spirit_of_Leman_AMR_GT3.png
파일:페라리 로고.svg
21번
파일:2025_WEC_Vista_AF_Corse_Ferrari_296_GT3_21.png
파일:미국 국기.svg 데릭 드보어
파일:미국 국기.svg 앤서니 매킨토시[상파울루2][후지]
파일:브라질 국기.svg 에두아르도 바리첼로
파일:프랑스 국기.svg 발랑탱 아세클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수아 에리오
파일:영국 국기.svg 사이먼 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알레시오 로베라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svg
27번
파일:2025_WEC_Aston_Martin_Vantage_Heart_of_Racing_AMR_GT3.png
파일:BMW 로고 그레이.svg
31번
파일:2025_WEC_The_Bend_Team_WRT_BMW_M4_GT3_EVO.png
파일:미국 국기.svg 이안 제임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재커리 로비숀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티아 드루디
파일:호주 국기.svg 야서 샤힌
파일:국기.svg 티무르 보구슬라브스키
파일:브라질 국기.svg 페드로 에브라힘[상파울루3]
파일:브라질 국기.svg 아우구스토 파푸스
파일:wec-corvette-symbol.png
33번
파일:2025_WEC_TF_Sport_Chevorlet_Corvette_GT3_R_33.png
파일:BMW 로고 그레이.svg
46번
파일:2025_WEC_Team_WRT_BMW_M4_GT3_EVO.png
파일:미국 국기.svg 벤 키팅
파일:영국 국기.svg 조니 에드거
파일:스페인 국기.svg 다니 훈카데야
파일:오만 국기.svg 아마드 알 하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발렌티노 로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켈빈 반더린데
파일:페라리 로고.svg
54번
파일:2025_WEC_Vista_AF_Corse_Ferrari_296_GT3_54.png
파일:맥라렌 로고.svg
59번
파일:2025_WEC_United_Autosports_McLaren_720s_GT3_Evo_59.png
파일:스위스 국기.svg 토마스 플로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프란체스코 카스텔라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다비데 리곤
파일:영국 국기.svg 제임스 코팅엄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보
파일:스위스 국기.svg 그레고아 소시
파일:AMG 로고.svg
60번
파일:2025_WEC_Iron_Lynx_Mercedes_AMG_GT3_Evo_60.png
파일:AMG 로고.svg
61번
파일:2025_WEC_Iron_Lynx_Mercedes_AMG_GT3_Evo_61.pn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클라우디오 스키아보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테오 크레소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테오 카이롤리
파일:영국 국기.svg 앤드류 길버트[교체]
파일:스페인 국기.svg 프란 루에다[교체]
파일:영국 국기.svg 로컨 하나핀[교체]
파일:호주 국기.svg 스테픈 그로브[스파]
파일:독일 국기.svg 크리스티안 리드
파일:호주 국기.svg 마틴 베리[스파][교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린 호데니우스
파일:벨기에 국기.svg 막심 마르탱
파일:포드 로고 컬러.svg
77번
파일:2025_WEC_Proton_Competition_Mustang_GT3_77.png
파일:렉서스 로고.svg
78번
파일:2025_WEC_Akkodis_ASP_Team_Lexus_RC_F_GT3_78.pn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베르나르두 소사
파일:영국 국기.svg 벤 턱
파일:영국 국기.svg 벤자민 바커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놀드 로빈
파일:프랑스 국기.svg 핀 게르시츠
파일:영국 국기.svg 벤 바니코트
파일:프랑스 국기.svg 에스테반 마송[이몰라]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야마 유이치[스파][상파울루1]
파일:영국 국기.svg 잭 학스워스[르망1]
파일:wec-corvette-symbol.png
81번
파일:2025_WEC_TF_Sport_Chevorlet_Corvette_GT3_R_81.png
파일:포르쉐 로고.svg
85번
파일:2025_WEC_Iron_Dames_Porsche_911_GT3_R.png
파일:벨기에 국기.svg 톰 반 룸푸이
파일:앙골라 국기.svg 루이 안드라데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찰리 이스트우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셀리아 마탕
파일:스위스 국기.svg 라헬 프레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미셸 가팅
파일:스위스 국기.svg 사라 보비[르망2]
파일:렉서스 로고.svg
87번
파일:2025_WEC_Akkodis_ASP_Team_Lexus_RC_F_GT3_87.png
파일:포드 로고 컬러.svg
88번
파일:2025_WEC_Proton_Competition_Mustang_GT3_88.pn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라즈번 페트루 움브러레스쿠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클레멘스 슈미트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호세 마리아 로페스
파일:영국 국기.svg 잭 학스워스[론스타]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스테파노 가투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잠마리아 레보라토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데니스 올센
파일:포르쉐 로고.svg
92번
파일:2025_WEC_Manthey_1st_Phorm_Porsche_911_GT3_R.png
파일:맥라렌 로고.svg
95번
파일:2025_WEC_United_Autosports_McLaren_720s_GT3_Evo_95.png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언 하드윅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리하르트 리츠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리카르도 페라
파일:영국 국기.svg 대런 렁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숀 겔라엘
파일:일본 국기.svg 사토 마리노
일부 경기 엔트리 (르망 24시 포함)
파일:wec-corvette-symbol.png
13번
파일:2025-lm-13-corvette-z06-gt3-r-droite_89f535.png
파일:페라리 로고.svg
57번
파일:2025-lm-57-ferrari-296-gt3-droite_c81236.png
파일:캐나다 국기.svg 오리 피다니
파일:독일 국기.svg 라스 컨
파일:영국 국기.svg 멧 벨
파일:일본 국기.svg 키무라 타케시
파일:영국 국기.svg 캐스퍼 스티븐슨
파일:브라질 국기.svg 다니엘 세라
파일:AMG 로고.svg
63번
파일:2025-lm-63-mercedes-droite_451862.png
파일:포르쉐 로고.svg
90번
파일:2025-lm-90-porsche-911-gt3-r-droite_438683.png
파일:호주 국기.svg 스테픈 그로브
파일:호주 국기.svg 브렌톤 그로브
파일:독일 국기.svg 루카 슈톨츠
파일:홍콩 국기.svg 안타레스 아우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루크 하르토흐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클라우스 바클러
파일:페라리 로고.svg
150번
파일:2025-lm-150-ferrari-296-droite_9c8d9c.png
파일:페라리 로고.svg
193번
파일:2025-lm-193-ferrari-296-droite_1d240.png
파일:미국 국기.svg 쿠스토디오 톨레두
파일:프랑스 국기.svg 릴루 와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리카르도 아고스티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에디 치버 III
파일:영국 국기.svg 크리스 프로갓
파일:홍콩 국기.svg 조나단 후이
* 제조사, 차량 칸 모두가 회색인 차량은 르망 24시 한정 참가 차량이며 어떤 챔피언십 포인트도 획득할 수 없다.
각주 [ 펼치기 · 접기 ]

[상파울루2] 한정 출전[후지] 데릭 드보어를 대체하여 출전[상파울루3] 아파서 결장하는 보구슬라브스키 대체 예정[교체] 르망 24시부터 변경된 라인업[교체] [교체] [스파] 스파 6시 한정 참가[스파] [교체] [이몰라] 벤 바니코트의 자전거 사고로 인한 부상으로 대체[스파] 에스테반 마송을 대체[상파울루1] 벤 바니코트를 대체[르망1] 벤 바니코트의 자전거 사고로 인한 부상으로 대체[르망2] 미셸 가팅의 발목 부상으로 대체[론스타] 부상으로 결장하는 마이크 콘웨이를 대체하는 로페스를 대신하여 출전
}}}}}}}}}
파일:2025_WEC_Team_WRT_46_Valentino_Rossi.png
WEC - 팀 WRT No.46
발렌티노 로시
Valentino Rossi
<colbgcolor=#012055> 본명 발렌티노 로시
Valentino Rossi
출생 1979년 2월 16일 ([age(1979-02-16)]세)
이탈리아 마르케 페사로에우르비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0 cm
소속팀 스쿠데리아 AGV 아프릴리아 (1996)
나스트로 아주로 아프릴리아 (1997~1999)
나스트로 아주로 혼다 (2000~2001)
렙솔 혼다 팀 (2002~2003)
그로와즈 포르투나 야마하[1] (2004~2005)
캬멜 야마하 팀 (2006)
피아트 야마하 팀 (2007~2010)
두카티 코르세 팀 (2011~2012)
야마하 팩토리 레이싱 (2013)
모비스타 야마하 MotoGP (2014~2020)
페트로나스 야마하 SRT (2021)
팀 WRT[2] (2022~)
팀 WRT[3] (2024~)
월드 챔피언 7회
그랑프리 우승 89회
포디움 199회
폴 포지션 55회
패스티스트 랩 76회
첫 경기 2002 일본 그랑프리
첫 그랑프리 우승 2002 일본 그랑프리
지난 시즌 성적
(2021 시즌)
18위 (44포인트)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vr46.png 파일:2021-valentino-rossi-helmet-2.jpg
로시의 로고 로시의 헬멧




1. 개요2. 소개3. 선수 경력
3.1. 2015 시즌3.2. 2021 시즌3.3. 라이딩 스타일3.4. GT 월드 챌린지 유럽
3.4.1. 2022 시즌3.4.2. 2023 시즌
3.5. 그 외 활동
4. 여담5. 둘러보기

1. 개요

파일:rossi-en-2009.jpg
2009년 모토GP 활동 당시의 발렌티노 로시
파일:rossibmw.png
2023년 팀 WRT의 #46 BMW M4 GT3

이탈리아의 前 모터사이클 레이서. 現 레이싱 드라이버.

2021 시즌을 끝으로 MotoGP에서 은퇴했으며, 2022년부터 GT 월드 챌린지 유럽과 WEC LMGT3 클래스에서 팀 WRT 소속으로 활동중이다.

2. 소개

애칭은 "The Doctor" 로 통한다. 통산 월드 챔피언은 9회이며, 그 중 최상위 배기량 클래스인 MotoGP에서 6회, 125cc, 250cc, 500cc에서 각각 1회의 기록을 갖고 있다.. 125cc, 250cc, 500cc, 그리고 MotoGP에 이르는 모든 배기량의 대회에서 월드 챔피언에 오른 유일한 라이더이다. 혼다, 야마하, 두카티에서 모두 활약했지만, 최고 전성기는 2000년대 야마하 시절이다.

F1을 잘 몰라도 미하엘 슈마허는 알듯이, 모터사이클 레이싱계에서는 'MotoGP=로시'가 떠올려 질 정도로 압도적인 인지도를 자랑한다. 자코모 아고스티니, 믹 두한 등 과거의 레전드 라이더들도 존재했지만, 로시 만큼의 스타성과 팬덤을 가진 선수는 없었다. 기량 외적인 이유로 여성 팬들도 엄청나게 많다. 2010년대 들어 마르크 마르케스라는 신예 괴물의 등장을 비롯해, Moto2에서 올라오는 많은 젊은 경쟁 선수들에 밀리고 폼은 하락했지만 여전히 그의 팬층은 두텁다.

2021년 은퇴를 선언함으로써 무려 만 42세까지 현역으로 활약하게 되었다. 치명적인 골절상을 입은 적도 있지만 강한 회복 의지로 수차례 위기를 넘겨왔다. 20대 후반, 늦어도 30대 중반에 은퇴하는 선수 생명이 짧은 종목 특성 상 이례적이라 볼 수 있다. 스토너, 로렌소, 페드로사, 도비치오소 등 그와 라이벌리를 이뤄 대립했었던 라이더들도 수 없이 많다. 그와 동시대에 현역이었던 과거 선수들도 현재는 은퇴하거나 WSBK로 이적한 경우가 많다.

3. 선수 경력

아버지 그라치아노 로시도 모터사이클 레이서 출신이며, 그 영향으로 어릴 때부터 부터 카트를 탔다고 한다.[4] 상징같은 번호 46번은 아버지가 선수 시절 쓰던 번호이며, 초창기부터 사용하기 시작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카지바 레이싱 팀에서 이탈리아 전국 레이싱 대회에 출전하기 시작해[5] 아프릴리아로 옮겨 거기서 그랑프리(125cc)에 데뷔하여 250cc로 올라간 다음, 혼다에서 당시 그랑프리 최고 등급이자 현 모토GP의 전신인 500cc 를 뛰기 시작했으나, 라이더를 기계처럼 취급하는 딱딱한 혼다 풍조에 반발하여 야마하로 이적했다가 말년에 에이스 취급해주지 않자 두카티로 이적. 그러나 일제 바이크에 비해서 부족한 성능의 두카티로 커리어를 말아먹고는 다시 야마하로 고개 숙이고 들어갔다.[6]

3.1. 2015 시즌

2015년에 좋은 활약을 펼치면서 월챔 10회의 꿈을 키웠으나 세팡에서 마르케스와의 사건으로 물거품이 되었다 바깥쪽으로 추월하려는 마르케즈를 로시가 발로 걷어차면서 마르케스는 리타이어하고 로시는 유유히 도망가듯이 달려 3위로 끝마친 사건. 카메라에 발로 걷어차는 듯한 모션이 정확히 찍혔다.

마르케스는 강력히 비난했지만 로시가 별다른 해명을 하지 않자 마르케스의 팬덤은 엄청난 분노를 표출했고 모두 로시가 비매너를 저질렀다고 생각했다. 사건이 심각해지자 FIM에서는 진상규명을 실시했다. 이 때 밝혀진 충격적인 사실은 모든 루머의 정체는 마르케스의 정치질이었다는 것. 로시는 세팡 레이스가 펼쳐지기 전 기자회견에서부터 마르케스가 왜 이렇게 나에게만 유독 공격적인 라이딩을 펼치는지 모르겠다며 불만을 표출했었다. 경기중에도 마르케스는 극단적인 라이딩을 선보이며 로시를 끈질기게 괴롭혔다.



그리고 문제의 14번 코너에서 사건이 벌어진 것인데 잘 보면 마르케스가 무리하게 바깥쪽으로 그립을 유지하며 파고들다 로시의 무릎을 헬멧으로 가격했고 로시는 다리를 들며 마르케즈를 밀어내려 했는데 하필 그것이 마르케스의 핸들 바에 닿게 된 것. 전술했듯 마르케스는 본인이 로시를 가격한 것만 쏙 빼먹고 로시를 정치질로 몰아가며 굉장히 거센 비판을 가했다. 결국 로시는 고의적으로 마르케스를 밀어내려 했다는 혐의를 받아 최종전 발렌시아에서 최후미 스타트를 해야하는 페널티를 떠안았지만, 진상규명을 통해 뒤늦게나마 정치질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로 인해 2015년 챔피언은 마르케스도, 본인도 아닌 팀메이트 호르헤 로렌소가 가져가 버렸다.

3.2. 2021 시즌

파비오 콰타라로와 트레이드 되어 2021 시즌부터는 페트로나스 야마하에서 뛰게 되었다. 리타이어와 하위권을 기록하는 중. 노쇠화로 인한 기량 저하로 보인다. 같은 해 8월 6일,긴급 기자회견을 열어서 은퇴를 선언했다. 시즌 종료시까지는 팀과 함께한다고 한다.

3.3. 라이딩 스타일

기술 진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끊임없이 계산과 변화를 추구하며, 셋팅 역량이 뛰어나고 하중 위주의 주행으로 머신의 성능을 극한으로 끌어올리는 스타일이다. 타이어 슬라이드를 적극 활용한다. 코너 진입 전에 안쪽 다리를 바깥으로 내미는 버릇이 있다. 현재 많은 라이더들이 취하는 동작인데, 이는 로시가 처음 시작한 것이다.

로시는 현대 레이싱의 라이딩 방식을 어느 정도 정립한 인물인데, 2000년, 마이클 두한 시대가 저물고, 유럽 라이더들이 대회를 지배하기 시작했다. MotoGP 규정이 새롭게 제정되면서 4 스트로크 엔진이 사용되었고 더 높아진 성능으로 인해 라이더의 기량이 매우 중요해졌다. 전통 라이딩 방식(그립 중시의 코너링)과 슈퍼바이크식의 라이딩(타이어를 슬라이드시키는 코너링) 의 두 가지 의견으로 양분되고 있었는데 이 때 로시는 이 두 가지를 나누어 사용해보고 슬라이드 위주의 자신만의 스타일을 체득해 나갔다. 2002년에 주행했던 혼다 RC211V의 엔진 브레이크(백 토크)에 의한 리어 타이어 슬라이드에 많은 라이더들이 적응하지 못하였는데, 로시는 슬라이드를 이용해 코너에서 많은 이득을 봤다.

기존에는 하드 브레이킹 지점에서 머신을 서서히 눕히면서 몸의 움직이는 속도는 빠르게 했었다면, 2014 시즌 부터 변화를 주기 시작했는데 머신을 기울이기 시작하고 나서 쓰러트릴 때까지의 스피드가 빨라졌다.이 동작을 빨리 할수록 몸을 앞으로 내밀어 나갈 수 있다고 한다. 방향을 전환한 순간 머신이 코너를 빠져나갈 때 아직 기울어져 있는 상태일 때 몸 쪽을 먼저 세운다. 몸은 안쪽으로 향하고 있으면 머신은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게 아니라 몸에 이끌려 빨리 일어나게 되는 것.

이전에는 머리와 핸들 사이에 공간이 더 있었지만, 이후 머리와 가슴을 기계에 바짝 붙이고 앞 타이어에 하중을 싣는 느낌으로 한다. 본인에 의하면 브레이킹 지점에서 강하게 돌파해서 코너를 나가려고 하면, 그런 스타일이 되었다.

3.4. GT 월드 챌린지 유럽

3.4.1. 2022 시즌

모터사이클계에서 은퇴한 이후, 본격적으로 GT3 커리어를 시작하게 된다. 그가 GT 드라이버로써 뛸 첫 팀은 팀 WRT이며, 차량은 아우디 R8 LMS GT3 EVO 2이다. 엔트리 넘버는 본인의 트레이드마크인 46번이며, 일반적인 월드 챌린지 서체와 네임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게 아닌, 로시의 46번 로고를 쓰고 그 위아래에 대회 스폰서와 클래스 표식을 붙인다. 차량을 공유할 코드라이버는 참가 당시 아우디 팩토리 드라이버였던 니코 뮐러와 프레데릭 버비쉬.
파일:rossiaudi.png
2022 시즌 팀 WRT의 #46 아우디 R8 LMS GT3 EVO II

3.4.2. 2023 시즌

기존에 소속해 있던 팀 WRT가 아우디와의 관계를 종료하고, BMW로 전환함으로서 로시 또한 BMW M4 GT3를 몰게 되었다. 차량 번호는 46번 그대로이며 팀메이트는 맥심 마틴과 아우구스토 파푸스. 뿐만아니라 이번 해부터는 BMW 워크스 드라이버로 승격되어 GT 레이싱에 들어온지 로시도 2년만에 팩토리 드라이버로서 출전하게 된다.

미사노에서 본인의 GTWC 커리어 첫 우승을 거두었다.

3.5. 그 외 활동

2014년 Sky Racing Team VR46 라는 레이싱 팀을 창단하였으며 자신이 소유하고 있다. 초기에 Moto3에 출전하다가 현재는 Moto2에 출전하고 있다. 현재 MotoGP 에서 뛰고있는 프랑코 모비델리, 루카 마리니를 육성해냈으며, 마리니는 로시의 이부동생이다.

4. 여담

  • 절친이었던 같은 국적의 마르코 시몬첼리가 말레이시아 GP 도중 사고로 사망한 일이 있었으며, 여전히 그를 추모하고 있다. 그가 사용하던 번호인 58번은 영구 결번 되었으며, 미사노 서킷에도 고인의 이름이 붙여졌다. 이후 GT 월드 챌린지 미사노 레이스 2에서 사륜차 레이스 커리어 첫 승을 거둠에 따라 본인에게 매우 큰 의미가 하나 더 생기기도 하였다.

* 루이스 해밀턴과 친분이 있으며, 자신의 바이크와 루이스의 를 서로 바꿔 이벤트로 주행한 적이 있다. 애초에 카트로 레이싱에 입문했던 배경도 있고 과거에는 페라리에서 페라리 F2004, 페라리 248 F1, 페라리 F2008, 페라리 F10 테스트도 진행하는 등, 평소 F1에도 큰 관심을 보여왔다. 2021 시즌부터는 말레이시아 기업 페트로나스와 계약된 페트로나스 야마하로 이적하게 되면서 루이스와 같은 스폰서의 팀이 되었다.

5. 둘러보기

파일:intercontinental-gt-challange-logo.svg
2025 인터컨티넨탈 GT 챌린지 참가 팀 및 드라이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5 시즌
컨스트럭터 팀명 차량 번호 드라이버 클래스 라운드
BMW 파일:벨기에 국기.svg 팀 WRT BMW M4 GT3 32 파일:브라질 국기.svg 아우구스토 파푸스 Pro 1R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켈빈 반더린데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셸든 반더린데
46 파일:스위스 국기.svg 라파엘레 마르치엘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발렌티노 로시
파일:벨기에 국기.svg 샤를 위르츠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BMW 이탈리아 체차토 레이싱 BMW M4 GT3 EVO 15 파일:미국 국기.svg 코너 드 필리피 Pro 3R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펠리체 젤미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데리코 말베스티티
파일:브라질 국기.svg 마르텔로 토마소니
파일:미국 국기.svg 터너 모터스포트 29 파일:국기.svg 미정 Pro-Am 5R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벨기에 국기.svg 팀 WRT










파일:오만 국기.svg 알마나르 레이싱 by WRT
30 파일:스웨덴 국기.svg 구스타프 베르그스트룀 Silver 3R
파일:프랑스 국기.svg 에티엔 첼리
파일:벨기에 국기.svg 쥘 스태즈베이더
파일:프랑스 국기.svg 피에르루이스 쇼베
31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셸든 반더린데 Pro 3R
파일:벨기에 국기.svg 드리스 판토르
파일:독일 국기.svg 마르코 비트만
파일:브라질 국기.svg 아우구스토 파푸스 미정 4R
파일:독일 국기.svg 막스 헤쎄
파일:영국 국기.svg 댄 하퍼
3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켈빈 반더린데
파일:벨기에 국기.svg 샤를 위르츠
파일:스위스 국기.svg 라파엘레 마르치엘로
46 파일:덴마크 국기.svg 케빈 마그누센 Pro 3R
파일:독일 국기.svg 르네 라스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발렌티노 로시
777 파일:오만 국기.svg 알 파이살 알 주바이르 Gold 3R
파일:독일 국기.svg 옌스 클링만
파일:영국 국기.svg 벤 턱
파일:미국 국기.svg 닐 베르하겐
파일:영국 국기.svg 센추리 모터스포트 42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맥스 옌센 Silver 3R
파일:영국 국기.svg 윌 무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자로드 바베르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랜덤 반달스 레이싱 51 파일:국기.svg 미정 Pro 5R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99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중국 국기.svg 팀 KRC 89 파일:중국 국기.svg 롼춘판 Bronze 4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맥심 오스텐
파일:미국 국기.svg 닐 베르하겐
파일:독일 국기.svg 로베 레이싱 98 파일:브라질 국기.svg 아우구스토 파푸스 Pro 2~3R
파일:스웨덴 국기.svg 제시 크론
파일:스위스 국기.svg 라파엘레 마르치엘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켈빈 반더린데 2R
998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필리프 엥 3R
파일:영국 국기.svg 댄 하퍼
파일:독일 국기.svg 막스 헤쎄
파일:영국 국기.svg 패러다인 컴페티션 991 파일:영국 국기.svg 제이크 데니스 Bronze 2~3R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숀 겔라엘
파일:영국 국기.svg 대런 렁
파일:영국 국기.svg 토비 소워리
992 파일:영국 국기.svg 찰스 클라크 Silver 3R
파일:브라질 국기.svg 페드로 에브라힘
파일:영국 국기.svg 제임스 켈렛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맥심 오스텐
페라리 파일:스위스 국기.svg 케셀 레이싱 페라리 296 GT3 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다니엘레 디 아마토 Bronze 3R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다니엘 푸마넬리
파일:스위스 국기.svg 니콜로 로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로 슈로
74 파일:미국 국기.svg 더스틴 블래트너
파일:덴마크 국기.svg 콘라드 라우슨
파일:독일 국기.svg 데니스 마샬
파일:캐나다 국기.svg 재커리 로비숀
파일:독일 국기.svg 리날디 레이싱

파일:일본 국기.svg 리얼라이즈 콘도 레이싱 with 리날디
12 파일:독일 국기.svg 펠리페 페르난데스 라저 Bronze 3R
파일:독일 국기.svg 크리스티안 훅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데이비드 퍼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다비데 리곤
45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악실 제프리스 Pro 2R
파일:독일 국기.svg 펠리페 페르난데스 라저
파일:프랑스 국기.svg 토마스 노이바우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데이비드 퍼렐
파일:중국 국기.svg 윈히어 하모니 레이싱 21 파일:미국 국기.svg 더스틴 블래트너 Bronze 4R
파일:독일 국기.svg 데니스 마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렌초 파트레제
파일:호주 국기.svg 어라이즈 레이싱 GT 26 파일:호주 국기.svg 윌리엄 브라운 Pro 1R
파일:호주 국기.svg 챠즈 모스터트
파일:브라질 국기.svg 다니엘 세하
36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잭슨 에반스 Pro-Am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알레시오 로베라
파일:호주 국기.svg 브래드 슈마허
파일:호주 국기.svg 엘리엇 슈트
파일:일본 국기.svg 포노스 레이싱 45 파일:일본 국기.svg 케이 코졸리노 Pro-Am 4R
파일:일본 국기.svg 츠지코 요리카츠
파일:일본 국기.svg 야마자키 유스케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F 코르세 US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F 코르세 프랑코샹 모터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F 코르세









파일:영국 국기.svg 지고 스포트-템페스타 레이싱
16 파일:국기.svg 미정 Pro-Am 5R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5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엘리세오 돈노 Pro 3R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안토니오 푸오코
파일:모나코 국기.svg 아르튀르 르클레르
51 파일:모나코 국기.svg 빈센트 아브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알레산드로 피에르 귀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알레시오 로베라
52 파일:벨기에 국기.svg 제프 마키엘스 Bronze
파일:벨기에 국기.svg 루이 마키엘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토마소 모스카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마르코스 지베르트
7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리카르도 아고스티니 Pro-Am
파일:영국 국기.svg 매튜 벨
파일:미국 국기.svg 블레이크 맥도날드
파일:브라질 국기.svg 쿠스토디오 톨레두
71 파일:벨기에 국기.svg 스테판 레메렛
파일:스페인 국기.svg 미겔 몰리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루이 페레스 콤팡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마티아스 페레스 콤팡
9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에디 치버 III Bronze
파일:영국 국기.svg 크리스토퍼 프로갓
파일:홍콩 국기.svg 조나단 후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렌초 파트레제
193 파일:국기.svg 미정 Am 5R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일본 국기.svg LM코르사 60 파일:일본 국기.svg 와키사카 시게카즈 Pro-Am 4R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잔카를로 피지켈라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니시 케이
파일:일본 국기.svg K-tunes 레이싱 98 파일:일본 국기.svg 타카기 신이치 Bronze
파일:영국 국기.svg 숀 월킨쇼
파일:일본 국기.svg 야마와키 다이스케
파일:일본 국기.svg 마에자와 레이싱 555 파일:일본 국기.svg 마에자와 유사쿠 Bronze
파일:프랑스 국기.svg 토마스 노이바우어
파일:일본 국기.svg 요코미조 나오키
메르세데스-AMG 파일:일본 국기.svg 굿스마일 레이싱 메르세데스-AMG GT3 EVO 00 파일:일본 국기.svg 카타오카 타츠야 Pro 3~4R
파일:일본 국기.svg 코바야시 카무이
파일:일본 국기.svg 타니구치 노부테루
파일:미국 국기.svg 크라우드스트라이크 by 라일리 04 파일:미국 국기.svg 콜린 브라운 Pro-Am 5R
파일:미국 국기.svg 조지 커츠
파일:영국 국기.svg 토비 소워리
파일:독일 국기.svg 겟스피드 퍼포먼스





파일:독일 국기.svg 메르세데스-AMG 팀 겟스피드
3 파일:미국 국기.svg 앤서니 바르토네 Silver 3R
파일:폴란드 국기.svg 캐롤 바스츠
파일:독일 국기.svg 톰 칼렌더
파일:스위스 국기.svg 야닉 메틀러
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콜린 카레사니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린 회데니우스
파일:태국 국기.svg 타나트 사티엔티라쿨
파일:영국 국기.svg 아론 워커
14 파일:독일 국기.svg 마로 엥겔 Pro 2R
파일:벨기에 국기.svg 막심 마르탱
파일:독일 국기.svg 파비앙 쉴러
파일:독일 국기.svg 루카 슈톨츠
17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랄프 아론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루카스 아우어
파일:영국 국기.svg 아담 크리스토돌루
파일:캐나다 국기.svg 미카엘 그레니어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쥘 구농 3R
파일:독일 국기.svg 파비앙 쉴러
파일:독일 국기.svg 루카 슈톨츠
69 파일:스위스 국기.svg 필립 엘리스 Pro-Am 4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스티브 얀스
파일:미국 국기.svg 앤서니 맥킨토시
파일:호주 국기.svg 그로브 레이싱 4 파일:호주 국기.svg 스테픈 그로브 Bronze 1R
파일:호주 국기.svg 브렌톤 그로브
파일:독일 국기.svg 파비앙 쉴러
파일:미국 국기.svg 크라우드스트라이크 by SPS

파일:미국 국기.svg 하트 오브 레이싱 by SPS
4 파일:미국 국기.svg 콜린 브라운 Pro-Am 1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니키 캐츠버그
파일:미국 국기.svg 조지 커츠
파일:미국 국기.svg 이안 제임스 3R
27 파일:미국 국기.svg 이안 제임스 Bronze 1,4R
파일:영국 국기.svg 로스 건 1R
파일:캐나다 국기.svg 재커리 로비숀 1,4R
파일:스페인 국기.svg 알렉스 리베라스 4R
파일:벨기에 국기.svg 보우트센 VDS 9 파일:독일 국기.svg 막시밀리안 괴츠 Pro 3R
파일:캐나다 국기.svg 미카엘 그레니어
파일:벨기에 국기.svg 막심 마르탱
10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리스 카비로 Silver
파일:프랑스 국기.svg 시저 가조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우렐리앙 파니스
파일:영국 국기.svg 위고 쿡
파일:독일 국기.svg SR 모터스포츠 by 슈니첼알름 11 파일:독일 국기.svg 크리스토퍼 브뤽 Pro-Am 2R
파일:독일 국기.svg 얀네스 핏제
파일:독일 국기.svg 제이 모 하틀링
파일:독일 국기.svg 케네스 헤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CRP 레이싱 27 파일:미국 국기.svg 제이슨 다스칼로스 Pro-Am 5R
파일:미국 국기.svg 아이작 셔먼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홍콩 국기.svg 크래프트-밤부 레이싱





파일:홍콩 국기.svg 메르세데스-AMG 팀 크래프트-밤부 레이싱
28 파일:홍콩 국기.svg 조나단 후이 Pro-Am 4R
파일:마카오 국기.svg 케빈 체
파일:영국 국기.svg 벤 바니코트
77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루카스 아우어 Pro 1R
파일:독일 국기.svg 막시밀리안 괴츠
파일:호주 국기.svg 제이든 오제다
파일:일본 국기.svg 오타 카쿠노신 Pro 4R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랄프 아론
파일:독일 국기.svg 막시밀리안 괴츠
파일:호주 국기.svg 수파반 티가니 모터스포트 47 파일:호주 국기.svg 제임스 쿤두리스 Silver 1R
파일:호주 국기.svg 테오 쿤두리스
파일:호주 국기.svg 데이비드 러셀
파일:호주 국기.svg 루크 욜덴
파일:미국 국기.svg 메르세데스-AMG 팀 만필터





파일:미국 국기.svg 윈워드 레이싱
48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루카스 아우어 Pro 3R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테오 카이롤리
파일:독일 국기.svg 마로 엥겔
57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인디 돈처 Gold 3R
파일:스위스 국기.svg 필립 엘리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다니엘 모라드
파일:미국 국기.svg 러셀 워드
81 파일:독일 국기.svg 마빈 디엔스트 Bronze 3R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가브리엘레 피아나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리나트 살리코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다안 애로우
파일:호주 국기.svg 75 익스프레스 75 파일:안도라 국기.svg 쥘 구농 Pro 1R
파일:호주 국기.svg 케니 하불
파일:독일 국기.svg 루카 슈톨츠
파일:호주 국기.svg 케니 하불 Bronze 4R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도미닉 바우만
파일:스위스 국기.svg 야닉 메틀러
파일:호주 국기.svg 케니 하불 Pro-Am 5R
파일:호주 국기.svg 윌리엄 파워
파일:호주 국기.svg 차즈 모스터트
파일:호주 국기.svg 스콧 테일러 모터스포트 222 파일:호주 국기.svg 크레이그 론데스 Pro 1R
파일:호주 국기.svg 토마스 랜들
파일:호주 국기.svg 캠 워터스
파일:바레인 국기.svg 2 씨즈 모터스포트 222 파일:영국 국기.svg 할스 도슨 Bronze 3R
파일:영국 국기.svg 키에른 주바이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커 톰슨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윌리엄슨
파일:독일 국기.svg 노르딕 레이싱 611 파일:일본 국기.svg 코타카 카즈토 Gold 3R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에두아르도 리베라티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야마 유이치
파일:독일 국기.svg 팀 샌들러
파일:홍콩 국기.svg 메르세데스-AMG 팀 GMR 888 파일:캐나다 국기.svg 미카엘 그레니어 Pro 1,4R
파일:벨기에 국기.svg 막심 마르탱
파일:독일 국기.svg 마로 엥겔 1R
파일:독일 국기.svg 루카 슈톨츠 4R
포르쉐 파일:호주 국기.svg AMAC 모터스포트 포르쉐 911 GT3 R (991.2) 51 파일:호주 국기.svg 앤드류 맥퍼슨 Am 4R
파일:호주 국기.svg 벤자민 포터
파일:호주 국기.svg 그랜트 덴여
파일:중국 국기.svg 오리진 모터스포트 포르쉐 911 GT3 R 6 파일:덴마크 국기.svg 바스티안 부스 Pro 4R
파일:독일 국기.svg 로린 하인리히
파일:벨기에 국기.svg 알레시오 피카리엘로
86 파일:덴마크 국기.svg 안더스 요르드바흐 Bronze
파일:중국 국기.svg 리커룽
파일:중국 국기.svg 레오 예 홍리
파일:홍콩 국기.svg 앱솔루트 레이싱 7 파일:프랑스 국기.svg 케빈 에스트르 Pro 4R
파일:프랑스 국기.svg 패트릭 필레
파일:벨기에 국기.svg 라우런스 판토르
10 파일:홍콩 국기.svg 안타레스 아우 Bronze 4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루크 하르토흐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리하르트 리츠
911 파일:호주 국기.svg 맷 캠벨 Pro 1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아이한잔 귀벤
파일:벨기에 국기.svg 알레시오 피카리엘로
파일:중국 국기.svg 팬텀 글로벌 레이싱 13 파일:홍콩 국기.svg 애덜리 퐁 Bronze 4R
파일:중국 국기.svg JZ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멘젤
14 파일:중국 국기.svg 쳉 콩푸 Silver
파일:중국 국기.svg 제임스 우 콰이
파일:중국 국기.svg 앤디 뎅 이
23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클라우스 바클러 Pro
파일:프랑스 국기.svg 도리안 보콜라치
파일:스위스 국기.svg 패트릭 니더하우저
파일:독일 국기.svg 셰러 스포트 PHX 16 파일:스위스 국기.svg 패트릭 니더하우저 Pro 2R
파일:스위스 국기.svg 리카르도 펠러
파일:벨기에 국기.svg 라우런스 판토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다이내믹 GT 18 파일:호주 국기.svg 맷 캠벨 Pro 3R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티외 자미네
파일:덴마크 국기.svg 바스티안 부스
54 파일:덴마크 국기.svg 바스티안 부스 Pro 2R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테오 카이롤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루크 하르토흐
파일:독일 국기.svg 요엘 슈투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페데리코 알 리파이 Silver 3R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보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에샨 피에리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욥 라판게
파일:일본 국기.svg 포르쉐 센터 오카자키 18 파일:일본 국기.svg 코타카 카즈토 Bronze 4R
파일:일본 국기.svg 나가이 히로아키
파일:일본 국기.svg 시노하라 타쿠로
파일:프랑스 국기.svg 슈마허 CLRT 22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클라우스 바클러 Pro 3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아이한잔 귀벤
파일:독일 국기.svg 로린 하인리히
파일:프랑스 국기.svg AV 레이싱 by 카 컬렉션 모터스포트 29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노암 아브람칙 Pro-Am 3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마티외 데트리
파일:독일 국기.svg 파비앙 뒤페
파일:중국 국기.svg 위안 보
파일:독일 국기.svg 팔켄 모터스포츠 33 파일:프랑스 국기.svg 쥘리앵 앙들라우에르 Pro 2R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멘젤
파일:독일 국기.svg 스벤 뮐러
파일:벨기에 국기.svg 알레시오 피카리엘로
44 파일:프랑스 국기.svg 도리안 보콜라치
파일:독일 국기.svg 팀 하이네만
파일:독일 국기.svg 데니스 마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모리스 슈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볼가스 모터스포츠 3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필 김 Silver 4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다안 애로우
파일:중국 국기.svg 량지야퉁
파일:독일 국기.svg 블랙 팰컨 팀 EAE 48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다안 애로우 Pro-Am 2R
파일:캐나다 국기.svg 벤 부엔나겔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무스타파 메흐메트 카야
파일:독일 국기.svg 가브리엘레 피아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컴피티션 55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로엘로프 브루인스 Pro-Am 2R
파일:캐나다 국기.svg 스티븐 조
파일:독일 국기.svg 마르코 홀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종겸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EBM 기가 레이싱 61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아드리안 드 실바 Pro 4R
파일:영국 국기.svg 해리 킹
파일:독일 국기.svg 스벤 뮐러
파일:독일 국기.svg 라이언스피드 GP 80 파일:스위스 국기.svg 리카르도 펠러 Bronze 3R
파일:독일 국기.svg 패트릭 콜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리카르도 페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가브리엘 린도네
파일:호주 국기.svg 더 벤드 만타이 EMA


파일:독일 국기.svg 만타이 EMA
91 파일:독일 국기.svg 로린 하인리히 Pro-Am 1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모리스 슈링
파일:호주 국기.svg 샘 샤힌
파일:호주 국기.svg 야서 샤힌
911 파일:프랑스 국기.svg 케빈 에스트르 Pro 2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아이한잔 귀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토마스 프라이닝
파일:독일 국기.svg 헤르버스 모터스포츠 91 파일:독일 국기.svg 랄프 본 Bronze 3~4R
파일:독일 국기.svg 알프레드 레나우어
파일:독일 국기.svg 로버트 레나우어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악실 제프리스 3R
92 파일:프랑스 국기.svg 팀 하이네만 Gold 3R
파일:스위스 국기.svg 롤프 이니에이첸
파일:독일 국기.svg 요엘 슈투름
파일:독일 국기.svg 루트로닉 레이싱 96 파일:독일 국기.svg 스벤 뮐러 Pro 4R
파일:스위스 국기.svg 패트릭 니더하우저
파일:벨기에 국기.svg 알레시오 피카리엘로
97 파일:홍콩 국기.svg 안타레스 아우 Bronze 3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루크 하르토흐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마틴 럼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모리스 슈링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트 모터스포츠 120 파일:미국 국기.svg 아담 아델슨 Gold 3R
파일:미국 국기.svg 엘리엇 스키어
파일:호주 국기.svg 톰 사전트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퓨어 RXCING 911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리하르트 리츠 Pro 3R
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산더 말리킨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토마스 프라이닝


}}}}}}}}} ||

[1] 그로와즈 야마하로 2005년 팀명 변경[2] GT 월드 챌린지 유럽의 Pro컵 참가[3] WEC LMGT3 클래스 참가[4] 모친이 안전상의 이유로 처음에는 모터사이클 보다는 카트를 타게 했다고 하며 카트 레이싱에서도 소질을 보여 한때 그쪽으로 나갈 가능성도 있었으나(그랬다면 나중에는 F1에서 보게 되었을 듯) 풍족하지 않은 가정에서 비용 부담때문에 결국에는 모터사이클을 선택했다고 한다.[5] 당시 넉넉하지 못한 형편에 제대로 된 지원을 받지 못하다가 유명 레이서 출신이자 현재 각종 모터사이클 커스텀 부품으로 유명한 비르지니오 페라리(버지니오 페라리로 더 많이 알려짐) 가 당시 카지바 회장인 클라우디오 카스틸리오니에게 ‘유망한 어린 친구가 있는데 지원이 필요한거 같다’고 알려 카지바 미토 차량을 비롯한 팀의 지원을 받기 시작했다고 한다.[6] 아이러니하게도 로시의 은퇴 후 2020년대의 모토GP는 두카티가 일제4사를 기술력에서 압도적으로 짓누르며 독주를 거듭하고 있다. 2023년에는 혼다 렙솔의 아이콘이자 모토GP의 간판인 마크 마르케즈 또한 두카티로 이적하기에 이르렀으며 두카티를 타는 팀과 라이더의 독주가 대회의 재미를 망치는 수준까지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