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9 21:10:31

문현선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속철도
준고속철도
간선철도
지선철도
전용철도
운행 예정
}}}}}}}}} ||

문현선
門峴線 / Munhyeon Line
파일:문현선노선도.jpg
운영주체대한민국 철도청
종류지선철도
영업거리4.7km
역 수2
궤간1435mm(표준궤)
기점부산역
종점우암역
전기비전철화
선로 수1
개업일1958년 3월 11일
폐업일1972년 12월 1일

1. 개요2. 역 목록

[clearfix]

1. 개요

이 노선을 부설한 까닭은 부산역에서 우암역으로 화물을 운송할 때 부전역까지 갔다가 우암선으로[1] 가야 해서 이런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만든 노선이다. 그러나 이후 범일동 일대를 개발하면서 폐지되었다.

선형이 현재도 잘 남아있다. 부산진시장 뒷길에서부터 좁은 길이 계속 이어지는데, 그것이 바로 문현선의 노반이다. 자성교를 시작으로 성남이로60번길, 진시장로20번길, 범일로[2], 조방로53번길, 자유평화로3번길, 무지개다리, 자유평화로57번길이 옛 문현선의 경로에 해당된다. 성동중학교 북단에서 옛 우암선 노반에 해당되는 자유평화로59번길, 자유평화로60번길 삼거리가 우암선과 문현선의 분기점에 해당된다.

# 자성로지하도를 문현선 갤러리로 꾸며놓았다. 왼쪽이 문현선이 통과하던 굴다리고 오른쪽은 조선방직인입선이 지나던 굴다리인듯. 화장실이 RDC 디젤동차의 모습으로 디자인되어 있다.

2. 역 목록

부산
우암

[1] 당시에는 우암선이 부전역에서 분기되어 전포, 문현동을 거쳐 현 우암선과 동천삼거리에서 만나는 형태였다.[2] 부산은행 범일동지점에서 북동쪽으로 나 있는 좁은 골목길로, 별도의 도로명은 없고 범일로의 일부로 취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