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9 10:35:35

마케도니아 전쟁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파일:투명.png로마의 대외 전쟁파일:투명.png파일:라바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3.33%;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로마 공화국 ]
{{{#!wiki style="margin: -5px -1px"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
로마 공화국
<rowcolor=#FAE572> 전쟁·전투 교전국
알리아 전투 파일:faction_emblem_senones_256.png 갈리아족(세노네스족)
삼니움 전쟁 파일:Samnites_league_mon_256.png 삼니움족
피로스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7.png 에페이로스 왕국
제1차 포에니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1.png 카르타고 공화국
제2차 포에니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1.png 카르타고 공화국
제1차 마케도니아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2.png 마케도니아 왕국
제2차 마케도니아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2.png 마케도니아 왕국
로마-셀레우코스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12.png 셀레우코스 제국
마그네시아 전투 파일:attachment/mon_256_12.png 셀레우코스 제국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2.png 마케도니아 왕국
피드나 전투 파일:attachment/mon_256_2.png 마케도니아 왕국
루시타니아 전쟁 파일:external/a352ddf511b96cba04fbaa172c0df140c9cb8c8ae188ad8ddda8a5c3a3eae004.png 루시타니 부족연합
누만티아 전쟁 파일:external/b66a81d7e3c5440cfef450e3309a2b4b425f1dcd788e510bd84b747e2e2573be.png 아레바키족
제4차 마케도니아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2.png 마케도니아 왕국
제3차 포에니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1.png 카르타고 공화국
아카이아 전쟁 파일:akaian_league_mon_256.png 아카이아 동맹
킴브리 전쟁 파일:cimbri_mon_256.png 게르만족(킴브리족 · 테우토네스족 · 암브로네스족)
유구르타 전쟁 파일:masaesyli_emblem_256.png 누미디아 왕국
제1차 미트리다테스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8.png 폰토스 왕국
제2차 미트리다테스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8.png 폰토스 왕국
제3차 미트리다테스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8.png 폰토스 왕국 · 파일:SoundCloud82837371853.jpg 아르메니아 왕국
갈리아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11.png 갈리아족
아라르 전투 파일:attachment/mon_256_11.png 갈리아족(헬베티족)
보주 전투 파일:cimbri_mon_256.png 게르만족(수에비족)
악소나 전투 파일:attachment/mon_256_11.png 갈리아족(벨가이 부족연합)
사비스 전투 파일:attachment/mon_256_11.png 갈리아족(네르비족)
아바리쿰 공방전 파일:attachment/mon_256_11.png 갈리아족(비투리게스족)
알레시아 전투 파일:attachment/mon_256_11.png 갈리아족
카이사르의 1차 브리타니아 원정 파일:attachment/mon_256_10.png 브리튼족
카이사르의 2차 브리타니아 원정 파일:attachment/mon_256_10.png 브리튼족
카르헤 전투 파일:attachment/mon_256_9.png 파르티아 제국
기원전 40년 파르티아의 시리아 침공 파일:attachment/mon_256_9.png 파르티아 제국
안토니우스의 파르티아 원정 파일:attachment/mon_256_9.png 파르티아 제국
옥타비아누스의 일리리아 원정 파일:external/dxzx499bp2l73.cloudfront.net/mon_256.png 일리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3.33%;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로마 제국 ]
{{{#!wiki style="margin: -5px -1px"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파일:투명.png파일:라바룸.svg
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
<rowcolor=#FAE572> 전쟁·전투 교전국
칸타브리아 전쟁 칸타브리아족
갈루스의 아라비아 원정 아라비아 펠릭스
쿠시-로마 전쟁 파일:faction_emblem_kush_256.png 쿠시 왕국
게르마니아 전쟁 파일:cherusci_mon_256.png 게르만족
일리리아 대반란 파일:external/dxzx499bp2l73.cloudfront.net/mon_256.png 일리리아
토이토부르크 전투 파일:cherusci_mon_256.png 게르만족(체루스키족)
클라우디우스의 브리타니아 침공 브리튼족
58~63년 파르티아-로마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9.png 파르티아 제국
부디카의 난 파일:attachment/mon_256_10.png 브리튼족(이케니족)
제1차 유대-로마 전쟁 파일:external/www.monuments.com/menorah.png 유대 반란군
바타비아 반란 게르만족(바타비족)
아그리콜라의 칼레도니아 침공 파일:faction_emblem_caledonii_256.png 칼레도니아
다키아 전쟁 파일:external/fd15abaec08ab5409f08c461582b21f1ce6d6e2258ae9a42432e4e47e0469e8a.png 다키아 왕국
트라야누스의 파르티아 원정 파일:attachment/mon_256_9.png 파르티아 제국
제2차 유대-로마 전쟁 파일:external/www.monuments.com/menorah.png 유대 반란군
제3차 유대-로마 전쟁 파일:external/www.monuments.com/menorah.png 유대 반란군
베루스의 파르티아 원정 파일:attachment/mon_256_9.png 파르티아 제국
마르코만니 전쟁 게르만족 · 사르마티아족
세베루스의 칼레도니아 침공 파일:faction_emblem_caledonii_256.png 칼레도니아
니시비스 전투 파일:attachment/mon_256_9.png 파르티아 제국
아브리투스 전투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isigoth_flag.png 게르만족(고트족)
에데사 전투 파일:사산 왕조 왕기.svg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
아우렐리아누스 원정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isigoth_flag.png 고트족 · 파일:faction_emblem_gallicrome_256.png 갈리아 제국 · 파일:faction_emblem_palmyrene_256.png 팔미라 제국 ·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andal_flag.png 반달족 · 파일:사산 왕조 왕기.svg 사산 왕조 · 알레만니족 · 유퉁기족 등
콘스탄티누스의 고트족과 사르마티아 원정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isigoth_flag.png 게르만족(고트족) · 사르마티아족
아르겐토라툼 전투 게르만족(알레만니족)
율리아누스의 페르시아 원정 파일:사산 왕조 왕기.svg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
하드리아노폴리스 전투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isigoth_flag.png 게르만족(고트족)
410년 로마 약탈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isigoth_flag.png 게르만족(서고트족)
타라코 전투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andal_flag.png 반달족
고트 전쟁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isigoth_flag.png서고트 왕국
반달 전쟁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andal_flag.png 반달족
카탈라우눔 전투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Hun_flag.png 훈족
이탈리아 침공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Hun_flag.png 훈족
455년 로마 약탈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andal_flag.png 반달 왕국
본곶 해전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andal_flag.png 반달 왕국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3.33%;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동로마 제국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라바룸.svg
동로마 제국
<rowcolor=#FAE572> 전쟁·전투 교전국
다라 전투
530년
파일:사산 왕조 왕기.svg 사산 왕조
반달·고트 전쟁
535년~554년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Ostrogoths_flag.png 동고트 왕국 ·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andal_flag.png 반달 왕국 · 파일:사산 왕조 왕기.svg 사산 왕조 ·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Burgundians_flag.png 부르군트
동로마-아바르 전쟁
568년~626년
아바르 칸국
동로마-페르시아 전쟁
603년~628년
파일:사산 왕조 왕기.svg 사산 왕조
무슬림의 시리아 정복 전쟁
629년~646년
파일:검은 깃발.svg
라쉬둔 왕조
야르무크 전투
636년
파일:검은 깃발.svg
라쉬둔 왕조
무슬림의 이집트 정복 전쟁
639년~646년
파일:검은 깃발.svg
라쉬둔 왕조
무슬림의 마그레브 정복 전쟁
647년~709년
파일:검은 깃발.svg
라쉬둔 왕조
파일:1280px-Umayyad_Flag.svg.png
우마이야 왕조
마스트 해전
655년
파일:검은 깃발.svg
라쉬둔 왕조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674년~678년
파일:1280px-Umayyad_Flag.svg.png
우마이야 왕조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717년~718년
파일:1280px-Umayyad_Flag.svg.png
우마이야 왕조
아크로이논 전투
740년
파일:1280px-Umayyad_Flag.svg.png
우마이야 왕조
콘스탄티노스 5세의 불가리아 원정
756년~775년
파일:불가리아 제1제국 국기.png 불가리아 제1제국
크룸 전쟁
807년~816년
파일:불가리아 제1제국 국기.png 불가리아 제1제국
무슬림의 시칠리아 정복 전쟁
827년~902년
아글라브 왕조
테오필로스의 아바스 전쟁
830년~841년
파일:검은 깃발.svg
아바스 왕조
시메온 전쟁
894년~896년
913년~927년
파일:불가리아 제1제국 국기.png 불가리아 제1제국
쿠르쿠아스의 아랍 원정
926년~944년
파일:검은 깃발.svg
아바스 왕조
함단 전쟁
945년~967년
함단 왕조
한닥스 공방전
960년~961년
크레타 토후국
스뱌토슬라프 전쟁
968년~971년
파일:키예프 루스 국장.svg 키예프 루스
바실리오스 2세의 불가리아 전쟁
976년~1018년
파일:불가리아 제1제국 국기.png 불가리아 제1제국
트라야누스 관문 전투
986년
파일:불가리아 제1제국 국기.png 불가리아 제1제국
클레이디온 전투
1014년
파일:불가리아 제1제국 국기.png 불가리아 제1제국
칸나이 전투
1018년
랑고바르드족
마니아케스의 시칠리아 원정
1038년~1042년
시칠리아 토후국
로베르 기스카르 전쟁
1057년~1085년
파일:로베르 기스카르.png 노르만족
제2차 만지케르트 전투
1071년
파일:셀주크 제국 국기.png 셀주크 제국
레부니온 전투
1091년
페체네그
제1차 십자군 원정
1096년~1099년
파일:룸 술탄국 국기.svg 룸 술탄국 · 파일:셀주크 제국 국기.png 셀주크 제국
필로밀리온 전투
1116년
파일:룸 술탄국 국기.svg 룸 술탄국
베로이아 전투
1122년
페체네그
하람 전투
1128년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046-1172).svg.png 헝가리 왕국
샤이자르 공방전
1138년
파일:검은 깃발.svg
장기 왕조
마누일 1세의 남이탈리아 원정
1155년~1158년
파일:로베르 기스카르.png 시칠리아 왕국
시르미온 전투
1167년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046-1172).svg.png 헝가리 왕국
베네치아-동로마 무역 전쟁
1171년
파일:베네치아 공화국 국기.svg 베네치아 공화국
미리오케팔론 전투
1176년
파일:룸 술탄국 국기.svg 룸 술탄국
히엘리온-리모키르 전투
1177년
파일:룸 술탄국 국기.svg 룸 술탄국
1185년 시칠리아 왕국의 발칸 침공
1185년
파일:로베르 기스카르.png 시칠리아 왕국
아센과 페터르의 난
1185년~1201년
파일:불가리아 제2제국 국기.svg 불가리아 제2제국
제4차 십자군 원정
1202년~1204년
파일:베네치아 공화국 국기.svg 베네치아 공화국 · 파일:1200px-Argent_a_chief_gules.svg.png 몬페라토 변경백국 · 파일:800px-Arms_of_Flanders.svg.png 플란데런 백국 · 파일:800px-Arms_of_the_Kings_of_France_(France_Ancien).svg.png 프랑스 왕국
메안데르의 안티오키아 전투
1211년
파일:룸 술탄국 국기.svg 룸 술탄국
클로코트니차 전투
1230년
파일:불가리아 제2제국 국기.svg 불가리아 제2제국
펠라고니아 전투
1259년
파일:640px-Flag_of_the_Despotate_of_Epirusunder_the_House_of_Komnenos_Doukas.png 이피로스 전제군주국 · 파일:931px-Armoiries_Achaïe.svg.png 아카이아 공국 · 파일:Arms_of_the_House_of_de_la_Roche.svg.png 아테네 공국 · 파일:시칠리아 왕국 국기(호엔슈타우펜).svg.png 시칠리아 왕국
제1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1260~1261년
파일:Latin Empire 1280.png 라틴 제국
바페오스 전투
1302년
파일:카이한 칸국 국기.svg 오스만 베이국
부르사 공방전
1317~1326년
파일:카이한 칸국 국기.svg 오스만 베이국
펠레카논 전투
1329년
파일:카이한 칸국 국기.svg 오스만 베이국
제16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1376년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1375-1383).png 오스만 베이국
제16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1390년~1402년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1383-1453).svg 오스만 베이국
제16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1411년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1383-1453).svg 오스만 베이국
제19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1422년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1383-1453).svg 오스만 베이국
제20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1453년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1383-1453).svg 오스만 베이국 }}}}}}}}}}}}


파일:마케도니아전쟁.png

1. 개요

마케도니아 전쟁은 로마 공화국카르타고 공화국제2차 포에니 전쟁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었던 기원전 215년부터 기원전 148년에 벌어진 제2차 피드나 전투까지 로마 공화국과 마케도니아 왕국이 벌인 여러 차례의 전쟁을 말한다.
이 전쟁에서 패배한 마케도니아의 안티고노스 왕조는 몰락했고, 로마는 그리스의 패권을 차지한 뒤 동방으로 진출하기 시작했다.

2. 발단

디아도코이의 후예인 안티고노스 왕조 출신으로 마케도니아를 통치하고 있었던 필리포스 5세는 로마 공화국이 일리리아를 점령하고 그리스에 진출하는 것을 경계하고 있었다.
당시 이탈리아 반도에서는 희대의 명장 한니발 바르카가 이끄는 카르타고군이 로마의 대군과 벌인 칸나이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고, 그리스계 도시국가들이 많은 이탈리아 남부를 일부 지배하고 있었다. 명성을 날리고 있었던 한니발과 함께 하고 싶어했던 필리포스 5세는 이탈리아로 사절을 보내 한니발과 동맹을 맺었고, 결국 지중해 세계의 운명을 건 제2차 포에니 전쟁에 참전하게 되었다.

3. 제1차 마케도니아 전쟁

파일:Mediterranean_at_218_BC-en.svg.png
기원전 218년의 지중해
필리포스 5세는 일리리아의 로마 세력을 공격했고, 마케도니아가 한니발을 지원하는 것을 두려워한 로마 원로원은 한니발이 이탈리아를 종횡무진하는 위급한 상황에서도 집정관급 사령관과 군단을 그리스에 파병했다.
기원전 214년, 마케도니아군이 아폴로니아를 포위하자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라이비누스가 이끄는 로마 함대가 타렌툼을 출항하여 오리쿰에 상륙했다. 로마군은 필리포스 5세의 진격을 저지하다가 마케도니아와 평화협정을 맺은 아이톨리아 동맹과 제휴했다. 라이비누스의 로마군이 육지에서 싸우는 동안 아이톨리아 동맹은 해군을 지원하기로 했고, 라이비누스는 겨울을 지내기 위해 코르키라 섬으로 철수했다.
아이톨리아 동맹이 로마군과 함께 하기로 했다는 소식을 전해 들은 필리포스 5세는 오리쿰과 아폴로니아에서 일리리아를 침략하고 남하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210년 봄이 되자 라이비누스는 그리스 동맹군으로 구성된 함대와 함께 코르키라 섬을 출항했다. 한편 이탈리아에서는 푸블리우스 술피키우스 갈바 막시무스가 이끄는 지원군이 구성되어 마케도니아 전선에 합류했고, 에게해에 진입한 술피키우스 갈바는 로마의 동맹국이었던 페르가몬 왕국으로부터 35척의 함대를 지원받았다.
기원전 205년, 푸블리우스 셈프로니우스 투디타누스가 35척의 함대와 11,000명의 병력을 가지고 그리스에 상륙했다. 투디타누스가 요충지인 아폴로니아를 포위하자 필리포스 5세는 투디타누스의 로마군을 향해 진군했고 아폴로니아의 포위 공격을 중단한 로마군은 철수했다. 이 무렵 필리포스 5세가 한니발을 지원하지 못하도록 하는 전략적 목표를 달성한 로마는 마케도니아에 강화를 제안했다. 일리리아 지역을 획득한 필리포스 5세가 이 제안을 받아들이면서(포이니케 조약) 로마와 마케도니아의 첫 번째 전쟁은 막을 내리게 되었다.

4. 제2차 마케도니아 전쟁

파일:Second_Roman–Macedonian_War-en.svg.png
제2차 마케도니아 전쟁(BC 200~BC 196)
안티고노스 왕조에 타격을 입힌 제2차 마케도니아 전쟁은 아테네에서 개최한 엘레우시아 비의 행사 도중 발생한 사건이 원인이 되었다.

기원전 201년에 열린 엘레우시아 비의 행사 도중 2명의 아카르나니아인이 데메테르 신전에 무단 입장했고, 이 행동을 신성 모독으로 간주한 아테네는 이 두 젊은이를 사형에 처했다. 이에 격분한 아카르나니아는 필리포스 5세에게 지원을 요청했고, 마침내 아티카 지역으로 진입한 마케도니아군이 약탈을 일삼자 페르가몬 및 로도스와 동맹을 맺은 아테네가 마케도니아에 전쟁을 선포했다.
필리포스 5세는 엘레우시스를 기습했지만 로마와 그리스의 연합 함대가 피라이우스를 출발했다는 소식을 듣고 퇴각했으며, 엘레시우스의 연합군을 유인해 공격하려고 했던 필로클레스의 부대가 매복에 실패하고, 성을 공격했으나 마찬가지로 후퇴했다.
기원전 199년, 로마와 그리스 연합군은 네 방향에서 동시에 마케도니아를 공격했으나 테살리아를 압박하고 있었던 아이톨리아 동맹군이 패주하면서 마케도니아를 포위 공격하겠다는 로마군의 전략은 실패하고 말았다. 하지만 연합군의 주력인 술피키우스의 로마군이 펠리온을 점령하고, 로마와 페르가몬의 연합 함대가 에우보이아의 항구 도시인 오레오스를 함락시켰다. 오레오스 항의 함락은 필리포스 5세에게 치명적인 것이었는데, 아이톨리아 동맹이 테르모필레를 장악하고 있었기 때문에 마케도니아는 에우보이아를 거쳐 로크리스나 보이오티아 등지로 건너가야만 했기 때문이었다. 에우보이아와 연계할 수 없게 된 필리포스 5세는 에페이로스 왕국의 영토를 흐르는 아오스 강의 협곡 지대에 진영을 건설하고, 로마군에 승부수를 던졌지만 티투스 퀸크티우스 플라미니누스가 이끄는 로마군에게 참패했다.(아오이 스테나 전투)
이 전투로 인해 필리포스 5세를 배반한 아카이아 동맹은 로마에 가담했고, 마침내 티투스 퀸크티우스 플라미니누스가 이끄는 로마 연합군과 필리포스 5세가 이끄는 마케도니아군은 키노스케팔라이에서 결전을 벌이게 되었다.

파일:Cynoscephalae.png전투 초기 안개가 걷힐 무렵에는 로마 연합군이 밀리는 형세에 있었으나 마케도니아군이 팔랑크스 진형을 갖추기 어려운 구릉지대에 진입하자 진형이 붕괴되어 필리포스 5세가 패배하고 말았다.[1]

결국 안티고노스 왕조 마케도니아 왕국은 그리스, 트라키아, 에게해 연안 일대의 모든 점령지를 상실하고 말았다. 필리포스 5세는 둘째 왕자인 데메트리우스를 로마에 인질로 제공하고 1,000탈렌트에 달하는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하는 굴욕적인 강화를 맺었다.

5.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

자세한 건 피드나 전투 참조.
로마에 인질로 갔다가 친로마 성향이 되어 마케도니아 본국으로 돌아온 둘째 왕자 데메트리우스를 반역죄로 처형한 필리포스 5세가 충격으로 병사하자 그의 첫째 아들인 페르세우스가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반로마적인 성향을 가졌던 페르세우스는 로마에 적대적이었던 셀레우코스 제국에페이로스 왕국, 일리리아트라키아의 부족들, 그리고 그리스의 몇몇 도시들과 조약을 맺었다. 마침내 페르가몬으로부터 지원 요청을 받은 로마가 마케도니아에 전쟁을 선포하자 페르세우스는 당시 총독이었던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를 공격하여 패퇴시켰다.
크라수스는 팔라나에서 페르세우스와 대치했고, 이듬해 집정관으로 파견된 퀸투스 마르키우스 필리푸스는 마케도니아 영토로 진입하다가 보급 문제로 인해 후퇴하고 말았다.

파일:Pydna.svg.png
피드나 전투 당시 양군의 진격도
주황색: 마케도니아군
녹색: 로마군

파일:Plan_battle_of_Pydna-en.svg.png
피드나 전투 당시 양군의 포진
주황색: 마케도니아군
청색: 로마군

마침내 로마는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를 집정관으로 선출하여 마케도니아 전선으로 보냈고, 피드나 전투에서 페르세우스 왕이 이끄는 마케도니아군이 파울루스의 로마군에게 패배하면서 마케도니아를 오랜 기간 통치한 안티고노스 왕조는 멸망하고 말았다.

6. 제4차 마케도니아 전쟁

안티고노스 왕조는 멸망했지만 로마는 마케도니아를 당장 속주화하지는 않고 4개의 공화정 속국으로 나눠놓았다. 하지만 페르세우스 왕의 아들을 자칭하는 안드리스코스가 반란을 일으켜 옛 마케도니아 왕국을 회복하려고 시도했다. 이에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마케도니쿠스가 이끄는 로마군이 제2차 피드나 전투에서 안드리스코스의 반란군을 섬멸했고, 이후 로마는 마케도니아를 속주화시켰다. 한편 이에 자극받은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아카이아 동맹이 로마에 전쟁을 선포했는데,(아카이아 전쟁) 마케도니아 왕국조차 멸망시킨 로마를 상대로 훨씬 약한 아카이아 동맹이 상대가 될 리 없어 쉽게 진압되고, 코린토스는 본보기로 도시 전체가 파괴되었다. 이후 그리스는 로마 공화국의 지배권 아래 완전히 들어오게 되었다.
[1] 훗날 벌어진 피드나 전투에서도 필리포스 5세의 아들인 페르세우스가 똑같은 실수를 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