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04:23:05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여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d52b1e> 상징 국호 · 국기 · 국가 · 쌍두독수리
역사 돈바스 전쟁 · 러시아 편입 이전 · 러시아 편입 이후
지리 돈바스
문화 문화 전반 · 러시아 정교회
언어 러시아어 · 러시아어권
정치 국가수반 · 인민의회
경제 중앙은행
외교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여권
사회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
교통 도네츠크 국제공항
군사 도네츠크 인민 민병대
기타
}}}}}}}}} ||

파일:유럽 위치.svg 유럽 국가 및 지역별 여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동유럽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벨라루스 여권 우크라이나 여권 몰도바 여권 조지아 여권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아르메니아 여권 아제르바이잔 여권 러시아 연방 여권 압하지야 여권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기.svg
남오세티야 여권 트란스니스트리아 여권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여권
서유럽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아일랜드 여권 영국 여권 프랑스 여권 모나코 여권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벨기에 여권 네덜란드 여권 룩셈부르크 여권
남유럽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안도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포르투갈 여권 스페인 여권 안도라 여권 이탈리아 여권
파일:바티칸 국기.svg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파일:몰타 국기.svg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바티칸 여권 산마리노 여권 몰타 여권 슬로베니아 여권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여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여권 몬테네그로 여권 세르비아 여권
파일:코소보 국기.svg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코소보 공화국 여권 알바니아 여권 북마케도니아 여권 루마니아 여권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불가리아 여권 그리스 여권 튀르키예 여권 키프로스 여권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여권
북유럽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여권 노르웨이 여권 스웨덴 여권 핀란드 여권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덴마크 여권 리투아니아 여권 라트비아 공화국 여권 에스토니아 여권
중부유럽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독일 여권 폴란드 공화국 여권 체코 여권 슬로바키아 여권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스위스 연방 여권 리히텐슈타인 여권 오스트리아 여권 헝가리 여권
아시아 ·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 유럽 · 아프리카
}}}}}}}}} ||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여권
Донецкой Нродной Республики Паспорт
Донецької Народної Республіки Паспорт
파일:하나둘셋넷.png
발급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도네츠크 인민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도네츠크 인민공화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발급 기관 발급 중단
영어 Donetsk People's Republic passport
Donetsk passport
러시아어 Паспорт Донецкой Народной Республики
Донецкий паспорт
한국어 도네츠크 여권
비자 현황 -

1. 개요2. 상세

1. 개요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은 정식 국가가 아니고, 2022년 9월 30일 우크라이나 점령 지역의 러시아 편입에 관한 국민투표에 의거해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실시 이후 실질적인 주권마저 포기하였기에, 이 여권의 효력 역시 상실하여 현재는 사용할 수 없다. 현재는 도네츠크 민정청사에서 도네츠크 여권 발급 관련 민원을 받지 않으며, 자동으로 러시아 시민권을 부여하여 러시아 내무부에서 발행하는 러시아 연방 여권으로 교환하거나, 기존 여권 발급일로부터 유효기간이 만료되기 전까지 간단한 신분확인 절차 선에서만 사용되는 편이다. 이는 러시아 국내여권과도 동일하다.

여권에 기재되있는 정보가 부실하다 싶을정도로 상당히 간략하다. 남오세티야 여권, 압하지야 여권조차 지원하는 개인정보면 란의 기계판독영역 코드가 아예 없으며, 국제표준 규격을 따르지 않았기에 여권주(旅券主)의 신분을 증빙할 근거로 내무부에서 발행하였다는 서명 한줄, 발행일, 성명, 성별, 출생일, 주소(중복선택 가능) 등 6개가 전부이며, 여권보다는 수첩이나 통행증에 가까운 외형을 보인다. 전자여권은 당연히 지원하지 않는다.

참고로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에 비해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여권에 대한 정보는 무성한 편인데, 이는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이 2014년 독립 단초부터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에 비해 제대로 된 나라 구실을 하기 힘들었고, 대부분은 러시아 연방의 지원에 의지할만큼 행정능력이 굉장히 떨어졌기 때문이다. 다만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선거 당시 루간스크 선거구 한정, 주민들에게 (러시아 여권이나 신분증 또는) 루간스크 여권을 지참하라는 공고가 내려온점을 비추어, 소정으로나마 발급 자체는 했을 것으로 보인다.

2. 상세

파일:도네츠크인민공화국내부.jpg
내부 이미지 (비공식)

파일:도네츠크인민공화국내부2.jpg
첫장. 사진에서 볼 수 있듯 모서리가 곡선에 가깝게 휜것을 알 수 있다.

파일:도네츠크인민공화국내부4.jpg
사진 속 인물은 데얀 베리치
도네츠크 인민 민병대 장교로 부임하면서 취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