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8 00:50:16

당진시/교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당진시
1. 개요2. 철도3. 도로
3.1. 고속도로3.2. 국도3.3. 지방도3.4. 기타
4. 버스
4.1.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4.2. 시내버스
5. 택시6. 해운.항구

1. 개요

당진시의 교통 관련 내용들을 정리한 문서이다.

2. 철도

2024년쯤에 서해선 철도가 개통되면 이 곳을 지날 예정이다. 다만 시가지인 동지역이 아닌 당진시 외곽의 합덕읍으로 지나가며, 역도 논밭 한가운데합덕역 달랑 하나만 지어질 예정이다.제2의 공주역? 기존 철도들도 경부선평택시에서 곧장 내륙인 천안시로 빠지며, 장항선도 천안-아산-예산을 거쳐 가기 때문에 서해안인 당진을 지나는 철도는 현재 없다.[1] 이 외 여객철도는 아니지만 단선철도인 석문국가산업단지 인입철도(합덕-송악-송산-석문)가 예타면제 사업에 선정되었다.

3. 도로

3.1. 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고속국도 15호선), 서산영덕고속도로(30호선)가 있다. 이 중 서해안고속도로는 여느 충남 서해안지역과 비슷하게 서울 및 수도권으로의 교통 여건 개선에 획기적 변화를 주었다. 다만 우회도로가 삽교천방조제(34번 국도) - 아산만방조제(38번 국도) 구간밖에 없어서 당진IC - 서평택JC 구간은 상습정체구역이다. 실제로 2015년 12월에 서해대교가 케이블이 끊어지는 사고가 일어나서 고속도로가 단절되자 수도권 - 32번 국도가 몸살을 앓기도 했다.

서산영덕고속도로 역시 충남 중부를 관통하여 대전과 직통으로 이어지면서 당진-대전 간 고속버스가 개통되는 등 충남권 내에서의 교통 여건 개선에 획기적인 변화를 주었다. 이 고속도로를 서산 대산까지 연장하기 위해 타당성 검토까지 받았으나 경제성 부족으로 두 번 퇴짜를 맞다가 2016년에서야 통과했다. 향후 당진에 철도가 신설되고 고속도로 역시 당진JC-서산 대산 구간이 확장되면 현재보다 더 발전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3.2. 국도

32번 국도, 34번 국도, 38번 국도, 40번 국도[2], 77번 국도가 있다.
  • 32번 국도: 서산시에서 넘어와 정미면, 당진시내, 송악, 신평, 합덕을 거쳐 예산군으로 넘어간다. 서쪽으로 서산을 잇는 국도이며, 동쪽으로는 천안, 아산을 이어주는 국도이기 때문에 통행량이 적지 않다. 당진시내구간인 탑동교차로-원당교차로 일부구간만 왕복 6차로이고, 나머지 구간은 왕복 4차로.
  • 34번 국도: 신평면 거산리 거산2교차로에서 32번 국도에서 분기하면서 시작되는 국도이다. 동쪽으로 삽교천방조제를 통해 아산시로 넘어간다. 과거 서울로 가는 유일한 도로였기 때문에 상습정체구역이었으며, 현재도 당진과 아산, 천안을 가장 빠르게 잇는 도로이기 때문에 출퇴근시간 때에는 차가 생각보다 많다.[3] 서해안고속도로가 개통된 지금도 주말과 공휴일에는 정체가 일어난다.[4]
  • 38번 국도: 서산시 대산읍에서 대호방조제를 타고 넘어와 석문,송산,송악을 관통하여 신평면 운정IC에서 34번 국도에 중첩된다. 석유화학단지가 있는 서산시 대산읍에서 넘어와 석문국가산업단지,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등 당진시의 주요 산업시설들을 관통하고, 서해안고속도로 송악IC로도 연결되는 도로이기 때문에 화물차량들이 많이 다닌다.
  • 40번 국도: 합덕읍에서 시작한다.
  • 77번 국도: 전구간 38번 국도와 중첩된다.

3.3. 지방도

또한, 633번 지방도가 일부 구간 신설 후 재개통되고 지속적으로 지방도 및 시도 정비가 추진 중에 있어 낙후 및 병목을 지적받던 교통여건이 꾸준히 개선되는 중이다.

619번 지방도 송악읍 기지시리(가학교차로) - 송악읍 부곡리(한진교차로)구간의 왕복 4차로 확포장 및 일부구간 신설사업이 한창 추진되고 있다.

3.4. 기타

이렇게 도로 인프라는 좋으나 당진시내 도로는 개판 5분 전이다. 당진시내를 우회하는 도로가 없어 탑동교차로-원당교차로 구간은 신호를 수 번 받아야 할더러, 60km/h의 느려터지는 속도제한 때문에 상당히 답답하다. 그로 인해 낮 시간마다 교통정체가 발생하는 것은 덤. 사실 당진을 지나가는 국도가 사실상 32번, 34번, 38번, 그것도 모두 동서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서해로의 당진 도심 구간이 2km에 불과해 해당 구간을 지나면 도심을 바로 빠져나가기에 필요성이 없다는 것이다.[5] 당진 도심을 빙 돌아가는 외곽도로 건설의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근처의 615번 지방도, 633번 지방도의 좋은 선형으로 인해 아예 묻혀버리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때문에 서산에서 아산 또는 천안으로 오갈때 통행료를 낼 각오를 하고 서해안고속도로의 서산IC-당진IC 구간을 살짝 이용하는 차량마저 있을 정도이다.

4. 버스

4.1.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당진공영버스터미널에서 고속버스시외버스를 이용한다. 이 외에도 합덕버스터미널이 있다. 서해안고속도로 덕에 수도권 접근성은 좋으나 기타 지역은 열악하다. 광주는 노선(서산을 경유해 30분 정도 더 소요된다)이 있는 반면, 그보다 가까운 전주는 없다. 군산도 일 2회에 불과. 강원도는 운행 노선이 춘천 하나 뿐. 한 시간 거리인 천안은 완행인 관계로 1시간 30분정도 소요된다. 부산은 일 1~2회에 불과하다. 기타 당진시의 시외버스정류장은 다음과 같다.

이 외에 합덕을 출발하여 신평,삽교천,송악이주단지를 거쳐 인천으로 가는 시외버스가 하루 2회 운행된다.

4.2. 시내버스

당진여객만이 운행하고 있으며 버스에서 내린 후 60분 이내에 다른 노선으로 갈아탔을 경우 1회에 한해 무료환승이 가능하다. 과거 당진군 시절인 2005년에 버스 노선에 대한 전면적인 개편이 이루어져 번호가 붙은 버스가 운행하게 되었다. 요금은 성인이 1500원, 중고등학생(청소년)이 900원, 어린이 (만 14세 미만) 700원이다(교통카드 기준).https://naver.me/G5Jvq6QI[현금요금][7][8]

운행 계통은 크게 과거 당진공영버스터미널이 있었던 구터미널(구시가지) 출발 노선과 현재 당진공영버스터미널이 있는 신터미널(신시가지) 출발 노선, 그리고 합덕버스터미널 출발 노선 이렇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운행 노선은 상당히 많은데 대부분이 한두번 운행하는게 고작이고 그나마 자주 다닌다는 게 1~2시간 간격으로 다닌다. 다만 각 번호마다 운행 계통이 비슷하기 때문에 참고하자.[9] 특히 신성대로 가는 버스는 45번 계열과 60번대 계열을 통해 30분에 한 대 정도 다닌다. 그리고 다행히도 왠만한 주요 버스정류장에는 시내버스 시간표가 붙어있기 때문에 이용할 때 꼭 시간표를 보도록 하자.[10]

2014년 11월 30일 드디어 모든 시내, 시외버스에 LED를 설치했다. 주변 군 지역, 심지어 옆 도시인 서산에도 설치한 것에 비하면 상당히 늦은 편이다. 그전에는 스티커로 행선지를 알리는 플라스틱 알림판에 적힌 행선지를 보고 타거나 버스 색을 보고 대충 기지시, 송악, 합덕, 고대.. 라고 때려맞춰서 타곤 했다(...)[11]

2020년 1월부터 버스정보시스템이 도입되어 이용객이 많은 주요 정류장부터 LED전광판이 설치되기 시작했다. 2023년 4월 현재는 설치를 모두 마친것으로 보인다. 한국교통안전공단 광역 버스 정보시스템[12]이 구축되었다. 가끔 점검중일때를 제외하면 버스정보시스템이 각 정류장 LED전광판에 잘 표시되어 운영되고 있다. 카카오맵, 전국스마트버스에서도 버스정보시스템이 표시되니 참고하자.

5. 택시

파일:당진시 CI_White.svg충남 당진시 택시
일반택시
기본요금 4,000원(1.2km)
추가(병산제) 100원(131m)
심야 및 시계 외 할증 30%
고급/모범택시
기본요금 5,000원(3km)
추가(병산제) 200원(109m)
심야 및 시계 외 할증 30%
유료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6. 해운.항구

도비도항에서 난지도로 가는 여객선이 운행된다. 정확히는 소난지도까지 하루 5회 운행되며, 원래는 대난지도까지 갔는데 소난지도와 대난지도를 잇는 다리가 완공되면서 단축되었고 대난지도에 가려면 배에서 내려 당진시 행복버스를 타고 이동해야 한다. 그 외 대조도까지도 하루 2회 운행된다. 장고항에서는 화성시 국화도로 가는 도선이 하루 6회 운행된다.

*당진시지역의 항만.어항 보유현황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지정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무역항
속초항, 옥계항, 묵호항, 동해항, 삼척항, 호산항, 포항항, 울산항, 울산신항, 장생포항
인천항, 인천신항, 경인항, 서울항, 평택·당진항, 대산항, 태안항, 보령항, 장항항, 군산항, 목포항
부산항, 부산신항, 진해항, 마산항, 고현항, 옥포항, 장승포항, 통영항, 삼천포항, 하동항, 여수항, 광양항, 완도항
제주항, 서귀포항
연안항
주문진항, 울릉항, 후포항, 강구항, 구룡포항
격렬비열도항, 용기포항, 연평도항, 대천항, 마량진항, 상왕등도항, 송공항, 대흑산도항, 홍도항, 가거향리항
부산남항, 중화항, 국도항, 거문도항, 나로도항, 녹동항, 강진항, 화흥포항, 갈두항, 진도항
추자항, 애월항, 한림항, 화순항, 성산포항
항만법 제3조(항만의 구분 및 지정)와 동법 시행령 제2조(항만의 명칭 등)에 따른 구분
}}}}}}}}} ||


무역항 : 당진항
연안항 : 없음
국가어항 : 장고항
지방어항 : 난지도항
어촌정주어항 : 없음
소규모어항 : 도비도항, 소난지도항, 왜목항, 용무지항 (4개소)
포구 : 맷돌포구, 안섬포구, 한진포구
총 : 10개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0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0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다만 당진제철소 내부에 화물철도가 있긴 하나 당연히 여객은 하지 않고 제철소 '내부'에만 있다.[2] 여담으로 36번 국도를 제외한 횡축 국도들이 순서대로 지나간다. 36번 국도는 더 남쪽인 보령-청양-공주만 지나간다.[3] 당진청주고속도로 당진-천안 전구간이 개통되면 정체가 획기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4] 34번국도 당진 구간 유일한 사거리인 신당교차로 전후로 가장 심하다.[5] 도심말고 송악읍 기지시리의 당진농공단지사거리에 또 있다. 이 사거리는 출퇴근시간대에 헬게이트가 열리며 게다가 이 사거리의 동서를 가로지는 도로는 왕복 6차로가 아닌 4차로여서 운 나쁘면 신호를 서너번 받아야 한다.[현금요금] 현금요금은 성인 1600원, 중고등학생(청소년) 1280원, 어린이 (만 14세 미만) 800원이다https://naver.me/G5Jvq6QI[7] -2018년 3월 1일부터 적용-[8] 일부 좌석버스, 고속도로 이용 노선 등 특수 노선의 경우 요금이 다르다.[9] 기본 노선에 중간중간 경유지가 늘어나는 형식으로 노선이 다양해졌다. 면적이 넓고 농촌지역 경유 노선의 필요성에 의한 특징.[10] 시간표가 잘 안 맞는 경우가 많다. 버스를 이용한다면 무조건 정류장 LED전광판을 참고하자. 정류장 가기전에 카카오맵이나 전국스마트버스로 먼저 확인하면 더 좋다.[11] 요즘에도 LED가 고장나면 플라스틱 알림판이 가끔씩 보인다...[12] PC tsbis.go.kr 모바일tsbis.kr/mb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