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2 19:31:14

당진시 시내버스

파일:충청남도 휘장.svg 충청남도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계룡시 공주시 금산군 논산시 당진시
보령시 부여군 서산시 서천군 아산시
예산군 천안시 청양군 태안군 홍성군 }}}}}}}}}

파일:당진시 CI.svg 당진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bgcolor=#fff,#191919><tablewidth=100%> 철도
서해선 합덕역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5.svg서해안고속도로 송악IC · 당진IC · 당진JC
파일:Expressway_kor_30.svg서산영덕고속도로 당진JC · 면천IC
국도 32 · 34 · 38 · 40 · 77
지방도 70 · 609 · 615 · 619 · 622 · 633 · 647 · 649
버스 버스 목록 시내버스 · 시외버스 ·고속버스 노선
버스 터미널 당진버스터미널 · 기지시정류장 · 신평버스터미널 · 삽교천시외버스터미널 · 합덕버스터미널 · 송악신도시정류소 · 구룡정류소
항만 무역항 평택·당진항
어항 장고항 외 10개소
충청남도의 교통
}}}}}}}}} ||
파일:당진시 CI.svg
당진시 시내버스
Dangjin City Bus
노선 수 250개
업체수 1개
차량수 75대[1]
운행시간[2] 06:00~23:20
운영제도 민영제
운임제도 단일요금제
환승할인제[3]
1. 개요2. 역사
2.1. 버스 개편
3. 특징4. 문제점5. 요금6. 환승 제도7. 노선8. 여담

1. 개요

당진시 일대를 운행하는 시내버스. 당진여객에서 독점 운행한다.

2. 역사

  • 당진군 시절인 2005년 노선번호제가 시행되었다.
  • 2018년 8월 다른 충남 지자체들과 똑같이 차량에 있는 노후화된 교통카드 단말기가 모두 교체되었다.
  • 2021년 2월 이후부터 안내방송이 TTS로 변경되었다.[5]
  • 2021년 8월 당진시 시내버스 공영화 결정에 따라 유일한 회사인 당진여객의 매각협상이 진행중이었다. 회사매각이 성사될 경우 모든 자산을 당진시에 승계함과 동시의 회사법인이 해산될 예정이었으나 양도세 문제 등으로 매각에 난항을 겪다가 무산되었다.

2.1. 버스 개편

2.1.1. 2020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0년 당진 시내버스 개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0년 당진 시내버스 개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0년 당진 시내버스 개편#|]][[2020년 당진 시내버스 개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2. 2024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4년 당진 시내버스 개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4년 당진 시내버스 개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4년 당진 시내버스 개편#|]][[2024년 당진 시내버스 개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특징

  • 최근에는 경기버스처럼 TV가 설치되었다.[6]

4. 문제점

  • 시내에 안 들어오는 700, 800번대를 제외한 모든 일반시내버스 노선이 구터미널~신성아파트 사이의 왕복 2차로 구간을 경유하는 바람에 이 길이 막히면 이곳을 지나는 모든 노선[7]이 지연된다.
  • 시내버스임에도 농어촌버스와 다를 바가 없는데, 매 회차마다 달라지는 번호[8], 넓은 배차간격, (합덕 제외) 모든 노선이 중심지 터미널에서 출발한다는 점[9], 엄청난 굴곡노선이 많다는 점들 때문이다. 위에서 말했듯 합덕 출발 7, 800번대와 송악고1, 41, 51, 81번, 500번대 일부를 제외하면 모든 노선이 당진터미널을 거쳐서 당진터미널은 외곽의 버스정류장과는 대비되게 5분 간격(0, 5로 끝나는 분마다) 수시로 터미널로 들어오려는 차량, 나가려는 차량, 터미널에 주차하려는 차량이 뒤섞여 난리가 난다.
  • 2, 300번대 모든 노선은 보건소까지 운행 후 터미널 또는 구터미널로 공차 회송해서 상당히 비효율적이다.
  • 2024년 10월경 당진여객이 에디슨모터스 스마트 110 3대와 현대 일렉시티 3대를 신차로 출고했는데 전광판을 현재 (2024년 12월)까지도 설치를 안해서 아크릴판이나 종이로 행선지판을 만들어 쓰고있다... 심지어 어느 정류장인지 알려주는 TTS도 없어 특히 밤에 불편하다.

5. 요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A6026, #EA6026 20%, #EA6026 80%, #EA6026)"<tablealign=center><tablewidth=430><tablebordercolor=#EA6026><tablebgcolor=#EA6026> 파일:당진시 CI_White.svg2020년 7월 20일 기준
당진시 시내버스 요금
}}}||
구분 일반 청소년 어린이
시내버스 현금 1,600원 1,280원 800원
교통카드 1,500원 1,030원 700원
좌석버스 현금 2,000원 1,600원 1,000원
교통카드 1,900원 1,350원 900원

선불교통카드로 캐시비, 마이비, 티머니가, 후불교통카드로 롯데카드(T형, MT형), 농협카드, 현대카드(T형, MT형), 하나SK카드, 외환카드, KB국민카드, BC카드, 신한카드, 삼성카드가 사용가능하다.

6. 환승 제도

2012년 2월부터 무료환승제가 시행되었으며, 환승단말기에 하차태그한 후 40분 이내에 환승할인이 적용됐었으나, 2018년 3월 1일부터 40분에서 1시간으로 연장하였다.

7. 노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당진시 시내버스/노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당진시 시내버스/노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당진시 시내버스/노선#|]][[당진시 시내버스/노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여담

  • 모든 차량들 내부에 위치한 LED 차내 안내기가 영문 표기를 한글 발음을 영문으로 표기한 방식[10]을 사용했다. 일부 정류장은 번역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마저도 이상하게 번역된다.[11] 그 외에도 승객용 LED안내기가 안내방송과 같이 표출되지 않거나 이번정류소, 다음정류소 이름이 똑같이 표출되는 경우 또는 아예 안 나오는 경우도 있었다. 해당 현상은 2024년 2월쯤부터 LED에서 정상적으로 띄우게 되며 사라졌다.[12]

[1] 해나루행복버스 차량 미포함 시 73대.[2] 기종점 출발시간 기준.[3] 하차 후 60분 안에 1회 무료 환승 가능, 일반시내버스와 좌석버스간 환승도 가능.[4] 같은곳에서 지원받아 구축된 지자체들과 더불어서 관리가 안되는편이다.[5] 아산시 시내버스와 동일한 보이스웨어의 유미목소리. 단, 당진은 EB차임벨과 안내방송이 마이비 안내방송 쓰는 지역과 동일하게 "이번정류장은 ~입니다. 다음은 ~입니다." 형식이다.[6] 당진시 외에도 충남의 대부분의 군(郡)에 장착되어있다.[7] 1~600번대(단, 500번대 일부 노선 제외), 순환1~3, 5, 6, 10~12, 14~16, 20, 수청1, 2, 대덕동1, 2, 대덕마을1, 2, 푸르지오1, 힐스테이트1, 9602[8] 이 분야의 제일은 전대리 계통인데, 종점부터 신평면사무소, 초대리, 도원리로 3개로 나눠져 있고 전대리 경유와 도원리 경유, 중흥리 경유와 금곡리 경유, 거기에 전대리 경유까지 수많은 바이브레이션이 있어 통합 1일 8회인데 노선 수가 9.5개로 노선 수가 운행 횟수보다 많다.(이는 271번은 전대방향, 272번과 970번은 시내방향으로만 편도 운행하기 때문이다.)[9] 144번, 149번은 호반써밋, 2, 300번대는 구터미널 출발이나 같은 시내이고 결국 터미널을 경유하니 사실상 그런 셈.[10] 예를 들어, 당진버스터미널은 Dangjinbeoseuteomineol 이런 식으로 표기된다.[11] 예를 들어 우민늘사랑 아파트는 Apartment of Woo Min Neul Sarang[12] 노선전광판은 내용이 많으면 옆으로 움직이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이 방식도 한번에 표출하는게 아닌 경유지를 한개씩 표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