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2:17:30

구축함/배수량별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구축함

파일:3WyNF1sr.jpg
[1]
수상전투함 배수량별 목록
초계함,경비함,고속함/배수량별 목록 호위함/배수량별 목록 구축함/배수량별 목록 순양함/배수량별 목록 전함/배수량별 목록

1. 개요2. 1860년 ~ 제1차 세계 대전 이전(1913년): 철갑선 출현
2.1. 250톤 이상 ~ 3,000톤 미만
3. 제1차 세계 대전(1914년) ~ 1949년
3.1. 250톤 이상 ~ 3,000톤 미만3.2.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
4. 1950년 ~ 현대: 배수량별 구축함 목록
4.1. 1,500톤 이상 ~ 3,000톤 미만4.2.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4.3. 5,000톤 이상 ~ 8,000톤 미만4.4. 8,000톤 이상 ~ 10,000톤 미만4.5. 10,000톤 이상
5. 관련 문서

1. 개요

이 항목은 배수량과 시기순으로 구축함을 기입하는 문서이다. 단 호위구축함(DE)은 지금의 호위함이나 초계함과 유사한 등급이기에 여기서 제외한다. 호위구축함(DE)의 경우 미국의 호위함(프리깃)이라 불린 선도구축함(DL)보다 하위 단계로 애매한 등급이다. 이것은 구축함, 호위함(프리깃)보다 낮은 등급의 명칭이다. 구축함에는 방공구축함(DDG)과 선도구축함(DL) 등이 존재한다. 1975년 6월 30일, 미국은 '1975년 순양함 격차 논쟁'으로 대부분의 선도구축함(DL)들이 방공순양함(CG) 상향되어 이동한다. 때문에 분류 이전에 선도구축함(DL)으로 퇴역한 소수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순양함(CG)이된 선도구축함들은 이 목록에서 제외한다.

2. 1860년 ~ 제1차 세계 대전 이전(1913년): 철갑선 출현

2.1. 250톤 이상 ~ 3,000톤 미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76px-Hallebarde-Marius_Bar.jpg
프랑스듀란달급 구축함
제조/운용국 함급 만재(전투)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영국 아덴트 구축함[2] 269톤 1894년
영국 하복급 구축함[3] 279톤 244톤 1894년 2월
영국 데어링급 구축함(1893년)[4] 292톤 264톤 1895년 2월
프랑스 듀란달급 구축함[5] 301톤 1899년
미국 베인브리지급[6] 537톤 380톤 1903년 2월 12일
일본 카미카제급 460톤 387톤 1905년
영국 HMS 레틀스네이크[7] 559톤 1887년 5월
영국 트리벌급 구축함(1905년)[8] 860톤 ~ 940톤 1907년
영국 비글급 구축함[9] 874톤 ~ 955톤 1910년
미국 폴딩급 구축함[10] 887톤 742톤 1910년 9월 29일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트라급 구축함[11] 880톤 1913년 10월 12일

3. 제1차 세계 대전(1914년) ~ 1949년

3.1. 250톤 이상 ~ 3,000톤 미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estructor_ARA_Cervantes_%28C%29.jpg
1928년, 아르헨티나의 ARA Cervantes(추루카급 구축함)
제조/운용국 함급 만재(전투)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미국/영국 위키스급 1,247톤 1,154톤 1918년
미국 패러것급 1,365톤 1932년
일본 무츠키급 1,468톤 1,336톤 1924년
일본 하츠하루급 1,530톤 1933년
소련 야코브 스베르드로프 구축함[12] 1,590톤 1,260톤 1918년 9월 9일
미국 글리브스급 1,630톤 1940년
일본 미네카제급 1,680톤 1,367톤 1919년
일본 시라츠유급 1,712톤 1933년
미국 머핸급 구축함 1,725톤 1,500톤 1934년
미국 포터급 구축함 1,850톤 1933년
프랑스 부라스크급 구축함 1,968톤 1,298톤 1940년 9월 15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급 구축함[13] 2,042 톤 1,375톤 1938년 1월 1일
스페인/아르헨티나 추루카급 구축함[14] 2,067 톤 1,536톤 ~ 1,650톤 1927년
일본 후부키급 구축함 2,080톤 1,780톤 1926년 9월 23일
미국 소머즈급 2,130톤 1,850톤 1935년
아르헨티나 멘도자급 구축함[15] 2,154 톤 1,595톤 1929년 1월 24일
소련 오피트니급 구축함[16] 1,870 ~ 2,170톤 1,570톤 1941년 6월
미국 그리들리급 2,219톤 1,590톤 1935년
미국 배글리급 2,325톤 1,500톤 1933년
미국 벤험급 구축함 2,350톤 1,656톤 1939년
일본 아사시오급 2,370톤 1939년
소련 스토로제보이급 구축함 2,400톤 1,850 톤 1938년
소련 그네브니급 구축함 2,405톤 1,885 톤 1935년~1941년
미국 심즈급 구축함 2,465톤 1,570톤 1937년
미국 플레처급 구축함[17] 2,500톤 2,050톤 1942년 6월 4일
미국 벤슨급 구축함 2,515톤 1,620톤 1940년
일본 유구모급 구축함 2,520톤 1,712톤 1941년
일본 가게로급 구축함 2,540톤 2,032톤 1939년 ~ 1947년
영국 C급 구축함[18] 2,570톤 1,730톤 1944년
소련 오그네보이급 구축함[19] 2,950톤 2,240톤 1944년

3.2.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koryy_Class_destroyer.jpg
1968년 8월 28일, 구소련의 Project 30bis Skoryy(스코리급 구축함)
제조/운용국 함급 만재(전투)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일본 시마카제급 3,048톤 2,567톤 1943년 1월 20일
프랑스 샤칼급 구축함[20] 3,098톤 2,126톤 1939년 3월 6일
소련/이집트/인도네시아/폴란드 스코리급 구축함[21] 3,115톤 2,353톤 1949년
프랑스 보클랭급 구축함[22] 3,120 톤 2,634 톤 1932년 12월 31일
프랑스 에이글급 구축함[23] 3,190톤 2,480톤 1931년 12월 25일
프랑스 게파르급 구축함[24] 3,251톤 2,475톤 1929년 8월 13일
프랑스 팡타스크급 구축함[25] 3,251 ~ 3,455톤 2,610톤 1935년 2월 10일
미국 기어링급 구축함 3,460톤 2,616톤 1945년
미국 알렌 M. 섬너급 구축함 3,515톤 2,200톤 1943년
독일 나르비크급 구축함[26] 3,605톤 2,600톤 1940년 9월 15일
일본 아키즈키급 구축함 3,759톤 2,743톤 1940년
프랑스 모가도르급 구축함[27] 4,018톤 2,997톤 1939년 4월 8일

4. 1950년 ~ 현대: 배수량별 구축함 목록[28][29]

4.1. 1,500톤 이상 ~ 3,000톤 미만

파일:나진급 호위함.png
조선인민군 해군나진급 구축함
북한 나진급 구축함[30] 1,500톤 ~ 1,800톤 1,200톤 4km 1973년

4.2.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HMS_Birmingham_D86.jpg
1993년 3월 2일, A port bow view of the British destroyer (42형 구축함 Batch 1)HMS BIRMINGHAM (D-86) entering port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시작 운용
아르헨티나 알미란테 브라운급 3,360톤 1983년 4척
중국 루다급(Type 051) 3,670톤 1971년 12월 9척
대한민국 광개토대왕급 4,000톤 3,200톤 1998년 7월 24일 3척
일본 하츠유키급 4,000톤 2,950톤 1982년 3월 23일 9척
일본 타카츠키급 4,572톤 3,150톤 1967년 3월 15일
영국/아르헨티나 42형 구축함 Batch 1 아른헨티나형 4,350톤 3,600톤 1976년 7월 12일 1척
러시아/폴란드 카신급 4,390톤 3,400톤 1964년 2척
일본 아사기리급 4,900톤 3,500톤 1988년 8척

4.3. 5,000톤 이상 ~ 8,000톤 미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e_Duilio_modifica.jpg
이탈리아 해군의 Nave Caio Duilio D5549호라이즌급)
제조 국가 이름/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시작 운용
인도 라지푸트급 5,000톤 4,750톤 1980년 9월 30일 5척
중국 052형 구축함 5,300톤 1994년 5월 2척
일본 아사히급 7,000톤 5,100톤 2016년 10월 19일 2척
영국 42형 구축함 Batch 3 5,350톤 3,600톤 1982년 12월 16일 1척
이탈리아 뒤랑 드 라펜급 5,400톤 4,500톤 1993년 3월 18일 2척
미국 노퍽급 구축함[31] 5,600톤 1953년 3월 4일 1척
대한민국 충무공이순신급 5,700톤 4,400톤 2002년 5월 22일 6척
일본 하타카제급 5,900톤 4,674톤 1986년 3월 27일 2척
중국 051B형 구축함 6,100톤 1998년 1척
일본 무라사메급 6,198톤 4,623톤 1996년 3월 12일 9척
일본 다카나미급 6,401톤 4,725톤 2003년 3월 12일 5척
호주/스페인 호바트급 6,250톤 2016년 3척
중국 052B형 구축함 6,500톤 2004년 7월 2척
일본 아키즈키급 6,800톤 5,000톤 2012년 3월 14일 4척
인도 델리급 6,900톤 6,700톤 1997년 11월 15일 3척
인도 콜카타급 7,000톤 6,800톤 2013년 3월 3척
중국 052C형 구축함 7,000톤 2004년 7월 18일 6척
이탈리아/프랑스 호라이즌급 7,050톤 5,600톤 2007년 12월 22일 2척
중국 051C형 구축함 7,100톤 2006년 1월 1일 2척
중국 052D형 구축함 7,500톤 2014년 3월 21일 24척
일본 시라네급 7,500톤 5,200톤 1980년 3월 17일 2척
러시아 우달로이급 I 7,900톤 6,200톤 1982년 7척
러시아 우달로이급 II 7,900톤 6,200톤 1999년 1척
러시아 소브레멘니급 7,940톤 6,200톤 1989년 4척
이란 칼리제 파르스급 7,500톤 5,500톤 2020년 6척 예정

4.4. 8,000톤 이상 ~ 10,000톤 미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HMS_Dauntless_Scotstoun.jpg
영국 해군45형 구축함 2번함 HMS 돈틀리스
제조 국가 이름/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시작 운용
영국 45형 구축함 8,000톤 ? 2009년 6월 23일 6척
미국 스프루언스급 구축함 8,169톤 ? 1975년 9월 20일 31척
미국 알레이 버크급 플라이트 I 8,315톤 ? 1991년 7월 4일 21척
미국 알레이 버크급 플라이트 II 8,400톤 ? 1998년 2월 2일 7척
미국 알레이 버크급 플라이트 IIA 9,200톤 ? 2000년 8월 19일 34척
일본 공고급 9,500톤 7,500톤 1993년 3월 25일 4척
한국 한국형 차기 구축함 9,000톤 7,100톤 ? 6척

4.5. 10,000톤 이상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16px-ROKS_Sejong_the_Great_%28DDG_991%29.jpg
2008년 10월 7일, 대한민국세종대왕급 구축함
제조 국가 이름/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시작 운용
일본 아타고급 10,000톤 7,700톤 2007년 3월 15일 2척
미국 알레이 버크급 플라이트 III 9,700톤 ? 2023년 이후 35척
일본 마야급 10,250톤 8,000톤 2018년 이후 2척
대한민국 세종대왕급 10,600톤 7,650톤 2008년 12월 22일 3척
대한민국 정조대왕급 12,000톤 ? 2024년 1(+2)척
중국 055형 구축함 12,500톤 11,000톤 2020년 6척
미국 줌왈트급 15,995톤 14564톤 2016년 2척
인도 프로젝트 18 구축함 14000톤 ? ? 최대 10척
이탈리아 DDX(군함) 11000톤 ? 2028년 2척
영국 83형 구축함 12000톤 ? ? 6척
미국 DDG(X) 13500톤 ? ? ?
일본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 12000톤 2028년 2척
러시아리데르급이 18000톤급 초대형 구축함으로 낄뻔했지만 2020년 러시아 국방부가 사실상 프로젝트 폐기를 공식화하면서 물건너 갔다. 사실 이렇게 급수를 낮춰서 주장하는 건, 일본이 아타고급으로 10000톤을 살짝 넘기며 첫 스타트를 끊었고, 이어서 한국이 10600톤[32]의 세종대왕급을 구축함이라고 주장하면서 본격적으로 논란이 되었다. 미국은 한술 더 떠서 15995톤의 줌왈트급을 구축함이라고 주장하고 있고, 러시아, 일본, 중국도 동참하고 있는 셈이다.

구축함의 대형화는 세계적인 추세이고, 일반적으로 구축함과 순양함의 경계로 취급받던 10000톤 기준이 훨씬 더 높이 올라가고 있다고 보는 게 맞을 듯 싶다.

5. 관련 문서



[1] 미해군의 구축함 역사. 구축함의 대형화를 여실하게 보여주고 있다.[2] http://en.wikipedia.org/wiki/Ardent_class_destroyer[3] http://en.wikipedia.org/wiki/Havock-class_destroyer[4] 데어링급 구축함 1893년형[5] http://en.wikipedia.org/wiki/Durandal-class_destroyer[6] 미국의 베인브리지급[7] HMS 레틀스네이크[8] 트리벌급 구축함 1905년형[9] http://en.wikipedia.org/wiki/Beagle-class_destroyer[10] http://en.wikipedia.org/wiki/Paulding-class_destroyer[11] https://en.wikipedia.org/wiki/T%C3%A1tra-class_destroyer[12] http://en.wikipedia.org/wiki/Soviet_destroyer_Yakov_Sverdlov[13] http://en.wikipedia.org/wiki/Buenos_Aires_class_destroyer[14] http://en.wikipedia.org/wiki/Churruca_class_destroyer[15] http://en.wikipedia.org/wiki/Mendoza_class_destroyer[16] http://en.wikipedia.org/wiki/Opytny-class_destroyer[17] http://en.wikipedia.org/wiki/Fletcher_class_destroyer[18] 영국의 C급 구축함[19] http://en.wikipedia.org/wiki/Ognevoy-class_destroyer[20] http://en.wikipedia.org/wiki/Chacal_class_destroyer[21] http://en.wikipedia.org/wiki/Skoryy-class_destroyer[22] http://fr.wikipedia.org/wiki/Classe_Vauquelin[23] http://en.wikipedia.org/wiki/Aigle-class_destroyer[24] http://en.wikipedia.org/wiki/Gu%C3%A9pard-class_destroyer[25] http://en.wikipedia.org/wiki/Fantasque-class_destroyer[26] http://en.wikipedia.org/wiki/Narvik_class_destroyer[27] http://en.wikipedia.org/wiki/Mogador_class_destroyer[28]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destroyer_classes[29] 영문표기 중심으로 기재함. 일본의 경우 4,000톤급 이상 영문표기로 구축함이므로 구축함에 포함. 단 호위구축함은 엄밀히 말하면 구축함이라 보기 힘든 등급이므로 제외.[30] 비록 초계함 크기지만 북한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해군구축함으로 분류하고 있다.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 북한군 구축함이라는 이름으로 축소 모형을 전시하고 있다.[31] USS 노퍽[32] 그것도 배수량을 축소 발표한 것이라고 의심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