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잠수함/정 | <colbgcolor=#fefefe,#2d2f34>P-4급, 상어급, 연어급, 유고급, 033형급, 위스키급U, 8.24 영웅함(신포급), 김군옥영웅함(신포 C급), {북한 신형 원자력 잠수함} | |
| 어뢰정 | 셰르셴급U, P-6급, 신남급, 신흥급, 구성급, 청진급 공습 어뢰정 | ||
| 경비정 | T급, 마양급, 대청-(I · II)급, 하이난급, 초도급, 청주급, S·O-1급 초계정, 상하이-II급, 신포급, K-48급, 청진/차호급, 샨토우급 | ||
| 고속정 | 소흥급, 오사-I급, 소주급, 황봉급, 용도급 연안 고속정, 농어급, 해삼급, 신형 대잠 고속정, 신형 미사일 고속정, 신형 VSV 스텔스 고속정 | ||
| 초계함 | 사리원급, 트랄급U | ||
| 호위함 | 서호급, 크리박급U, 압록급, 두만급 | ||
| 구축함 | 나진급, {최현급} | ||
| 상륙정 | LCM/LCU | 흥남급 LCU, 한태급 LCM, 한촌급 LCM | |
| LCVP | 남포급 LCVP | ||
| LCPA | 공방-(I · II · III)급, 남포급(A/B) | ||
| 소해함 | 프로젝트 53급U, 육도급 | ||
| 구조함 | 고원급 | ||
| 기타 | 대동-B급 반잠수정, 인간어뢰 | ||
| {{{#!wiki style="display:inline" dark-style="display:none" | |||
| ※ 둘러보기: | }}}}}}}}} | ||
|  | 
| 나진급 구축함 | 
1. 개요
나진급 구축함은 조선인민군 해군이 코라급 호위함을 기반으로 건조한 구축함이다. 실질적으로는 호위함으로 평가받는다.2. 제원
| 기준 배수량 | 1,200톤[1] | 
| 만재 배수량 | 1,500 ~ 1,800톤 | 
| 전장 | 102 m | 
| 전폭 | 10 m | 
| 흘수선 | 2.7m | 
| 속력 | 최대 24 노트 | 
| 대함 | 2 × P-15 테르밋 또는 금성 3호 미사일[2][3] | 
| 함포 | 2 × 100mm B-34 다목적 함포 | 
| 2 × 57mm 2연장 ZIF-31 대공포 | |
| CIWS | 2 × 30mm 2연장 AK-230 CIWS[4] | 
| 기관포 | 6 × 25mm 2연장 2M-3 | 
| 대잠 | 2 × 5연장 RBU-1200 대잠로켓[5] | 
| 대공 체계 | 1 × 6연장 이글라 | 
3. 특징
북한 나진조선소에서 건조된 군함이라 이름이 나진급이다. 1번함은 1972년에 진수되었다고 하며 북한 해군이 보유한 함정 중에서 최초로 배수량이 1,000톤을 넘은 함선으로 알려져 있다. 김정은 집권 이전 북한 해군의 최대 전력이었다.[6] 북한 해군은 나진급을 구축함으로 부르나, 세계적 기준으로 보면 호위함급에 해당한다.[7]선체는 소련 코라급 호위함 설계를 참조해 길이를 연장했다. 레이더는 대수상 레이더 Pot Head(Type 351), 사통레이더 Drum Tilt(MR-104), 대공 레이더 Slim Net를 장착했다. 스틱스나 우란을 발사하기 위해 표적획득용 레이더로 Square Tie가 있다.
대함용으로는 100mm B-34 단장포를 선두와 선미에 각각 2문, ZSU-57-2와 동일한 것으로 추정되는 57mm 연장포, 25mm 연장 기관포를 장착하나, 모두 사통 레이더 연동이 없어 수동 조준한다. 대공체계는 AK-230과 이글라를 탑재했다. AK-230 CIWS을 이용한 유효 대공망은 4km이다.[8] 대함미사일은 P-15 테르밋을 장착했다 Kh-35의 카피판인 금성 3호로 교체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잠용으론 폭뢰와 무유도 대잠로켓을 탑재했다.
|  | 
미사일 고속정을 대규모로 운용하는 북한 해군의 작전 계획을 고려하면 나진급 구축함의 역할은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됐다.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의 수상함대 강화 기조에 따라 도입된 압록급 호위함이나 최현급 구축함 등 신형 함정으로 대체될 것으로 보인다.
4. 동형함
| 함번 | 진수 | 취역 | 소속 함대 | 
| 531 | 1972년 | 1973년 | 동해함대 | 
| 631 | 1973년 | 1975년 | 서해함대 | 
5. 기타
- 워게임: 레드 드래곤에서 등장. 함포결전 성능은 좋지만 대공방어가 전무해 잘 쓰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