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2 21:35:24

경복궁 유화문

유화문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
현무문
천하제일복지천
오운각 옥련정
벽화실 청와대
관저
청와대
본관
청와대
녹지원
춘안당 융문당 관광청 헌춘문
칠궁 양정재 수궁
(구 관저터)
융무당 태화궁
용강문 지희실 경농재
(관풍루)
대유헌 중일각 경무대
청와대 위민관,헬기장
수궁 청와대
춘추관
마장 관가문 희맹공신단
금화문 팔도배미
청와대 영빈관,경호실
추성문 금위군직소 춘화문 춘생문
신무문 수문 계무문 광무문 춘도문 수문
숙문당 수문장청 군사방 팔우정 집옥재 협길당 각감청 관문각
건청궁
서녹산 어구 동녹산
태원전 영사재 대왕대비전
세답방
순화궁
세답방
중궁전
세답방
종각
빈궁
세답방
공묵재 왕대비전
세답방
가회정 보현당 남여고 육우정 녹직처소 내재실
동장고 통화당 순화궁
외소주방
숙경재 서진설청 선원전 동진설청 경안당
순화궁
내소주방
진전
소주방
진전
생물방
화락당 나인처소
회안전 문경전 서장고 향원정만화당 벽혜당
(왕대비전
생물방)
대향당 나인처소
정훈당
함화당 집경당 전기등소 만경전 건기당
(왕대비전
내소주방)
요광당
(왕대비전
외소주방)
어린이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나인처소
숙설소 영훈당
원역처소 빈궁
생물방
상궁처소 다경합 건복합
제관방 회광당
(빈궁
내소주방)
광원당
(빈궁
외소주방)
수인문 흥복전 중궁전
수방
대왕대비전
수방
제수합 영보당 벽월당
(상궁처소)
중궁전
침방
대왕대비전
침방
국별장직소 원역처소
(접견소)
장방 원역처소 아미산 자미당 자경전 집희당
(대왕대비전
내소주방)
춘소당
(대왕대비전
침방)
취운당
(대왕대비전
수방)
나인처소
침채고 예춘당
(대왕대비전
생물방)
벽로당
(상궁처소)
웅향당
(상궁처소)
국출신직소 함정당
(대왕대비전
외소주방)
계응당
(상궁처소)
하향정 임향당 나인처소
무겸직소 융화당 함원전 건순각 인지당 나인처소 보월당
(상궁처소)
자운당
(상궁처소)
나인처소
경회루 함홍각교태전원길헌 복희당
(대전
생물방)
북소위장직소 대재문흠경각재성문 만통문
자안당내순당
보의당
양의문체인당
승순당
흥안당대전
내소주방
난지당
(대전
외소주방)
대소대금방
(나인처소)
건상당 응지당 강녕전연길당계광당
내성문 지도문
파수각 의안당경성전 연생전수경당
수문 건의당용부문 연소당 향오문 청심당 안지문
영추문 수문장청 내각
(규장각)
검서청
(규장각)
대전장방 습회당 협오당 장원당 천추전 사정전 만춘전 연태문자선당비현각 장방 수문장청 건춘문
+ 수정전 +협선당
용신당
건인각 중궁전
수랏간
왕대비전
수랏간
등촉방 등촉방 장방 관리사무소
군사방 수정문 숭현문사현문별감방 군사방
초관직소 장무관직소
(내의원)
입심억석
(내의원)
주원
(사옹원)
사정문 오상방 원역처소
훈국군번직소 침의청
(내의원)
약방
(내의원)
내반원
(내시부)
영화문향실
예문관
협의문
내삼청
융무루ㅓ
내삼청
충의청
근정전관광청
양미고
계인문
누상고
ㅏ융문루
서방색
통장청 문기수청 춘방
서소위장직소 의약청
(내의원)
계방
옥당
(홍문관)
검서청
(규장각)
대전
수랏간
숭양문 계조당 훈국군번처소 초관처소
누국 당후
(승정원)
정원
(승정원)
월화문 근정문 일화문
일영대 선전관청 빈청 기별청
유화문
배설방
수각
내병조

덕양문

수각

봉선문 별군직청 주차장
영제교
춘방 책고 대청 상의원 면복각
신당 덕응방 북마랑 정색 마색 흥례문 결속색
전사청 연고 내사복시 거달처소 중마랑 동마랑 용성문 어도 협생문 계방 오위도총부
우마랑 국립고궁박물관 좌마랑 창고 연지 수문장청
매표소
군사방
수문장청
매표소
남소부장청 동소부장청
견마배청 남마랑 군사방 초관처소 영군직소
측사
측사 충장장청
서십자각 수문 광화문
(월대)
수문 동십자각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colbgcolor=#bf1400> 경복궁 유화문
景福宮 維和門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건축시기 1867년 (창건 추정)
2001년 (복원)
파일:경복궁_유화문_전경.jpg
<colbgcolor=#bf1400> 유화문[1]
1. 개요2. 이름과 현판3. 역사4. 특징5. 여담6. 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경복궁 흥례문의 서쪽 행각에 있는 이다. 기별청의 남쪽에 있다.

경복궁 서남쪽에 있는 궐내각사로 가는 정문이었다. 흥례문 일곽은 정전 근정전 영역과 바로 붙어있었기 때문에 조회뿐만 아니라 국문이나 교서 반포 등 여러 중요한 행사들이 이루어진 곳이었다. 그래서 궐내각사에서 근무하던 관리들이 원활히 움직일 수 있는 이 필요했고 유화문이 바로 그 역할을 했다.#

2. 이름과 현판

'유화(維和)' 뜻은 '온화(和)', '조화(和)'이다. 여기서 '유(維)'는 어조사라서 뜻이 없다.

현판 글씨는 서예가 소헌 정도준 선생(紹軒 鄭道準. 1948 ~ )[2]이 쓰고 각자장 철제 오옥진 선생(鐵齋 吳玉鎭, 1935 ~ 2014)이 새겼다.

3. 역사

창건 시기는 모른다. 다만, 1867년(고종 5년)에 경복궁을 중건할 때 영건도감에서 건물들의 이름을 지어 올렸는데, 이 때 유화문의 이름도 있는 것을 보아 저 때 처음 지은 듯하다.#

이후 유화문은 임금이 공식적으로 궁궐 밖을 오갈 때 지나는 으로 기능했다. 정확하게는 수정전에서 숭양문[3]과 유화문을 거쳐 흥례문을 지나 광화문으로 나갔고, 돌아올 때는 그 반대로 들어오는 코스였다.###

일제강점기인 1915년에 ‘시정 5주년 기념 조선물산공진회’가 경복궁에서 열리면서 흥례문 및 주변 행각과 같이 헐렸다. 그리고 공진회 개최 1년 뒤인 1916년에 일제는 흥례문, 영제교, 유화문, 기별청 자리에 조선총독부 청사를 지었다.

8.15 광복 후인 1990년대대한민국 정부에서 경복궁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조선총독부 건물을 철거했고, 2001년 10월 26일에 흥례문과 같이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4. 특징

  • 현재 일반 관광객은 이 문으로 드나들 수 없다.
  • 북쪽에는 기별청이 있고, 남쪽에는 흥례문 서쪽 행각이 있다. 유화문과 남쪽의 행각 사이에는 협문이 있다. 협문은, 인방 위에 안상의 모양대로 위, 아래 6개 씩 총 12개의 풍혈을 뚫은 궁판이 놓여있고[4] 그 위에 홍살을 놓은 형태이다.
  • 임금공식행사가 있을 때 사용했던 이기 때문에 정면 가운데에 어도가 깔려있다. 그리고 어도의 양 옆에는 신하관리들이 평상시에 다니던 이 있다. 이 길들은 박석으로 포장해놓았다.
  • 기단은 장대석으로 쌓았으며 2단이다. 계단은 정면에는 없고 뒷면에 장대석으로 쌓은 2단이 놓여있다. 주춧돌기둥은 둥근 형태이다.
  • 정면 3칸, 측면 2칸의 1층[5] 목조 건물이다.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에 공포는 다포식으로 화려하게 구성되어있다. 용마루와 추녀마루, 내림마루는 양상바름을 하고 그 위에 취두와 용두, 잡상을 두었다.
  • 창방 위에 평방을 두었는데 다른 전각들과 비교했을 때, 창방에 비해 평방의 높이가 두드러져 보일 정도로 짧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창방과 평방의 단청은 같게 칠하는 게 대부분이나 유화문의 경우는 이 부분도 다르다. 창방의 단청은 모루단청[6]이지만 평방의 단청은 소박한 긋기단청이다. 다만 초록색으로 된 계풍[7]에 연한 녹색의 무늬를 화려하게 그려넣었다.
  • 문짝은 나무 으로 중앙 열 3칸에 달았다. 가운데 이 다니는 어칸(御間)을 조금 더 높게 만들었으며, 양 측면의 칸 마다 중인방을 끼우고 위, 아래를 붉은색 나무 판으로 마감했다. 뒷면의 남쪽 측면에는 초록색 쪽문이 달려있다. 이 쪽문은 유화문 남쪽의 협문과 연결된다.
  • 각 칸의 인방 위에 안상의 모양대로 7개의 풍혈을 뚫은 궁판이 놓여있고[8] 그 위에 홍살을 놓았다. 천장은 서까래와 구조들이 훤히 보이는 연등천장으로 만들었다.

5. 여담

  • 1887년(고종 24년) 3월에 충청도 회덕군[9]에 살던 군수 송명로의 노비 월이(月伊)란 사람이 광화문의 서쪽 협문으로 들어와 유화문을 두드린 일이 있었다. 원통한 일이 있어서 두드렸다는데, 아무리 그래도 궁궐에 무단침입한 것은 잘못이었다. 그 벌로 월이는 곤장 100대를 맞았다.# 뿐만 아니라 6년 뒤에는 전 사과[10] 강홍(姜苰)도 월이와 똑같은 행동을 하여 의금부에 잡혀갔다.# 다만 강홍은 엄한 벌을 받지 않고 바로 풀려났다.#

6. 매체에서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2] 경복궁 흥례문창덕궁 진선문숙장문현판숭례문 복원 상량문을 썼다.[3] 수정전 일곽의 정문이다.[4] 윗 궁판의 경우, 5개는 온전히 뚫었으나 1개는 반으로 나누어 배치했다.[5]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6] 부재 끝 부분만 화려하게 칠하는 단청.[7] 수평 부재의 위, 아래 사이의 공간.[8] 좌, 우 칸 궁판의 경우, 6개는 온전히 뚫었으나 1개는 반으로 나누어 배치했다.[9] 현재의 대전광역시 중구, 동구, 대덕구 일대.[10] 司果. Apple 아니고 조선 시대 5위에 있던 정6품 무관직.[11] 임오군란 에피소드에서는 창덕궁 돈화문으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