粥 죽 죽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米,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미배정 | 준특급 | ||||||
- | |||||||
일본어 음독 | シュク | ||||||
일본어 훈독 | かゆ | ||||||
- | |||||||
표준 중국어 | zhōu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粥은 '죽 죽'이라는 한자로, '죽', '팔다'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죽 | <colbgcolor=#fff,#1f2023>팔다 |
음 | 죽 | 육 | |
중국어 | 표준어 | zhōu | yù |
광동어 | zuk1 | juk6 | |
객가어 | chuk | yuk | |
민북어 | cṳ̆ | ṳ̆ | |
민동어 | cé̤ṳk | ṳ̆k | |
민남어 | chiok | io̍k | |
오어 | tsoq (T4) | hhioq (T5) | |
일본어 | 음독 | シュク | イク |
훈독 | かゆ | ひさ-ぐ | |
베트남어 | chúc | dục |
유니코드에는 U+7CA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NFDN(弓火木弓)으로 입력한다.
이 글자의 본자(本字)는 鬻(팔 육)[1] 자이다. 鬻자는 米(쌀 미)자와 鬲(솥 력) 자, 그리고 弓(활 궁)자 두 개가 합쳐진 회의자로, 여기서 弓자는 솥에서 김이 올라오는 모습을 본뜬 것이다. 즉, 솥에 쌀을 넣고 끓이는 모습을 본떠 '죽'이라는 뜻을 나타냈다. 그런데 이후 鬻 자가 가차되어 '팔다'라는 뜻으로 쓰이게 되는 한편, 鬻 자에서 鬲 자를 생략한 粥자가 나타나면서, 粥 자와 鬻자의 의미가 분화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비록 두 글자 모두 매우 드물게 쓰이나) 오늘날에는 粥자는 주로 '죽', 鬻자는 '팔다'라는 의미로 쓰인다.[2] 한편 이 글자가 '팔 육'으로 쓰일 때는 𧶠자와 통자(通字)이나, 𧶠자는 형성자의 성부(聲符)로만 쓰일 뿐 실제로는 전혀 쓰이지 않는다.
티베트식 국수/수제비 요리인 툭빠(ཐུག་པ)와 동계어라는 설도 있다.
3. 용례
3.1. 단어
- 고기식외조모태죽활호(古豈食外祖母太粥活乎)
- 궤죽채(饋粥債)
- 맥죽화수(麥粥和水)
- 언인언 냉죽손(言人言 冷粥飧)
- 열죽접설(熱粥接舌)
- 죽(粥)
- 갈분죽(葛粉粥)
- 강분죽(薑粉粥)
- 강죽(糠粥)
- 갱죽(羹粥)
- 거승죽(巨勝粥)
- 건채죽(乾菜粥)
- 계란죽(鷄卵粥)
- 계죽(鷄粥)
- 곤죽(곤粥)
- 과루죽(瓜蔞粥)
- 구기자죽(枸杞子粥)
- 구기죽(枸杞粥)
- 구수죽(口數粥)
- 국묘죽(菊苗粥)
- 꿀꿀이죽(꿀꿀이粥)
- 나복자죽(蘿葍子粥)
- 나복죽(蘿葍粥)
- 낙죽(酪粥)
- 낙화생죽(落花生粥)
- 납팔죽(臘八粥)
- 녹각죽(鹿角粥)
- 녹두유죽(綠豆乳粥)
- 녹신죽(鹿腎粥)
- 논인과우 유철냉죽(論人過尤 類啜冷粥)
- 능실죽(菱實粥)
- 담인사 여끽냉죽(談人事 如喫冷粥)
- 담채죽(淡菜粥)
- 대구죽(大口粥)
- 도미죽(荼蘼粥)
- 도토리죽(도토리粥)
- 동지죽(冬至粥)
- 두죽(豆粥)
- 둘죽(㐙粥/頭乙粥/杜乙粥)
- 마죽(馬粥)
- 매죽(梅粥)
- 매화죽(梅花粥)
- 문동죽(門冬粥)
- 미죽(米粥)
- 미죽(穈粥)
- 방풍죽(防風粥)
- 백죽(白粥)
- 백합죽(百合粥)
- 복령죽(茯苓粥)
- 비지죽(비지粥)
- 빼때기죽(빼때기粥)
- 사속죽(死粟粥)
- 산사죽(山査粥)
- 산수유죽(山茱萸粥)
- 산약죽(山藥粥)
- 산우죽(山芋粥)
- 삼선죽(三仙粥)
- 상이죽(桑耳粥)
- 상자죽(橡子粥)
- 생선죽(生鮮粥)
- 서여죽(薯蕷粥)
- 석화죽(石花粥)
- 선인죽(仙人粥)
- 소마죽(蘇麻粥)
- 소임죽(蘇荏粥)
- 소자죽(蘇子粥)
- 송기죽(松肌粥)
- 송엽죽(松葉粥)
- 송죽(松粥)
- 양귀죽(禳鬼粥)
- 양신죽(羊腎粥)
- 양원죽(養元粥)
- 양육죽(羊肉粥)
- 어죽(魚粥)
- 언타사 식냉죽(言他事 食冷粥)
- 연인죽(蓮仁粥)
- 연자죽(蓮子粥)
- 오류죽(午留粥)
- 요기죽(饒氣粥)
- 우분죽(藕粉粥)
- 우유죽(牛乳粥)
- 우죽(牛粥)
- 육선죽(六仙粥)
- 육죽(肉粥)
- 율자죽(栗子粥)
- 의이죽(薏苡粥)
- 인삼죽(人蔘粥)
- 인유죽(人乳粥)
- 자소죽(紫蘇粥)
- 잣죽(잣粥)
- 저신죽(豬腎粥)
- 전복죽(全鰒粥)
- 전죽(饘粥)
- 주조죽(酒糟粥)
- 죽력죽(竹瀝粥)
- 죽엽죽(竹葉粥)
- 지마죽(芝麻粥)
- 지황죽(地黃粥)
- 진군죽(眞君粥)
- 진자죽(榛子粥)
- 청량죽(靑梁粥)
- 청모죽(靑麰粥)
- 콩나물죽(콩나물粥)
- 타락죽(駝酪粥)
- 포죽(匏粥)
- 하추죽(河樞粥)
- 해송자죽(海松子粥)
- 행도죽(杏桃粥)
- 행인죽(杏仁粥)
- 행죽(杏粥)
- 호도죽(胡桃粥)
- 호마죽(胡麻粥)
- 호박죽(호박粥)
- 홍합죽(紅蛤粥)
- 황정죽(黃精粥)
- 흑임자죽(黑荏子粥)
- 희죽(稀粥)
- 팥죽(팥粥)
- 물렁팥죽(물렁팥粥)
- 죽만(粥幔)
- 죽반승(粥飯僧)
- 죽사발(粥沙鉢)
- 죽식(粥食)
- 죽약(粥藥)
- 죽일(粥溢)
- 죽조(粥鳥)
- 죽조반(粥早飯)
- 죽통(粥筩)
- 진전죽 비사추(盡煎粥 鼻泗墜)
- 피죽새(稷粥鳥)
- 훈육(葷粥)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𢐷[⿲弓曾弓](잡을 강)
- 𢑌[⿲弓羹弓](국 갱)[3]
- 䰜(다리굽은솥 력)
- 𢐾[⿲弓⿱⿻土从糸弓](끓어넘칠 발)
- 𢐲[⿲弓番弓](기를 번)
- 𢐌[⿲弓束弓](삶은나물 속)[4]
- 𩱠[⿲弓鬵弓](용가마 심)[5]
- 㢽(미끼 이)[6]
- 㣃(팔 육, 죽 죽)
- 𢐼[⿲弓煑弓](삶을 자)
- 𢐹[⿲弓亶弓](죽 전)[7]
- 𢐨[⿲弓芻弓]/𢐺[⿲弓⿱⿱⿻千龷凵勾弓](볶을 초)
- 弼/弻(도울 필)
- 𢐁[⿲弓糸弓](시위 현)[8]
- 𢏝[⿲弓弓弓](주)
- 𢐐[⿲弓系弓](현)
- 𩱒[⿲弓⿱古鬲弓](호)
- 𢏺
- 𢐆[⿲弓吕弓]
- 𭛂[⿲弓孛弓]
- 𢐥[⿲弓䍃弓]
- 𢐬[⿲弓䚻弓]
- 𢐮[⿲弓畨弓]
- 𮫛[⿲弓⿳蓔口⿵𠔿丅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