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 ||||||||||||||||
<colbgcolor=#F5F5F5,#2E3033> 종류 | 정수 * 자연수 | |||||||||||||||
약수 | 1\ | |||||||||||||||
제곱 | ||||||||||||||||
문화권별 숫자 표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block; display: ⅩⅩⅨe; margin: -5px -2px -11px" | {{{#!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block;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nopad> 로마 숫자 | }}}{{{#!wiki style="display: block; display: ΚΘ΄e; margin: -5px -2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nopad> 그리스 숫자 | ΚΘ΄ | }}}{{{#!wiki style="display: block; display: ٢٩; margin: -5px -2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nopad> 동부 아라비아 숫자 | ٢٩ | }}}{{{#!wiki style="display: block; display: none; margin: -5px -2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nopad> 갖은자 | }}}{{{#!wiki style="display: block; display: none; margin: -5px -2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nopad> 이체자 | }}}}}}}}} |
1. 개요
- 29 = 10번째 소수
28보다 크고 30보다 작은 자연수. 10번째 소수로, 앞 소수는 23이고 다음 소수는 쌍둥이 소수인 31이다.
1.1. 수학적 특징
- 제곱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 2와 5를 제외하면 사촌 소수에 속하지 않는 가장 작은 소수이다. 즉, 29는 소수이지만, 29에서 4를 뺀 25(=52)와 29에서 4를 더한 33(=3×11)은 둘 다 소수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바로 다음 소수인 31[1]도 마찬가지이다. 참고로, 이전 소수인 23은 쌍둥이 소수에 속하지 않는 가장 작은 홀수 소수이다.
2. 날짜
3. 과학
4. 스포츠
- 28, 47, 54번처럼 29번 역시 투수, 한국에선 특히 좌완 투수들이 많이 쓴다. 대표적인 예로 SK 와이번스~SSG 랜더스의 김광현이 있고, LG 트윈스의 손주영[3], 한화 이글스의 황준서[4], 삼성 라이온즈의 백정현, 두산 베어스의 이병헌[5] 등도 29번을 단 좌완 투수다. 또한 두산 베어스에서 활약한 좌완투수 유희관도 29번을 달았다. 좌완은 아니지만 레전드 투수론 롯데 자이언츠의 윤학길, 삼성 라이온즈의 김시진이 있다. 젊은 좌완 투수들이 29번을 많이 선택하는 것은 아무래도 시대를 풍미한 좌완투수 김광현의 영향으로 보인다. 특히 2025년 기준 젊은 세대의 선수들은 김광현의 최전성기 시절의 야구를 보며 자란 선수들이 많으니 더더욱.
- 현재 KBO에서 29번을 다는 선수는 다음과 같다.
kt wiz - 김정운
두산 베어스 - 이병헌: 좌완투수[6]
삼성 라이온즈 - 백정현: 좌완투수
LG 트윈스 - 손주영: 좌완투수
키움 히어로즈 - 임지열: 외야수[7]
SSG 랜더스 - 김광현: 좌완투수
NC 다이노스 - 최우재
롯데 자이언츠 - 빅터 레이예스: 외야수[8]
KIA 타이거즈 - 변우혁: 내야수
한화 이글스 - 황준서: 좌완투수 - 메이저 리그에선 200승과 150세이브를 모두 달성한 존 스몰츠, 아드리안 벨트레의 등번호로 유명하다.
-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원팀맨 곽희주의 등번호다. 다만 데뷔 시즌인 2003년엔 6번을 달았다. 경기 중 사망한 미클로스 페헤르는 SL 벤피카에서 영구결번됐다.
- 캐나다의 레전드 아이스하키선수 마리필립 폴린의 등번호이다.
- 미국의 NASCAR 컵 시리즈 드라이버 케빈 하빅이 2001년부터 2013년까지 사용했던 번호이다. 다만 이후 4번으로 바꾼 후 챔피언을 달성했기에 4번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 1993년 롯데 자이언츠가 기록한 KBO 리그 한 시즌 최소홈런 기록이다.
- 선동열이 기록한 KBO 리그 개인통산 최다 완봉승 기록이다. 마지막 29번째 완봉승은 1992년 4월 11일 잠실 OB 베어스전에서 부슬부슬 비가 내리는 가운데 기록했는데, 이 완봉승은 김시진이 보유하고 있던 개인통산 최다승 기록을 갈아치우는 승리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 경기에서 빗속에서의 무리한 투구로 인해 선동열은 1992 시즌을 공치고 말았고, 소속팀 해태 타이거즈도 전년도 우승의 기세를 잇지 못하고 정규시즌 2위, 최종 3위[9]로 만족해야 했다.
- 이종범은 1997년 6월 29일 잠실 LG전에서 연속 도루성공 기록을 29개에서 멈췄다.[10]
- 2021년 2월 21일 부산 BNK 썸이 기록한 WKBL 한 경기 최소득점 기록이다.
- 축구선수들 중 나이가 어린 선수들이나 유망한 선수들이 주로 사용하는 번호이다. 피파 시리즈의 컨텐츠 중 하나인 저니에서 축구 유망주이자 주인공인 헌터가 29번을 사용하는데 그 이후 실제축구에서 어린 유망주나 어린 선수가 29번을 다는 일이 많아졌다. 모나코 시절의 음바페, 맨유의 완비사카, 뮌헨의 킹슬레 코망, 아스날의 카이 하베르츠, 번리의 이언 마트센이 대표적이다.
- 2023년 LG 트윈스가 29년 만에 KBO 한국시리즈 챔피언에 등극했다. 이는 한국시리즈 우승 이후 다음 한국시리즈 우승까지 걸린 최장 햇수이며 롯데 자이언츠가 한국시리즈에서 우승을 하거나, 한화 이글스가 2029년 이후 두 번째 한국시리즈 우승을 하게 되면 이 기록은 깨지게 된다.
- 2024년 아부다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허미미가 대한민국 여자 선수로는 29년 만에 세계 유도선수권 금메달을 따냈다.
5. 교통
5.1. 29번 시내버스
5.2. 도로
5.3. 철도
-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편 전 봉천역의 역번호[11]
- 수도권 전철 3호선: 개편 전 고속터미널역의 역번호[12]
- 수도권 전철 4호선: 개편 전 신용산역의 역번호[13]
6. 문화재
- 대한민국의 국보 제29호: 성덕대왕신종
- 대한민국의 보물 제29호: 김제 금산사 심원암 삼층석탑
- 대한민국의 사적 제29호: 경주 헌덕왕릉
-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29호: 구 호남은행 목포지점
7. 기타
- MiG-29
- 개그콘서트에선 박지선과 오나미가 29살이었을 때 씨스타 29란 개그 코너를 만들었다.
- 공포 영화 여고괴담 3 - 여우 계단에 나오는 '여우 계단'은 원래 28개의 층계로 된 계단이지만, 간절히 소원을 품고 한 계단씩 오르면 없던 29번째 계단이 나타나 그 소원을 이뤄준다.
- 대학수학능력시험/수학 영역에서 30번 문제와 더불어 29번 문제로는 1등급을 결정짓는 어려운 문제가 나온다. 가형과 나형 둘 다 2021학년도에는 '확률과 통계'가 나왔다.[14]
-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농업 기초 기술의 과목 코드는 29이다.
- 박근혜의 검찰 출석 코멘트 29자
- 사람에게 있어 29살은 20대의 마지막이자, 30대를 코앞에 둔 나이란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서브컬처 등에선 29살인 여성들이 30대가 되기 전에 결혼해야 한다는 압박에 시달리는 것으로 묘사된다. 자세한 건 아라사 참조.
- 29살은 국내외 많은 작가가 등단이나 데뷔하는 나이이기도 하다.
- 서해대교 29중 추돌사고
- 워런 G. 하딩은 제29대 미국 대통령이다.
- 유희왕의 No. 엑시즈 몬스터 No.29 마네킹캣
- 일본의 가이후 도시키 전 총리와 연관이 깊은 수다. 해당 문서 참조.
- 중국의 걸그룹 1931의 멤버 수는 29명이다.
- 포켓몬스터
- 박병식29
- 윷놀이판의 눈 수는 모두 29개다.
- 니시노 카나의 곡 〈29〉. 29살을 소재로 한 노래로, 20대의 마지막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 휴대전화 국번대중 29xx는 KT에 배정되어있는 국번대이다.(010-'29'XX-YYYY)
29만원
[1] 31에서 4를 뺀 27(=33)과 31에서 4를 더한 35(=5×7)는 둘 다 소수가 아니기 때문.[2] 정확하게는 28.84다.[3] 윤지웅이 데뷔팀인 넥센 시절부터 사용했으며, 잠시 등번호를 바꾼 시즌도 있었으나 LG 방출 전까지 29번을 사용했다.[4] 팀 내에서 먼저 29번을 사용했던 김경태 역시 좌완투수였다.[5] 같은 팀 선배인 유희관의 등번호를 물려받았다.[6] 이전 주인은 두산의 대표 프랜차이즈 좌완 투수였던 유희관. 똑같은 좌완투수인 이병헌이 받아갔다. 그리고 유희관의 개그캐릭터를 그대로 물려받았다.[7] 이전에 쓰던 주인은 히어로즈의 대표 외야수였던 이택근이다.[8] 레이예스 영입 전까지는 임시결번이었고, 갑작스레 영입한 탓에 빈 번호가 29번과 20번밖에 없었는데 20번을 내줄 수는 없으니 29번을 준 것.[9] 플레이오프에서 롯데 자이언츠에게 업셋당했다.[10] 이 경기에서 김응용 감독 참외 사건이 있었다.[11] 현 229번[12] 현 339번[13] 현 429번[14] 2015 개정 교육과정 이전에는, 가형의 경우 29번은 '기하와 벡터'쪽에서, 나형의 경우 29번은 '미적분 I'에서 어려운 문제들이 많이 나왔다.
로그가 누락된 본 문서의 기여자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