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19:41:19

흑인혐오

파일:차별.png
차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형태 구조적 차별 · 선호 기반 차별 · 제도적 차별 · 통계적 차별
민족/국민 정체성 대만인 · 러시아인 · 미국인 · 아랍인 · 영국인 · 우크라이나인 · 유대인 · 이스라엘인 · 일본인 · 중국인(반화) · 코리아인*(한국인(남한인) · 북한인(조선인)) · 팔레스타인인
사회문화 계급(가난 · 카스트) · 무신론 · 성노동자(SWERF) · 언어 · 외국인 · 지역 · 채식주의자
성소수자 동성애(게이 · 레즈비언) · 양성애 · 트랜스젠더(미소지니)
종교 기독교(공포증 · 가톨릭) · 불교 · 이슬람(공포증(히잡))
특성 (남성 · 여성 · 헤테로섹시즘) · 연령(노인 · 아동 · 청소년) · 외모(모발 · 얼굴 · 체형) · 왼손잡이 · 인종(체제화 · 흑인) · 자폐 · 장애(혐오 · 청각)
차별 관련 사상 대한족주의 · 동화주의**(마스킹 · 일코 · 커버링) · 반지성주의 · 비장애인 중심주의 · 엘리트주의 · 우월주의(남성 · 백인 · 여성 · 흑인) · 부미푸트라 정책 · 인종 분리주의(아파르트헤이트 · 짐 크로우) · 족벌주의 · 혈통주의(한 방울 원칙 · [혈통적] 한민족주의)
대책 다문화주의 · 다양성(신경다양성) · 매스큘리즘 · 몸 긍정(비만 수용 운동) · 민권 운동(미국 흑인) · 어퍼머티브 액션 · 인권(성소수자 단체 · 장애인) · 정치적 올바름 · 페미니즘 · 할당제
관련 주제 내셔널리즘(국수주의 · 민족주의) · 사회 정의 · 상호교차성 · 억압 · 임금격차 · 정체성 정치 · 젠더블라인드 · 존경성 정치 · 증오 발언(성소수자) · 증오 범죄 · 차별금지법 · 특권(기독교 · 남성 · 백인 · 신체(마름))
* Korea[n] 전반, 즉 한민족이나 대한민국/북한 국적자 등에 대한 차별은 anti-Korean sentiment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혐한'이라고 하면 대한민국[인]에 대한 혐오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북한[인]에 대한 혐오는 anti-Korean sentiment에 속하지만 보통 '혐한'과는 별개로 본다. 또한 ethnic Korean (한민족) 뿐 아니라 비한민족 계열 대한민국/북한 국적자도 넓은 의미의 Korean에 포함된다. }}}}}}}}}


1. 개요2. 명칭3. 역사4. 같이 보기5. 외부 링크

1. 개요

'흑인혐오' 또는 '반흑인 정서'는 흑인에 대한 적대감, 혐오, 차별, 편견 등등을 가리킨다.

2. 명칭

한국에서 '반흑인 정서'라는 표현은 잘 사용되지 않고 보통 '흑인혐오'라는 표현이 많이 쓰인다. 그러나 흑인혐오와 직접적으로 대응되는 영어 단어는 없고, 보통은 Anti-Black [racism] 또는 Anti-Black sentiment를 '흑인혐오'라고 의역하는 경우가 많다.

그나마 흑연혐오와 비슷한 맥락의 표현이 있다면 네그로포비아(Negrophobia)인데, 네그로(Negro)라는 표현자체가 인종차별적 표현으로 보여지는 경우도 있어서 Anti-Black만큼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다.

3. 역사

근세의 노예무역과 노예제는 특히 흑인 계열 아프리카인들을 주 타겟으로 이루어졌다.

19세기 미국의 남북전쟁, 20세기 아파르트헤이트 등등 유색인종 중에서도 흑인이라는 이유로 차별받는 경우가 빈번했다.

오늘날 미국 흑인들은 다른 인종들과 비교했을때 같은 수준 범죄를 저질러도 타 인종보다 더 높은 형량을 받는 경우가 많다.#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