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15:45:44

해왕성

대흑점에서 넘어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노르망디 상륙작전의 또 다른 이름에 대한 내용은 해왕성 작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 하얀 별 로고.svg태양계
Solar System | 太陽系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font-size:0.88em; letter-spacing: -0.8px"
항성
행성
<nopad> 지구형 행성
[[지구|지구]]
<nopad> 목성형 행성 [A]
[[천왕성|천왕성]]
티타니아
등 28개
[[해왕성|해왕성]]
트리톤
등 16개
항성 Fixed Star 지구형 행성 Terrestrial planet
 
목성형 행성 Jovian planet
 

소행성체 왜행성 [B]
<colbgcolor=#535353> 근지구천체 아텐 소행성군 · 아모르 소행성군 · 아폴로 소행성군 · 아티라 소행성군 외 다수
소행성대 1 세레스 · 2 팔라스 · 4 베스타 외 다수
켄타우로스족 2060 키론 · 10199 카리클로 외 다수
카이퍼대 <colbgcolor=#535353> 명왕성족 134340 명왕성 (카론 등 5개)
하우메아족 136108 하우메아 (히이아카 · 나마카)
큐비원족 136472 마케마케 (S/2015 (136472) 1)
산란 분포대 136199 에리스 (디스노미아)
세드나족 90377 세드나 · 2012 VP113 · 541132 렐레아쿠호누아
성간 천체 1I/오우무아무아 · 2I/보리소프
오르트 구름
구조 안쪽 오르트 구름(힐스 구름) · 바깥 오르트 구름
각주
[A] 천왕성과 해왕성은 해왕성형 행성으로 따로 분류하는 학자도 있다. }}}}}}}}}
<colbgcolor=cornflowerblue>
해왕성
海王星 | Neptune
파일:Neptune_Voyager2_color_calibrated.png
촬영: Voyager 2 (NASA, 1989)[1]
기호
[2], [3]
발견
발견자 르베리에 (프랑스)
날짜 1845년 ~ 1846년
발견자 갈레 · 다레스트 (독일)
날짜 1846년 9월 23일
소속 우리 은하
궤도 성질
역기점 J2000 기준
형태 <colbgcolor=cornflowerblue> 긴 반지름 30.11 AU
약 45억 km
이심률 0.009 456
궤도 장반경[4] 30.0689 AU
4,498,252,900km
15,005 광초
4 광시 10 광분 5 광초
원일점 30.33 AU
약 45.4억 km
근일점 29.81 AU
약 44.6억 km
주기 공전 주기 164.8 년
60,182 일
89,666 해왕성태양일
회합 주기 367.49 일
평균 공전 속도 5.43 km/s
궤도 경사 (황도면 기준) 1.767 975°
(태양 적도면 기준) 6.43°
승교점 경도 131.784°
근일점 인수 276.336°
물리적 성질
크기 반지름 (평균) 24,622±19 km[5]
(적도) 24,764±15 km
(극) 24,341±30 km
표면적 7.6183x109 km2
부피 6.254x1013 km3
질량 1.02413x1026 kg[6]
평균 밀도 1.638 g/cm3
중력 적도 중력 11.15 m/s2 (1.14 g)
탈출 속도 23.5 km/s
자전 자전 주기 0.6713 일 (16시간 6분 36초)
자전 속도 2.68 km/s
9,650 km/h
자전축
기울기
(공전 궤도면 기준) 28.32°
북극점 적경 299.3°
북극점 적위 42.950°
평균 표면 온도 72 K (−201 °C)
반사율 0.442
겉보기 등급 +7.67 ~ +8.00[7]
대기 성질
구성 수소 80%
헬륨 19%
메탄(메테인) 1% 미만
에탄(에테인) 1.5ppm
대기압 100 MPa[8](지구의 약 1000배)
위성
트리톤 등 16개
분류
외행성
목성형 행성 (거대 얼음 행성)

1. 개요2. 역사3. 특성 및 기상 현상
3.1. 흑점
4. 탐사5. 위치에 관한 이론6. 해왕성의 위성7. 기타8.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해왕성(, Neptune)은 태양계의 8번째 행성으로, 과거 9번째 행성으로 여겨졌던 명왕성이 행성 분류에서 제외된 이후 현재로서는[9]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으로 인정되고 있는 행성이다.

천왕성과 닮은 점이 많은 행성인데, 먼저 반지름이 천왕성보다 지구 지름의 1/5만큼 작은 정도로 거의 비슷한 크기이며, 대기에 포함된 메탄에 의해 푸른색으로 보이는 것도 비슷하다.

목성의 대적반처럼 표면에 대흑점이 있는데, 지구 지름 정도의 크기로 상당히 크다. 짙은 푸른색 빛이 인상적이라 그런지, 뚜렷한 고리가 있는 토성과 더불어 인기가 꽤 있는 행성이다.

발견자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는데, 공교롭게도 영국-대륙 구도가 이어졌던 미적분학 논쟁과 비슷한 구도였지만, 해왕성 발견 건에서는 영국 쪽이 일찍 포기했다. 따라서 공식적인 발견자는 정밀하게 위치를 계산한 프랑스 수학자 위르뱅 르베리에(Urbain Jean Joseph Le Verrier, 1811~1870), 그리고 이 자료를 토대로 1846년 9월 23일 밤과 24일 새벽 사이에 관측에 성공한 독일인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1812~1910)와 하인리히 루트비히 다레스트(Heinrich Ludwig d'Arrest. 1822~1875) 3명이 인정 받았다.

영국에서는 이들보다 이전에 영국 수학자 메리 서머빌이 천왕성의 궤도를 방해하는 가상의 행성에 관한 논문을 써서 해왕성의 존재를 추정하였으나 추론에 그쳤고, 서머빌의 추론을 바탕으로 존 쿠치 애덤스가 르베리에와 거의 같은 시기에 해왕성의 위치를 계산해냈으나, 애덤스가 워낙 간단하게 정리된 결과물만을 보내는 바람에 케임브리지 천문대의 천문학자들이 설명을 못 알아듣고 애덤스에게 해설을 요구하는 사이 관측의 영광은 날아가고 말았다. 영국에서는 이 때문에 발끈하여 프랑스 학계에 키배를 걸려 들었지만, 당사자인 애덤스가 쿨하게 '알아먹지 못하게 설명한 나의 잘못'이라며 르베리에와 갈레의 공을 추켜세워서 상황 정리.

이름은 로마 신화의 바다의 신 넵투누스(Neptunus=그리스 신화포세이돈)에서 유래했다.[10] 발견자인 르베리에는 이 행성에 자신의 이름인 르베리에를 붙였고 프랑스에서는 널리 쓰였지만, 타국 천문학자들이 크게 반발하여 널리 쓰이지는 못했다. 그 외에도 야누스, 오케아노스 등이 제안되었지만, 결국 독일 출신 러시아 천문학자 프리드리히 게오르크 빌헬름 폰 슈트루베(Friedrich Georg Wilhelm von Struve)[11]가 1846년 '넵투누스'라는 이름을 제안했고 이것이 받아들여졌다. 하필 넵투누스의 이름을 따온 것은 행성에 로마 신화의 신 이름을 붙이는 전통을 따르는 것 이외에도, 지구에서 관찰할 때 푸른 빛을 띄는 것을 보고 바다를 연상했기 때문이다. 해왕성은 포세이돈을 중국에서 번역한 걸 한자 문화권에서 그대로 가져다 쓰는 것이다. #

파일:external/physics.uoregon.edu/FG06_05.jpg

이심률이 상당한 명왕성이 해왕성 궤도 안으로 들어올 때가 있었기에, 명왕성이 행성 분류에서 제외되기 전에도 해왕성이 마지막 행성이 되는 경우도 있었지만[12], 명왕성이 왜행성으로 분류된 지금에 와서는 다 소용 없는 얘기가 됐다.

실시 등급이 8등급이므로 이론상으론 보틀 등급 1등급[13]의 하늘에서 육안으로 간신히 관측할 수 있고, 이게 아닌 경우에는 쌍안경이 있어야 한다.[14] 해왕성 1일은 지구 기준 16시간, 해왕성 1년은 지구 기준 165년. 평균 기온 -240도. 중력은 지구의 1.14배로 지구에서 체중이 100kg인 사람이 해왕성에 가면 114kg로 더 늘어난다.

2. 역사

맨눈으로는 볼 수 없는 행성이기 때문에 근대에 망원경이 발명되기 전까지 해왕성에 대한 기록은 없다. 다만 재미있게도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이미 17세기에 최초로 해왕성을 관측한 적이 있다. 목성을 조사하면서 배경에 별 하나를 그려 놓았는데 이것이 바로 해왕성이었던 것. 물론 그가 당시 해왕성을 행성이 아닌 다른 항성으로 착각했기 때문에 발견으로 인정 받지는 않는다. 그런데 2009년호주 멜버른 대학의 데이비드 제이미슨 교수가 갈릴레이의 자료에서 해왕성을 인지했다고 주장해 논란이 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정설은 1846년 프랑스의 수학자 위르뱅 르베리에의 공식을 바탕으로 독일 천문학자인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와 헨리크 다레스트에 의해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천왕성이 우연적으로 발견된 것과는 달리, 해왕성은 정밀한 과학적 계산을 통해 발견된 첫 행성이고, 현재까지 마지막 행성이기도 하다. 르베리에는 관측된 천왕성의 궤도와 뉴턴 역학으로 유도해 낸 천왕성의 궤도 사이에 존재하는 작은 차이를 두고 천왕성의 궤도에 간섭하는 미지의 행성이 존재할 것이라는 생각에 따라[15], 그 행성이 있을 법한 궤도를 오로지 펜 끝으로만 계산해 냈다. 1846년 8월 31일에 그는 미지의 행성이 천왕성에 미치는 중력 섭동을 계산하여 마침내 해왕성의 예상 위치를 최종적으로 계산했고, 이 결과를 얼마 후 편지로 받은 갈레는 관측을 시작한 바로 그날 밤에 르베리에가 예측한 위치의 불과 1도 거리에서 해왕성 발견에 성공한다. 이후 르베리에는 1859년에는 역시 당시의 뉴턴 역학만으로는 완전히 설명할 수 없었던 수성세차운동을 두고 미지의 천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창하기도 했는데, 이는 훗날 에딩턴일반 상대성 이론으로 설명하게 된다.

이 일화는 최선의 설명이 되는 추론(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의 예시로서 많이 제시되기도 한다.

3. 특성 및 기상 현상

천왕성보다 크기는 약간 작지만 질량은 더 크며[16], 중력도 그만큼 더 강하다. 해왕성은 태양계의 행성 중 지름으로 따지면 4번째로 크며, 질량으로 따지면 태양계 3위이다. 그리고 밀도대기압이 태양계의 가스 행성 가운데 가장 높다.[17] 색도 천왕성에 비해 더 진한 푸른색. 이는 해왕성의 대기 중 메탄의 함량이 천왕성에 비해 좀 더 높기 때문이다.

행성 표면이 어떤지는 불명이지만 고체액체기체의 형태가 서로 뒤섞인 슬러시 형태의 메탄으로 이뤄진 바다가 끝없이 펼쳐져 있을 것이라 예상되며, 대기와 표면 성분 특성상 상륙 여부도 불분명하다. 또한 지구보다 대기압이 약 1,000배 가량 높고 역동적인 대기를 갖고 있다. 태양으로부터의 거리도 매우 멀고, 불투명한 대기가 두껍게 펼쳐져 있기에 대기층 아래는 햇빛과 별빛을 전혀 관측할 수 없는 암흑일 것으로 보이며, 그 속에서 거대하게 출렁이는 뜨거운 메탄 바다가 펼쳐진 망망대해 속에 초속 수백 미터 이상의 태풍번개가 끊임없이 쳐대고,[18] 고체와 액체와 기체가 뒤섞인 두꺼운 대기로 인해 수심 10,000m에 필적하는 압력이 사방에서 짓누르는[19] 환경으로 추측된다. 지구에서는 기체로 있던 물체들이 이곳에서는 수소헬륨을 제외한 거의 모든 기체들이 액화되거나 얼어붙으며, 평균 온도와 대기, 행성 표면의 성분 특성 등 여러 가지 요인이 겹쳐 상륙할 육지가 없다. 실제로 도달한다고 가정하면 대기와의 마찰열이 생길 수 있어 고체나 액체로 된 대기와 표면이 기화할 가능성이 높아 상륙이나 항해는 고사하고 대기에 근접하는 순간 압력과 풍속, 온도로 인해 순식간에 얼어붙는 동시에 가루가 되며 부서질것이다. 게다가 행성의 특성상 강한 방사능도 같이 받게 된다.

한편 일각에서는 이 존재할 가능성도 있다고도 한다. 다만 데이터가 워낙 모자라다 보니 이게 얼음으로 존재하는지, 로 존재하는지, 플라즈마로 존재하는지 모른다는 것뿐. 최근의 연구로 내핵이 액화된 다이아몬드로 존재한다는 연구 발표가 나왔다. 내부로 들어갈수록 물질의 전환은 없이 온도와 압력만 높아지므로, 내핵에 포함된 탄소 성분이 고온-고압의 환경에서 대량의 다이아몬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는 것. 즉 탐사선이 만일 내핵에 도착했다면, 그곳에서 액화된 다이아몬드의 거대한 바다 속에 둥둥 떠다니는 북극, 남극 빙산보다도 더 거대한 다이아몬드 덩어리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태양에서 가장 먼 행성답게 두꺼운 구름층 상부 온도가 섭씨 -218도(55 K)[20]에 달한다. 다만 해왕성도 열권은 477도(750K)까지 올라간다. 내핵의 온도는 섭씨 약 5,100도 정도로 예측되며, 자전축도 28도 가량 기울어져 계절의 변화도 일어난다.

또한 압도적으로 수가 많은 목성 트로이군만큼은 아니지만, 2020년 6월 15일 기준으로 태양계에서 2번째로 많은 28개의 해왕성 트로이군을 거느리고 있기도 하다. 목성보다 6배 가량 멀리 있어 관측이 힘들고, 후행하는 L5 지점이 은하 중심부하고 겹쳐 관측된 트로이 천체가 28개 중 4개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질적인 수는 목성 트로이군과 비슷할 수도 있다.

해왕성의 기온이 점차 올라야 할 여름철에 오히려 떨어지다 급등하는 기이한 현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 현재는 설명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UC 버클리의 임케 드 파터(Imke de Pater) 교수와 대학원생인 에란디 차베즈(Erandi Chavez)는 허블 우주 망원경과 하와이의 켁 망원경, 캘리포니아의 릭 망원경을 이용해 해왕성의 구름이 11년 정도인 태양 주기와 함께 생성되고 사라진다는 의외의 사실을 확인했다. #

3.1. 흑점


파일:Neptune12.jpg
1989년 보이저 2호가 촬영한 지금은 이미 없어진 대흑점

흑점들은 지구태풍처럼 생기고 사라지는 것을 반복하고 있다. 대흑점의 겉부분에서 측정된 풍속은 2,100 km/h로 태양계 내에서 가장 빠르다. 메테인 구름 층에 구멍이 뚫려서 어둡게 보이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4. 탐사

인류의 해왕성 탐사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름 접근 시기 (최근접) 운영 주체 탐사 방식
<colbgcolor=#fff,#000> 보이저 2호 1989년 미국 항공우주국 중력 도움 + 트리톤 근접 비행
}}} ||

보이저 2호의 해왕성 탐사

현재까지 오직 보이저 2호만이 유일하게 방문한 태양계의 불모지이다. 지구에서 교신 및 명령을 할 때 편도로만 무려 4시간(246분), 왕복 8시간이 걸리는 엄청나게 멀리 떨어진 거리 때문에 탐사가 매우 힘든 것이 그 이유. 이로 인해 극단적으로 데이터가 부족해서 과학 전문 서적에도 해왕성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다시피 하며, 오히려 해왕성의 위성인 트리톤에 대해 더 자세히 나와 있는 편이다. NASA에서는 SLS 로켓이 데뷔하면 천왕성에다 다이렉트 비행으로 탐사선을 보내고, 그 결과에 따라 해왕성 탐사도 진행해보겠다는 야망에 불타있으나, 디스커버리 프로그램 미션 15, 16 공모전에서 대기했던 트라이던트가 있었다.탐사 계획.

하지만 금성 대기 탐사선 DAVINCI+와 금성 궤도선 VERITAS가 디스커버리 프로그램의 15, 16번째 미션으로 선정되면서 해왕성 탐사(트라이던트 계획)는 다시 물 건너갔다. NASA, ESA를 포함해 세계 어느 우주국에서도 아직까지는 해왕성 탐사 계획이 없다. 무엇보다도 지구에서 해왕성까지의 거리가 너무 멀기 때문에 목성 스윙바이 지원이 거의 필수적인 상황이다. 목성에서 스윙바이를 하더라도 해왕성까지 13년의 시간이 걸린다. 목성 스윙바이가 가능한 최적의 궤도가 12년 주기로 찾아오는데, 최근이 2019년이었으니 다음 주기는 2031년에 시작된다. NASA의 해왕성 탐사 보고서에 따르면, 해왕성 탐사선을 만들고 보내려면 2031~2032년 발사가 적기라고 보고 있다.# 목성 스윙바이 지원이 없으면 해왕성까지 16년이 걸리며, 스윙바이 지원이 있으면 12년이 걸린다. 탐사선의 설계 수명 문제 때문에 해왕성에 일찍 도착할수록 더 오랜 기간 탐사가 가능하다.

2014년 8월 25일, NASA뉴 호라이즌스가 해왕성 궤도를 통과했다. 덤으로 이 날은 보이저 2호가 해왕성 옆을 지나간 지 딱 25년째가 되는 날이다.

다만 현재까지 연구한 바로는 해왕성은 천왕성보다 더 활동적이며, 태양으로부터 받는 에너지를 반사하는 능력도 천왕성보다 더 좋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목성형 행성"과 "지구형 행성"으로 이원화된 분류를 좀 더 세분화할 때는 "해왕성형 행성"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하며 덩치가 크다. #

보이저 2호의 탐사로 대흑반이 발견되었다.[21] 현재로선 데이터 부족으로 생성 원인을 알 수 없다. 1994년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관찰을 시도했으나 완전히 소멸된 후였지만, 나중에 북반구에서 새로운 흑반(소흑반)이 발견되었다. 측정 풍속이 약 2,400km/h(666.6m/s)[22]라고 하니 굉장하다는 말밖에는 할 말이 없다. 참고로 2003년 한반도를 쑥대밭으로 만들었던 태풍 매미의 최대 풍속이 약 195km/h(54.1m/s)였다. 12배 차이다.[23]

파일:PIA01997_modest.jpg
또한 보이저 2호가 해왕성에 가장 근접하기 사흘 전에는 가느다란 고리도 관찰된 바 있다. 고리의 존재 자체는 보이저 2호가 통과하기 전에, 해왕성이 별을 가리는 현상을 통해 알게 되었다.[24]

1846년 7월 12일에 해왕성이 발견된지 165년 만인 2011년 7월 12일, 해왕성이 태양 주위를 한 바퀴 돌고 발견했을 때의 그 자리로 돌아왔다.[25] 다음 공전 완료는 2176년.

파일:james webb neptune 01.jpg
파일:james webb neptune 02.png
2022년 9월 21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근적외선 카메라로 해왕성의 고리와 위성 7개(트리톤/갈라테아/네레이드/탈라사/라리사/프로테우스/데스피나)를 선명하게 포착하는데 성공했다. 특히 고리는 위에 언급된 대로 너무 옅은 데다 거리가 멀어 1989년 보이저 2호의 탐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끝으로 지구에선 아예 건드릴 엄두조차 못하고 있었는데, 제임스 웹 덕분에 약 33년 만에 관측 및 촬영을 이뤄냈다는 게 돋보인다.

5. 위치에 관한 이론

형성 과정은 천왕성 문서로.

인류에게는 목성 다음으로 중요한 천체이기도 한데, 현재 해왕성은 직간접적으로 카이퍼대 천체들을 움직이는 위치에 있다. 해왕성과 2:3 궤도 공명을 하는 명왕성이 그 예시다. 목성이 안팎으로 소천체들에 큰 영향을 끼친다면, 해왕성은 자신 주변과 카이퍼대에 있는 천체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셈이다.

태양계 외부 영역의 물질 밀도가 너무 낮아서 전통적인 태양계 모델로는 천왕성과 해왕성 같은 거대 행성의 탄생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설명이 여럿 등장했고, 현재 주류 학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게 2005년에 만들어진 니스 모형이다. 니스 모형은 물질 밀도가 더 높은 태양에 더 가깝게 형성된 천왕성과 해왕성이 나중에야 지금의 궤도로 밀려났다고 본다.

뉴턴 2006년 9월호에 게재된 일본 연구팀의 인터뷰에 따르면, 현재의 이론으로는 해왕성이 생성되는데 약 50억 년이 걸리는지라, 현재의 태양계 생성 이론에 뭔가 문제가 있을 것이라는 추측을 하고 있다. 다만 현재의 태양계 생성 모델은 불확실한 점이 너무 많다보니 새삼 놀라운 결과는 아니다.

6. 해왕성의 위성

해왕성의 위성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font-size:.9em; letter-spacing:-.2px"
<colbgcolor=#6495ed><colcolor=#fff> 규칙 위성 (내위성) 나이아드 · 탈라사 · 데스피나 · 갈라테아 · 라리사 · 히포캄프 · 프로테우스
불규칙 위성 (외위성) 트리톤 · 네레이드 · 할리메데 · 사오 · S/2002 N 5 · 라오메데이아 · 프사마테 · 네소 · S/2021 N 1
※역: 역행 불규칙 위성
※순: 순행 불규칙 위성
}}}}}}}}} ||[26]


그리스 신화에서 바다 쪽 부분이 빈약해서인지, 태양계 행성들 중에서 가장 삭막한 이름의 위성들이 있다. 망원경으로 트리톤네레이드가 발견됐으며, 뒤에 보이저 2호에 의해 6개의 위성들이 새로 발견됐다. 정식 이름이 붙기 전에는 해왕성에 가까운 순서대로 N6, N5, N4, N3, N2, N1이란 이름들이 붙었다. 이 가운데 N1은 네레이드보다 훨씬 컸다. 어쨌든 나중에 각각의 위성에는 나이아드, 탈라사, 데스피나, 갈라테아, 라리사, 프로테우스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리고 이후에 6개를 더 찾아 현재 공식적으로 해왕성의 위성은 14개. 마지막 위성은 2013년, 허블 우주 망원경의 관측 결과를 다년간 연구한 끝에 존재를 확인했다고. 현재는 히포캄프라는 이름이 붙었다.

트리톤의 지름은 2,706.8km로 압도적으로 크고, 네레이드는 지름 340km로 나중에 발견한 프로테우스(지름 평균 420km)보다 조금 작다.

위성 가운데 가장 큰 트리톤이 여러 모로 특이점이 많다. 자세한 건 트리톤 문서를 참조.

네레이드 역시 태양계 최대 이심률의 막돼먹은 궤도(경사 27.6°, 이심률 0.7512[27])를 자랑한다. 그래서 일찍 발견했다.
파일:5mo1aFV.jpg 파일:external/ase.tufts.edu/Fig11_17.jpg
장축 반지름이 550만 km로, 가장 가까울 때가 137만 km, 가장 멀 때가 965만 km이다. 그 중간을 지날 때는 370만 km가량. a와 b의 비가 0.660이다.

참고로 트리톤과 해왕성의 거리는 평균 35만 km. 대략 지구 거리보다 조금 적다.

해왕성의 위성 '네소'는 해왕성에서 무려 4,900만 km(태양~수성의 거리와 비슷함)나 떨어져 있으며, 태양계위성들 가운데 모천체와의 거리가 가장 멀다.

나이아드, 탈라사의 거리가 가까운데 불구하고 충돌하지 않는 이유는 지그재그 공명 패턴 덕분이다. #

2023년에 해왕성의 위성 2를 발견했다.

7. 기타

파일:해왕성 사진.png파일:Neptune_Voyager2_color_calibrated.png
기존에 잘 알려져 있던 진한 푸른색의 모습(왼쪽)과 실제 색상에 가깝게 수정된 사진(오른쪽). 기존에 잘 알려진 모습은 보이저 2호가 찍은 사진으로, 실제로는 명도비가 원래보다 강조된 것이었으나 이 사진이 오랫동안 해왕성의 색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이는 최신 연구결과[28]에 따라 실제와는 다른 색상으로 판명되었다. 이는 허블의 촬영본에서도 확인된다. 사실이 밝혀진 지금도 천왕성과의 구별을 위해 일부러 진한 푸른색의 이미지를 사용하기도 한다.


NASA가 Eyes on the solar system으로 구현한 해왕성계 시뮬레이션이 있다. 참고

8. 대중매체

대중매체에서는 목성, 토성까지만 관심을 보이고 그 뒤의 행성들은 그다지 관심이 없는 편인데,[29] 의외로 해왕성인에 대한 설정은 여기저기서 종종 보인다. 마지막 행성 타이틀을 명왕성 대신 가져간 것이 원인인 걸로 보인다.
  • Warhammer 40,000에서는 테라의 시대에 처음으로 식민지화한 행성으로 나온다.
  • Warframe에서는 코퍼스가 주둔 중인 행성으로 나오며, 크레딧을 많이 벌 수 있는 인덱스가 이곳에 있다.

파일:Neomuna.jpg
  • 데스티니 가디언즈의 확장팩 빛의 추락의 주요 배경으로 표면에 무려 대도시가 지어져 있다. 정확히는 해왕성의 메탄 바다에 떠있는 거대한 다이아몬드 대륙을 기반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나노기술과 유전공학을 이용해 대도시를 만들었다.[30] 네오무나로 불리는 이 도시의 모든 건축물은 나노군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원은 메탄 바다와 폭풍에 섞여 있는 물과 다이아몬드를 수집해 충당하고 있다. 이와 별개로 해왕성의 폭풍을 조절하는 날씨 센서와 항법 장치를 먹통으로 만드는 해왕성의 자기장을 우회하는 장치를 이용해 도시를 유지하고 있다. 인류의 문명의 붕괴 직후부터 계속 숨겨져 있었고 최고의 첩보원들인 은신자들도 해왕성을 뒤졌으나 도시를 찾지 못 했는데 해왕성의 자기장과 두꺼운 대기 때문에 네오무나에서 개발한 연산법 없이는 해왕성의 표면은 물론 표면에서 바깥을 관측하지 못한다고 한다. 자기장, 토대, 폭풍은 그렇다 쳐도 문제가 될 대기의 존재와 방사선, 대기압은 설명이 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해왕성에 숨겨진 미지의 물체인 베일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주니토니해왕성(outdated).jpg파일:주니토니해왕성(천왕성아님).jpg
2020년 디자인[31] 2024년 디자인
  • 주니토니의 해왕성 디자인은 2개이며, 눈썹이 굵게 그려지는 것이 틋징이다. 이 중 하나는 과거 해왕성의 색깔로 알려진 진한 푸른색으로, 2024년에 해왕성의 색상에 대한 새로운 정보가 알려져서 옅은 색상으로 수정되었다.

천체들이 캐릭터화된 애니메이션인 SolarBalls에서 한 캐릭터로서 나온다.


[1] 위 사진은 보이저 2호가 해왕성을 스윙바이하며 촬영한 단색 사진을 기반으로 최신 연구결과에 따른 색상정보를 반영해 복원된 이미지로, 지금까지 인류에게 알려진 해왕성의 가장 정확한 모습이다. 얼핏 보면 천왕성과 별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옥스퍼드 연구진들의 발표에 따르면 실제 해왕성의 색상은 천왕성과 거의 비슷하다고 한다. 해왕성이 천왕성보다 조금 더 짙기는 하지만 기존에 알려진 것과는 달리 바다처럼 새파란 색은 아니다.# 과거 흔히 해왕성의 사진으로 알려진 짙푸른 청색 해왕성 사진은 보이저가 보내온 단색 사진과 색상 정보를 조합하는 과정에서 대기 특성을 보여주기 위해 일부러 명암비를 과장하여 만들어진 것이다.파일:해왕성 사진.png[2] 서양에서 해왕성 이름의 유래가 된 포세이돈삼지창에서 유래했다. 최초 발견자인 르베리에가 '넵투누스'라는 이름과 함께 이 기호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최초 발견자인 르베리에의 이름에서 딴 기호로, L과 V가 겹쳐져 있으며 가운데의 가는 선에 행성이 매달린 모습이다. [4] 궤도의 반지름. 쉽게 말해 태양과의 거리를 말한다.[5] 지구의 약 3.8배.[6] 지구의 약 17배.[7] 운이 좋으면 7등급 초반까지 올라갈 때도 있다지만 여하간 눈으로는 볼 수 없다.[8] 대기 안쪽의 압력으로 금성의 약 10배가 넘는 수치로 1000기압에 육박한다.[9] 왜 "현재로서는"이냐면, 한때 9번째 행성이었던 명왕성이 1930년 발견되었고, 명왕성을 행성에서 왜소행성으로 끌어내린 계기가 된 에리스의 발견이 2005년에서야 이루어졌기 때문에 향후에도 9번째 행성이 다시 발견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10] 같은 어원으로 마세라티의 네튜노 엔진이 있다.[11] 측지학자이기도 했는데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스트루베 측지 아크를 세운 인물이기도 하다.[12] 1979년~1999년까지 실제로 명왕성이 해왕성 궤도 안에 들어왔지만, 그래도 수금지화목토천명해라고 외우지는 않았다.[13] 완전히 어두운 하늘을 일컫는다. 어느 정도냐면 은하수의 전갈자리 부분이 그림자를 선명하게 드리우고, 금성과 목성이 어두운 것에 적응하는 데 영향을 줄 정도라고 한다. 광공해가 심한 국내에는 보틀 1등급의 지역이 없다.[14] 실시 등급 8~9등급의 천체는 쌍안경으로도 볼 수 있다.[15] 이러한 생각은 이미 1820년대에 시작되었고, 영국의 존 쿠치 애덤스 역시 르베리에와 거의 같은 시기에 독립적으로 계산을 해냈는데, 이는 훗날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16] 천왕성: 지구의 14배, 해왕성: 지구의 17배.[17] 밀도와 질량이 비슷한 크기의 천왕성에 비해 더 높고, 거의 모든 기체가 액체나 고체로 존재할 정도의 온도인 탓에 대기압 혹은 행성 내외부의 압력이 다른 가스형 행성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18] 국내에서 부산항의 크레인들을 쓰러뜨렸던 태풍 매미의 풍속이 초속 54m였고, 인류가 경험한 최대의 풍속이 토네이도 내부에서 측정된 초속 134m 이다. 폭풍을 측정하는 TORRO 스케일에 따르면 초속 121m 이상의 바람은 견고한 철제 구조물을 파괴할 수 있을 만큼 강하다. 천왕성에서 기록된 풍속은 높을 경우 초속 580m까지 도달하는데, 해왕성의 풍속은 초속 600m가 넘는 풍속이 관측된다. 대기압도 지구의 1,000배 정도이다.[19] 마리아나 해구 부근의 바다 속과 거의 동일한 압력이다. 현재까지 제대로 된 탐사가 가능한 잠수정의 잠수 가능한 수심은 약 6,000m 내외다. 수압도 아닌 대기압인데도 이런 압력이다.[20] 해왕성의 거리는 천왕성과 태양과의 거리보다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멈에도 불구하고 천왕성과 온도가 비슷하거나 더 높다. 내부에서 방사능 붕괴가 일어나며 열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된다.[21] 어딘가에선 어둡다는 의미로 '대암반'이라 표기하기도.[22] 무려 음속의 2배에 가까운 속도다![23] 풍압은 풍속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12 x 12 = 144배나 더 강력하다.[24] 위 사진은 보이저 2호가 해왕성을 통과하는 도중인 8월 26일에 만들어진 것이다.[25] 물론 태양우리 은하를 공전하고 있고, 우리 은하가 포함된 은하단들은 거대 인력체를 향하고 있으니 정확히 같은 위치는 아니다.[26] 트리톤은 위성의 기원에 따라 일반적으로 외위성으로 분류하는 편이다. Sheppard, S. S. 2006. "Outer irregular satellites of the plane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asteroids, comets and Kuiper Belt object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1. 319.[27] 타원에서, 이심률이 0에 가까울수록 원형이고, 1에 가까울수록 포물선에 가까워진다.[28] 허블 우주망원경과 천문대의 지속적 추가조사에 따른 연구[29] 명왕성은 그나마 "마지막 행성"이라는 메리트 때문에 관심이 좀 많았다. 더불어 행성에서 퇴출 당했기 때문에 동정심을 받기도 한다.[30] 멸종 방지 프로젝트라는 것을 통해 인류 멸망 이전부터 존재해온 모든 동식물의 게놈을 보존하고 있고 동식물이 멸종되면 해당 종의 게놈을 꺼내와서 부활시킨다.[31] 2024년 이전 해왕성의 색상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오기 이전 만들어진 디자인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