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4 00:34:41

포켓몬 컴퍼니

포켓몬 코리아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0012><tablebgcolor=#e60012>
파일:닌텐도 흰색 로고 (빨간색 배경).svg
닌텐도
주요 관계 회사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해외 법인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칠레 국기.svg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페루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Nintendo of America Nintendo of Europ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한국닌텐도 홍콩닌텐도
닌텐도 푸톈[1]
Nintendo Singapore Nintendo Australia
라이센스 계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현대전자 (1989(?)~1997)
대원씨아이 게임사업부 (2000~2007)
iQue (2002~2014?)[2]
텐센트 (2019~)
[1] 구 대만 지사, 2014년 홍콩 닌텐도에 사업권을 넘겨준 뒤 사업 종료
[2] 닌텐도와 합작회사, 2013년 이후 자회사화
자회사
파일:넥스트 레벨 게임즈 로고.svg파일:넥스트 레벨 게임즈 로고 다크.svg 파일:SRD 로고.png 파일:1-UP 스튜디오 로고.svg 파일:NintendoCube_logo.svg
넥스트 레벨 게임즈
2002 파일:캐나다 국기.svg
SRD
1979 파일:일본 국기.svg
1-UP 스튜디오
2000 파일:일본 국기.svg
닌텐도 큐브
2000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모노리스 소프트 로고.svg파일:모노리스 소프트 로고 화이트.svg 파일:레트로 스튜디오 로고.png 파일:NintendoSoftwareTechnology_Logo_2024.svg 파일:닌텐도 유럽 연구 개발 로고.svg
모노리스 소프트
1999 파일:일본 국기.svg
레트로 스튜디오
1998 파일:미국 국기.svg
닌텐도 소프트웨어 테크놀로지
1998 파일:미국 국기.svg
닌텐도 유럽 연구 개발
2003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닌텐도 판매 주식회사 로고 다크.png파일:닌텐도 판매 주식회사 로고 화이트.png 파일:마리오 클럽 로고.svg 파일:닌텐도 픽처스 로고.svg 파일:iQue 로고.svg
닌텐도 판매 주식회사
1952 파일:일본 국기.svg
마리오 클럽
2009 파일:일본 국기.svg
닌텐도 픽처스
2011 파일:일본 국기.svg
iQue
2002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닌텐도 시스템즈 로고.svg
닌텐도 시스템즈 주식회사
2023 파일:일본 국기.svg
주요 협력사
파일:게임 프리크 로고.svg파일:게임 프리크 로고 화이트.svg 파일:external/prw.kyodonews.jp/_prw_logo_image.png 파일:머큐리스팀 로고.svg파일:머큐리스팀 로고 화이트.svg 파일:소라(기업) 로고.svg파일:소라(기업) 로고 화이트.svg
게임프리크
파일:일본 국기.svg
신 소피아
파일:일본 국기.svg
머큐리스팀
파일:스페인 국기.svg
소라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인텔리전트 시스템즈 로고.svg 파일: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 로고.svg파일: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파일:굿필.png 파일:카멜롯.png
인텔리전트 시스템즈
파일:일본 국기.svg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
파일:미국 국기.svg
굿-필
파일:일본 국기.svg
카멜롯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포켓몬 로고.svg파일:포켓몬 로고 화이트.svg 파일:GREZZO 로고.svg파일:GREZZO 로고 화이트.svg 파일:플래티넘 게임즈 로고.png파일:플래티넘 게임즈 로고 화이트.png 파일:HAL 연구소 로고.svg
포켓몬 컴퍼니
파일:일본 국기.svg
GREZZO
파일:일본 국기.svg
플래티넘 게임즈
파일:일본 국기.svg
HAL 연구소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Creatures_Inc..png 파일:나이앤틱 로고 가로형.svg파일:나이앤틱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파일:TiMi Studio Logo horizontal.png
크리처스
파일:일본 국기.svg
Niantic, Inc.
파일:미국 국기.svg
티미 스튜디오
파일:중국 국기.svg
닌텐도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파일:포켓몬 로고.svg파일:포켓몬 로고 화이트.svg
주식회사 포켓몬
The Pokémon Company
株式会社ポケモン
}}}
<colbgcolor=#ffcc00><colcolor=#3861ad> 국가
[[일본|]][[틀:국기|]][[틀:국기|]]
설립일 1998년 4월 23일, 일본 도쿄 니혼바시
자본금 3억 6,540 만엔
주요 사업 비디오 게임, 카드 게임, 앱 게임
영상 제작/개발, 라이센싱 사업, 매장 운영 등
대표자 이시하라 츠네카즈[1] (대표이사 사장)
우츠노미야 타카토 (대표이사 최고집행임원)
마스다 준이치 (크리에이티브 펠로우)
제작 포켓몬스터 프랜차이즈
본사 도쿄도 미나토구 롯폰기6쵸메 10-1
롯폰기 힐스 모리 타워
링크 기업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공식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포털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라인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글로벌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핀터레스트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cc00><colcolor=#3861ad> 법인형태 주식회사
법인번호 1010401079276[2]
시장정보 비상장
순이익 153억 6,700만엔 (2020년 2월)
총자산 831억 5,100만엔 (2020년 2월 29일)
주요 주주 닌텐도 (32%)
게임 프리크
크리처스
위치
}}}}}}}}} ||

1. 개요2. 특징3. 게임프리크 대규모 정보 유출 사건관련 논란4. 지사
4.1. 포켓몬코리아
4.1.1. 비판
4.1.1.1. 타 국가에 비해 미흡한 요소4.1.1.2. 번역4.1.1.3. 운영진과의 불편한 소통

[clearfix]

1. 개요

포켓몬스터 관련 지적재산권을 총괄 관리하는 기업. 동명의 프랜차이즈 및 해당 프랜차이즈에서 등장하는 생명체와 혼동을 피하기 위해 주로 포켓몬 컴퍼니나 주식회사 포켓몬이라고 칭한다.

2. 특징

닌텐도, 게임 프리크, 크리처스가 공동으로 출자한 회사로, 원래는 포켓몬 상품을 판매하는 포켓몬센터를 운영하기 위해 1998년 설립되었지만 포켓몬스터 금·은 출시 이후 포켓몬스터 프랜차이즈가 지속되기 위해 필요한 판권 관리를 규모가 작은 게임 프리크 측에서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 되자 새로운 조직이 필요하다고 판단해서 2000년에 포켓몬의 라이선스 및 브랜드 관리를 전담하는 기업으로 개편해서 지금에 이른다.

즉, 대외적으로 정식적인 포켓몬스터 관련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는 회사는 닌텐도[3]로 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포켓몬스터의 콘솔판을 제외한 게임이나 상품 등의 발매업체 및 여러 권리를 행사하는 곳은 닌텐도나 게임 프리크가 아니라 이곳이다. 주로 닌텐도는 닌텐도 콘솔로 발매되는 포켓몬스터 게임의 제작 및 퍼블리싱 권한을 독점하며, 게임 프리크는 닌텐도의 하청을 받아 본가 게임 개발만을 담당한다.[4] 일본에서 포켓몬이 발매되는 해에는 이 회사가 연간 최대 판매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 회사가 설립된 덕분에 이와타 사토루가 닌텐도의 사장으로 부임한 이후 야마우치 히로시의 지시에 의해 닌텐도 게임의 영상화가 한동안 끊겨 버린 와중에도 포켓몬스터는 독자적으로 애니메이션 시리즈와 극장판 시리즈를 이어갈 수 있게 되었다.[5] 설립 목적부터 이시하라 츠네카즈가 애니메이션과 극장판을 지속시키려고 했던 것이니 당연한 셈. 또한 모바일 게임 시장에도 일찍이 진출할 수 있었다.

홍콩, 말레이시아싱가포르 등의 많은 아시아 국가들에선 맥스소프트 온라인(Maxsoft online)이라는 기업에서 담당하고 있다. 이 기업은 덧붙여 닌텐도 기기도 같이 발매하고 있다.

일본 이외의 국가는 포켓몬 컴퍼니 인터내셔널(The Pokémon Company International)이 담당하여 관련 매체를 홍보, 판매한다.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포켓몬 관련 상품이 이 회사를 통해서 판매된다. 포켓몬이 애니메이션, 또는 카드 방면으로 발전하지 않은 나라들도 이곳을 통해 홍보한다. 이때문에 포켓몬 컴퍼니 재무제표에서 주로 일본매출만 잡히고 해외매출들은 거의 볼수가 없다

닌텐도는 해당 기업의 지분을 32%만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닌텐도의 자회사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닌텐도와 분리된 서드파티도 아니며, 그 외 공동 소유주인 게임 프리크와 크리쳐스가 닌텐도에 매우 우호적인 기업이고, 기업 규모 면에서도 닌텐도가 가장 크기 때문에 닌텐도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사실상의 세컨드 파티다. 하지만 자회사는 아니기 때문에 외전 작품이나 미디어 믹스 쪽으로는 상당히 독자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데, 포켓몬의 모바일 게임이 마이 닌텐도와 직접적으로 연동이 되지 않거나 포켓몬 홈이 Nintendo Switch Online과 연동이 되지 않는 것은 이러한 영향 때문이다.

3. 게임프리크 대규모 정보 유출 사건관련 논란

4. 지사

4.1. 포켓몬코리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파일:포켓몬코리아 로고.webp
(주)포켓몬코리아
Pokémon Korea, Inc
}}}
<colbgcolor=#fc0><colcolor=#3861ad>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6]
설립일 2006년 8월 28일
주요사업 한국 내 포켓몬 관련 라이선스 사업
프로모션 사업, 게임 및 카드게임 관련 사업 등
소재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수로 801, 4층
(동천동 185-29, 4층)
대표이사 임재범
링크 공식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게임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애니 | 파일:틱톡 아이콘.svg
스토어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상품
카드 게임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
한국에는 상기한 포켓몬 인터내셔널과 별개로 포켓몬코리아(Pokémon Korea, Inc.)라는 이름으로 별도의 지사가 설립되어 있다.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포켓몬 현지법인은 일본의 포켓몬 본사와 포켓몬코리아, 포켓몬 싱가포르, 포켓몬 상하이 등 3개 지사인데, 포켓몬 싱가포르가 2018년, 포켓몬 상하이가 2020년에 설립된 걸 감안하면 2006년에 한참 먼저 세워진 포켓몬코리아는 꽤 특이한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

2006년 한국닌텐도가 설립될 때 같이 설립되었으며, 특히 포켓몬코리아 출범 후 방영권과 머천다이징 판매권이 당사에 귀속되어 특정 판권업체나 방송사의 방영권 독점에서 벗어나 성우진을 통일시킬 수 있었고, 캐릭터 상품 판권 역시 대원씨아이로부터 양수했다.[7]

포켓몬코리아의 본사는 원래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59길 26 (청담동) 히든힐 하우스에 있었으나, 2017년 말에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수로 801 (동천동)으로 이전했다. 용인으로 이전하기 전까지는 청담동 사옥의 2개 층을 사용했으나 2018년 용인으로 이전하면서 청담동 사옥은 1개 층으로 축소되었고, 2020년부터는 청담동에서 완전히 철수하고 용인 사옥만 사용하고 있다.

용인 사옥은 동천역 근처에 있으며 경부고속도로를 타고 가다 보면 보인다. 포켓몬 로고가 크게 붙어 있고, 옥상에 거대한 피카츄 조형물이 있어 멀리서도 눈에 확 들어온다. 입구에는 포켓스톱 조형물도 배치되어 있다. 평일에는 관계자를 제외한 외부인이 출입할 수 없으나 주말에는 1층이 개방되어 포켓몬 카드 게임을 배울 수 있는 포켓몬스쿨이 진행되고, 포켓몬스터 관련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게임프리크 대규모 정보 유출 사건으로 인해 여론이 악화된 포켓몬 컴퍼니와 OLM랑은 달리 여론이 악화 되지 않았는데 당연하게도 유출자료는 포켓몬 코리아랑은 전혀 상관이 없기 때문.

4.1.1. 비판

4.1.1.1. 타 국가에 비해 미흡한 요소
본가 게임, 애니메이션은 잘 수입하지만, 포켓몬스터 스페셜, 불가사의 던전 같은 외전작은 정발 속도가 느리거나 아예 끊겨버린 것도 있다.

타 브랜드와 콜라보해 굿즈 자체는 자주 내놓지만, 막상 포켓몬센터는 설립하지 않아 많은 유저들이 불만을 호소하고 있다. 서울 토이저러스에 일본 포켓몬센터와 유사한 코너가 생겼는데, 포켓몬센터가 한국에도 정식으로 설립될지는 아직 불명.

현재는 포켓몬 팝업스토어라는 기간 한정 오프라인 매장을 연 4회 정도 운영하며, 오픈 전부터 장사진을 이루는 악명 높은 대기줄로 유명하다.# 포켓몬코리아에서 직접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 포켓몬 스토어 온라인에서도 포켓몬스터 관련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또 스위치 시대에 들어 명탐정 피카츄 등의 외전작들 역시 상당수 수입해오면서 상당부분 개선되었다.
4.1.1.2. 번역
4세대 이후 포켓몬코리아에서 한국 번역을 하기 시작하면서 번역의 질에 대해서 항상 비판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4세대 시절부터 악명높았던 '바지락조개'로 번역한 해수스파우팅은 이미 4세대를 플레이해본 사람들에게는 지금까지도 비판받는 오역의 대명사다. 5세대에서는 일본식 발음을 그대로 직역한 작명 센스로 또 욕먹었다.[8]6세대와 7세대에서는 그나마 무난해지는가 했으나[9] 8세대에서 또 다시 번역의 질이 나빠졌고, 특히 무한다이노의 작명은 매우 큰 비판을 받았다.

또한 지역별 명칭도 보통 도시는 ㅁㅁ시티, 마을은 ㅁㅁ마을[10]로 통일이 되었는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의 경우 잿빛도시, 이끼시티 처럼 유독 이 작품에서만 명칭이 통일되지 않는 모습을 보여 커다란 비판을 받았다.

이렇게 영 좋지 않은 번역을 하고도 '한 번 정한 번역명은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위의 해수스파우팅과 같은 누가 봐도 심각한 오역인 경우가 아니면 절대로 수정을 해주지 않았었다. 물론 이름을 자주 바꾸는 것은 좋지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대다수가 욕하는 것에 대해 방침을 내세우면서 고치려고 하지 않는 것은 분명히 문제가 있는 태도이다.

이렇듯 유저들에게 꽤 오랫동안 이 문제점을 지적받았고 그럼에도 개선할 의지를 전혀 보이지않아 팬들의 비판을 지속적으로 받아왔는데, 9세대 작품인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에서 잘못된 기술이나 아이템들의 명칭 일부를 올바르게 수정한 것이 확인되면서[11] 드디어 여러 오역을 개선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전반적인 번역에도 신경을 쓰기 시작했는지, 9세대 신규 포켓몬들의 한국 명칭도 8세대에 비해 눈에 띄게 좋아졌으니 팬들의 입장에서는 나름 환호를 부를 일인 셈.
4.1.1.3. 운영진과의 불편한 소통
포켓몬코리아에서 선수들을 영구 출전 금지를 준 적이 있다. 문제는 출전 금지를 하게된 이유를 공개하지 않은 것.

2023년 11월에 열린 포켓몬 팝업 스토어에서도 운영 면에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 여러 굿즈에서 하자가 보였고, 재고도 제때제때 채워주지 않아 많은 유저들이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11월 25일 카드 대회가 열리는데, 대회 당일날 발매되는 카드로 카드 대회를 연다고 한다. 대회 참가자들은 대회 당일에 카드를 사야 하는 상황. 새로운 카드를 카드대회에 쓰는 건 카드 홍보를 위해서라 쳐도, 반드시 참가자들에게 공지를 했어야 하는데 그러지 않은 것. 다행히 이는 회사의 잘못된 게시글이었고, 이후 수정되었다.

[1] 크리쳐스의 전신인 에이프의 디자이너 출신이며, 크리쳐스의 회장과 겸임하고 있다.[2] 일본국 국세청에서 발행하는 번호이다.[3] 포켓몬 컴퍼니 웹사이트의 저작권 표기는 '©Pokémon. ©Nintendo/Creatures Inc./GAME FREAK inc. ポケットモンスター・ポケモン・Pokémonは任天堂・クリーチャーズ・ゲームフリークの登録商標です。'로 표기, 포켓몬 코리아 웹사이트의 저작권 표기는 '©Nintendo, Creatures, GAME FREAK, TV Tokyo, ShoPro, JR Kikaku. ©Pokémon. ©1998-2020 PIKACHU PROJECT. 포켓몬스터, 포켓몬, Pokémon, 몬스터볼, Nintendo Switch, Nintendo 3DS, Nintendo DS는 Nintendo의 상표입니다.'로 되어 있다.[4] 닌텐도 내부 개발부서에서 외전 포켓몬 게임을 제작한 적도 있었는데, HAL 연구소와 공동으로 포켓몬 스타디움 시리즈를 개발한 바 있다. 게임 프리크 역시 본가 시리즈 말고도 포켓몬 AR 서처포켓몬 퀘스트 같은 외전 게임을 제작한 적이 있다.[5] 이후 닌텐도가 다이나모 픽쳐스를 인수해 닌텐도 픽처스로 명칭으로 바꾸었고 슈퍼 마리오(애니메이션 영화)를 시작으로 포켓몬스터를 제외한 다른 게임 영상화 산업을 재개했다.[6] 포켓몬 컴퍼니의 한국 지사[7] 여담이지만, 더빙 성우진을 표기할 때, 일일이 또는 갱신하는 것이 귀찮은건지 방송되는 초반 화수에 출연하는 성우들 한정으로 아예 한꺼번에 표기하며, 그 이후의 성우진 명단이 갱신되는 일은 엔딩을 바꾸는 불가피한 일이 있지 않은 이상은 거의 갱신되지 않는다.[8] 제크로무 ,레시라무 ,게노세크트 ,비크티니[9] 아예 없던 것은 아니고, 거북손데스모래성이당의 번역은 처음 공개됐을 당시에 "이름이 이게 뭐냐"며 호불호가 갈린 적이 있다. 일본어 이름 자체가 거북손의 일본어 가메노테(カメノテ) + ~입니다를 뜻하는 데스(デス)를 합친 거북손데스와, 을 뜻하는 시로(城) + 모래를 뜻하는 스나(沙) + 데스를 합쳐 만들어진 모래성이당이기에 번역도 딱히 원래의 의미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고 아무래도 '거북손 + 입니다', '모래 + 성 + 입니다/죽음'을 합치기 힘들기도 하니 거북손 + 데스를 그대로 가져오고, 모래성입니다 대신 모래성이당이라는 선택을 해 발번역이라는 비판까지는 피했다. 그래도 거북손데스의 불쾌한 생김새라던가 모래성이당의 설정에 맞지 않는 귀여운 어감 때문에 여러모로 매치가 안 되다보니 이를 불편해하는 의견이 있었는데, "개성적이다", "오히려 귀엽다"는 의견도 있다. 지금은 시간이 지나기도 했고 워낙 오역의 대명사처럼 잊을만 하면 한국 포켓몬 팬들에게 불려나와 까이고 또 까이다보니 이젠 정들었다거나 발음만 옮겨적는 것보다 차라리 번역이라도 된 게 낫다는 반응도 점점 많아지고 있다.[10] 보라타운만 예외[11] 씨기관총, 드래곤클로, 속이기 등. 2세대부터 있었던 유서깊은 오역이었던 메가폰도 메가혼으로 20년 만에 올바르게 수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