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9 14:33:12

신 소피아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0012,#e60012><tablebgcolor=#e60012,#e60012>
파일:닌텐도 흰색 로고 (빨간색 배경).svg
닌텐도
주요 관계 회사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해외 법인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칠레 국기.svg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페루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Nintendo of America Nintendo of Europ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한국닌텐도 홍콩닌텐도
대만닌텐도
닌텐도 푸톈[1]
Nintendo Singapore Nintendo Australia
라이센스 계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현대전자 (1989(?)~1997)
대원씨아이 게임사업부 (2000~2007)
iQue (2002~2014?)[2]
텐센트 (2019~)
Bergsala
[1] 구 대만 지사, 2014년 홍콩 닌텐도에 사업권을 넘겨준 뒤 사업 종료
[2] 닌텐도와 합작회사, 2013년 이후 자회사화
자회사
파일:넥스트 레벨 게임즈 로고.svg파일:넥스트 레벨 게임즈 로고 다크.svg 파일:SRD 로고.png 파일:1-UP 스튜디오 로고.svg 파일:NintendoCube_logo.svg
넥스트 레벨 게임즈
2002 파일:캐나다 국기.svg
SRD
1979 파일:일본 국기.svg
1-UP 스튜디오
2000 파일:일본 국기.svg
닌텐도 큐브
2000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모노리스 소프트 로고.svg파일:모노리스 소프트 로고 화이트.svg 파일:레트로 스튜디오 로고.png 파일:NintendoSoftwareTechnology_Logo_2024.svg 파일:nerd-logo.jpg
모노리스 소프트
1999 파일:일본 국기.svg
레트로 스튜디오
1998 파일:미국 국기.svg
닌텐도 소프트웨어 테크놀로지
1998 파일:미국 국기.svg
닌텐도 유럽 연구 개발
2003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닌텐도 판매 주식회사 로고 다크.png파일:닌텐도 판매 주식회사 로고 화이트.png 파일:마리오 클럽 로고.svg 파일:닌텐도 픽처스 로고.svg 파일:iQue 로고.svg
닌텐도 판매 주식회사
1952 파일:일본 국기.svg
마리오 클럽
2009 파일:일본 국기.svg
닌텐도 픽처스
2011 파일:일본 국기.svg
iQue
2002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닌텐도 시스템즈 로고.svg 파일:shiverlogo_color_small.png
닌텐도 시스템즈 주식회사
2023 파일:일본 국기.svg
쉬버 엔터테인먼트
2023 파일:미국 국기.svg
주요 협력사
파일:게임 프리크 로고.svg파일:게임 프리크 로고 화이트.svg 파일:external/prw.kyodonews.jp/_prw_logo_image.png 파일:머큐리스팀 로고.svg파일:머큐리스팀 로고 화이트.svg 파일:소라(기업) 로고.svg파일:소라(기업) 로고 화이트.svg
게임프리크
파일:일본 국기.svg
신 소피아
파일:일본 국기.svg
머큐리스팀
파일:스페인 국기.svg
소라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인텔리전트 시스템즈 로고.svg 파일: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 로고.svg파일: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파일:굿필.png 파일:카멜롯.png
인텔리전트 시스템즈
파일:일본 국기.svg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
파일:미국 국기.svg
굿-필
파일:일본 국기.svg
카멜롯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포켓몬 로고.svg파일:포켓몬 로고 화이트.svg 파일:GREZZO 로고.svg파일:GREZZO 로고 화이트.svg 파일:플래티넘 게임즈 로고.png파일:플래티넘 게임즈 로고 화이트.png 파일:HAL 연구소 로고.svg
포켓몬 컴퍼니
파일:일본 국기.svg
GREZZO
파일:일본 국기.svg
플래티넘 게임즈
파일:일본 국기.svg
HAL 연구소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Creatures_logo_2024.svg 파일:나이앤틱 로고 가로형.svg파일:나이앤틱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파일:TiMi Studio Logo horizontal.png
크리처스
파일:일본 국기.svg
Niantic, Inc.
파일:미국 국기.svg
티미 스튜디오
파일:중국 국기.svg
닌텐도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10px; word-break: keep-all"<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 파일:신 소피아 로고.jpgsyn Sophia
(주)신 소피아
株式会社シンソフィア
syn Sophia, Inc.
}}}
<colcolor=#fff> 소재지
도쿄도 무사시노시 키치죠지 혼마치 1-30-10
위스타리아 빌딩 1,2F
설립일 1995년 6월 19일
자본금 10,000,000엔(2024년 1월 현재)
직원 수 68명(2024년 1월 현재)
대표이사 요시다 슈우지
이사 타무라 다이야
감사 스가이 카츠미(비상근)
거래은행 미쓰비시 UFJ 은행, 미쓰이스미토모 은행
타마 신용 금고, 미즈호 은행, 리소나 은행
주요
거래회사
타카라토미 아츠, 마벨러스
라이선스
계약 회사
닌텐도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개발 작품3. 마스코트

1. 개요

일본게임 제작사. 게임 회사, 휴먼 출신의 요시다 슈지가 처음 더 맨 브리즈라는 이름으로 세웠으나, 1997년 택틱스 포뮬러의 개발 도중 주식회사 AKI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이후 2007년 4월 1일에 다시 한 번 더 주식회사 신 소피아로 사명을 변경했다.[1] AKI 시절에는 WCW, WWF전일본 프로레슬링을 아우르는 버추얼 프로레슬링 시리즈나 근육맨 게임, 데프 잼 레코딩스의 래퍼들의 스트리트 파이팅을 소재로 한 게임들 등, 요시다가 몸담았던 휴먼[2]에서 만들어진 몇몇 게임도 그렇고 프로레슬링 게임과 이종격투기 및 리얼리티 대전 격투 게임의 개발사로 많이 알려져 있었다. 특히 버추얼 프로레슬링 시리즈의 노 머시나 데프잼 시리즈와 같은 걸작도 간간이 만들어냈다.

이외에는 세가와 협력해 그 용과 같이 시리즈의 외전을 만든 적도 있었다. 그 유명한 흑표 시리즈인데, 휴대용, PSP로 나온 게임이다. 본래 격투 게임을 만들었던 회사답게 게임의 평은 나름 괜찮은 편.

독특하게도 회사의 게임 개발 구조를 완전히 바꾸었는지, 2010년 프리티 리듬의 개발 이후로는 여성향 게임들을 위주로 만들고 있다. 그것도 여아용. 주로 타카라토미 아츠, 닌텐도와 협력해서 만든 걸즈 스타일 시리즈나 프리티 리듬 시리즈가 이에 해당한다. 프리티 리듬 시리즈는 아케이드와 3DS 게임의 개발 둘 다 맡은 바가 있다.

잘 생각해보면 은근 만들었던 게임들과 지금 만들고 있는 게임들의 괴리감이 제일 심한 회사이다. 분명 처음에 만들었던 게임은 우락부락한 남자들이 거칠게 싸우는 근력 중심의 격투기 게임들, 아니면 무자비한 언더그라운드 파이팅 게임들이었는데 지금 나오는 게임들은 여자아이들의 꿈과 희망이 넘치는 게임들이니...

신 소피아 명의로는 레슬링 게임은 만들지 않고 있다. 2019년에 케니 오메가가 트위터를 통해 신 소피아와 접촉한 적이 있는데,# 정황상 이것이 올 엘리트 레슬링의 공식 게임인 파이트 포에버와 관련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파이트 포에버는 AKI 시절의 스태프들이 유크스의 이름으로 참여하였다고 공식적으로 홍보했으며, 게임도 노 머시와 매우 흡사한 스타일로 나왔다. 아쉽게도 이 게임의 평가는 그다지 좋지 않은 편. 한편, AKI라는 상표권은 AKI 레슬링 게임의 오마주를 표방하는 Ultra Pro Wrestling이라는 게임을 제작하고 있는 Hyperfocus Games라는 회사가 2025년 2월자로 인수하였다. AKI 이름으로 만들어진 게임은 남아있지만 AKI라는 상표 자체는 이제 신 소피아와는 완전히 무관한 브랜드가 된 것.

예전에는 일렉트로닉 아츠THQ 등, 서양 회사와도 많이 협력했었으나 현재는 타카라토미 아츠, 닌텐도와의 협력에 집중하고 있다.

2. 개발 작품

우선 가장 유명한 시리즈들만 담아놓았다.

3. 마스코트

파일:external/pbs.twimg.com/f-s4omQ6.png
이러한 마스코트도 있다. 공식 트위터에 의하면 이 캐릭터의 이름은 "소피아쨩". 캐릭터 디자인은 프리파라의 캐릭터 디자인 원안을 맡은 카나가이 유키코(金谷有希子).


[1] 걸즈 모드 시리즈 이외에는 AKI라는 이름을 일종의 브랜드명으로써 유지하고 있었다. 그래서 신 소피아로 사명을 변경한 이후의 DS 심시티 시리즈나 흑표 시리즈에는 그대로 AKI라는 이름을 사용한 것.[2] 이 시절에 슈퍼패미컴용으로 일본 회사로서는 드물게 태권도게임을 만들었다. 태권도(게임)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