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이마이시 히로유키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000>
||<#fff,#fff>
||<#fff,#fff>
||
데드 리브즈 (2004) [[천원돌파 그렌라간|{{{#!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linear-gradient(to bottom, #000 50%, #e40a0a 70%); background-clip: text; color: transparent" (2007)]] 팬티 & 스타킹 with 가터벨트 (2010) 킬라킬 (2013~2014) 프로메어 (2019) [[사이버펑크: 엣지러너|'''사이버펑크: 엣지러너''' (2022)]][[NEW 팬티 & 스타킹 with 가터벨트| NEW팬티&스타킹with 가터벨트(2025)]]
상세정보 링크 열기
팬티 & 스타킹 with 가터벨트 (2010) パンティ&ストッキングwithガーターベルト Panty & Stocking with Garterbelt | |||
<nopad> | |||
{{{#ffffff,#e5e5e5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e5e5e5> 장르 | 마법소녀, 판타지, 블랙 코미디 | |
원작 | 가이낙스 | ||
애니메이션 제작 | |||
감독 | 이마이시 히로유키 | ||
부감독 | 오오츠카 마사히코 | ||
시리즈 구성 | 기그프리트(ギークフリート) | ||
메인 캐릭터 디자인 | 니시고리 아츠시 | ||
컨셉 아트 | 요시나리 요우 | ||
코디네이터 | 코야마 시게토(コヤマシゲト) | ||
컨셉 브랜너 | 와카바야시 히로미(若林広海) | ||
미술 감독 | 노무라 마사노부(野村正信) | ||
색채 설계 | 카키타 유키코(垣田由紀子) | ||
촬영 감독 | 미나바시 후미히코(諸橋文彦) | ||
편집 | 우에마츠 준이치(植松淳一) | ||
음악 | ☆Taku Takahashi (m-flo) TCY Crew (TeddyLoid) | ||
음향 감독 | 이와나미 요시카즈 | ||
기획 | 야스다 타케시(安田 猛) 야마가 히로유키 | ||
제작 | 야스다 타케시 타케다 야스히로(武田康廣) 이시바시 타카후미(石橋隆文) 타케치 츠네오(武智恒雄) 미카미 야스히로(三上康博) 오카베 슌이치(岡部俊一) 타후 나오히로(太布尚弘) | ||
프로듀서 | 이마모토 나오시(今本尚志) 후쿠다 준(福田 順) 츠지 소이치(辻 壮一) 후지타 사토시(藤田 敏) 마스모토 카즈야(舛本和也) 우에타케 나츠키(植竹なつき) 스즈키 토모코(鈴木智子) 야스다 카츠미(安田勝己) | ||
제작 | PSG 제작위원회 | ||
방영 기간 | 2010. 10. 02. ~ 2010. 12. 25. | ||
방송국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화수 | 13화[1] | ||
시청 등급 | 정보 없음 |
1. 개요
팬티 & 스타킹 with 가터벨트 시리즈의 첫 번째 애니메이션. 가이낙스에서 제작한 일본의 19금 코미디 액션 장르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다. 약칭은 팬스가.2. 특징
2010년 10월 ~ 12월까지 방영되었다. 일단은 마법소녀물이며, 감독은 천원돌파 그렌라간을 감독한 이마이시 히로유키이며, 메인 디자인 담당은 톱을 노려라2!와 천원돌파 그렌라간, 그리고 아이돌 마스터(애니메이션)의 니시고리 아츠시. 음악 프로듀싱 담당은 m-flo의 Taku와 TeddyLoid다.여담으로 이 작품의 주요 제작진은 가이낙스에서 나간 뒤 니시고리 아츠시, 코노 메구미, 나카무라 쇼코를 제외하면 대부분 트리거에 소속되어 있다.
3. 줄거리
천국에서 쫓겨난 천사 자매인 팬티와 스타킹이 천국으로 돌아가기 위해 가터벨트를 통해 전해지는 천국 쪽의 고스트 처리 의뢰를 따라 고스트를 퇴치하며 헤븐 코인을 모으며 가상의 도시 "다텐 시티"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다루고 있다. | |
4. 특징
- 각 에피소드의 스태프들이 모티브가 되는 영화를 선정해서 자기 스타일로 재창조하는 방식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그래서 각 에피소드의 연출이 차별화된다.
- 둘이서 하나인 고스트나 힘의 팬티, 기술의 스타킹[2] 같이 이따금 특촬물 패러디가 보인다. 매 화마다 고스트를 처리한다는 것이 특촬물에서 괴인을 처리하는 것과 유사하며, 결정적으로 고스트의 폭발 씬은 전형적인 80년대 일본 특촬물의 아날로그식 폭발 연출 패러디이다.
- 일본 내 방송 송출국 중에 AT-X가 포함되어 있다고 하지만 방영 첫 타가 같은 위성방송인 BS 닛테레이어서 사실상 별 의미가 없게 되었다.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버전이 AT-X 버전이 아닌데도 검열이 없는 게 바로 이 때문이다.
4.1. 스타일
"카툰네트워크 애니메이션을 일본식으로 그리면 어떤 결과물이 나올까?"라는 발상으로 만들어졌다. 연출은 일본의 리미티드 애니메이션의 특징인 고화질 원화로 눈을 속이는 기법과 미국 애니메이션의 매우 만화적인 과장이 혼합된 독특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캐릭터 디자인적으로는 20세기에 유행했다가 2000년대에 재해석된 스타일로 재유행하게 된 UPA 스타일의 2000년대에서의 특징과 모에 그림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캐릭터 디자인과 채색 스타일이 혼합되어 있다.간단하면서도 과장적인 그림체가 미국 애니메이션, 특히 카툰네트워크 작품들과 상당히 유사하다. 모르고 보는 사람들은 이게 일본 애니메이션이 아니라 미국 애니메이션이라 착각할 정도이다.[3] 반면 일본 애니메이션의 연출&작화에 대해 잘 아는 사람들은 일본 애니인 걸 바로 알아차릴 수 있고, 서양 사람들도 일본산 작품인 걸 쉽게 알아차리는 편이다. 캐릭터들이 말할 때 입 모양이 프리스코어링이 되어있지 않은데다, 캐릭터들의 움직임도 일본 애니 스타일이기 때문. 그리고 무엇보다 캐릭터들의 손가락이 5개다.[4]
개그 씬에서도 카툰풍의 슬랩스틱이 자주 나온다. 이런 식의 개그는 가이낙스의 이전 참여작인 FLCL이나 이 사람이 나의 주인님등에서 보여주긴 했으나, 슬랩스틱 코미디에 크게 의존하는 가이낙스 작품은 이 작품이 처음이다.
또 하나의 특징은 의성어와 의태어가 스크린에 그대로 표시된다는 것. 역시 미국 애니메이션 스타일에서 따온 것이다.
4.2. 수위
공개 당시부터 파격적인 내용으로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았다. 일본식 성적 코드로 도배있는데 수위는 미국의 어덜트 스윔 같은 성인용 채널에서 방영될 법한 수준이다. 그걸 의식한 가이낙스 제작진의 노력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으나, 3화부터는 여성 캐릭터들의 가슴이 확실하게 표현된다.변신 씬을 포함해 가끔씩 작화가 SD에서 모에 그림으로 바뀌는데, 무기를 꺼내드는 장면은 폴댄스라 에로한 느낌을 주며, 화수가 진행될수록 장면이 생략되어서 변신 씬은 점점 짧아지는 데에 비해 성우들이 대사를 읽는 연기는 점점 야해진다.
개그 코드도 가면 갈수록 수위가 높아져서 섹스나 성기 관련 묘사 및 언급의 빈도가 높아진다. 다만 섹드립의 수위가 높아서 그렇지 노골적으로 선정적인 야애니는 아니다. 하지만 몇몇 에피소드는 특정 장면에서 후방주의를 해야 한다.
엔딩 영상은 귀여운 작화에 가려 그렇게 보이지 않을 뿐, 상당히 잔인하다. 아나키 자매가 자동차를 타고 가다 낭떠러지로 떨어지거나, 괴물에게 잡아먹히기 직전이거나, 커다란 원형 톱날에 갈려 죽기 일보 직전이거나, 천사 자매가 죽은 후 대머리 독수리떼가 몰려 오는 등 여러모로 나츠미 STEP!을 연상케 한다. 자세한 건 항목 참조.
코믹스판의 수위도 상당히 높다. 그림체는 귀엽지만 내용은 원작처럼 19금인데 1화의 경우 초반부터 검열삭제 이야기를 하더니 고스트와 팬티가 검열삭제를 해서 누가 더 검열삭제 쪽 지구력이 높은지 대결해서 고스트를 쓰러뜨린다. 그도 그럴 것이 작가가 헨제미(TAGRO)다.
4.3. 주제
사실 섹드립과 정신없는 연출에 묻힌 감이 있지만, 배경에 깔려있는 테마는 상당히 무겁다. 욕망과 무질서를 악, 절제와 질서를 선으로 정의해오던 기존의 패러다임을 파괴하고, 욕망과 무질서를 선, 절제와 질서를 악으로 뒤집는다.선역인 천사 자매들은 성부터가 아나키(Anarchy)이고, 질서를 수호하려는 경찰들과 항상 충돌한다. 게다가 이들은 절제라곤 모르는, 욕망에 사로잡힌 인물들이다. 언니 팬티는 섹스밖에 모르고, 동생 스타킹은 단 음식에 중독되어 있다. 이들을 이끌어야 될 가터벨트조차 호시탐탐 남자를 노리고, 마스코트 자크(영문명 Chuck)는 시도 때도 없이 마운팅을 해댄다. 오히려 시를 지배하며 질서를 지키고 있는 것은 악마 코르셋과 그의 부하 데몬 자매다. 데몬 자매 스캔티와 니삭스는 등장할 때마다 Rule[5]을 외치며, 코르셋은 폭정이 아니라 법과 질서로 시민들을 다스린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악마 코르셋 아래 질서 잡힌 도시의 이름은 다텐 시티, 타락천사의 도시이다.
결국 애니 내에서 기본적인 틀은 질서와 규칙을 외치는 자들이 악마이고, 성욕과 식욕으로 대표되는 인간의 원초적 욕망과 무질서가 천사들의 자세라는 것. 한편 그 질서와 규칙을 중시한다는 악마들이 고스트를 풀어 사회를 혼돈에 빠뜨리고, 욕망투성이인 천사들이 이를 퇴치함으로써 정의를 구현한다는 식으로 한 번 더 비튼다는 것이 이 작품의 특징이다. 이렇기에 정신없는 분위기와 섹드립에, 혼란스럽게 다 보고 난 이후에도 종종 생각할 거리를 준다.[6][7]
5.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팬티 & 스타킹 with 가터벨트 시리즈/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팬티 & 스타킹 with 가터벨트 시리즈/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설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팬티 & 스타킹 with 가터벨트 시리즈/설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팬티 & 스타킹 with 가터벨트 시리즈/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음악
7.1. 주제가
7.1.1. OP
OP Theme for Panty & Stocking | |||
TV ver. | |||
음원 ver. | |||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e5e5e5> 노래 | Hoshina Anniversary | ||
작사 | |||
작곡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e5e5e5>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Panty, stocking Panty, panty, stocking, oh Panty, stocking Oh, panty, stocking Oh, tell me, baby Tell me, baby Feel all right (Panty, stocking) Panty, stocking Panty, panty, stocking, oh Oh, Panty, stocking Tell me, all right Tell me, baby Tell me, baby Feel all right |
7.1.2. ED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엔딩}}}에 대한 내용은 [[Fallen Angel]]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Fallen Angel#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Fallen Angel#팬티 & 스타킹 with 가터벨트의 엔딩곡|팬티 & 스타킹 with 가터벨트의 엔딩곡]]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엔딩: }}}[[Fallen Angel]]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Fallen Angel#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Fallen Angel#팬티 & 스타킹 with 가터벨트의 엔딩곡|팬티 & 스타킹 with 가터벨트의 엔딩곡]]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7.2. 삽입곡
천사 자매 변신 테마 Fly Away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e5e5e5> 노래 | TeddyLoid | |
작사 | ||
작곡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ly away now, fly away now, fly away 날아가 지금, 날아가 지금, 날아가 Fly away now, fly away now, fly away 날아가 지금, 날아가 이제, 날아가 Heart stood still when we first met 우리가 처음 만났을 때, 심장이 멎는 줄 알았어 I thought we'd be together, yet 난 우리가 함께일 줄 알았는데 You're using me for your own gain 네 이득을 위해 날 이용할 뿐이었어 And now I'll never feel the same 이젠 절대 그런 기분은 느끼지 못하겠지 Fly away now, fly away now, fly away 날아가 지금, 날아가 지금, 날아가 Fly away now, fly away now, fly away 날아가 지금, 날아가 이제, 날아가 Fly away now, fly away now, fly away 날아가 지금, 날아가 지금, 날아가 Fly away now, fly away now, fly away 날아가 지금, 날아가 이제, 날아가 You'll never find a better time 좋았던 시절로는 절대 돌아갈 수 없을 거야 Make your stand, you'll be fine 네 입장이라도 만들어 봐, 넌 괜찮겠지 Know the game and all it holds 모든 게 걸려있는 이 게임 같은 상황을 알면 Watch it now as it unfolds 지켜봐, 이 상황이 펼쳐지는 걸 Fly away now, fly away now, fly away 날아가 지금, 날아가 지금, 날아가 Fly away now, fly away now, fly away 날아가 지금, 날아가 이제, 날아가 You'll never find a better time 좋았던 시절로는 절대 돌아갈 수 없을 거야 Make your stand, you'll be fine 네 입장이라도 만들어 봐, 넌 괜찮겠지 Know the game and all it holds 모든 게 걸려있는 이 게임 같은 상황을 알면 Watch it now as it unfolds 지켜봐, 이 상황이 펼쳐지는 걸 Fly away now, fly away now, fly away 날아가 지금, 날아가 지금, 날아가 Fly away now, fly away now, fly away 날아가 지금, 날아가 이제, 날아가 You'll never find a better time 좋았던 시절로는 절대 돌아갈 수 없을 거야 Make your stand, you'll be fine 네 입장이라도 만들어 봐, 넌 괜찮겠지 Know the game and all it holds 모든 게 걸려있는 이 게임 같은 상황을 알면 Watch it now as it unfolds 지켜봐, 이 상황이 펼쳐지는 걸 Fly away! |
보컬은 Vocal Forge라는 샘플팩의 샘플을 사용했다.원본 샘플
악마 자매 변신 테마 Theme for Scanty & Knee Socks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e5e5e5> 노래 | TeddyLoid | |
작사 | ||
작곡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I want you to make believe it's the first time and i gotta say to you, love will find a way that's always true) I want you to make believe it's the first time and i gotta say to you, love will find a way that's always true I want you to make believe it's the first time and i gotta say to you, love will find a way that's always true And I gotta Always true And I gotta To make believe Always true To make believe Want you Want you Want you Love will find a way and I Want you Want you Want you Love will find a way and I First time and i gotta First time and i gotta First time and i gotta To make believe it's the To make believe it's the To make believe it's the first time To you To you To you, love will find a way and I To you To you To you, love will find a way that's always true I want you to make believe it's the first time and I gotta say to you, love will find a way that's always true I want you to make believe it's the first time and I gotta say to you, love will find a way that's always true Party it up Take it down and turn it up Party it up Take it down and turn it up Party it up Take it down and turn it up Party it up Take it down and turn it up I want you to make believe it's the first time and I gotta say to you, love will find a way that's always true I want you to make believe it's the first time and I gotta say to you, love will find a way that's always true |
2009년에 제작된 I Want You라는 샘플링을 기반으로 편곡한 곡이다.[8]
D City Rock | |
Official Audio ver. | |
Full ver. | |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e5e5e5> 노래 | TeddyLoid feat. Debra Zeer |
작사 | LISA |
작곡 | TeddyLoid |
편곡 |
8. 회차 목록
<rowcolor=#ffffff,#e5e5e5> 회차 | 화수 | 제목 | 시나리오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제1회 | #1 | 仁義なき排泄 인의없는 배설 Excretion Without Honor and Humanity | 이마이시 히로유키 | 이마이시 히로유키 | 이마이시 히로유키 | 니시고리 아츠시 | 2010.10.02. |
#2 | デスレース2010 데스 레이스 2010 Death Race 2010 | 오오츠카 마사히코 | 오오츠카 마사히코 | 스시오 | |||
제2회 | #3 | ミツバチのざわめき 꿀벌의 웅성거림 The Clamor of the Beehive | 와카바야시 히로미 (若林広海) | 니시고리 아츠시 | 토미타 히로아키 (富田浩章) | 코지마 히로카즈 (小島大和) | 2010.10.09. |
#4 | セックス・アンド・ザ・ダテンシティ 섹스 앤드 더 다텐 시티 Sex and the Daten City | 세코 히로시 | 나카무라 쇼코 | ||||
제3회 | #5 | キャットファイト・クラブ 캣 파이트 클럽 Catfight Club | 오오츠카 마사히코 | 야마모토 사요 | 오노다 마사토 (小野田将人) | 2010.10.16. | |
#6 | パルプ・アディクション 펄프 어딕션 Pulp Addiction | 코야마 시게토 (コヤマシゲト) | 히구치 신지 | 오오츠카 마사히코 | 요시가키 유스케 | ||
제4회 | #7 | ダイエット・シンドローム 다이어트 신드롬 The Diet Syndrome | 오오츠카 마사히코 | 코마츠다 다이젠 | 토미타 히로아키 | 모토무라 코이치 (本村晃一) | 2010.10.23. |
#8 | ハイスクール・ヌーディカル 하이스쿨 누디컬 High School Nudical | 와카바야시 히로미 | 마스야마 료지 | 토모다 마사하루 (友田政晴) | 마스야마 료지 | ||
제5회 | #9 | ハナムプトラ 하무나푸트라 The Runny | 이마이시 히로유키 이타가키 신 | 이타가키 신 | 모토무라 코이치 | 2010.10.30. | |
#10 | ヴォミッティング・ポイント 보미팅 포인트 Vomiting Point | 세코 히로시 | 코바야시 오사무 (1964) | 무코다 타카시 | |||
제6회 | #11 | 悪魔のような女たち 악마같은 여자들 Les Diaboliques | 오오츠카 마사히코 | 이마이시 히로유키 | 오오츠카 마사히코 | 니시고리 아츠시 | 2010.11.06. |
제7회 | #12 | トランスホーム 트랜스홈 Transho'mers | 와카바야시 히로미 | 아메미야 아키라 | 2010.11.13. | ||
#13 | 現金に裸体を張れ 현금에 알몸을 드러내라 The Stripping | 오오츠카 마사히코 | 야마구치 사토시 | ||||
제8회 | #14 | …オブ・ザ・デッド …오브 더 데드 ...Of the Dead | 세코 히로시 | 키무라 류이치 | 요시가키 유스케 | 2010.11.20. | |
#15 | 一匹の怒れるゴースト 한 마리의 두려워하는 고스트 1 Angry Ghost | 오오츠카 마사히코 | 코마츠다 다이젠 | 쿠와나 이쿠오 | |||
제9회 | #16 | 天使が水着にきがえたら 천사가 수영복으로 갈아입으면 If the Angels Wore Swimsuits | 니시고리 아츠시 | 료치모 | 2010.11.27. | ||
#17 | ゴースト〜ダテンシティの幻〜 고스트 ~다텐 시티의 환상~ Ghost: The Phantom of Daten City | 츠루마키 카즈야 | 키무라 류이치 | 야마구치 사토시 | |||
제10회 | #18 | インナーブリーフ 이너 브리프 Inner Brief | 와카바야시 히로미 | 마사유키 | 이토 노부타케 | 2010.12.04. | |
#19 | チャック・トゥ・ザ・フューチャー 척 투 더 퓨처 Chuck to the Future | 코야마 시게토 | 토미타 히로아키 | 스기도마리 토모코 (杉泊朋子) | |||
#20 | チャック・トゥ・ザ・フューチャー PART 2 척 투 더 퓨처 PART 2 Chuck to the Future Part 2 | 히구치 신지 | 산지겐 | ||||
#21 | チャック・トゥ・ザ・フューチャー PART 3 척 투 더 퓨처 PART 3 Chuck to the Future Part 3 | 오구라 노부토시 | 오오츠카 마사히코 | 오구라 노부토시 | |||
#22 | HELP! 二人はエンジェル HELP! 두 사람은 엔젤 HELP! We are Angels | 니시고리 아츠시 | 코지마 히로카즈 | ||||
제11회 | #23 | ワンス・アポン・ア・タイム・イン・ガーターベルト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가터벨트 Once Upon a Time in Garterbelt | 와카바야시 히로미 | 요시나리 요우 | 2010.12.11. | ||
#24 | ナッシング・トゥ・ルーム 나띵 두 룸 Nothing to Room | 세코 히로시 | 히라마츠 타다시 | 니시가키 쇼코 (西垣庄子) | |||
제12회 | #25 | D.C.コンフィデンシャル D.C. 컨피덴셜 D.C. Confidential | 이마이시 히로유키 | 와카바야시 히로미 | 코지마 히로카즈 | 2010.12.18. | |
#26 | パンティ+ブリーフ 팬티+브리프 Panty + Brief | 와카바야시 히로미 | 니시고리 아츠시 | 오오츠카 마사히코 | 요시가키 유스케 | ||
제13회 | #27 | ビッチガールズ 비치 걸즈 Bitch Girls | 오오츠카 마사히코 | 이마이시 히로유키 | 스시오 | 2010.12.25. | |
#28 | ビッチガールズ 2ビッチ 비치 걸즈 2비치 Bitch Girls: 2 Bitch | 이마이시 히로유키 |
9. 영화 제목 패러디
각 에피소드 제목이 모두 영화 패러디다.<rowcolor=#3bd2ae> 회차 | 화수 | 제목 | 원작 영화 제목 |
1화 | #01 | | Battles Without Honor And Humanity 仁義なき戦い 의리 없는 전쟁 |
仁義なき排泄 인의 없는 배설 | |||
#02 | | Death Race 2000 デスレース2000 데스레이스 2000 | |
デスレース2010 데스 레이스 2010 | |||
2008년 작품은 그냥 데스레이스로 개봉되었다. | |||
2화 | #03 | | The Spirit of the Beehive El espíritu de la colmena ミツバチのささやき 벌집의 정령 |
ミツバチのざわめき 꿀벌의 소란 | |||
아마 영화와 에피소드 간의 갭이 심한 패러디일것이다. 일본에서는 꿀벌의 속삭임ミツバチのささやき로 개봉했다. | |||
#04 | | SEX AND THE CITY セックス・アンド・ザ・シティ 섹스 앤 더 시티 | |
SEX AND THE DATEN CITY 섹스 앤 더 다텐시티 | |||
3화 | #05 | | Fight Club ファイト・クラブ 파이트 클럽 |
キャットファイト・クラブ 캣파이트 클럽[9] | |||
#06 | | Pulp Fiction パルプ・フィクション 펄프 픽션 | |
パルプ・アディクション 펄프 어딕션 | |||
4화 | #07 | | The China Syndrome チャイナ・シンドローム 차이나 신드롬 |
ダイエット・シンドローム 다이어트 신드롬 | |||
#08 | | High School Musical ハイスクール・ミュージカル 하이 스쿨 뮤지컬 | |
High School Nudical パルプ・アディクション 하이스쿨 누디컬 | |||
5화 | #09 | | The Mummy ハムナプトラ 미이라 |
ハナムプトラ 비[10]이라 | |||
#10 | | Vanishing Point バニシング・ポイント 배니싱 포인트 | |
ヴォミッティング・ポイント 보미팅 포인트[11] | |||
6화 | #11 | | Les Diaboliques Diabolique 悪魔のような女 디아볼릭 |
悪魔のような女たち 악마같은 여자들 | |||
일본에서는 "악마 같은 여자" 悪魔のような女로 개봉했다. | |||
7화 | #12 | | Transformers トランスフォーマー 트랜스포머 |
トランスホーム 트랜스호머 | |||
옵티머스 프라임 포지션의 로봇 이름이 오스티머스 서프라이즈로,[12] 성우는 일판 콘보이의 성우인 겐다 텟쇼다. 또 메가트론 포지션의 로봇이 메스트론[13] 성우는 일판 메가트론의 성우인 가토 세이조. 참고로 처음 등장하는 옵티머스와 메가트론 포지션의 로봇들은 마이클 베이 영화판 버전이 모티브지만 스타킹과 팬티가 코어를 뺏고 난다음에는 G1때의 옵티머스(콘보이)와 메가트론이 된다. 극초반부 시작은 테카맨 블레이드[14]의 시작부, 프리맨의 브리핑을 패러디한 것 같다. 배경음악과 영상은 영락없는 인류와 라담의 대립. | |||
#13 | | The Killing 現金に体を張れ 더 킬링 | |
現金に裸体を張れ 돈 앞에 옷을 벗어라 | |||
일본에서는 "돈 앞에 몸을 사리지 않는다" 現金に体を張れ로 개봉했다. | |||
8화 | #14 | | Dawn of the Dead ドーン・オブ・ザ・デッド 시체들의 새벽[15] |
…オブ・ザ・デッド …오브 더 데드 | |||
총포상 대신 들어간 섹스숍에서 좀비와 싸우기 위한 태세를 갖추는데 영화 황혼에서 새벽까지의 후반부를 통째로 패러디. | |||
#15 | | 12 Angry Men 十二人の怒れる男 12인의 성난 사람들 | |
一匹の怒れるゴースト 한 마리의 성난 고스트 | |||
제목은 저렇지만 정작 12인의 성난 사람들과는 내용상 접점이 없고, 실제로 내용에서 패러디 된 것은 매그놀리아와 역전재판, 그리고 렌과 스팀피이다. | |||
9화 | #16 | | Kanojo ga mizugi ni kigaetara 彼女が水着にきがえたら 그녀가 수영복으로 갈아 입으면 |
天使が水着にきがえたら 천사가 수영복으로 갈아 입으면 | |||
에피소드 중간에 잠깐 사우스 파크그림체가 된다. | |||
#17 | | Ghost ゴースト/ニューヨークの幻 사랑과 영혼 | |
ゴースト〜ダテンシティの幻〜 고스트 ~다텐시티의 환상~ | |||
10화 | #18 | | Innerspace インナースペース 이너스페이스 |
インナーブリーフ 이너 브리프 | |||
#19 | | back to the Future バック・トゥ・ザ・フューチャー 백 투 더 퓨처 | |
一匹の怒れるゴースト 자크 투 더 퓨쳐 | |||
#20 | | back to the Future 2 バック・トゥ・ザ・フューチャー2 백 투 더 퓨처 2 | |
一匹の怒れるゴースト PART 2 자크 투 더 퓨쳐 Part 2 | |||
부제에 3D라고 적혀있는데 다른화와 비교해서 자세히 보면 진짜 입체 3D다. | |||
#21 | | back to the Future 3 バック・トゥ・ザ・フューチャー3 백 투 더 퓨처 3 | |
一匹の怒れるゴーストPART 3 자크 투 더 퓨쳐 Part 3 | |||
#22 | | Help! ヘルプ!4人はアイドル Help![16] | |
HELP! 二人はエンジェル 2사람은 천사 HELP! | |||
일본에서는 "HELP! 4명은 아이돌" ヘルプ!4人はアイドル로 개봉했다. 제목이 뜨기 전 Bangin' on the Heaven's door![17][18]이란 문구가 뜨고, 해당 편 왼쪽 상단의 로고와 하단의 곡 소개 자막은 딱 봐도 MTV 패러디. 내용도 온갖 유명 뮤직비디오와 앨범 아트가 패러디 되어 있다. 비틀즈, 엘비스 프레슬리, 너바나, 키스, 오아시스, 섹스 피스톨즈, 마릴린 맨슨, 고릴라즈, 퀸, 핑크 플로이드, 지미 헨드릭스, 레이디 가가 등등... 패러디 목록을 보고 싶으면 링크로. | |||
11화 | #23 | | Once Upon a time in America ワンス・アポン・ア・タイム・イン・ アメリカ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 |
ワンス・アポン・ア・タイム・イン・ガーターベルト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가터벨트 | |||
#24 | | Nothing to Lose ナッシング・トゥ・ルーズ 낫씽 투 루즈 | |
ナッシング・トゥ・ルーム 나띵 두 룸 | |||
12화 | #25 | | L.A. Confidential L.A.コンフィデンシャル L.A. 컨피덴셜 |
D.C.コンフィデンシャル D.C. 컨피덴셜 | |||
#26 | 파일:PSG_S1_122.png | Romeo+Juliet ロミオ+ジュリエット 로미오+줄리엣 | |
パンティ+ブリーフ 팬티+브리프 | |||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나온 그 영화 맞다. 제목컷부터 시작해서 후반부 파티장면이라든가 BGM이라든가 뜬금없이 계속 달려있는 팬티등의 날개라든가. | |||
13화 | #27 | | Bad Boys バッドボーイズ 나쁜 녀석들 |
ビッチガールズ 나쁜 년들 | |||
#28 | 파일:PSG_S1_132.png | Bad Boys 2 バッドボーイズ2バッド 나쁜 녀석들 2 | |
ビッチガールズ: 2ビッチ 나쁜 년들:두 창녀 | |||
여기서 할머니가 총맞고 쓰러지고 오토바이 타고 탈출하는 장면 X맨 패러디다. |
10. 해외 공개
- 영어권 국가들에선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와 퍼니메이션 에서 영어 더빙/자막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영어 더빙은 노빠꾸 쌍욕을 추가로 시원하게 끼얹으며[19] 영미권 팬들에게 호평받았다.
- 한국에서 오늘닷컴을 통해 서비스가 된 적이 있다. 이후 오늘닷컴의 애니메이션 서비스가 제이박스로 이전되면서 팬스가의 VOD도 제이박스에서 볼 수 있었다. 2016년 1월 1일을 기점으로 판권이 종료된지라 정식 루트로 볼 수 있는 곳은 없다.
11. 인기
천원돌파 그렌라간 제작진의 차기작이라는 점, 서양식 카툰과 아니메를 결합한 스타일 덕분에 정식 공개되기 전엔 많은 관심과 기대를 받았다. 그러나 막상 공개되고 나자 인기는 저조했다. 애초에 첫화부터 수위가 높고 섹드립으로 가득한 작품이라서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가기 힘들었고, 비처녀 논란이 발생하곤 하는 일본 애니메이션 판에서 주인공 중 한 명인 팬티가 색정광이라는 파격적인 설정은 일본 오타쿠들에겐 거부감이 들었을 것으로 보인다.결국 DVD&블루레이 판매량이 2,000장도 못 넘기는 심각한 부진을 기록했다. 워낙 DVD/BD 사양이 개떡같이 나온데다(HD로 제작됐음에도 1080i에[20] 특전도 빈약했다. 게다가 카토카와 프라이스에 6장 구성이다.) 충격과 공포의 결말 때문에 구매 의욕에 악영향을 미친 듯 하다.
결국 일본 본토에선 컬트적인 인기만 끌고 말았다. 그와 반대로 서양권에선 첫 공개 당시부터 호응이 좋아서 인기가 제법 되는 편이다. 이후 이마이시 히로유키 감독의 주가가 올라가면서 일본에서 재평가를 받았고, 2기 제작 소식이 발표되면서 다시끔 관심을 받았다.
12. Blu-ray / DVD에 포함된 특전 영상
블루레이 DVD에 포함된 특전 영상 Panty&Stocking with Garterbelt in Sanitary Box엔 7개의 짧은 에피소드와 엔딩이 있다.- 에피소드1 (히로인 인터뷰): 팬티가 집배원[21]과 성관계를 하면서 TV를 보는데, 응원하는 야구 팀이 이기는 걸 보고 환호한다. 그리고 집배원은 팬티에게 편지를 건네주는데 그 내용이 시구식 요청인 것. 팬티는 환호하며 수락하고 시구를 하러 간다. 그리고 시구 당일 브리프와 스타킹은 TV로 팬티의 시구식을 지켜보게 된다. 하지만 팬티는 마운드에서 옷을 전부 집어던지고 "자 봐줘, 나의 시구식을" 이라고 말하며 야구공을 그대로 삽입한다![22] 신음과 함께 지켜보던 브리프는 코피 분출. "저건 시구가 아니라 자궁[23]"라고 외치면서도 마지막엔 "그래도 난 그런 팬티가 좋아~" 라는 모습을 보여준다.
- 에피소드2 (기크 오브 더 데드): 본편 에피소드 15화의 뒷이야기. 좀비가 된 팬티와 브리프가 데이트를 한다. 팬티에게 여러 번 잡아먹힐 뻔하지만 행운으로 계속 피한다.[24] 그리고 언덕에서 브리프가 용기 있게 키스를 시도하는데, 팬티에게 입술을 씹혀먹혔다. 팬티는 비명을 지르는 그를 통째로 씹어먹은 후 배설한다. 그렇게 좀비 겸 시체가 된 브리프가 경련과 함께 뇌를 보이면서 "그래도 난 팬티가 좋아"라고 하는 장면은 충격과 공포.
- 에피소드3 (다텐시티의 지도): 가터벨트의 나레이션[25]으로 시작하는데 여기서 가터벨트가 게이인 것이 확실히 드러난다! 영상 또한 아스트랄한데 가터벨트가 구속구가 물리고 눈이 가려진 채 어린 소년들에게 S을 당하는 모습이 나온다. 또한 여러 소년들의 사진을 보며 입맛을 다시는 모습을 보여준다. 팬티나 스타킹에 비하면 근엄한, 그나마 신부다운 모습을 보여줬던 가터벨트의 이미지를 확실히 깨 준 동시에 "이 애니메이션에는 정상적인 인물이 없었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해준다.
- 에피소드4 (자크 투 더 퓨처4) 본편 에피소드 20~22화의 뒷 이야기. 고전 게임풍의 자크가 모험을 떠나는 간단한 내용이다.
- 에피소드5 (브라더즈 오브 더 라운드 헤드)[26]: 갓 태어난 듯한 아기가 두루미 사이에 와서 어떤 레일을 타고 간다. 레일을 따라가 보면 어른들이 아기의 포피를 절단해버린다! 잘린 조각들은 기름 속에 튀겨져서 포장된 다음 시중에 팔리게 되는데, 그 중 하나를 스타킹이 먹는다. 스타킹은 에피소드1 때부터 이걸 먹고 있었다. 그리고 맛있다는 듯이 씨익 웃는다.
- 에피소드6 (제B지구) 배경은 가터벨트의 젖꼭지이다. 여기에 가터벨트가 아나키 팬티와 아나키 스타킹의 인형을 손가락으로 자신의 젖꼭지에다가 가져다대고 비빈다.[27] 그리고 되게 좋아한다. 나중에 인형이 변신한답시고 가터벨트의 노래가 나온다.[28] 그리고 다시 인형으로 찌르고 난 다음에 한숨을 쉰다.
- 에피소드7 (미용사의 악처): 여느 때처럼 한가롭게 지내던 팬티와 스타킹. 하지만 팬티가 씹던 껌이 스타킹의 머리카락에 붙어버린다. 스타킹은 기겁을 하면서 떼달라 하고 팬티는 장난기가 발동해 스타킹의 머리카락을 거침없이 잘라버리더니 균형을 맞춘다는 핑계로 계속 자른다. 결국 완전히 잘라버리는데 멘붕해버린 스타킹은 가위를 뺏어 팬티를 끔살[29] 시켜버리고 팬티의 시체에서 나온 피를 뒤집어쓴 스타킹은 팬티의 피로 된 가발이 맘에 드는지 싱긋 웃어보인다.
- 엔딩 (Bitch Flash): 초반부는 평범한 변신 장면이지만 여기서 팬스가 제작진이 마약 한 사발 하고 애니메이션 만든 걸 볼 수 있다. 마치 관절인형처럼 삐걱거리며 스타킹은 온갖 단 것을 입에 흡수하고 팬티는 끊임없이 섹스를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30] 그리곤 줄을 잡아당기자[31] 쨍그랑 소리와 함께 둘의 몸이 와르르 깨지고 누군가 파편을 쓸어담아 쓰레기통에 버리는 걸로 끝. 그리고 엔딩롤이 올라간다.
13. 속편 제작 관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EW 팬티 & 스타킹 with 가터벨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EW 팬티 & 스타킹 with 가터벨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3.1. 후속작 떡밥과 오랜 희망고문
|
팬들이 끝까지 희망을 버리지 못하게 한 문제의 일러스트.[32] |
본편의 결말도 미완성으로 끝난데다 대놓고 속편에 대한 떡밥을 뿌려놓았지만, 여러 사정이 겹쳐 제작진이 공중분해된 뒤, 후속작을 바라는 팬들은 기나긴 희망고문을 이어가고 있었다.
상술한 특전 영상 엔딩은 가이낙스에서 개발팀이 조각나고 팬스가가 버려졌다는 걸 비유했다. 처참한 광매체 판매량과 제작사인 가이낙스의 제반사정도 영 좋지 못하다는게 가장 큰 걸림돌이 되었을 것이다.
제작진 핵심 관계자인 이마이시 히로유키, 마스모토 카즈야, 오오츠카 마사히코 등이 가이낙스에서 나와 스튜디오 트리거를 설립했으며, 사후적으로 보면 츠루마키 카즈야와 이마이시 히로유키로 대표되는 안노 체제 이후 가이낙스의 백조의 노래로 남게 되었다. 덕분에 가이낙스의 이미지는 끝간데 없이 추락했다.
2014년에 이마이시 히로유키 감독은 킬라킬 라디오에서 팬스가 2기 제작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을 받자 제작비를 지원 받으면 생각해 보겠다고 말했다. 반액정도면 되겠냐는 추가 질문엔 전액이라고 답했다. 즉, 돈을 빵빵하게 지원해주는 스폰서가 있어야 고려해 보겠다는 의미이니 사실상 희망이 없었던 셈.
2016년 11월 25일 GAINAX WEST의 트위터에서 떡밥이 던져졌다. 파칭코나 넷게임, 블루레이가 아니라고 한다. 이후 동년 12월 16일 가이낙스 웨스트 트위터에서 3가지 프로젝트의 진행이 공지되었다.
1. 팬스가 신상품 발매 (3월 상순 ~ 4월)
2. 팬스가 전시회 개최 (2월 중순 ~ 4월)
3. 고베 애니메이션 거리에 팬스가 카페 개장 (2월 중순 ~ 4월)
모처럼의 새 소식에 신 애니를 기대하는 팬들도 있었지만, 원문이 신상품 발매, new product release인 것으로 보아 굿즈임이 확실해졌다.
13.2. 저작권 회수와 제작 확정
안노 히데아키는 2010년대 중반에 톱을 노려라!, 톱을 노려라 2!, 프리크리 등 비롯한 본인과 츠루마키 등 카라 쪽으로 옮긴 스태프가 관여했던 작품의 판권 구입을 시도했다. 당시 가이낙스 사정이 어려운 상황이라 이렇게 하면 가이낙스 쪽에도 금전적인 보탬이 될 것이라 생각하여 제안한 것으로, 당시 사장이었던 야마가 히로유키도 처음에는 제의를 받아들였고 구체적인 매수 비용도 확정지었다. 하지만 어느날 야마가 사장이 갑자기 판권가를 6배로 올려버렸고, 결국 안노는 권리 구입을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위에 거론한 3작품은 이후 2015년 경에 카라가 아닌 다른 회사로 권리가 넘어갔다. 이는 2019년 12월 30일 전 가이낙스 소속이었던 안노 히데아키가 칼럼을 통해 밝혀진 얘기이다.#팬스가는 안노가 만든게 아닌 만큼 해당 칼럼에는 본 작품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지만,[33] 트리거 측에서 2기를 제작하지 못하는 이유도 대략적으로 밝혀진 셈이 된다. 아마도 같은 이유로 가이낙스가 비용을 터무니 없이 비싸게 요구하였고, 트리거로 독립한 이마이시 감독은 본 작품의 권리를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고 추정된다. 여기다 팬스가가 크게 흥행을 하지 못해서 스튜디오 트리거 측에서 굳이 리스크를 감수할 필요가 없다는 점도 한 몫했을 것이다.하지만, 가이낙스와 관련된 문제가 해를 거듭할 수록 심각해지자, 이대로는 안되겠다고 생각하고는 안노 히데아키를 주축으로 관계자들의 끈질긴 노력이 이어졌다.
2021년 5월에 진행된 이마이시 히로유키의 전시회에서 판매되는 상품 중 팬스가 아크릴 스탠드의 판권 소유가 스튜디오 카라로 되어있었다. 즉, 가이낙스로부터 팬스가의 저작권을 되찾아오는데 성공한 것이다.[34]
결국, 고진 역경과 노력 끝에 2022년 7월 3일 미국 LA에서 열린 아니메 엑스포에서 2기 제작이 공식적으로 확정되어 장장 12년 묵은 팬들의 환호성이 터져나왔다. 제작은 1기 핵심 제작진 중 상당수가 옮겨간 트리거.
이후 2025년 7월 10일에 드디어 2기가 첫방영했다. 가이낙스 홈페이지에 올라온 후속작 떡밥 일러스트를 전개에 반영하면서 사실상 소프트 리부트에 가까운 모습을 보였다.
14. 기타
- 엔딩 영상이 팬티와 스타킹이 천사가 되기 전의 과거라는 추측이 있다. 이 추측은 23편을 통해 더 유력해졌다. 23편에서는 어떤 흑인이 죽은 후 전도사로서 부활하는 설정으로 보아 팬티와 스타킹도 비슷한 과거를 겪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엔딩 영상을 잘 보면 팬티와 스타킹의 머리카락이 원래보다 짧게 표현되고 있고, 죽은 뒤 천사가 된 다음에 지금의 머리카락 길이와 같아진다. 즉, 머리카락 길이가 짧게 표현되어 있는 게 과거의 모습을 의미하는 게 아닌가 하는 추측.[35] 엔딩곡 가사 역시 우울한 내용이다. 반대로 귀찮게 헤븐 코인 모아서 가는 것 보다 그냥 죽어서 천국으로 가는 지름길인 것 아닌가라는 추측도 있다. 덧붙이자면, 블루레이 마지막 화에서는 엔딩 내용이 바뀌는데, 기차에 치이고, 전쟁터에서 적군에게 처형당하며[36][37] 매장되고, 할복한다.
- 11화에선 아무래도 본편이 예상 외로 길어져서 그런지 오프닝을 6초만에 끝냈다. 보면 알겠지만 진짜 길다. 특히 2번째 에피소드는 엔딩까지 생략되었다. 12화는 3초 오프닝을 선보였다. 엄청나게 긴 2번째 에피소드와 함께 엔딩도 생략했고 더군다나 내용도 급전개로 치닫고 있는데, 이는 13화가 최종화이기 때문. 아니나 다를까 13화는 오프닝을 잘라먹으며 시작해버렸다.
- 2010년 12월 29일 OST 앨범이 발매됐다. 애니도 그렇고 OST도 정신이 나가 있는데, 일단 OST 표지부터가 나체에 정액을 뒤집어 쓴 듯한 그림이며, 특정 트랙에서는 팬티의 신음 소리가 나온다거나 애니처럼 나레이션이 나와서 설명을 한다던가 불법 복제 캠페인을 한다던가 후속작 제작 홍보를 한다던가 뭐 이런 식이다.
이 앨범은 본작과는 달리 한 해에만 3만 장을 팔아치워 2011년 오리콘 차트 10위에 랭크되었고 특히 팬티와 스타킹이 천사로 변신할때 나오는 노래인 Fly Away는 아이튠즈 애니메이션 OST 부문 판매량 1위를 차지했다.
- 2011년 7월 20일 OST 두번째 앨범이 발매되었다. 정신나간 표지는 이쪽도 마찬가지로 전라 상태의 팬티와 스타킹의 숨 막히는 뒷태. 리믹스 트랙, 애니에 나오지 않은 트랙, 위에 나온 OST에 없는 트랙이 수록되는듯 하다. 아마 DVD/BD가 안 팔려서 그런듯. 가터벨트의 테마가 Jumping Mole이라는 이름으로 수록. 그리고, Cherry Corrida라는 드라마 CD가 수록되어 있는데, 내용이 검열삭제를 찾는 이야기이다.
- 일본, 미국 애니메이션의 화풍을 결합한 또다른 작품인 Hi Hi Puffy AmiYumi와의 콜라보 팬아트가 간간히 있다. 디비언트아트 등에 각 작품의 주인공들이 같이 등장하거나 서로의 그림체를 바꿔 그린 작품을 볼 수 있다. 다음은 그 예시: ####
- 2기 소식이 2022년에 뜨기 전, 팬들끼리 후속작을 만들려는 시도가 있었는데, https://tapastic.com/series/PSG에 웹코믹 형식으로 연재되었었다. 하지만 동인지에 불과하며 IP 소유권이 없는 상태에서 후원 형식으로 돈을 받아먹으며 그린 것이라서 법적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있어서 귀추가 주목되었으나... 너무나도 느린 연재속도[38]와 매우 빈약한 분량[39] 때문에 반응이 시들시들해졌고 이후 동인지 창작자를 포함한 O·TAKO STUDIO의 주요 인물들이 2021년 3월에 12세 아동 성폭행 혐의로 체포된데다가 진짜로 공식 2기가 나오게 되면서 완전히 묻혀버렸다.
- 한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팀 DN 프릭스의 전신 아나키 팀은 이 애니메이션 주인공 자매의 성(姓)에서 유래되었다. 정확히는 이 팀을 주도했던 씨맥이 이 애니의 삽입곡인 D City Rock을 들으면서 영감을 얻어 따왔다고.
[1] OVA 포함 12분 기준으로 보면 28부작이다.[2] 원 대사는 기술의 1호, 힘의 2호.[3] 특히 명장면(?)으로 손꼽히는 "D-City Rock" 장면에서는 가사가 전부 영어라서 헷갈릴 만도 하다. 일본 애니라는 사실을 은폐하는 듯한 수준급의 영어 발음은 덤.[4] 심슨 가족, 네모바지 스폰지밥을 비롯한 대부분의 미국 애니메이션에서는 손가락을 4개만 그리는 경우가 많다. 그리기 쉽고 제작비가 절감되는 것도 있지만 손가락을 5개 그리면 캐릭터가 손을 움직일 때 손가락이 6개로 보이기 때문인 것도 있다. 예외적으로 대니 팬텀, 킴 파서블, 릴로 & 스티치등 손가락이 5개로 그려진 미국 애니메이션들도 있다.[5] 규칙, 지배의 중의적인 표현이 담겨 있다.[6] 만화적인 과장을 걷어내고 역사적으로 보면 서양과 동양의 개인주의-공동체주의 구분은 단순하지 않다. 흔히 서양은 개인주의, 동양은 공동체주의라 여기지만, 실제로는 서양 국가들도 나치즘, 파시즘, 왕정 등 강한 공동체 중심 체제를 경험했다. 미국처럼 철저한 개인주의를 기반으로 성장한 나라는 예외적이다.특히 제2차 세계대전에서 미국은 일본, 독일, 이탈리아 같은 공동체주의적 국가들을 압도하며 ‘개인주의적 시스템’의 우월함을 각인시켰고, 이후 소련마저도 미국식 자유주의를 모방해 자국을 포장해야 했다. 이로 인해 공동체주의는 조롱받는 가치로 전락했고, 무질서와 욕망에 기반한 개인주의가 긍정적으로 인식되게 되었다.[7] 때문에 2차 창작을 하면 필연적으로 피카레스크 장르가 되는데 비해 정작 원작은 피카레스크가 아니란 점이 아이러니.[8] 다만 로맨틱 카우치의 2007년작 The House 앨범에 수록된 Twilo라는 곡에서 저 벌스를 부르는 것으로 보아, 링크된 버전의 샘플만 2009년에 제작되었거나, I Want You라는 샘플 자체는 그 이전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9] catfight는 "두 여자가 싸울때 할퀴고 머리카락 쥐어뜯고 싸우는 것"이라는 속어.[10] 鼻[11] 포스터 이미지는 몬쟈야키인데, 비주얼이 토사물 같은 것을 인용한 것.[12] オスティムス・サプライズ. '오스'는 일본어로 '수컷'이라는 뜻.[13] メストロン, '메스'는 일본어로 '암컷'이라는 뜻.[14] 우주의 기사 테카맨 - 한국 SBS 더빙[15] 정확하게 말하면 조지 A. 로메로의 시체 시리즈, Of The Dead Series[16] 비틀즈가 주연인 두 번째 영화.[17] Knockin' on Heaven's Door 패러디.[18] to bang은 치다라는 의미도 있지만 야스라는 의미도 있다.[19] 더빙 대사들이 원본을 순화하기는 커녕 F Word를 숨쉬듯 내뱉을 정도로 전반적으로 더 격해졌고, 특히 천사들의 변신 주문 마무리는 "Repent, motherfucker(회개해라, 개씨발놈들아)"로 찰지게 바꿔버렸다.[20] 보통은 1080p로 나오는게 일반적인데다 화질 자체도 블루레이치곤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편이다.[21] 1편에 제일 처음 나오는 그 인물.[22] 손가락을 넣은 것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두 손이 모두 내려간 것과 관객들의 반응을 보아 야구공으로 추정.[23] 둘 다 시큐우(しきゅう)라고 읽는다.[24] 오히려 팬티의 신체 일부를 파괴한다.[25] 초반부는 본편과 똑같다. 에피소드 내내 가터벨트의 독백이 이어진다.[26] 굳이 해석하자면 '둥근 머리의 형제'라고 해야하지만, 좀 더 매끄럽게 해석하자면 포경한 남자들을 속칭으로 부르는 것. 포경을 안 하면 겉껍질 때문에 둥글지 않지만, 포경을 하면...[27] 이 때의 팬티는 젖꼭지를 고스트라고 생각했고, 스타킹은 자신이 먹으려고 한 디저트라고 한다.[28] 노래는 Fly away now.[29] 피까지 그대로 표현된다. 본편에서 뇌가 보였던 캐릭터는 좀비와 자크밖에 없던 걸 보면 의외. 가위로 팬티의 머리카락과 더불어 머리까지 잘라버렸다.[30] 사람에 따라선 기괴함을 느낄 수도 있다. 평소 그림체도 아니고 8등신 모습으로 팔다리만 덜렁거리기 때문.[31] 이때 줄을 잡아당기는 손은 팬티의 손. 어째서 팬티인지는 알 수 없다.[32] 2010 ~ 2011년 가이낙스 공식 홈페이지 대문에 장식된 일러스트. 전투태세에 돌입한 브리프와 가터벨트, 이들과 협력하는 것으로 보이는 데이먼 자매가 전면에 부각되어 있다. 스타킹을 닮은 거대한 고스트 위엔 코르셋이 올라가 있으며, 십자가 위엔 자크와 파스너, 그리고 정체불명의 천사가 보인다.[33] 일단 해당 칼럼에는 2014년 경에도 자신이 관여하지 않은 어느 작품이 타 회사에 매각된 사례가 있었다고 언급되었다. 다만, 그 작품이 팬스가인진 알 수 없다.[34] 사실 이 시기부터 이미 가이낙스는 쇠퇴의 길을 걷고 있었고, 결국 저작권 인수 및 애니 제작 발표 이후인 2024년에 파산했다.[35] 낭떠러지는 둘이 버림받았다는 것, 괴물 앞에서 떨고있는 모습은 그 이후 다른 어른들이나 둘을 주워 키운 어른에 대한 공포, 원형 톱날과 구속된 모습은 그 학대를 의미하며 마지막엔 버려지고 결국 죽어서 천사가 되었다라는 식으로 보인다.[36] 죽는 모습이 확실히 표현된다.[37] 옆에는 이미 머리에 총을 맞아 죽어있는 인물이 있는데, 피부색과 머리모양을 보아 니삭스로 추정.[38] 비정기적으로 평균 3~4주에 1번 꼴로 업데이트되었다.[39] 분량은 1번 업데이트 될 때마다 1페이지씩 올라왔는데, 그마저도 후반에는 2~4컷 정도로만 구성되고 말풍선도 한두 개 있을까 말까한 액션씬만으로 때워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