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7 02:33:32

읍니다

한국어 문체 문법의 종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7cefa,#01558a> 존댓말
(높임)
아주높임
하십시오체
(하소서체)
예사높임
하오체
두루높임
해요체
낮춤말
(낮춤)
아주낮춤
해라체
예사낮춤
하게체
두루낮춤
해체
(반말)
구어체 음성적 잉여표현 반언어적 표현 비언어적 표현
문어체 간결체 만연체 강건체 우유체 건조체 화려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국문법 맞춤법
모아쓰기 / 풀어쓰기 띄어쓰기 가로쓰기/세로쓰기
국한문혼용체 국한문병용체 한영혼용체 병기 (한자 병기)
개조식 발음대로 적기 읍니다 압존법
일반 문체 / 방언 문체
}}}}}}}}} ||

1. 설명2. 활용례
2.1. 개정 후
3. 개정 및 이유4. 발음5. 매체6. 비하적 의미7. 과도교정8. 기타

1. 설명

하십시오체의 옛 어미. 1988년 한글 맞춤법 시행 전인 1989년 2월까지는 이것이 정확한 표기였고, 흔히 말하는 국민학교 세대 사이에서도 읍니다체 마지막 시절인 1988년에 국민학교에서 국어를 배운 사람들은[1] 이것을 정확한 표현으로 배웠다.[2]

1933년 맞춤법 통일안 제정 이후의 표기법은 모음 뒤와 'ㄹ' 받침 뒤에는 '-ㅂ니다'를[예1], 'ㄹ'과 'ㅆ', 'ㅄ'이 아닌 받침 뒤에는 '-습니다'를[예2], 'ㅆ', 'ㅄ' 받침 뒤에는 '-읍니다'를[예3] 사용하는 것으로 확립되었는데, 이러한 표기법이 생긴 까닭은 /ㅆ/를 /ㅅ/와 /ㅅ/의 합으로, 곧 쌍자음도 자음군으로 여기고 연음을 적용한 것으로서 이 표기의 연원은 종래에 '오빠' 등을 '옵바'처럼 적은 등과 '잇습니다'와 '업습니다'처럼 쓰던 종래의 표현을 각각 '잇습니다(잇다)'와 '있읍니다(있다)'로, '업습니다(업다)'와 '없읍니다(없다)'로 나눈 등으로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로 '-읍니까'도 있었다.

2. 활용례

파일:attachment/요금소/seoul.jpg
잘 오셨읍니다. 여기서부터 서울입니다[6]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C%A1%B0%EB%A6%AC%EB%8F%8C%EB%A6%BC.jpg
는 깡패 입니다
국민의 심판을 받겠읍니다[7]

파일:kbs읍니다.jpg
[8]
신뢰받는 방송이 되겠읍니다[9]
1988년 말까지도 맞춤법에 상대적으로 민감한 공영방송에서도 '읍니다'를 사용했다. 마지막으로 '읍니다'가 자막에 표기된 건 1990년대 초 방영 MBC 드라마 여명의 눈동자.

파일:external/ph.kyongbuk.co.kr/930784_220672_4710.jpg
언제든지 오시면 열차를 이용할수 있읍니다.[10]

파일:MSX IQ-2000 Tutor scrshot eupnida.png
아이큐 교실은 컴퓨터를 처음 배우는 분들을 위하여
컴퓨터의 기초적인 사용 방법을 설명함으로써,
아이큐 2000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읍니다[11]

공동번역성서 구판은 신약이 1971년에, 구약이 1977년에 나온 관계로 전부 다 '-읍니다'체를 사용하였으나, 1999년 개정판이 났을 때 현행 맞춤법에 맞게 수정되었다.

1980년 김재규가 항소했을 때 쓴 항소이유 보충서에도 이 문체가 많다.

2.1. 개정 후

현기차 버스에 출입문 비상용 밸브 경고문 하단에 "비상시 또는 정비시 비상밸브의 레버를 화살표 방향으로 돌리면 도어를 손으로 열고 닫을 수 있다."라는 경고 문구가 있는데(천장의 환기통을 여닫는 경고문에도 '읍니다'로 표기되어서 나온다.), 이는 고쳐지지 않고 '읍니다'로 표기되어서 나온다. 아이러니하게도 차내의 원형 거울의 경고 문구나(도시형 버스 한정) 차내 몇몇 경고 문구는 '-습니다'로 제대로 표기되어서 나온다.

1994년에 처음으로 출시되어 1998년 초까지 생산된 금영엔터테인먼트뮤직파트너 9000시리즈, 코러스 88/99시리즈 반주기에서 없는 곡을 선곡하면 "선곡하신 곡이 없읍니다."로 나온다.

2019년 OB맥주 뉴트로 한정판이 나온 시기에 '돌아왔읍니다'가 적힌 포스터가 나오기도 했다.

위의 비하적 의미로 사용하는 것 밖에도 가끔식 일부러 인터넷에서 '-읍니다'를 사용하는 네티즌이 있는데, '-읍니다'를 모르는 저연령층, 또는 '-읍니다' 세대가 아닌 유저들이 뭣도 모르고 맞춤법을 어긋났다며 이를 지적하다가 조롱을 당하는 경우도 있다. 맞춤법에 어긋난것이 맞다.

3. 개정 및 이유

<병서> 문서에도 있는 내용으로서 글자 모양 때문에 헷갈릴 수 있지만 쌍자음 /ㅆ/는 앞 음절의 종성 /ㅅ/와 뒤 음절의 초성 /ㅅ/로[12] 발음하는 자음군이 아니고 앞 음절의 종성 /ㅅ/과 뒤 음절의 초성 /ㅅ/로 쪼갤 수 없는 된소리 단일 자음이다. 곧, 두 음가 /s/+/s/가 아닌 단일 음가 /s͈/이고,[13] '있읍니다'의 발음은 [읻씀니다]가 아닌 [이씀니다]이다. 이는 다른 쌍자음 /ㄲ, ㄸ, ㅃ, ㅉ/도 마찬가지.[14]

//는 /ㅆ/와 달리 앞 음절 /ㅂ/과 뒤 음절의 초성 /ㅅ/로[15] 발음하는 자음군이지만 어떻거나 자음이므로 '넓습니다'와 '끓습니다'처럼 자음 뒤에 오는 '-습니다' 앞에서 자음군이 단순화되는 것으로 본다.

쌍자음의 형태도 그렇고, 현대 맞춤법 기준으로 자음군은 초성 자리에 쓸 수 없으니 쌍자음은 초성 자리에서는 된소리 단일 자음이 되고 종성 자리에서는 자음군이 되는 것으로 인정할 수도 있었지만 사실, 선어말 어미이자 '-습니다'의 본말인 '-사옵니다'는 '-ㅅ' 뒤에 쓴 때도 '-아옵니다'로 안 바꾸고, 그러니까 '있아옵니다', '없아옵니다'처럼 안 쓰고 처음부터 '있사옵니다', '없사옵니다'처럼 쓰고 있었으니, 곧 자음군 단순화를 처음부터 인정한 셈이니 유독 '-습니다'의 이형태인 '-읍니다'만 인정할 이유는 그다지 없었다.

'-읍니다'와 '-습니다'의 구별 및 '-읍니까'와 '-습니까'의 구별이 인위적이라는 이유로 용언 어간이 'ㄹ'이 아닌 자음으로 끝난 어간 뒤에는 모두 '-습니다'/'-습니까'를 붙이는 것으로 정리하여 자음으로 끝난 어간 '먹-', '잡-' 뒤에 '-습니다'/'-습니까'를 쓰듯이 '있-'과 '없-', '--' 뒤에도 '-습니다'/'-습니까'를 붙인다(모음 뒤와 'ㄹ' 뒤에는 그대로 '-ㅂ니다'/'-ㅂ니까'를 쓴다).

4. 발음

'-습니다'로 바뀐 뒤, '-읍니다'로 쓰인 문구를 읽을 때 표기가 다름을 강조하고자 앞 음절과 연음하지 않고 약간 휴지를 두며 끊어서 읽는 일이 많다. 예를 들면, '났읍니다'는 [낟 음니다]로.

'있습니다'의 발음은 /있습니다/→/읻습니다/(평파열음화)→/읻씁니다/(경음화)→[읻씀니다](비음화)가 되고, '없습니다'의 발음은 /없ː습니다/→/업ː습니다/(자음군 단순화)→/업ː씁니다/(경음화)→[업ː씀니다](비음화)가 된다. 다만 실제로는 억지로 [ㄷ] 받침을 말하지 않고 [이씀니다]로 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곧, 해당 옛 맞춤법이 발음으로는 남아 있는 것.

'-읍니다' 문제의 별개로 '종성 [ㄷ] + 초성 [ㅆ]'가 성립하는지에는 논란이 다소 있다. [읻씀니다]를 국제음성기호로 옮기면 [it̚.s͈ɯm.ȵi.dɐ]가 될 텐데, 한국어에는 (북부 일부 방언권을 제외하면) 음운적으로든 음성적으로든 [t̚.s͈]와 같은 음은 없기 때문이다.[16] 또,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 'ㄷ+ㅅ'을 'ts'로 적어도 다른 음과 혼동 가능성이 없는데도 'ss'로 적는다. 따라서 음절의 끝소리이면 일반적으로는 [ㄷ]로 불파음화되나 'ㅅ[ㅆ]' 앞에서만은 [ㄷ]이 발음되지 않고 ㅅ을 된소리로 만든 후 [ㄷ]이 탈락하는 것이다. 즉, 있습니다[읻씁니다→이씁니다→이씀니다]. 개정 전 표기인 '있읍니다'를 대부분 끊어서 말하는 이유는 '있습니다', '있읍니다' 둘 다 [이씁니다]로 똑같은 발음을 해서로 볼 수 있다.

표준 발음법에서는 '음절 종성 [ㄷ] + 음절 초성 [ㅆ]'의 성립과 관련하여 모호한 입장을 두고 있다. 제23항에서 '낯설다'를 [낟썰다]로 적어 두었지만, 제12항에서 '닿소'는 [다쏘]로 적어 두었다. 어말 자음이 /ㅊ/든 /ㅎ/든 종성 위치에서 [ㄷ]로 평폐쇄음화되는 것은 분명한데, '낯설다'에는 이를 인정하여 [낟썰다]로 두었지만, '닿소'에는 [닫쏘]가 아닌 그냥 [다쏘]로 두었다.[17][18] 같은 이유로서 '놓소'는 [노쏘]가 된다. 실제 발음을 고려해 받침 [ㄷ] + /ㅅ/은 /ㅎ/ + /ㅅ/과 같이 [ㄷㅆ]이 아닌 [ㅆ]가 된다고 따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낯설다[나썰다], 닿소리[다쏘리]).

5. 매체

  • 더티페어 시리즈: TVA 오프닝 테마 영상에서 ロ・ロ・ロ・ロシアン・ルーレット 마지막 화면을 살펴보면 '모든 문제를 해결하겠'읍'니다.’라고 화면에 표시된다.

6. 비하적 의미

2010년대 이후의 인터넷상에서는 '-습니다'에 못 적응한 아재, 노인들을 비꼬는 단어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인터넷에 서툰 중장년, 노인층들이 상대적으로 익명성이 중요시되는 환경에도 못 적응하고 인터넷에서도 현실에서처럼 자신의 의견 등을 강요하거나 나이를 강조하는 등 티를 팍팍 내고 꼰대질을 하는 일이 있는데, 이러는 사람들을 비꼬는 뜻으로 '-읍니다'를 쓰기 시작한 것. 국민학교때 읍니다체를 마지막으로 배운 1981년생까지는 흔한 풍경이지만 맞춤법이 개정된 1989년 이후에 국민학교에 입학한 1982년생부터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1981년생이면 현재 나이가 42살이라, 중년층에 진입했기 때문에 '읍니다'를 쓰면 중장년, 노년 취급받는다.

디시인사이드 말고도 여러 사이트에서 이를 사용하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는데, 특히 노인들이 많은 에서는 진짜 고연령 유저들이 쓰는 일도 자주 보이고, 비하적 의미로도 자주 쓰인다.

파일:attachment/앙망하옵니다/ang.jpg
김대중 전 대통령이 1980년대 당시에 미국으로부터의 석방 압박으로 석방 조치되면서 당시에 대통령이던 전두환이 미국의 석방 조치에 대한 독재자로서의 최소한 자존심을 세우기 위해 비공개를 조건으로 하고 받아낸 탄원서에 '-읍니다'를 쓴 것이다.

파일:external/weekly.cnbnews.com/1237a.jpg
이명박 전 대통령이 2007년 대선 후보 시절에 공문서와 방명록에 '-읍니다'를 사용한 바 있어 조롱거리가 된 적이 있다. 게다가 문법적으로도 맞지 않는 부분도 많으며,[20] '이명박' 역시 특유의 필체 탓에 \'어맹뿌\'로 보이게 되었다. 이때는 위의 김대중 대통령의 예와는 달리 이미 모든 출판물, 방송 프로그램 등까지 '-읍니다'가 '-습니다'로 교정된 지 10여 년이 지났으나 교정치 아니한 데다가 문법에도 문제가 많아 지적된 부분이다. 이명박 본인이 2021년에 작성한 편지를 보면 '-읍니다'로 쓰던 습관을 결국 고친 듯하다. #1 #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어맹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더한 직설적이자 무례한 표현인 "아재, 꼬추 서요?"도 있는데, 2010년 이후로는 '-읍니다'보다 이 표현이 더 널리 쓰인다. "척추 서요?"도 있는데, 이 경우는 대상 연령층이 높아지는 일이 많다. "할배, 척추 서요?"가 예. 2010년대 중순부터는 틀딱이라는 말이 퍼지면서 이쪽이 자주 쓰였고, 2020년대 초반 들어서는 틀딱의 맨 앞글자만 따서 '틀'이라고만 놀린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성비 댓글 문서
번 문단을
용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과도교정

파일:한국에 오게되어 매우 좋읍니다.jpg
한국에 오게되어 매우 좋읍니다[21]
개정 전에는 어미를 무조건 '-읍니다'로 끝내는 게 옳다고 생각했는지 당시 문서에는 '좋읍니다', '많읍니다', '않읍니다' 같은 잘못된 표현도 많이 쓰였다. 옳은 표현은 '좋습니다', '많습니다', '않습니다'. 참고로, '이렇-'은 '이러하-'의 준말이고 '않-'은 '아니하-'의 준말이므로 본딧말대로 적으면 '이렇습니다(이러하-습니다)'와 '않습니다(아니하-습니다)'는 각각 '이러합니다(이러하-ㅂ니다)'와 '아니합니다(아니하-ㅂ니다)'가 되고, 이와 비슷하게 '않는다(아니하-는다)'는 '아니한다(아니하-ㄴ다)'가 된다.[22] 물론 '그는다'와 '디는다'같이 어간이 '느'나 '늘'로 끝난 말은 '그느-' + '-ㄴ다', '디늘-' + '-ㄴ다' 같은 형태이므로 '근다'와 '딘다'가 아니고 '그는다', '디는다'가 옳다.

이 개정건으로 말미암아 '없음'과 '있음'도 '없슴'과 '있슴'으로 바뀐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도 많은 듯하다. 그렇게 따지면 '이음', '업음' 따위도 규칙상으로 '잇슴', '업슴' 따위로 생각해야 된다.

파일:external/archivenew.vop.co.kr/04044107_1_00000.jpg
사랑비: 1970년대 당시 캐릭터를 연기한 윤아가 편지를 쓴 때 '-읍니다'를 사용했다. 언론인들은 고증을 잘 반영했다고 호평했는데, 사실 위의 '됐읍니다'는 맞았지만, '고맙읍니다'는 틀렸다. 당연히 '고맙습니다'가 옳은 표현. 더구나 '고맙다'는 불규칙 활용 형용사이기에 설혹 '-읍니다'가 옳으면 '고마웁니다'로 써야 된다. 유일하게 틀렸다고 지적한 기자와, 극소수의 네티즌만 이상하다고 여겼다.

일부 커뮤니티에서 특정 정치인 사진만 보면 항상 달리는 댓글 가운데 하나도 '그립읍니다'이다. '-습니다'도 쓰이긴 하지만 좀 더 감칠맛을 살리는 원본이 '-읍니다' 이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전자가 권장된다고. 그러나 '그립다'는 상술된 '고맙다'와 같이 불규칙 활용 형용사이기에 '-읍니다' 꼴로 나타낼 때는 '그리웁니다'가 바르다.

8. 기타

1960년대 후반~1970년대 초중반 출생자들은 위와 같은 맞춤법 개정을 10~20대 초반에 받아들여 '-읍니다' 형의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매우 드물지만, 상대적으로 늦은 20대 중후반 때 받아들인 1960년대 초반, 중반 출생자 사이에서는 종종 쓰이며, 1950년대 이전 출생자들은 2019년에도 여전히 '-읍니다' 형의 표현을 꽤 사용하였다. 60년대 이후생이면서 읍니다체를 쓰는 사람은 대체로 인터넷에 익숙지 않은 사람이며, 시행 전인 1986~89년 무렵에는 '-읍니다'와 '-습니다'를 같이 혼용해서 쓰는 일도 많았으며,[23] 시대가 바뀌며 계속적으로 '-습니다'를 보면서 자연스레 바뀐다.

'그을다', '모으다'같이 어간이 '을'이나 '으'로 끝난 말은 '그을-' + '-ㅂ니다', '모으-' + '-ㅂ니다' 같은 형태이므로 그대로 '그읍니다', '모읍니다'가 옳다. '모습니다'도 아니고 '몹니다'도 아니며, '그을습니다'와 '그을읍니다' 둘 다 아니다. 또한 '그슬다'처럼 어간이 '슬'로 끝난 말은 '그슬-' + '-ㅂ니다' 형태이므로 '급니다'나 '그슬습니다'가 아니고 '그습니다'이다. '녹습니다'의 형태는 '녹- + -습니다'(녹다)와 '녹슬- + -ㅂ니다'(녹슬다) 두 가지인데, 여기에 사물존칭을 붙이면 '녹으십니다'와 '녹스십니다'로 달라지고, 비슷하게 '넘는다'의 형태는 '넘- + -는- +다'(넘다)와 '넘늘- + -ㄴ- + -다'(넘늘다)로서 존칭을 붙이면 '넘으신다'와 '넘느신다'로 달라진다.

북한에서는 소련군정 시기부터 '-습니다'를 사용한다. 즉, 분단된 이래로 북한에서는 '-읍니다'를 사용한 적이 없다.

파일:그대를흔들어놓겠오.jpg
하오체로 쓴 때도 '있오', '없오', '있읍디다', '없읍디다'처럼 적었다. 사진은 MBC에서 방영한 프레디 머큐리의 콘서트.


[1] 1988년에 국민학생은 1976년생부터 1981년생까지다.[2] 읍니다체를 배운 마지막 세대인 1981년생은 국민학교 1학년이던 1988년 '바른생활' 시간에 '-읍니다'를 썼으나 맞춤법이 개정된 2학년부터는 '-습니다체로 배웠다고 한다.[예1] '녹습니다'(녹슬다), '모읍니다'(모으다), '배웁니다'(배우다), '웁니다'(울다) 등; 'ㄹ' 받침 뒤에는 매개모음이 안 붙는 것과 비슷하다.[예2] '녹습니다'(녹다), '업습니다'(업다), '잇습니다'(잇다), '끓습니다'(끓다) 등[예3] '녹겠읍니다'(녹겠다), '없읍니다'(없다), '있읍니다'(있다), '했읍니다'(하였다) 등[6]서울요금소로서 경부고속도로 서울만남의광장휴게소 자리에 있었다.[7] 혁명재판에서 1961년에 사형을 선고받은 이정재 등이 조리돌림을 당한 때의 모습.[8] 재생하자마자 바로 나온다.[9] 읍니다체의 끝자락 시절인 1988년 11월 16일자 KBS에서 방영된 내용.#[10] 1985년 대구역 모습. 참고로 띄어쓰기가 틀렸다.[clearfix]'이용할 수'로 적어야 한다.[11] 대우전자MSX 기종 8비트 컴퓨터 중 한 가지인 IQ-2000에 내장된 튜토리얼 프로그램의 스크린샷.[12] 음운적으로는 /ㅅ/+/ㅅ/, 음성적으로는 [ㄷ\]\(평파열음화)+[ㅆ\]\(경음화).[13] 단일 음가임은 다름없지만 된소리를 다룬 국제음성기호 표기는 아직 통일되지 않아서 /s͈/ 밖에도 학자별로 /s’/, /s˭/, /ˀs/ 등을 사용한다.[14] 상식적으로 '오빠'의 발음은 그냥 [오빠\]일 뿐, [옵빠\]가 아니다.[15] 음운적으로는 /ㅂ/+/ㅅ/, 음성적으로는 [ㅂ\]+[ㅆ\]\(경음화).[16] [t\]가 불파음이 되고 음절 경계가 있긴 하지만 어떻거나 치경 파찰음과 유사한 [t̚.s͈\]가 나야 한다.[17] 물론 앞 음절 종성이 표기상으로 'ㅎ'일 때는 뒤의 /ㅅ/가 된소리로 바뀌고 'ㅎ'은 탈락하지만, 앞 음절 종성이 'ㅎ' 외의 자음이면 /ㅅ/의 경음화는 똑같이 일어나되 앞 음절 종성이 탈락되지 않고 평폐쇄음화를 적용한 [ㄷ\]로 발음되는 것으로 분류할 수는 있다.[18] 평-경-격음이 있는 여타 파열음, 파찰음과 달리 한국어에서 치경 마찰음 'ㅅ' 계열은 평-경음, 즉 /ㅅ/와 /ㅆ/밖에 없으므로 /ㅎ/와 여타 평파열음, 평파찰음이 만났을 때 격음화되는 것과 달리 /ㅅ/는 /ㅎ/와 만나면 경음 [ㅆ\]가 된다는 시각도 있다.[19] 물론 어머니는 진주가 한글을 그대로 그리는 적는 거라고 한다(...).[20] 교정 부호로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날짜를 쓸 때 마침표로 구별하는 때는 끝에도 마침표를 찍어야 옳다. 즉, \'2007. 6. 6.'이 올바른 표기.[21] 88 서울올림픽 당시 한국에 온 각 나라 선수들과 인터뷰한 것이다.[22] 앞 형태소에 받침이 있으면, '-습니다', 없으면 '-ㅂ니다'. 앞 형태소에 받침이 있으면 '-는다', 없으면 '-ㄴ다'.[23] 1985년에 맞춤법 개정이 시작되어 1987년에 발표, 확정이 이뤄졌고, 1988년에 개정 맞춤법이 고지되었으며, 1989년에 시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