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492DA><colcolor=#fff>문자 | 한글 · 옛한글 · 한자 · 한글 점자 | |
표기 | 한글전용 · 국한문혼용체 · 한글 전 한국어 표기 (이두 · 향찰 · 구결) · 맞춤법 (역사) | ||
시대별 분류 | 한국조어 · 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 ||
국가별 표준 | 남한 표준 · 북한 표준 | ||
방언 | 한국어의 방언 | ||
관련 언어 | 예맥어† · 고구려어† · 백제어† · 신라어† · 가야어† · 발해어† · 탐라어† · 부여어† · 제주어 · 육진어 · 한국수어 | ||
관련 문서 | 한국어 문법 · 한국 한자음 · 한국어족 · 한국어의 외래어 · 존비어 문화 · 한자 사용 · 한글의 문제점과 논쟁 한글로 쓸 수 없는 발음 · 한글로 쓸 수 없는 음소 | ||
타 문자 전사 | <colbgcolor=#3492DA><colcolor=#fff> |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 · 표기법별 대조표 |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 예일식 표기법 · ISO식 표기법 · 한글학회 로마자 표기법 · 한글을 로마자로 적는 법 · 한세회식 표기법 · 유만근식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 김복문식 표기법 · 양병선식 표기법 · 21세기 표기법 · 국립국어원식 표기법 · 루코프식 표기법 · 홀로도비치 표기법 | |||
한국어의 키릴 문자 표기 | |||
홀로도비치 표기법 · 콘체비치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 |||
국어의 가나 문자 표기법 | }}}}}}}}} |
한국어 문체 및 문법의 종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87cefa,#01558a> 존댓말 (높임) | 아주높임 하십시오체 (하소서체) | 예사높임 하오체 | 두루높임 해요체 | |||||||||
낮춤말 (낮춤) | 예사낮춤 하게체 | 아주낮춤 해라체 | 두루낮춤 해체 (반말) | ||||||||||
구어체 | 음성적 잉여표현 | 반언어적 표현 | 비언어적 표현 | ||||||||||
문어체 | 간결체 | 만연체 | 강건체 | 우유체 | 건조체 | 화려체 | |||||||
비표준 표기 | 국한문혼용체 | 국한문병용체 | 한영혼용체 | 보조어 병기 | |||||||||
개조식 | 발음대로 적기 | 읍니다 | 압존법 | ||||||||||
문법 | 로마자 표기법 | 외래어 표기법 | 국문법 | 맞춤법 | |||||||||
모아쓰기 / 풀어쓰기 | 띄어쓰기 | 가로쓰기/세로쓰기 | |||||||||||
일반 문체 / 방언 문체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3f7f5,#203030><tablebgcolor=#e3f7f5,#203030> | 한글 맞춤법 한글 맞춤法 Spelling System of Hangul The Rules of Korean Spelling |
<colbgcolor=#008879,#003324><colcolor=white> 지위 | 규칙 (고시) |
제정 | 1988년 1월 19일 문교부고시 제88-1호 |
현행 | 2017년 3월 28일 문화체육관광부고시 제2017-12호 |
소관 | |
링크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한국어의 현행 맞춤법 규정. 언어의 사회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2. 특징
제명이 '한글 맞춤법'인데 법률(法律)이라서 '법(法)'을 쓴 것은 아니고, 방법(方法)이라서 '법(法)'을 쓴 것으로 보인다.두음 법칙과 띄어쓰기 규정은 전부 여기에 담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