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6:21

가야어

'''한국어족
Koreanic Language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어
고대 한국어†
[[부여어족|{{{#!wiki style="background: #cdcdcd; margin: 1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중세 한국어 † 근대 한국어† 현대 한국어
[[대한민국 표준어|{{{#!wiki style="background: #2449a6; margin: 1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제주어
탐라어† 제주어*
: 고어
* 한국어의 방언으로 분류되기도 함.
}}}}}}}}}
가야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한국어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3492da><colcolor=#fff> 문자 한글 · 옛한글 · 한자 · 한글 점자
표기 한글전용 · 국한문혼용체 · 한글 전 한국어 표기 (이두 · 향찰 · 구결) · 맞춤법 (역사)
시대별 분류 한국조어 · 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국가별 표준 남한 표준 · 북한 표준
방언 한국어의 방언
관련 언어 고구려어 · 백제어 · 신라어 · 가야어 · 발해어 · 탐라어 · 제주어 · 육진어 · 한국 수어
관련 문서 국문법 · 한국 한자음 · 한국어족 · 한국어의 외래어 · 존비어 문화 · 한자 사용 · 한글의 문제점과 논쟁 ·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 · 국어기본법 · 점자법 · 한국수화언어법
타 문자
전사
<colbgcolor=#3492da><colcolor=#fff> 로마자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 · 표기법별 대조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 예일식 표기법 · ISO식 표기법 · 한글학회 로마자 표기법 · 한글을 로마자로 적는 법 · 한세회식 표기법 · 유만근식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 김복문식 표기법 · 양병선식 표기법 · 21세기 표기법 · 국립국어원식 표기법 · 루코프식 표기법 · 홀로도비치 표기법
키릴 문자 한국어의 키릴 문자 표기
홀로도비치 표기법 · 콘체비치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가나 국어의 가나 문자 표기법 }}}}}}}}}

파일:백제 군기.svg
백제
관련 문서 · 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8080>관련 문서인물 · 역사 · 왕조 · 왕비 · 왕릉 · 언어 · 부흥운동 · 후백제
관련 틀백제 · 역대 국왕 · 역대 태자 · 역대 왕후 · 제후 및 비정통 국왕 · 시조 · 역대 백제 좌우보 · 역대 상좌평 · 대외전쟁 · 대외관계 · 왕실 · 왕릉 · 도성 및 궁궐 · 틀:마한의 국가 · 백제삼서 · 백제/디자인 · 부흥운동 · 무기
기타대성팔족 · 은제관모장식(백제) · 여·철자형 주거지 · 정읍사}}}}}}}}}
가야어
가라어 | 伽耶語, 加羅語
Kara language
파일:가야 지도.png
자주색가야어를 사용했던 지역.
<colcolor=#fff><colbgcolor=#003074> 유형 교착어[1]
어순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서자방향 우종서 (오른쪽부터 세로쓰기)
문자 한자
주요 사용 지역 한반도 남부[2]
원어민 모국어 화자 없음
계통 한국어족 혹은 일본어족
언어
코드
<colcolor=#fff><colbgcolor=#003074> ISO 639-1 -
ISO 639-2 -
ISO 639-3 zra
글로톨로그 -
1. 개요2. 상세3. 분류

[clearfix]

1. 개요

加耶語, 伽倻語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가야어 항목

가야에서 사용했던 언어로, 7세기쯤 사멸됐다. 사멸 후 신라어에 자연스럽게 흡수되었다. ISO 639-3 및 링귀스트 리스트에서의 언어 코드는 'zra'이다. '가라어'라고도 한다.

2. 상세

가야에서 특정 언어를 사용했고, 이를 문자로 기록했음은 확실하다. 벼루, 과 같은 유물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가야의 언어와 관련된 직접적이고 명확한 기록은 굉장히 소략하다. 현전하는 명시적인 기록은 삼국사기 사다함 열전의 대목이 유일하다.
及抵其國界, 請於元帥, 領麾下兵, 先入旃檀梁. 【旃檀梁, 城門名. 加羅語, 謂門爲梁云.】
그 국경에 이르자 원수(元帥)에게 청하여 휘하 병사를 거느리고 먼저 전단량(旃檀梁)으로 들어갔다. 【전단량은 성문의 이름이다. 가라(加羅) 말로 문(門)을 양(梁)[3]이라 했다고 한다.】
삼국사기》 권44 〈사다함 열전〉 中

비교적 분명히 확인되는 또다른 가야어 어휘로는 고해(古奚), 산반해(散半奚), 만해(滿奚), 마차해(麻且奚) 등 가야의 지명에서 나타나는 접미사 해(奚)가 있다. 이는 백제 지명에서 (城)을 뜻하는 접미사 혜(兮)·하(下)·지(支/只)[4]와 동계어로 보이며, 실제 발음은 *kɛ로 재구된다. 반파국의 외교관 고전해안라국의 외교관 이탄해, 신이해(辛已奚)의 이름에서도 같은 단어가 보이는데, 고대 한국 인명에 지명 요소가 들어가는 것은 그리 드문 일이 아니었다.[5]

이외에도 가야의 여러 소국명과 지명[6], 인명[7]을 비롯한 고유명사 자료가 가야어 연구에 도움이 된다. 가야의 왕호 한기(旱岐: *kankɛ)는 신라 금석문에서 관등 끝에 붙는 간지(干支)와 같은 단어이며,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가야 왕 기본한기의 이름 기본(己本: *kɛpɔr)은 백제어·신라어의 기부리(己富里)·거벌(居伐)과 같은 단어로서 현대어 고을로 이어진다.

가야인이 당대에 만든 것으로 확인되는 (혹은 추정되는) 자료는 합천 매안리비[8], '大王'명이 새겨진 뚜껑이 있는 긴 목 항아리, '下部思利利'명이 새겨진 짧은 목 항아리, 그리고 토기에 남아 있는 '二得知', '井', '+' 등이 새겨진 것 정도이다.

3. 분류

한국어족에 속해 있지만, 초기의 가야어는 일본어족에 속한다는 주장이 있는데 이는 아래 문단에 후술한다.

3.1. 반도 일본어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반도 일본어설 문서
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가야어가 일본어족에도 속한다'라는 주장도 있다. 미국언어학자알렉산더 보빈은 지명 및 인명을 분석한 결과를 통해, 초기의 가야어가 일본어족에 속한다고 추정하고 있다. 같은 가설에서 보빈은 가야의 언어가 후대에는 고대 한국어로 서서히 대체되었다고 보는데, 이는 한국어와 동계로 추정되는 고구려어의 영향으로 인한 결과로 생각했다.[9] 만약 초기 가야어가 일본어족이라는 주장이 정설이다면 반도 일본어설에 대한 증거가 될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한국어족과 일본어족 모두 하위 언어들이 교착어이기에 교착어였음은 거의 확실하다.[2] 그 중 가야의 영토에서 주로 사용.[3] 당시에는 '돌'에 가까운 발음으로 훈독했다.[4] 삼국시대 당시에는 ㄱ으로 시작했다.[5] 당장 신라 상대 인명에서 자주 쓰인 접미사 부(夫)·부례(夫禮)는 벌판을 뜻하는 부리(夫里)와 같은 단어다. 알천, 금천, 구진천, 동타천, 횡천, 성천, 술천, 원천, 철천 등 내 천(川) 자로 끝나는 인명들도 더러 있고, 인명 끝에 종종 보이는 품(品) 역시 근암성(近巖城)과 근품성(近品城)의 이표기 관계를 고려하면 바위 암(巖)의 이체자 嵒을 간략화한 것으로 추정된다.[6] 삼국사기우륵이 작곡한 것으로 기록된 가야금 12곡의 곡명 역시 가야의 지명으로부터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7] 삼국사기, 삼국유사, 일본서기, 신찬성씨록 등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8] 가야에서 세운 비석인지 사실 논란이 좀 있는 비석이기는 하지만, 가야의 비석이 맞다면 현존하는 유일한 가야 비석이다. 비문은 마모가 심해 몇 자 판독할 수 없지만, '干支', '村'과 같은 문자가 남아 있다.[9] 알렉산더 보빈광개토대왕금관국을 침공한 것이 가야에서 일본어족 계통 언어가 쇠퇴하는 데에 결정타가 되었다고 추정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0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0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