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3492da><colcolor=#fff> 문자 | 한글 · 옛한글 · 한자 · 한글 점자 | |
표기 | 한글전용 · 국한문혼용체 · 한글 전 한국어 표기 (이두 · 향찰 · 구결) · 맞춤법 (역사) | ||
시대별 분류 | 한국조어 · 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 ||
국가별 표준 | 남한 표준 · 북한 표준 | ||
방언 | 한국어의 방언 | ||
관련 언어 | 고구려어† · 백제어† · 신라어† · 가야어† · 발해어† · 탐라어† · 제주어 | ||
관련 문서 | 국문법 · 한국 한자음 · 한국어족 · 한국어의 외래어 · 존비어 문화 · 한자 사용 · 한글의 문제점과 논쟁 ·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 · 국어기본법 · 점자법 · 한국수화언어법 | ||
타 문자 전사 | <colbgcolor=#3492da><colcolor=#fff> 로마자 |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 · 표기법별 대조표 |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 예일식 표기법 · ISO식 표기법 · 한글학회 로마자 표기법 · 한글을 로마자로 적는 법 · 한세회식 표기법 · 유만근식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 김복문식 표기법 · 양병선식 표기법 · 21세기 표기법 · 국립국어원식 표기법 · 루코프식 표기법 · 홀로도비치 표기법 | |||
키릴 문자 | 한국어의 키릴 문자 표기 | ||
홀로도비치 표기법 · 콘체비치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 |||
가나 | 국어의 가나 문자 표기법 | }}}}}}}}} |
언어별 로마자 표기법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492da> 한국어 | 프랑스식 - 한글학회식 - 예일식 - 48년 문교부식 - 59년 문교부식 - M.R. 식 - 00년 문광부식 - 김복문식 - 국립국어원식 한세식 - 유만근식 - 양병선식 - 홍승목식 - 86년 북한식 - 97년 북한식 - ISO/TR 11941 |
일본어 | JSL - 훈령식 - 일본식 - 헵번식 - 포르투갈식 | |
표준중국어 | 우정식 - W.G.식 - 화어통용병음 - 국어라마자 - 주음부호 2식 - 예일식 - 한어병음 | |
광동어 | 월어병음 - 광동어 예일식 표기법 - 광주화병음 - 홍콩 정부식 - 마카오 정부식 | |
민어 | 민남어백화자 - 대라병음 - 대어통용병음 - 조주화병음 - 해남병음 | |
객가어 | 객가어백화자 - 객가어병음 - 객어통용병음 - 객가화병음 | |
아랍어 | BGN/PCGN - UNGE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 |
페르시아어 |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 UN식 | |
아르메니아어 |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5 | |
조지아어 | 조지아 정부식 -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4 | |
그리스어 | ELOT 743 - 미국 의회도서관식 | |
히브리어 | 이스라엘 정부식 - ISO 259 | |
힌디어 | IAST - 헌터식 | |
티베트어 | 와일리 표기법 - 장어병음 | |
타이어 | ISO 11940 - 왕립학회식 | |
벨라루스어 | BGN/PCGN - 벨라루스 정부식 - 라친카 - ISO 9 | |
불가리아어 | 불가리아 정부식 - ISO/R 9 | |
러시아어 | BGN/PCGN - GOST 7.79-2000 - ISO 9 | |
우크라이나어 | BGN/PCGN - 우크라이나 정부식 - ISO/LN 9 | }}}}}}}}} |
1. 개요
전주대 인문대 영문과 교수인 양병선교수가 지난 30여 년간 '국어의 로마자표기법'을 연구하면서 현행 '국어의 로마자표기법' 이 일반인들의 인명에 사용되지 않고 있는 이유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해 낸 로마자표기법이다.현행 '국어의 로마자표기법'의 근본적인 문제는 모음이 5개 뿐인 일본식로마자 표기를 기준으로 하여 단모음 11개 복모음 10개 총 21개의 모음을 표기하려다 보니 일반인들의 생각인 영자표기와는 달라 일반인들이 자신의 성씨와 이름에 사용하지 않는 다는 점에 착안한 표기이며, 일반인들은 로마자표기란 개념보다든 영문표기, 또는 영자표기를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고안한 표기법이다. 또한 로마자라는 개념은 추상적인 개념이며 로마자는 308개의 언어가 사용하는 문자로서 구체적으로는 영문로마자(영자), 프랑스어로마자, 이탈리어로마자, 독일어로마자 등 중의 하나 로마자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고안한 표기법이며 가장 중요한 것은 21세기의 국제어이며 과학기술언어이며, 모음자가 한국어와 비슷한 숫자인 영문로마자(줄여서 영자) 표기를 하여야 한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영어철자와 발음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영어 1음절어를 분석하여 영어철자와 발음간의 상관관계를 기준으로 표기한 표기이다. 또한 한글의 특징은 음소단위가 아닌 음절단위가 비로소 글자임에 착안하고 일반인들은 음소단위가 아닌 음절단위로 영문표기를 한다고 하는 점이 착안하여 고안한 로마자표기법이다. 자세한 논의는 양병선저(2011) "영어철자와 발음기준 국어의 음절단위 영문로마자 표기법"(서울: 한국문화사 출판)과 양병선저(2021) "공공용어 여문표기 규정 및 방안(서울: 한국문화사 출판)를 참조.
2. 규정
영어철자와 발음 기준 「음절 단위 영문 로마자(영자)표기법」
1. 기본원칙
1) 국어의 라틴 로마자 표기는 영문 로마자(영자)로 표기한다(영자 표기법).
2) 국어의 영문 로마자 표기는 국어 음절의 형태에 따라 표기하는 1음절 1표기를 원칙으로 한다(음절단위 표기법).
3) 국어의 영문 로마자 표기는 소리 나는 대로 적되(전사법) 음절을 벗어난 음운 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음절 단위 표음주의).
4) 국어의 영문 로마자 표기는 음절 단위 영어 발음 및 철자에 의해 표기하며 가장 근접한 음운을 기준으로 한다. (영어발음기준 모의발음부호법).
5) 국어의 영문 로마자 표기는 한국어의 음운체계에 따른다(언어 주체성).
6) 언어 미학적인 요소를 고려하며 외 글자는 가능한 한 지양한다(언어 미학성).
7) 국어의 영문 로마자 표기 시 가능한 한 철자 수가 적은 표기를 한다(경제성).
2. 모음 표기
<표 1> 단모음의 음절 단위 영문 로마자(영자) 표기
단모음 개음절 폐음절 모음
ㅏ ah aa ah(아)
ㅓ uh u uh(어)
ㅗ oh o/oh oh(오)
ㅜ oo oo/woo woo(우)
ㅣ ee i yee(이)
ㅐ ae a ae(애)
ㅔ eh e eh(에)
ㅡ eu eu eu(으)
ㅚ oe oe oe(외)
<표 2> 이중모음의 음절 단위 영문 로마자/영자 표기
이중모음 개음절 폐음절 모음ㅑ yah yaa yah(야)
ㅕ yuh yu yuh(여)
ㅛ yoh yo yoh(요)
ㅠ yoo yoo yoo(유)
ㅒ yae ya yae(얘)
ㅖ yeh ye yeh(예)
ㅢ ee i ui(의)
ㅘ wah waa wah(와)
ㅝ woh wo woh(워)
ㅙ wae wa wae(왜)
ㅞ weh we weh(웨)
ㅟ wee wi wee(위)
붙임 1: 폐음절 단모음 <ㅜ>의 경우 모음으로 시작하는 ‘우, 웅, 욱, 운’ 등은 모두 <woo>로 표기한다. 기타 자음으로 시작하는 폐음절 단모음 <ㅜ>는 <oo>로 표기한다.
붙임 2: 이중모음 <ㅢ>의 경우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경우는 /ㅣ/로 발음되기 때문에(표준발음법 제2장 제4항) ‘늬, 늴, 닁, 띄, 씌, 틔, 희, 흰, 흴, 흼, 흽, 힁’ 등의 경우 받침이 없는 개음절은 <ee>로, 받침이 있는 폐음절은 <i>으로 표기한다. 다만, ‘의’는 <ui>로 표기한다.
붙임 3: 폐음절 단모음 <ㅗ>는 <o>로 표기한다. 단‘손’의 표기는 <sohn>으로 표기하도록 한다.
붙임 4: ‘ㅅ, ㅈ’ 뒤에 이중모음이 올 경우 <sh, z>로 표기하는 대신 <y, w>를 생략한다.
3. 자음 표기
<표3> 자음의 음절단위 영문로마자/영자 표기
자음 한글 음절초 음절말(받침)
파열 ㄱ, ㅋ, ㄲ g/k, k, kk k
ㄷ, ㅌ, ㄸ d, t, tt t
ㅂ, ㅍ, ㅃ b, p, pp p
파찰 ㅈ, ㅊ, ㅉ j/z, ch, tch tㅂ, ㅍ, ㅃ b, p, pp p
마찰 ㅅ, ㅆ, ㅎ s/sh, ss, h t
비음 ㅁ, ㄴ, ㅇ m, n, ø m, n, ng
유음 ㄹ l/r l
받침 ㄳ ㄵ ㄶ ㄺ ㄼ ㄽ ㄾ ㄿ ㅀ ㅄ k, n, n, k, p, t, l, p, l, p
붙임 1: 음절초에서 ‘ㄱ’의 경우 연구개음인 /g/가 전설 고모음 /i/ 앞에서 경구개음화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음 ‘ㅣ’ 앞과 이중모음 앞의 ‘ㄱ’은 <k>로 표기토록 한다.
붙임 2: 음절초에서 ‘ㅅ’은 <s>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전설 고모음 ‘ㅣ’와 이중모음 /y/ 앞에서 구개음화 현상이 나타나므로 받침이 있는 모음 ‘ㅣ’와 이중모음 앞에서 ‘ㅅ’은 <sh>로 표기한다(예: ‘신, 심’은 ‘shin, shim’).
붙임 3: 음절초 ‘ㄹ’의 경우 전설 고모음 ‘ㅣ’ 앞에서는 <l> 기타 모음 앞에서는 <r>로 표기하며 받침은 <l>로 표기한다.
붙임 4: 두음법칙의 적용 대상인 성 ‘李(리)ㆍ林(림)ㆍ柳(류)ㆍ劉(류)ㆍ陸(륙)ㆍ梁(량)ㆍ羅(라)ㆍ呂(려)ㆍ廉(렴)ㆍ盧(로)ㆍ龍(룡)’ 중 두음법칙을 따르지 않는 성씨 ‘이/리, 임/림, 유/류, 육/륙, 양/량, 나/라, 여/려, 염/렴, 노/로, 용/룡’로 각각 달리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도록 한다.
붙임 5: ‘ㅈ’의 경우 <j>로 표기하나 이중모음 앞에서는 <z>로 표기하며 이중모음의 <y, w>는 생략한다.
3. [인명용 음절 단위 영문 로마자 표기(KSC 5601의 2,351자)]
언어학적인 지식이나 배경이 없는 일반인을 위한 라틴 로마자표기는 적기가 쉬운 표기이어야 한다. 한글의 최대 특징은 음절을 기본단위로 하며 현대 한글의 음절 수는 철자 단위로는 최대 11,172개(모음 21× 자음 19×받침 28 (받침 없는 것 포함))이며 음운 단위로는 최대 3,192개 (모음 21×자음 19×받침 8 (받침 없는 것 포함))이다. 하지만, 실제 사용되는 음절 수는 11,172자 중 KS C 5601에서 코드화한 2,350자에 <똠>을 포함한 2,351자를 라틴 로마자로 표기한다면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인명, 지명, 상호명, 단체명 등의 라틴 로마자 표기를 할 수 있다. 이를 음절단위로 제시한 표기이다.
[ㄱ] 가 gah 각 gaak 간 gaan 갇 gaat 갈 gaal 갉 gaak 갊 gaam 감 gaam 갑 gaap 값 gaap 갓 gaat 갔 gaat 강 gaang 갖 gaat 갗 gaat 같 gaat 갚 gaap 갛 gaat 개 gae 객 gak 갠 gan 갤 gal 갬 gam 갭 gap 갯 gat 갰 gat 갱 gang 갸 kyah 갹 kyaak 갼 kyaan 걀 kyaal 걋 kyaat 걍 kyaang 걔 kyae 걘 kyan 걜 kyal 거 guh 걱 guk 건 gun 걷 gut 걸 gul 걺 gum 검 gum 겁 gup 것 gut 겄 gut 겅 gung 겆 gut 겉 gut 겊 gup 겋 gut 게 geh 겐 gen 겔 gel 겜 gem 겝 gep 겟 get 겠 get 겡 geng 겨 kyuh 격 kyuk 겪 kyuk 견 kyun 겯 kyut 결 kyul 겸 kyum 겹 kyup 겻 kyut 겼 kyut 경 kyung 곁 kyut 계 kyeh 곈 kyen 곌 kyel 곕 kyep 곗 kyet 고 goh 곡 gok 곤 gon 곧 got 골 gol 곪 gom 곬 gol 곯 gol 곰 gom 곱 gop 곳got 공 gong 곶got 과 kwah 곽kwaak 관 kwaan 괄kwaal 괆kwaam 괌kwaam 괍 kwaap 괏 kwaat 광 kwaang 괘 kwae 괜 kwan 괠 kwal 괩 kwap 괬 kwat 괭 kwang 괴 goe 괵 goek 괸 goen 괼 goel 굄 goem 굅 goep 굇 goep 굉 goeng 교 kyoh 굔 kyon 굘 kyol 굡 kyop 굣 kyot 구 goo 국 gook 군 goon 굳 goot 굴 gool 굵 gook 굶 goom 굻 gool 굼 goom 굽 goop 굿 goot 궁 goong 궂 goot 궈 kwoh 궉 kwok 권 kwon 궐 kwol 궜 kwot 궝 kwong 궤 kweh 궷 kwet 귀kwee 귁 kwik 귄 kwin 귈kwil 귐 kwim 귑 kwip 귓 kwit 규 kyoo 균 kyoon 귤 kyool 그 geu 극 geuk 근 geun 귿 geut 글 geul긁 geuk 금 geum 급 geup 긋 geut 긍 geung 긔 kee 기 kee 긱 kik 긴 kin 긷 kit 길 kil 긺kim 김 kim 깁kip 깃kit 깅king 깆kit 깊kip 까kkah 깍kkaak 깎kkaak 깐kkaan 깔 kkaal 깖 kkaam 깜 kkaam 깝 kkaap 깟 kaat 깠 kaat 깡 kkaang 깥 kkaat 깨 kkae 깩kkak 깬kkan 깰kkal 깸kkam 깹kkap 깻kkat 깼kkat 깽kkang 꺄kkyah 꺅kkyaak 꺌 kkyaal 꺼 kkuh 꺽 kkuk 꺾 kkuk 껀 kkun 껄 kkul 껌 kkum 껍 kkup 껏 kkup 껐kkut 껑kkung 께kkeh 껙kkek 껜kken 껨kkem 껫kket 껭kkeng 껴kkyuh 껸kkyun 껼 kkyul 꼇 kkyut 꼈 kkyut 꼍 kkyut 꼐 kkyeh 꼬 kkoh 꼭 kkok 꼰 kkon 꼲 kkon 꼴 kkol 꼼 kkom 꼽 kkop 꼿 kkot 꽁 kkong 꽂 kkot 꽃 kkot 꽈 kkwah 꽉 kkwaak 꽐 kkwaal 꽜kwaat 꽝kwaang 꽤kkwae 꽥kkwak 꽹kkwang 꾀kkoe 꾄kkoen 꾈kkoel 꾐kkoem 꾑kkoep 꾕kkoeng 꾜kkyoh 꾸 kkoo 꾹kkook 꾼kkoon 꿀kkool 꿇kkool 꿈 kkoom 꿉 kkoop 꿋 kkoot 꿍 kkoong 꿎 kkoot 꿔 kkwoh 꿜 kkwol 꿨 kkwot 꿩kkwong 꿰 kkweh 꿱 kkwek 꿴 kkwen 꿸 kkwel 뀀 kkwem 뀁 kkwep 뀄 kkwet 뀌 kkwee 뀐 kkwin 뀔 kkwil 뀜 kkwim 뀝 kkwip 뀨 kkyoo 끄 kkeu 끅 kkeuk 끈 kkeun 끊 kkeun 끌kkeul 끎kkeum 끓kkeul 끔kkeum 끕kkeup 끗kkeut 끙kkeung 끝kkeut 끼 kkee 끽 kkik 낀 kkin 낄 kkil 낌 kkim 낍 kkip 낏 kkit 낑 kking
[ㄴ] 나 nah 낙 naak 낚 naak 난 naan 낟 naat 날 naal 낡 naak 낢 naam 남 naam 납 naap 낫 naat 났 naat 낭 naang 낮 naat 낯 naat 낱 naat 낳 naat 내 nae 낵 nak 낸 nan 낼 nal 냄 nam 냅 nap 냇 nat 냈 nat 냉 nang 냐 nyah 냑 nyaak 냔 nyaan 냘 nyaal 냠 nyaam 냥 nyaang 너 nuh 넉 nuk 넋 nuk 넌 nun 널 nul 넒 num 넓 nup 넘 num 넙 nup 넛 nut 넜 nut 넝 nung 넣 nut 네 neh 넥 nek 넨 nen 넬 nel 넴 nem 넵 nep 넷 net넸 net 넹 neng 녀nyuh 녁nyuk 년 nyun 녈nyul 념nyum 녑nyup 녔nyut 녕nyung 녘nyuk 녜nyeh 녠 nyen 노 noh 녹 nok 논 non 놀 nol 놂 nom 놈 nom 놉 nop 놋 not 농 nong 높 nop 놓 not 놔nwah 놘nwaan 놜nwaal 놨nwaat 뇌noe 뇐noen 뇔noel 뇜noem 뇝noep 뇟 noet 뇨 nyoh 뇩 nyok 뇬nyon 뇰 nyol 뇹 nyop 뇻 nyot 뇽 nyong 누 noo 눅 nook 눈noon 눋noot 눌nool 눔noom 눕noop 눗noot 눙noong 눠nwoh 눴nwot 눼nweh 뉘 nwee 뉜 nwin 뉠 nwil 뉨 nwim 뉩 nwip 뉴 nyoo 뉵 nyook 뉼 nyool 늄 nyoom 늅 nyoop 늉 nyoong 느 neu 늑 neuk 는 neun 늘 neul 늙 neuk 늚 neum 늠 neum 늡 neup 늣 neut 능 neung 늦 neut 늪 neup 늬 nee 늰 nin 늴 nil 니 nee 닉 nik 닌 nin 닐nil 닒 nim 님 nim 닙 nip 닛 nit 닝 ning 닢 nip
[ㄷ] 다 dah 닥 daak 닦 daak 단 daan 닫 daat 달 daal 닭 daak 닮 daam 닯 daap 닳 daal 담 daam 답 daap 닷 daat 닸 daat 당 daang 닺 daat 닻 daat 닿 daat 대 dae 댁 dak 댄 dan 댈 dal 댐 dam 댑 dap 댓 dat 댔 dat 댕 dang 댜 dyah 더 duh 덕 duk 덖 duk 던 dun 덛 dut 덜 dul 덞 dum 덟 dup 덤 dum 덥 dup 덧 dut 덩 dung 덫 dut 덮 dup 데 deh 덱 dek 덴 den 델 del 뎀 dem 뎁 dep 뎃 det 뎄 det 뎅 deng 뎌 dyuh 뎐 dyun 뎔 dyul 뎠 dyut 뎡 dyung 뎨 dyeh 뎬 dyen 도 doh 독 dok 돈 don 돋 dot 돌 dol 돎 dom 돐 dol 돔 dom 돕 dop 돗 dot 동 dong 돛 dot 돝 dot 돠 dwah 돤 dwaan 돨 dwaal 돼 dwae 됐 dwat 되 doe 된 doen 될 doel 됨 doem 됩 doep 됫 doet 됴 dyoh 두 doo 둑 dook 둔 doon 둘 dool 둠 doom 둡 doop 둣 doot 둥 doong 둬 dwoh 뒀 dwot 뒈 dweh 뒝 dweng 뒤 dwee 뒨dwin 뒬dwil 뒵dwip 뒷dwit 뒹dwing 듀dyoo 듄dyoon 듈dyool 듐dyoom 듕dyoong 드deu 득 deuk 든 deun 듣 deut 들 deul 듦deum 듬deum 듭deup 듯deut 등 deung 듸 dee 디 dee 딕 dik 딘 din 딛 dit 딜 dil 딤 dim 딥 dip 딧 dit 딨 dit 딩 ding 딪 dit 따 ttah 딱 ttaak 딴 ttaan 딸 ttaal 땀 ttaam 땁 ttaap 땃 ttaat 땄 ttaat 땅 ttaang 땋 ttaat 때 ttae 땍ttak 땐 ttan 땔 ttal 땜 ttam 땝 ttap 땟ttat 땠 ttat 땡 ttang 떠 ttuh 떡 ttuk 떤 ttun 떨 ttul 떪 ttum 떫 ttup 떰 ttum 떱 ttup 떳 ttut 떴 ttut 떵 ttung 떻 ttut 떼 tteh 떽 ttek 뗀 tten 뗄 ttel 뗌 ttem 뗍 ttep 뗏 ttet 뗐 ttet 뗑 tteng 뗘 ttyuh 뗬 ttyut 또 ttoh 똑 ttok 똔 tton 똘 ttol 똠 ttong 똥 ttong 똬 ttwah 똴 ttwaal 뙈 ttwae 뙤 ttoe 뙨 ttoen 뚜 ttoo 뚝 ttook 뚠 ttoon 뚤 ttool 뚫 tool 뚬 toom 뚱 ttong 뛔 ttweh 뛰 ttwee 뛴 ttwin 뛸ttwil 뜀ttwim 뜁 ttwip 뜅ttwing 뜨 tteu 뜩tteuk 뜬 tteun 뜯tteut 뜰 tteut 뜸tteum 뜹 tteup 뜻 tteut 띄 ttee 띈 ttin 띌 ttil 띔 ttim 띕 ttip 띠 ttee 띤 ttin 띨 ttil 띰 ttim 띱 ttip 띳 ttit 띵 tting
[ㄹ] 라 rah 락 raak 란 raan 랄 raal 람 raam 랍 raap 랏 raat 랐 raat 랑 raang 랒 raat 랖 raap 랗raat 래 rae 랙 rak 랜ran 랠 ral 램ram 랩 rap 랫 rat 랬 rat 랭rang 랴ryah 략 ryaak 랸 ryaan 럇 ryaak 량 ryaang 러 ruh 럭 ruk 런 run 럴 rul 럼 rum 럽 rup 럿 rut 렀 rut 렁 rung 렇 rut 레 reh 렉 rek 렌 ren 렐 rel 렘 rem 렙 rep 렛 ret 렝 reng 려 ryuh 력 ryuk 련 ryun 렬 ryul 렴 ryum 렵 ryup 렷 ryut 렸 ryut 령 ryung 례 ryeh 롄 ryen 롑 ryep 롓 ryet 로 roh 록 rok 론 ron 롤 rol 롬 rom 롭 rop 롯 rot 롱 rong 롸 rwah 롼 rwaan 뢍 rwaang 뢨 rwat 뢰 roe 뢴 roen 뢸 roel 룀 roem 룁 roep 룃 roet 룅 roeng 료 ryoh 룐 ryon 룔ryol 룝ryop 룟 ryot 룡ryong 루 roo 룩rook 룬 roon 룰 rool 룸room 룹roop 룻 root 룽 roong 뤄 rwoh 뤘 rwot 뤠 rweh 뤼 rwee 뤽 rwik 륀 rwin 륄 rwil 륌 rwim 륏 rwit 륑 rwing 류 ryoo 륙 ryook 륜 ryoon 률 ryool 륨 ryoom 륩 ryoop 륫 ryoot 륭 ryoong 르 reu 륵 reuk 른 reun 를 reul 름 reum 릅 reup 릇 reut 릉 reung 릊 reut 릍 reut 릎 reup 리 lee 릭 lik 린 lin 릴 lil 림 lim 립 lip 릿 lit 링 ling
[ㅁ] 마 mah 막 maak 만 maan 많 maan 맏 maat 말 maal 맑 maak 맒 maam 맘 maam 맙 maap 맛 maat 망 maang 맞 maat 맡 maat 맣 maat 매 mae 맥 mak 맨 man 맬 mal 맴 mam 맵map 맷 mat 맸 mat 맹 mang 맺 mat 먀 myah 먁myaak 먈myaal 먕 myaang 머 muh 먹 muk 먼 mun 멀 mul 멂 mum 멈 mum 멉 mup 멋 mut 멍 mung 멎 mut 멓 mut 메 meh 멕 mek 멘 men 멜 mel 멤 mem 멥 mep 멧 met 멨 met 멩 meng 며 myuh 멱 myuk 면 myun 멸 myul 몃 myut 몄 myut 명 myung 몇 myut 몌 myeh 모 moh 목 mok 몫 mok 몬 mon 몰 mol 몲 mom 몸 mom 몹 mop 못 mot 몽 mong 뫄 mwah 뫈 mwaan 뫘 mwaat 뫙 mwaang 뫼 moe 묀 moen 묄 moel 묍 moep 묏 moet 묑 moeng 묘 myoh 묜 myon 묠 myol 묩 myop 묫 myot 무 moo 묵 mook 묶 mook 문 moon 묻 moot 물 mool 묽 mook묾 moom 뭄 moom 뭅 moop 뭇 moot 뭉 moong 뭍 moot 뭏 moot 뭐 mwoh 뭔 mwon 뭘 mwol 뭡 mwop 뭣 mwot 뭬 mweh 뮈 mwi 뮌 mwin 뮐 mwil 뮤 myoo 뮨 myoon 뮬 myool 뮴 myoom 뮷 myoot 므 meu 믄 meun 믈 meul 믐meum 믓meut 미 mee 믹 mik 민 min 믿 mit 밀 mil 밂mim 밈mim 밉mip 밋mit 밌 mit 밍 ming 및 mit 밑 mit
[ㅂ] 바 bah 박 baak 밖 baak 밗 baak 반 baan 받 baat 발 baal 밝 baak 밞 baam 밟 baap 밤 baam 밥 baap 밧 baat 방 baang 밭 baat 배 bae 백 bak 밴 ban 밸 bal 뱀 bam 뱁 bap 뱃 bat 뱄 bat 뱅 bang 뱉 bat 뱌 byah뱍 byaak 뱐 byaan 뱝 byaap 버 buh 벅 buk 번 bun 벋 but 벌 bul 벎 bum 범 bum 법 bup 벗 but 벙 bung 벚 but 베 beh 벡 bek 벤 ben 벧 bed 벨 bel 벰 bem 벱 bep 벳 bet 벴 bet 벵 beng 벼 byuh 벽 byuk 변 byun 별 byul 볍 byup 볏 byut 볐 byut 병 byung 볕 byut 볘 byeh 볜 byen 보 boh 복 bok 볶 bok 본 bon 볼 bol 봄 bom 봅 bop 봇 bot 봉 bong 봐 bwah 봔 bwaan 봤 bwaat 봬 bwae 뵀 bwaet 뵈 boe 뵉 boek 뵌 boen 뵐 boel 뵘 boem 뵙 boep 뵤 byoh 뵨 byon 부 boo 북 book 분 boon 붇boot 불bool 붉book 붊boom 붐boom 붑boop 붓boot 붕boong 붙boot 붚boop 붜bwoh 붤 bwol 붰bwot 붸bweh 뷔 bwee 뷕 bwik 뷘bwin 뷜bwil 뷩 bwing 뷰 byoo 뷴 byoon 뷸 byool 븀 byoom 븃 byoot 븅 byoong 브 beu 븍 beuk 븐 beun 블 beul 븜 beum 븝 beup 븟 beut 비 bee 빅 bik 빈 bin 빌 bil 빎 bim 빔 bim 빕 bip 빗 bit 빙 bing 빚 bit 빛 bit 빠 ppah 빡 ppaak 빤 ppaan 빨 ppaal 빪 ppaam 빰 ppaam 빱 ppaap 빳 ppaat 빴 ppaat 빵 ppaang 빻 ppaat 빼 ppae 빽 ppak 뺀 ppan 뺄 ppal 뺌 ppam 뺍 ppap 뺏 ppat 뺐 ppat 뺑 ppang 뺘 ppyah 뺙 ppyaak 뺨 ppyaam 뻐 ppuh 뻑 ppuk 뻔 ppun 뻗 pput 뻘 ppul 뻠 ppum 뻣 pput 뻤 pput 뻥 ppung 뻬 ppeh 뼁 ppeng 뼈 ppyuh 뼉 ppyuk 뼘 ppyum 뼙 ppyup 뼛 ppyut 뼜 ppyut 뼝 ppyung 뽀 ppoh 뽁ppok 뽄ppon 뽈ppol 뽐ppom 뽑ppop 뽕ppong 뾔ppoe 뾰ppyoh 뿅ppyong 뿌 ppoo 뿍 ppook 뿐 ppoon 뿔 ppool 뿜 ppoom 뿟 ppoot 뿡 ppong 쀼 ppyoo 쁑 ppyoong 쁘 ppeu 쁜 ppeun 쁠 ppeul 쁨 ppeum 쁩 ppeup 삐 ppee 삑 ppik 삔 ppin 삘 ppil 삠 ppim 삡 ppip 삣 ppit 삥 pping
[ㅅ] 사 sah 삭saak 삯 saak 산 saan 삳saat 살 saal 삵 saak 삶 saam 삼saam 삽 saap 삿 saat 샀saat 상 saang 샅 saat 새sae 색 sak 샌san 샐sal 샘sam 샙sap 샛 sat 샜sat 생 sang 샤 shah 샥 shaak 샨 shaan 샬 shaal 샴 shaam 샵 shaap 샷 shaat 샹 shaang 섀 shae 섄 shan 섈 shal 섐 sham 섕 shang 서 suh 석 suk 섞 suk 섟 suk 선 sun 섣 sut 설 sul 섦 sum 섧 sup 섬 sum 섭 sup 섯 sut 섰 sut 성 sung 섶 sup 세 she 섹 sek 센 sen 셀 sell 셈 sem 셉 sep 셋 set 셌 set 셍 seng 셔 shuh 셕 shuk 션 shun 셜shul 셤 shum 셥 shup 셧 shut 셨 shut 셩 shung 셰 sheh 셴 shen 셸 shell 솅 sheng 소 soh 속 sok 솎 sok 손 sohn 솔 sol 솖 som 솜 som 솝 sop 솟 sot 송 song 솥 sot 솨 shah 솩 shaak 솬 shaan 솰 shaal 솽 shaang 쇄 shae 쇈 shan 쇌 shal 쇔 sham 쇗 shat 쇘 shat 쇠 soe 쇤 soen 쇨 soel 쇰 soem 쇱 soep 쇳 soet 쇼 shoh 쇽 shok 숀 shon 숄 shol 숌 shom 숍 shop 숏 shot 숑 shong 수 soo 숙 sook 순 soon 숟 soot 술 sool 숨 soom 숩 soop 숫 soot 숭 soong 숯soot 숱soot 숲soop 숴shuh 쉈shut 쉐sheh 쉑shek 쉔shen 쉘shel 쉠shem 쉥 sheng 쉬 shee 쉭 shik 쉰 shin 쉴 shil 쉼 shim 쉽 ship 쉿 shit 슁 shing 슈 shoo 슉 shook 슐 shool 슘 shoom 슛 shoot 슝 shoong 스 seu 슥 seuk 슨 seun 슬 seul 슭 seuk 슴seum 습 seup 슷seut 승 seung 시 see 식 shik 신 shin 싣shit 실 shil 싫shil 심shim 십 ship 싯 shit 싱 shing 싶 ship 싸 ssah 싹 ssaak 싻 ssaak 싼 ssaan 쌀 ssaal 쌈 ssaam 쌉 ssaap 쌌 ssaat 쌍 ssaang 쌓 ssaat 쌔 ssae 쌕 ssak 쌘 ssan 쌜 ssal 쌤 ssam 쌥 ssap 쌨 ssat 쌩 ssang 썅 ssyaang 써 ssuh 썩 ssuk 썬 ssun 썰 ssul 썲 ssum 썸 ssum 썹 ssup 썼 ssut 썽 ssung 쎄 sseh 쎈 ssen 쎌 ssel 쏀 ssyen 쏘 ssoh 쏙 ssok 쏜 sson 쏟 ssot 쏠ssol 쏢ssom 쏨ssom 쏩ssop 쏭ssong 쏴sswah 쏵swaak 쏸swaan 쐈swaat 쐐sswae 쐤 sswat 쐬 ssoe 쐰 ssoen 쐴 ssoel 쐼 ssoem 쐽 ssoep 쑈 ssyoh 쑤 ssoo 쑥 ssook 쑨 soon 쑬sool 쑴ssom 쑵soop 쑹soong 쒀sswoh 쒔sswot 쒜ssweh 쒸sswee 쒼sswin 쓩 ssyoong 쓰 sseu 쓱 sseuk 쓴 sseun 쓸 sseul 쓺 sseum 쓿 sseul 씀 sseum 씁 sseup 씌 ssee 씐 ssin 씔 ssil 씜 ssim 씨 ssee 씩 ssik 씬 ssin 씰 ssil 씸 ssim 씹 ssip 씻 ssit 씽 ssing
[ㅇ] 아 ah 악 aak 안 aan 앉 aan 않 aan 알 aal 앍 aak 앎 aam 앓 aal 암 aam 압 aap 앗 aat 았 aat 앙 aang 앝 aat 앞 aap 애 ae 액 ak 앤 an 앨 al 앰 am 앱 ap 앳 at 앴 at 앵 ang 야 yah 약 yaak 얀 yaan 얄 yaal 얇 yaap 얌 yaam 얍 yaap 얏 yaat 양 yaang 얕 yaat 얗 yaat 얘 yae 얜 yan 얠 yal 얩 yap 어 uh 억 uk 언 un 얹 ut 얻 ut 얼 ul 얽 uk 얾 um 엄 um 업 up 없 up 엇 ut 었 ut 엉 ung 엊 ut 엌 uk 엎 up 에 eh 엑 ek 엔 en 엘 el 엠 em 엡 ep 엣 et 엥 eng 여 yuh 역 yuk 엮 yuk 연 yun 열 yul 엶 yum 엷 yup 염 yum 엽 yup 엾 yup 엿 yut 였 yut 영 yung 옅 yut 옆 yup 옇 yut 예 yeh 옌 yen 옐 yel 옘 yem 옙 yep 옛 yet 옜 yet 오 oh 옥 ok 온 on 올 ol 옭 ok 옮 om 옰 ot 옳 ol 옴 om 옵 op 옷 ot 옹 ong 옻 ot 와 wah 왁 waak 완 waan 왈 waal 왐 waam 왑 waap 왓 waat 왔 waat 왕 waang 왜 wae 왝 wak 왠 wan 왬 wam 왯 wat 왱 wang 외 oe 왹 oek 왼 oen 욀 oel 욈oem 욉oep 욋oet 욍oeng 요 yoh 욕yok 욘yon 욜yol 욤yom 욥yop 욧yot 용 yong 우 woo 욱 wook 운 woon 울 wool 욹 wook 욺 woom 움 woom 웁 woop 웃 woot 웅 woong 워 who 웍 wok 원 won 월 wol 웜 wom 웝 wop 웠 wot 웡 wong 웨 weh 웩wek 웬 wen 웰 wel 웸 wem 웹 wep 웽 weng 위 wee 윅 wik 윈 win 윌 wil 윔 wim 윕 wip 윗 wit 윙 wing 유 yoo 육 yook 윤 yoon 율 yool 윰 yoom 윱 yoop 윳 yoot 융 yoong 윷 yoot 으 eu 윽 euk 은 eun 을 eul 읊 eup 음 eum 읍 eup 읏 eut 응 eung 읒 eut 읓 eut 읔 euk 읕 eut 읖 eup 읗 eut 의 ui 읜 in 읠 il 읨 im 읫 it 이 yee 익 ik 인 in 일 il 읽 ik 읾 im 잃 il 임 im 입 ip 잇 it 있 it 잉 ing 잊 it 잎 ip
[ㅈ] 자 jah 작 jaak 잔 jaan 잖 jaan 잗 jaat 잘 jaal 잚 jaam 잠 jaam 잡 jaap 잣 jaat 잤 jaat 장 jaang 잦 jaat 재 jae 잭 jak 잰 jan 잴 jal 잼 jam 잽 jap 잿 jat 쟀 jat 쟁 jang 쟈 zah 쟉 zaak 쟌 zaan 쟎 zaan 쟐 zaal 쟘 zaam 쟝 zaang 쟤 zae 쟨 zan 쟬 zal 저 juh 적 juk 전 jun 절 jul 젊 jum 점 jum 접 jup 젓 jut 정 jung 젖 jut 제 jeh 젝 jek 젠 jen 젤 jel 젬 jem 젭 jep 젯 jet 젱 jeng 져 zuh 젼 zun 졀 zul 졈 zum 졉 zup 졌 zut 졍 zung 졔 zeh 조 joh 족 jok 존 jon 졸 jol 졺 jom 좀 jom 좁 jop 좃 jot 종 jong 좆 jot 좇 jot 좋 jot 좌 zah 좍 zaak 좝 zaap 좟 zaat 좡 zaang 좨 zae 좼 zat 좽 zang 죄 joe 죈 joen 죌 joel 죔 joem 죕 joep 죗 joet 죙 joeng 죠 zoh 죡 zok 죤 zon 죵 zong 주 joo 죽 jook 준 joon 줄 jool 줅 jook 줆 joom 줌 joom 줍 joop 줏 joot 중 joong 줘 zoh 줬 zot 줴 zeh 쥐 zee 쥑 zik 쥔 zin 쥘 zil 쥠 zim 쥡 zip 쥣 zit 쥬 zoo 쥰 zoon 쥴 zool 쥼 zoom 즈 jeu 즉 jeuk 즌 jeun 즐 jeul 즘 jeum 즙 jeup 즛 jeut 증 jeung 지 jee 직 jik 진 jin 짇 jit 질jil 짊jim 짐jim 집jip 짓jit 징jing 짖jit 짙jit 짚jip 짜tchah 짝tchaak 짠tchaan 짢 tchaan 짤 tchaal 짧 tchaap 짬 tchaam 짭 tchaap 짯 tchaat 짰 tchaat 짱 tchaang 째 tchae 짹tchak 짼tchan 쨀tchal 쨈tcham 쨉tchap 쨋tchat 쨌tchat 쨍tchang 쨔tchyah 쨘 tchyaan 쨩 tchyaang 쩌 tchuh 쩍 tchuk 쩐 tchun 쩔 tchul 쩜 tchum 쩝 tchup 쩟 tchut 쩠 tchut 쩡 tchung 쩨 tcheh 쩽 tcheng 쪄 tchuh 쪘 tchut 쪼 tchoh 쪽 tchok 쫀 tchon 쫄 tchol 쫌 tchom 쫍 tchop 쫏 tchot 쫑 tchong 쫓 tchot 쫘 tchwah 쫙 tchwaak 쫠 tchwaal 쫬 tchwaat 쫴 tchwae 쬈 tchwat 쬐 tchoe 쬔 tchoen 쬘 tchoel 쬠 tchoem 쬡 tchoep 쭁 tchoeng 쭈 tchoo 쭉 tchook 쭌 tchoon 쭐 tchool 쭘 tchoom 쭙 tchoop 쭝tchoong 쭤tchwoh 쭸tchwot 쭹tchwong 쮜tchwee 쮸tchyoo 쯔tcheu 쯤tcheum 쯧 tcheut 쯩 tcheung 찌 tchee 찍 tchik 찐 tchin 찔 tchil 찜 tchim 찝 tchip 찡 tching 찢 tchit 찧 tchit
[ㅊ] 차 chah 착 chaak 찬 chaan 찮 chaan 찰 chaal 참 chaam 찹 chaap 찻 chaat 찼 chaat 창 chaang 찾 chaat 채 chae 책 chak 챈 chan 챌 chal 챔 cham 챕 chap 챗 chat 챘 chat 챙 chang 챠 chyah 챤 chyaang 챦 chyaan 챨 chyaal 챰 chyaam 챵 chyaang 처 chuh 척 chuk 천 chun 철 chul 첨 chum 첩 chup 첫 chut 첬 chut 청 chung 체 cheh 첵 chek 첸 chen 첼 chel 쳄 chem 쳅 chep 쳇 chet 쳉 cheng 쳐 chyuh 쳔 chyun 쳤 chyut 쳬 chyeh 쳰 chyen 촁 chyeng 초 choh 촉chok 촌 chon 촐 chol 촘chom 촙chop 촛 chot 총 chong 촤 chwah 촨 chwaan 촬 chwaal 촹 chwaang 최 choe 쵠 choen 쵤 choel 쵬choem 쵭 choep 쵯 choet 쵱 choeng 쵸 chyoh 춈 chyom 추 choo 축 chook 춘choon 출 chool 춤 choom 춥 choop 춧 choot 충 choong 춰 chwoh 췄 chwot 췌 chweh 췐 chwen 취chwee 췬chwin 췰chwil 췸 chwim 췹chwip 췻chwit 췽chwing 츄chyoo 츈 chyoon 츌 chyool 츔 chyoom 츙 chyoong 츠 cheu 측 cheuk 츤 cheun 츨 cheul 츰cheum 츱 cheup 츳 cheut 층 cheung 치 chee 칙 chik 친 chin 칟 chit 칠 chil 칡 chik 침 chim 칩 chip 칫 chit 칭 ching
[ㅋ] 카 kah 칵 kaak 칸 kaan 칼 kaal 캄 kaam 캅 kaap 캇 kaat 캉 kaang 캐 kae 캑 kak 캔 kan 캘 kal 캠 kam 캡 kap 캣 kat 캤 kat 캥 kang 캬 kyah 캭 kyaak 컁 kyaang 커 kuh 컥 kuk 컨 kun 컫 kut 컬 kul 컴 kum 컵 kup 컷 kut 컸 kut 컹 kung 케 keh 켁 kek 켄 ken 켈 kel 켐 kem 켑 kep 켓 ket 켕 keng 켜 kyuh 켠 kyun 켤 kyul 켬 kyum 켭 kyup 켯 kyut 켰 kyut 켱 kyung 켸 kyeh 코 koh 콕 kok 콘 kon 콜 kol 콤 kom 콥 kop 콧 kot 콩 kong 콰 kwah 콱 kwaak 콴 kwaan 콸 kwaal 쾀 kwaam 쾅 kwaang 쾌 kwae 쾡 kwang 쾨 koe 쾰 koel 쿄 kyoh 쿠 koo 쿡 kook 쿤 koon 쿨 kool 쿰 koom 쿱 koop 쿳 koot 쿵 koong 쿼 kwoh 퀀 kwon 퀄 kwol 퀑 kwong 퀘 kweh 퀭 kweng 퀴 kwee 퀵kwik 퀸kwin 퀼 kwil 큄 kwim 큅kwip 큇 kwit 큉kwing 큐kyoo 큔kyoon 큘 kyool 큠 kyoom 크 keu 큭 keuk 큰 keun 클 keul 큼 keum 큽 keup 킁 keung 키 kee 킥 kik 킨 kin 킬 kil 킴 kim 킵 kip 킷 kit 킹 king
[ㅌ] 타 tah 탁 taak 탄 taan 탈 taal 탉 taak 탐 taam 탑 taap 탓 taat 탔 taat 탕 taang 태 tae 택 tak 탠 tan 탤 tal 탬 tam 탭 tap 탯 tat 탰 tat 탱 tang 탸 tyah 턍 tyaang 터 tuh 턱 tuk 턴 tun 털 tul 턺 tum 텀 tum 텁 tup 텃 tut 텄 tut 텅 tung 테 teh 텍 tek 텐 ten 텔 tel 템 tem 텝 tep 텟 tet 텡 teng 텨 tyuh 텬 tyun 텼 tyut 톄 tyeh 톈 tyen 토 toh 톡 tok 톤 ton 톨 tol 톰 tom 톱 top 톳 tot 통 tong 톺 top 톼 twah 퇀 twaan 퇘 twae 퇴 toe 퇸 toen 툇 toet 툉 toeng 툐 tyoh 투 too 툭 took 툰 toon 툴 tool 툼 toom 툽 toop 툿 toot 퉁 toong 퉈 twoh 퉜 twot 퉤 tweh 튀 twee 튁 twik 튄 twin 튈 twil 튐 twim 튑 twip 튕 twing 튜 tyoo 튠 tyoon 튤 tyool 튬 tyoom 튱 tyoong 트 teu 특 teuk 튼 teun 튿 teut 틀 teul 틂 teum 틈 teum 틉 teup 틋 teut 틔 tee 틘 tin 틜 til 틤 tim 틥 tip 티 tee 틱 tik 틴 tin 틸 til 팀 tim 팁 tip 팃 tit 팅 ting
[ㅍ] 파 pah 팍 paak 팎 paak 판 paan 팔 paal 팖 paam 팜 paam 팝 paap 팟 paat 팠 paat 팡 paang 팥 paat 패 pae 팩 pak 팬 pan 팰 pal 팸 pam 팹 pap 팻 pat 팼 pat 팽 pang 퍄 pyah 퍅 pyaak 퍼 puh 퍽 puk 펀 pun 펄 pul 펌 pum 펍 pup 펏 put 펐 put 펑 pung 페 peh 펙 pek 펜 pen 펠 pel 펨 pem 펩 pep 펫 pet 펭 peng 펴 pyuh 편 pyun 펼 pyul 폄 pyum 폅 pyup 폈 pyut 평 pyung 폐 pyeh 폘 pyel 폡 pyep 폣 pyet 포 poh 폭 pok 폰 pon 폴 pol 폼 pom 폽 pop 폿 pot 퐁 pong 퐈 pwah 퐝 pwaang 푀 poe 푄 poen 표 pyoh 푠 pyon 푤 pyol 푭 pyop 푯 pyot 푸 poo 푹 pook 푼 poon 푿 poot 풀 pool 풂 poom 품 poom 풉 poop 풋 poot 풍 poong 풔 pwoh 풩 pwong 퓌 pwee 퓐 pwin 퓔 pwil 퓜 pwim 퓟 pwit 퓨 pyoo 퓬 pyoon 퓰 pyool 퓸 pyoom 퓻 pyoot 퓽 pyoong 프 peu 픈 peun 플 peul 픔 peum 픕 peup 픗 peut 피 pee 픽 pik 핀 pin 필 pil 핌 pim 핍 pip 핏 pit 핑 ping
[ㅎ] 하 hah 학 haak 한 haan 할 haal 핥 haat 함 haam 합 haap 핫 haat 항 haang 해 hae 핵 hak 핸 han 핼 hal 햄 ham 햅 hap 햇 hat 했 hat 행 hang 햐 hyah 향 hyaang 허 huh 헉 huk 헌 hun 헐 hul 헒 hum 험 hum 헙 hup 헛 hut 헝 hung 헤 heh 헥 hek 헨 hen 헬 hel 헴 hem 헵 hep 헷 het 헹 heng 혀 hyuh 혁 hyuk 현 hyun 혈 hyul 혐 hyum 협 hyup 혓 hyut 혔 hyut 형 hyung 혜 hyeh 혠 hyen 혤 hyel 혭 hyep 호 hoh 혹 hok 혼 hon 홀 hol 홅 hot 홈 hom 홉 hop 홋 hot 홍 hong 홑 hot 화 hwah 확 hwaak 환 hwaan 활 hwaal 홧 hwaat 황 hwaang 홰 hwae 홱 hwak 홴 hwan 횃 hwat 횅 hwang 회 hoe 획 hoek 횐 hoen 횔 hoel 횝 hoet 횟 hoet 횡 hoeng 효 hyoh 횬 hyon 횰 hyol 횹 hyop 횻 hyot 후 hoo 훅 hook 훈 hoon 훌 hool 훑 hoot 훔 hoom 훗 hoot 훙 hoong 훠 hwoh 훤 hwon 훨 hwol 훰 hwom 훵 hwong 훼 hweh 훽 hwek 휀 hwen 휄 hwel 휑 hweng 휘 hwee 휙 hwik 휜 hwin 휠 hwil 휨 hwim 휩 hwip 휫 hwit 휭 hwing 휴 hyoo 휵 hyook 휸 hyoon 휼 hyool 흄 hyoom 흇 hyoot 흉 hyoong 흐 heu 흑 heuk 흔 heun 흖 heun 흗 heut 흘 heul 흙 heuk 흠 heum 흡 heup 흣 heut 흥 heung 흩 heut 희 hee 흰 hin 흴 hil 흼 him 흽 hip 힁 hing 히 hee 힉 hik 힌 hin 힐 hil 힘 him 힙 hip 힛 hit 힝 hing
4. 양병선교수 창안 음절 단위 성씨 영문 로마자(영자) 표기
양병선교수는 현행 '국어의 로마자표기법' 에 따라 성씨만을 별도로 정하여 표기한다면 성씨 표기는 위와는 별도로 ‘음절 단위 성씨 영문 로마자(영자) 표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표기할 것을 제안하였다.
※ 현행 「국어의 로마자표기법」(제3장 제7항(2))에 따르면, ‘성의 표기는 따로 정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성씨 또한 공공영어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성씨의 라틴 로마자 표기는 정해진 바가 없다. 이는 현행 「국어의 로마자표기법」의 문제일 뿐이 아니라 공공용어 영문 표기의 문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루빨리 성씨의 라틴 로마자 표기에 관한 표준안을 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1,141,885건의 여권을 조사한 2011년 외교부 여권 자료(이상억 외 2011)에 따른 실태를 최대한 반영하여 양병선(2014)에서 제시한‘성씨 영문 로마자(영자) 표기’를 수정하여 ‘음절 단위 성씨 영문 로마자(영자) 표기’를 제시하였다(양병선 2011년 제 10장 참조).
‘음절 단위 성씨 영문 로마자(영자) 표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대다수 일반인은 자신의 성씨 표기를 영문 로마자 A-Z 26자를 이용하여 표기하는 영문 로마자 표기를 하고 있다(양병선 2011: §5.6). 따라서 성씨 로마자 표기는 현행 「국어의 로마자표기법」의 원칙과는 괴리가 너무 커 일반인의 성씨에 적용하는데 무리가 따른다. 이러한 증거로는 국가에서 정한 표기에서는 한 번도 제안된 적이 없는 석 suk 32.51%, 선 sun 64.40%, 설 sul 20.75%, 섭 sup 16.67%, 성 sung 63.61%, 견 kyun 49.22%, 경 kyung 57.34%, 구 koo 42.11%, goo 9.22%, 국 kook 43.43%, 궁 koong 38.30%, 두 doo 74.56%, 류 yoo 8.19%, 명 myung 52.55%, 묵 mook 35.71%, 범 bum 28.09%, 변 byun 61.60%, 부 boo 68.74%, 순 soon 84.49%, 엄 um 25.42%, 염 yum 16.25%, 엽 yup 12.50%, 육 yook 30.6%, 전 jun 25.01%, chun 10.42%, 점 jum 40.00%, 천 chun 43.70%, 추 choo 46.54% 등으로 표기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ㄱ’을 어두에 포함한 거의 모든 성씨는 <g> 가 아닌 <k>로 표기한다. 예를 들면, 대표적인 성씨인 강 kang 95.93%, 김 kim 99.3%, kwon 74.82%을 비롯하여, 가 ka 66.67%, 간 kan 69.54%, 갈 kal 56.21%, 감 kam 95.85%, 견 kyun 49.22%, kyeon 21.09%, 경 kyung 57.34%, 계 kye 65.47%, 고 ko 59.75%, 공 kong 71.00%, 곽 kwak 68.95%, 구 koo 42.11%, ku 24.28%, 국 kook 43.43%, kuk 29.99%, 궁 koong 38.30%, kung 36.17%, 근 keun 75.00%, 금 keum 52.52%, 기 ki 70.47%, 길 kil 51.01%로 표기하고 있다 단지 곡 gok 86.67%, 교 gyo 60.00%의 경우가 /g/로 표기하고 있을 뿐이며 ‘곡’의 표본 수는 15명, ‘교’의 표본 수는 5명에 불과하다.
.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영어철자와 발음을 기준으로 하여 성씨 표기를 제시하였다.
2) 한국 사람들은 예로부터 자기 성명을 끔찍이도 소중히 여기면서 자신의 성명을 욕되지 않게 하고자 목숨까지 바치곤 하였다. 즉 이름은 사람의 생명이며 인격으로써 육체나 영혼과 동일시하였다. 따라서, 성씨의 경우 한번 정한 표기는 바꾸기가 쉽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20대 성씨는 김(金), 이(李), 박(朴), 최(崔), 정(鄭), 강(姜), 조(趙), 윤(尹), 장(張), 임(林), 오(吳), 한(韓), 신(申), 서(徐), 권(權), 황(黃), 안(安), 송(宋), 유(柳), 홍(洪)이며 이 중 다수가 사용하고 있는 라틴 로마자 표기는 <김 kim 99.3%, 이 lee 98.5%, 박 park 95.9%, 최 choi 88.51%, 정(鄭) jung 41.13%, 강(姜) kang 95.93%, 조(趙) cho 73.1%, 윤(尹) yoon 48.66%, 장(張) jang 74.76%, 임(林) lim 61.84%, 오(吳) oh 97.08%, 한(韓) han 98.53%, 신(申) shin 86.71%, 서(徐) seo 77.16%, 권(權) kwon 74.82%, 황(黃) hwang 95.34%, 안(安) an 57.77%, 송(宋) song 99.28%, 유(柳) yoo 38.15%, 홍(洪) hong 99.53%이다. 이중 현행 「국어의 로마자표기법」과 일치하는 성씨는 <장(張) jang, 한(韓) han, 서(徐) seo, 황(黃) hwang, 안(安) an, 송(宋) song, 홍(洪) hong> 7개 성씨뿐이며 기타 성씨는「국어의 로마자표기법」과 일치하지 않는다. 그뿐만 아니라, suh/4,725 16.97% 또한 무시 못 할 표기이다. 따라서, 이러한 실태를 최대한 반영하였다.
3) 모음으로만 이루어진 성씨는 외자로는 표기하지 않으며 어감이 나쁜 영어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전자의 예는 아 ah, 어 eo/uh, 오 oh, 이 lee, 우 woo 등이 있으며, 후자의 예는 강 kang(gang 대신), 신 shin(sin)의 표기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러한 실태 또한 반영하였다.
4) 일반인들은 자신의 성씨 라틴 로마자 표기 시 음소 단위 표기를 기본으로 하는 현행 「국어의 로마자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는 대신 음절 단위로 표기하고 있다. 이러한 증거로는 <ㅏ>를 포함한 성씨인 나 na 81.33%, 안 an 57.77%, 아 ah 91.11%의 경우 <ㅏ>의 표기가 성씨에 따라 다르다. <ㅗ>를 포함하는 성씨인 도 do 88.61%, 동 dong 96.53%, 로 noh 47.78%/roh 18.40%, 오 oh 97.08%의 경우처럼 <ㅗ>의 표기 또한 성씨마다 다르다. <ㅓ>를 포함하고 있는 성씨의 경우 성 sung 63.61%, seong 32.63%; 서 seo 77.16%, suh 16.97%; 석 seok 58.54%, suk 32.51%; 선 sun 64.40%, seon 34.35%; 엄 eom 47.20%, um 25.42%; 전 jeon 54.48%, jun 25.01% 등으로 표기하고 있어 성마다 <ㅓ>의 표기를 <eo, u>로 각각 다르게 표기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ㅜ> 또한 마찬가지이다. 문 moon 70.28%, 순 soon 84.27%, 주 joo 48.51%의 성씨는 <oo>가 다수이지만, ju 45.74%는 <u>로 표기하고 있으며 우 woo 97.58%, 운 woon 100%으로 달리 표기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음소 단위로 표기가 아닌 음절 단위 성씨 표기를 제시하였다.
5) 성씨의 라틴 로마자 표기에는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는 성씨와 두음법칙을 따르는 성씨는‘이/리, 임/림, 유/류, 육/륙, 양/량, 나/라, 여/려, 염/렴, 노/로, 용/룡’로 각각 달리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고 있다. 이처럼 두음법칙을 따르지 않는 성씨는 별도로 표기하도록 반영하였다.
[별표] 「음절단위 성씨 영문로마자(영자) 표기」
a. ‘ㄱ’은 <k>로 표기하고 기타 자음은 현행 ‘국어의 로마자표기법’에 따라 표기한다 양병선(2014)에서는‘ㄱ’은 ‘ㅣ, ㅜ’ 앞과 이중모음 앞에서는 <k>로 표기하는 것으로 제안하였지만 위에서 언급한 대로 ‘ㄱ’을 어두에 포함한 모든 성씨는 <g> 가 아닌 <k>로 표기한다. 이에 따라 ‘ㄱ’은 모두 <k>로 표기한다.
. 다만, ‘ㅅ’은 받침이 있는 전설 고모음 ‘ㅣ’ 앞에서는 <sh>로 표기하며(예: ‘신, 심’ shin, shim), 두음법칙을 따르지 않는 성씨의 경우 ‘ㄹ’은 전설 고모음인 ‘ㅣ’앞에서는 <l>로 나머지는 <r>로 표기한다.
※ ‘ㄱ’을 <k>로 표기하는 것은 ‘ㄱ’을 어두에 포함한 거의 모든 성씨는 <g> 가 아닌 <k>로 표기한다.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대표적인 성씨인 강 kang(95.93%), 김 kim(99.3%), kwon(74.82%)을 비롯하여, 가 ka(66.67%), 간 kan/(69.54%), 갈 kal(56.21%), 감 kam(95.85%), 견 kyun(49.22%), kyeon(21.09%), 경 kyung(57.34%), 계 kye(65.47%), 고 ko(59.75%), 공 kong(71.00%), 곽 kwak(68.95%), 구 koo(42.11%), ku(24.28%), 국 kook(43.43%), kuk(29.99%), 궁 koong(38.30%), kung(36.17%), 근 keun(75.00%), 금 keum(52.52%), 기 ki(70.47%), 길 kil(51.01%)로 표기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ㅅ’을 받침이 있는 전설 고모음 ‘ㅣ’ 앞에서는 <sh>로 표기한 것은 신 shin 86.71%, 심 shim 51.08%, 시 si 72.57%를 고려한 것이다. 두음법칙을 따르지 않는 성씨의 경우 ‘ㄹ’은 전설 고모음인 ‘ㅣ’앞에서는 <l>로 표기하기로 한 것은 이 lee 98.5%, 림 lim 61.84%를 고려한 것이다.
b. ‘ㅏ, ㅔ, ㅣ, ㅗ, ㅐ, ㅡ’는 각각 <a, e, i, o, ae, eu>로 표기한다 위 2항 모음 표기에서는 ‘ㅏ, ㅔ, ㅣ, ㅗ, ㅐ’는 개음절인 경우와(ah, eh, ee, oh, ae) 폐음절인 경우에(aa, e, i, o/oh, a) 별도로 표기하도록 하여 음절 경계를 구분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성씨의 경우에는 음절 단위로 적기 때문에 음절 경계를 구분할 필요가 없으며 개음절인 성씨 가 ga 31.01%, ka 66.67%, 사 sa 96.14%, 야 ya 90.00%, 자 ja 100%, 차 cha 99.59%, 하 ha 98.98%, 고 ko 59.75%, go 18.00%, 소 so 89.02%, 기 ki 70.47%, 미 mi 66.67%, 시 si 72.57%, 지 ji 71.60%, 피 pi 67.36%, 계 kye 65.47%, 제 je 76.77%, 매 mae 86.36%, 맹 maeng 84.69%, 채 chae 81.01%, 모 mo 96.03%, 조 jo 27.95%, 초 cho 86.21%, 포 po 100%, 표 pyo 98.01% 등으로 다수가 표기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개음절, 폐음절 구분이 없이 각각 ‘ㅏ, ㅔ, ㅣ, ㅗ, ㅐ, ㅡ’는 <a, e, i, o, ae, eu>로 표기하도록 한다.
. 다만, ‘노/로’ noh/roh로 표기한다.
※ 모음자로 끝나는(즉 개음절) ‘노/로’ noh/roh로 표기하는 이유는 노 noh 47.78%, 로 roh 18.40%처럼 66.18%가 ~oh로 표기하고 있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c. ‘ㅓ’는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u>로 표기하며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는 <eo> 로 표기한다.
※ 석 suk 32.51%, 설 sul 20.75%, 섭 sup 16.67%, 성 sung 63.61%, 견 kyun 49.22%, 경 kyung 57.34%, 명 myung 52.55%, 범 bum 28.09%, 변 byun 61.60%, 엄 um 25.42%, 염 yum 16.25%, 엽 yup 12.50%, 전 jun 25.01%, chun 10.42%, 점 jum 40.00%, 천 chun 43.70%처럼 자음으로 끝나는(폐음절) ‘ㅓ’는 <u>로 표기하지만, 서 seo 77.16%, 서문 seomoon 40.97%, 여 yeo 87.52%, heo 48.26%의 경우처럼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는(개음절) <eo> 로 표기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d. ‘ㅜ’는 <oo> 로 표기하며 모음으로 시작하는 성씨 ‘우, 운’은 woo로 표기한다.
※ 구 koo 42.11%, goo 9.22%, 국 kook 43.43%, 궁 koong 38.30%, 두 doo 74.56%, 류 yoo 8.19%, 묵 mook 35.71%, 부 boo 68.74%, 순 soon 84.49%, 육 yook 30.6%, 추 choo 46.54%와 같이 대부분의 ‘ㅜ’는 <oo> 로 표기하고 있으며, 우 woo 97.58%, 운 woon 100%의 표기를 고려한 것이다.
e. 외 모음자 성씨인 ‘이, 오, 우, 아, 애, 어’는 위의 b/c/d항에서 제시한 것과는 달리 <lee/yee, oh, woo, ah, ae, uh>로 표기한다.
[붙임] ‘이’씨의 경우 두음법칙을 따르지 않은 성씨는 <lee>로, 두음법칙을 따르는 성씨는 <yee>로 표기한다.
※ 이는 모음자로만 이루어진 성씨 표기는 다른 성씨와 달리 표기한 것을 반영한 것으로 이 lee 98.5%, 오 oh 97.08%, 우 woo 97.58%, 아 ah 91.11%, 애 ae 80.00%, 어 uh 8.21%로 표기하는 것을 반영한 것이다 모든 외자 성씨의 경우 대다수가 표기하는 방안이다. 하지만 어 eo/981 68.27%의 경우는 <eo>가 <uh>의 표기보다는 다수이지만 전체 수가 적으며 원칙을 따라 <uh>로 표기하기로 한다.. ‘이’의 경우 위 a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두음법칙을 따르지 않는 ‘리’씨는 <lee>로 두음법칙을 따르는 성씨는 <yee>로 표기하도록 하는데 이씨의 98.5%가 <lee>로 표기하고 있기 때문에 별 의미가 없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f. 절대 다수(80%이상)가 사용하는 표기는 예외적으로 인정하여 표기하며(예: 박 park, 최 choi), 다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50% 이상인 경우 복수 표기를 인정한다.
※ 절대다수인 80% 이상이 표기하는 성씨 중 위에서 제시한 원칙에 맞지 않는 경우 예외적으로 인정한다. 이에 해당하는 성씨는 박 park 95.9%, 최 choi 88.51% 두 성씨가 이에 해당한다. 또한 다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50%인 경우에는 원칙과 복수 표기를 인정하여 다수 표기의 현실과 원칙을 수용하도록 한다. 표본 수가 1,000명 이상인 성씨 중 이에 해당하는 성씨는 류 RYU 66.40%/ RYOO 6.01%, 석 SEOK 58.54%/ SUK 32.51%, 설 SEOL 69.50%/ SUL 20.75%, 어 EO 68.27%/UH 8.21%, 연 YEON 71.63%/ YUN 4.92%, 염 YEOM 57.04%/ YUM 16.25%, 전 JEON 54.48%/JUN 25.01%, 조 CHO 69.85%/JO 27.95%, 추 CHU 51.84%, CHOO 46.54%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 중 조 CHO(35584) 69.85%의 경우 초 CHO(25) 86.21%와 구분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기는 하나 초씨의 표본 수가 적어 큰 문제가 없을 듯하다. 기타 성씨는 다수가 사용하는 경우는 50% 미만이다.
5. [193개 음절 단위 성씨 영문 로마자(영자) 표기]
위의 표기 원칙에 따라 193개 성씨를 영문 로마자로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ㄱ] 가 ka 간 kan 갈 kal 감 kam 강 kang 강전 kangjun 개 kae 견 kyun 경 kyung 계 kye 고 ko 곡 kok 공 kong 곽 kwak 교 kyo 구 koo 국 kook 군 koon 궁 koong 궉 kwok 권 kwon 근 keun 금 keum 기 ki 길 kil 김 kim
[ㄴ] 나 na 난 nan 남 nam 남궁 namgoong 낭 nang 내 nae 노 noh 놀 nol 농 nong 높 nop 뇨 nyo 녜 nye 누 noo 뇌 noe
[ㄷ] 단 dan 담 dam 당 dang 대 dae 도 do 독고 dokgo 돈 don 동 dong 동방 dongbang 두 doo
[ㄹ] 라 ra 랑 rang 량 ryang 로 roh 룡 ryong 류 ryu/ryoo 리 lee 림 lim
[ㅁ] 마 ma 만 man 망절 mangjul 매 mae 맹 maeng 명 myung 모 mo 목 mok 묘 myo 묵 mook 문 moon 미 mi 민 min
[ㅂ] 박 park 반 ban 방 bang 배 bae 백 baek 범 bum 변 byun 복 bok 봉 bong 부 boo 비 bi 빈 bin 빙 bing
[ㅅ] 사 sa 사공 sagong 삼 sam 상 sang 서 seo 서문 seomoon 석 seok/ suk 선 sun 선우 sunwoo 설 seol/ sul 섭 sup 성 sung 소 so 소봉 sobong 손 son 송 song 수 soo 순 soon 승 seung 시 si 신 shin 심 shim 십 ship
[ㅇ] 아 ah 안 an 애 ae 야 ya 양 yang 어 eo/ uh 어금 uhgeum 엄 um 여 yeo 연 yeon/ yun 염 yeom/ yum 엽 yup 영 yung 예 ye 오 oh 옥 ok 온 on 옹 ong 왕 wang 요 yo 용 yong 우 woo 운 woon 원 won 위 wi 유 yoo 육 yook 윤 yoon 은 eun 음 eum 이 yee/lee 인 in 임 im/lim
[ㅈ] 자 ja 장 jang 장곡 janggok 저 jeo 전 jeon/ jun 점 jum 정 jung 제 je 제갈 jegal 조 cho/ jo 종 jong 좌 jwa 주 joo 준 joon 즙 jeup 증 jeung 지 ji 진 jin
[ㅊ] 차 cha 창 chang 채 chae 천 chun 초 cho 최 choi 추 chu/ choo 춘 choon
[ㅌ] 탁 tak 탄 tan 태 tae
[ㅍ] 판 pan 팽 paeng 편 pyun 평 pyung 포 po 표 pyo 풍 poong 피 pi 필 pil
[ㅎ] 하 ha 학 hak 한 han 함 ham 해 hae 허 heo 현 hyun 형 hyung 호 ho 홍 hong 화 hwa 환 hwan 황 hwang 황보 hwangbo 후 hoo 흥 heung
6. 인명용 로마자표기 관련 참고문헌
강용순. 2011. 한국 성씨의 로마자 표기안에 대한 소견. 이상억 외(2011). 235-240.
강혜숙. 1998. 음절위주의 한글의 로마자 표기 형식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국립국어연구원. 2001. 성씨의 로마자 표기 공청회 발표논문. 문화관광부 국립국어연구원. 미출판물.
국립국어원. 2009. 성씨 로마자 표기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미출판물.
국립국어원. 2012. 성씨의 로마자 표기 공청회 발표논문. 2012년 1월 17일 공청회 토론자료, 미출판물.
김복문. 2005. 올바른 우리말 영문표기. 서울: 무역출판사.
김성원, 김정우. 2012. 한국 인명의 로마자 표기 형식에 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43권 2호: 199 - 222
김세중. 2001. 성씨의 로마자 표기 시안. 성씨의 로마자 표기 공청회 발표 논문. 문화관광부 국립국어연구원. 미출판물.
김순배. 2016. 한국 도로명의 명명 유연성 연구: 구심적 도로명과 인명 도로명을 중심으로. 한국지명학회 지명학 25:33 – 93.
김혜숙. 1998. 한국인명의 로마자 표기 순서 및 표기 양상. 사회언어학 6권 1호: 89-111.
김혜숙. 2000. 주요로마자 표기법에 입각한 한국인의 성 표기 문제점: 영어에 근거한 발음 및 의미. 사회언어학 제8권 1호: 415-443.
김혜숙. 2001. 한국인의 로마자 인명 표기의 통일성과 일관성: <영어영문학> 게재자를 중심으로. 영어학 1권 1호: 417-435.
김희숙. 2010. 성씨로 본 한국어 로마자표기 반성: 환원주의(reductionism)적 규정 대 전채론(holism)적 현실. 이중언어학 44:157-192.
박형익. 2001. 한국인명의 로마자표기. 이광호교수 회갑기념논총(2001), 871-926. 서울: 태학사.
송지청, 황성연, 이병욱, 엄동명. 2015. 인명(人名) 로마자 표기 고찰.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8권 2호: 1-16.
양병선. 2000. 한국 인명 로마자표기법 연구: 음절 단위 국어의 영자 표기. 대한언어학회 언어학 8권 3호: 281-302.
양병선. 2001. 번역으로서의 국어의 로마자표기법 연구: 음절 단위 영자 표기법. 대한언어학회 언어학 9권 3호: 25-50.
양병선. 2002. 성씨의 로마자 표기에 관한 제언. 전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연구 7:157-195.
양병선. 2003. 한자인명 로마자표기법에 관한 연구. 대한언어학회 언어학 11권 4호: 101-122.
양병선. 2005. 인명로마자표기 실태 및 분석: 국가대표선수를 중심으로. 대한언어학회 언어학 13권1호: 135-158.
양병선. 2006. 한글이름 로마자 표기에 관한 제언. 현대문법연구 43:201-24.
양병선. 2008. 인명 영문 로마자표기법: 새전자주민증 사용에 대비하여. 대한언어학회 언어학 16권 1호: 193-216.
양병선. 2009. 제2차 ‘성씨 로마자표기 시안’에 대한 제언. 현대문법연구 53:293-317.
양병선. 2010. 한글 성씨 로마자표기 체계 비교・검토. 대한언어학회 언어학 18권 4)호: 199-218.
양병선. 2011. 영어철자와 발음 기준 국어의 음절단위 영문로마자 표기법. 서울:한국문화사.
양병선. 2014. 제3차 ‘성씨의 로마자표기 권장안’에 대한 제언. 현대문법연구 81:303-322.
양병선. 2021. 공공용어 영문표기 규정 및 방안. 서울: 한국문화사.
우인식. 2012. 성씨 로마자 권장안에 대한 검토의견. 2012년 1월 17일 공청회 토론자료.
이상억. 2001. 2000년 한국어 로마자 표기의 현 상황과 성씨의 표기: 왜 ‘김’을 k로 해야 하는 가? 성씨의 로마자표기 공청회 발표논문. 문화관광부 국립국어원 미출판물.
이상억 외. 2011. 성씨의 로마자표기 정책 마련 연구 최종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용역 연구결과보고서.
이홍식. 2009. ‘성씨 표기안 제정 추진 경과 및 표기시안’에 대한 토론문. 국립국어원(2009) 37-38. 미출판물.
임동훈. 2012. ‘성씨의 로마자 표기 정책 마련 연구’에 대한 토론문. 2012년 1월 17일 공청회 토론자료.
정경일. 1997. 한국인명의 로마자표기 양상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 39:171-186.
정경일. 2009. 성씨 표기 시안에 대한 의견. 국립국어원(2009) 39-45. 미출판물.
정태충. 2005a. 음절위주의 정음로마자 표기법.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정태충. 2005b. 음절구분 표기형식의 장점과 그 형식을 반영한 정음로마자표기법. 경희대학교 멀티미디어 기술연구논문집 5:1: 123-130.
정희원. 2009. 성씨 표기안 제정 추진 경과 및 표기 시안. 국립국어원(2009) 3-11. 미출판물.
조원형. 2012. ‘성씨의 로마자 표기 정책 마련 연구 결과 발표회’ 패널 토론문. 2012년 1월 17일 공청회 토론자료.
진현용. 2009. 성씨 로마자 표기 관련 여권상 한글 이름의 로마자표기. 국립국어원(2009) 46-48. 미출판물.
채명희. 2009. 한국인명 영문표기 순서 및 형식: 외국인의 관점을 중심으로. 영어학 9권 4호: 583-607.
한글학회· 현대경제연구원. 2010. ‘국어의 로마자표기법’ 영향평가 결과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용역 연구 결과보고서.
허철구. 2000. 성의 로마자 표기 방안. 새국어생활 10권 4호: 75-93.
양병선교수 연락처:
전북 전주시 천장로 303 전주대학교 인문콘텐츠대학 영어영문학과 명예교수
e-mail: [email protected]
MP: 010-9437-6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