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시라소니]]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시라소니#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시라소니#|]]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뜻: }}}[[시라소니]]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시라소니#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시라소니#|]]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if 넘어옴1 != null
'''Lynx'''{{{#!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Lynx라는 이름을 쓰는 다른 것들}}}에 대한 내용은 [[링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링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링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Lynx라는 이름을 쓰는 다른 것들: }}}[[링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링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링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color=#ffffff> {{{+1 스라소니속 (Lynx)}}} | ||||
| 스라소니 | 캐나다스라소니 | 붉은스라소니 | 이베리아스라소니 | |
| 스라소니(유라시아스라소니, 시라소니) 獌, 獌狿, 貙獌, 土豹 | Eurasian lynx | |
| | |
| 학명 | Lynx lynx (Linnaeus, 1758) |
| <colbgcolor=#fc6> 분류 | |
| 계 | 동물계(Animalia)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강 | 포유강(Mammalia) |
| 목 | 식육목(Carnivora) |
| 과 | 고양이과(Felidae) |
| 아과 | 고양이아과(Felinae) |
| 속 | 스라소니속(Lynx) |
| 종 | 스라소니(L. lynx) |
| 아종 | |
| 북부스라소니(L. l. lynx) 투르케스탄스라소니(L. l. isabellinus) 코카시아스라소니(L. l. dinniki) 시베리아스라소니(L. l. wrangeli) 발칸스라소니(L. l. balcanicus) 카르파티아스라소니(L. l. carpathicus) | |
| 멸종위기등급 | |
| | |
영어: Eurasian lynx
프랑스어: Lynx boréal
이탈리아어: Lince Eurasiatica
핀란드어: lodjur
튀르키예어: vaşak
페르시아어: وشق
중국어: 歐亞猞猁
일본어: オオヤマネコ
1. 개요
스라소니의 일종.
한반도의 17세기 문헌에서는 ‘시라손’으로 불리는 것이 발견되었으며, 이 단어가 세월이 흐르며 ‘스라손’으로 바뀌고 뒤에 접미사 ‘-이’가 결합되어 탄생한 것이 '스라소니'다. 서북 방언으로는 '시라소니', 동북 방언으로는 '씨래소니'라고 부른다. 한자로 표기할 시 만연(獌狿), 추만(貙獌), 토표(土豹) 등 여러 단어로 표기된다.
2. 특징
삵과 비슷한 느낌의 외모로 인해 뭔가 작다는 느낌이 있지만 몸길이 80~130cm에 무게는 수컷 평균 20kg, 암컷 15kg 정도 되며 큰 개체들은 수컷 기준 30kg도 넘어간다.
꼬리 길이는 대부분의 다른 고양이과 동물들에 비해 아주 짧다. 이 짧은 꼬리는 멸종한 스밀로돈에서도 볼 수 있는 특징이다. 물론 둘 다 고양잇과지만 스라소니는 삵·오셀롯·퓨마가 속한 고양이아과에, 스밀로돈은 마카이로두스아과에 속했으며, 또한 스밀로돈은 생존했을 당시 스라소니와 동시대에 살았었던 동물이기 때문에 둘 중 하나가 직계 조상이라든가 그런 가까운 유전적인 관계는 아니다.
번식기를 제외하면 좀처럼 울지 않는다. 울음소리는 조금 거친 야옹소리며 포효는 못한다. 골골이 소리 역시 고양이보단 굵은 편. #
| 스라소니(위에서 3번째)와 스라소니속의 나머지 3종 |
3. 생태
유라시아에 매우 광범위하게 걸쳐 분포하며, 서쪽으로는 프랑스와 영국[1], 동쪽으로는 극동 러시아와 한반도 북부까지, 남쪽으로는 서유럽의 피레네산맥, 동유럽의 발칸반도와 인도 북부의 히말라야산맥 지대까지 서식한다. 주로 접근이 힘든 험준한 지형에 서식하며, 스텝, 타이가, 산지에서도 살아간다. 눈이 100cm를 초과해 쌓이는 지역에선 살지 않는다.주로 야행성, 황혼성을 띤다. 먹이가 부족할 시기엔 낮에도 활동하지만, 평상시엔 덤불 같은 은신처 속에서 퍼질러 잔다.
단독 생활을 하며 사냥 영역은 먹이의 가용성에 따라 적게는 20에서 많게는 450km2에 이른다. 수컷이 암컷보다 훨씬 넓은 영역을 차지하는 경향이 있다. 정기적으로 영역을 순찰하며, 나무에 발톱 자국을 남기거나 배설물로 마킹하여 다른 개체들에게 자신의 영역임을 알리는 습성이 있다.
2~3살에 성적으로 성숙하며, 번식기는 1~4월까지다. 암컷은 번식기 동안 단 한 번만 발정을 하며, 발정 기간은 4~7일이다. 임신 기간은 67~74일이다. 임신한 암컷은 외딴 곳에 굴을 파고, 늘어진 가지나 나무뿌리를 이용해 굴을 숨긴다. 굴에는 깃털, 사슴털, 건초를 깔아서 새끼들의 침대를 만든다.
한 배에 낳는 새끼의 수는 보통 2마리고, 3마리 이상은 드물다. 갓 태어난 새끼는 240~430g이며, 눈은 감고 태어났다가 10~12일차에 뜬다. 새끼 특유의 회갈색털은 생후 11주차에 성체의 털 색깔로 완전히 바뀐다. 생후 6~7주차에 점차 굴 밖을 나가기 시작하는 동시에 고기를 먹기 시작하지만, 젖을 완전히 떼기까진 5~6개월이 걸린다. 보통 생후 10개월차까지 어미와 함께 지내다가 독립한다.
최대 수명은 사육 상태를 기준으로 21년이다.
3.1. 먹이와 사냥
| 유럽노루를 사냥하는 스라소니[2] |
물론 근연종들처럼 쥐, 다람쥐, 청설모, 마멋 등의 작은 설치류나 숲멧토끼, 유럽비버, 작은 새, 오리, 꿩, 도마뱀, 구렁이와 같은 작은 먹잇감들도 잡아먹기는 한다. 한 마디로 큰 먹이와 작은 먹이를 가리지 않고 먹는다.
| 유럽소나무담비를 사냥하려 하는 스라소니 |
인간보다 큰 크기의 사냥감도 간혹 사냥하지만 인간에게 직접적인 해를 끼쳤다는 기록은 거의 없는데, 중간 크기의 포식자인 스라소니의 특성상 덩치가 생각보다 크다고는 해도 호랑이처럼 인간을 먹이로 삼기엔 다소 작고, 애초부터 조심스러운 성격이라 굳이 인간의 가축을 습격하지도 않았다.
3.2. 천적 또는 경쟁자
주 천적이자 경쟁자로는 대형 늑대 아종들[3]과 울버린[4]이 있다.불곰도 천적이라 할 수 있으나, 직접 스라소니를 잡아먹기보다는 스라소니가 사냥한 먹이를 빼앗는 것을 더 선호하기에 살짝 애매하다. 또한 검독수리, 수리부엉이와도 경쟁하며, 이들은 체급상 어린 스라소니는 사냥이 가능하나 크고 민첩한 성체는 건드리지 못한다.
만주와 아무르 강 등에선 시베리아호랑이와 아무르표범, 티베트, 몽골, 라다크 등에선 눈표범과 서식 범위가 겹치는데, 셋 다 평균적인 체중으로 스라소니를 능가하며, 스라소니를 포식한 정황이 포착되었다.
4. 남한 서식 여부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315288>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I급 ] {{{#!wiki style="margin: -5px -1px -6px" | 포유류 | <colbgcolor=#fff,#1c1d1f>늑대† · 대륙사슴† · 무산쇠족제비 · 점박이물범 · 반달가슴곰 · 붉은박쥐 · 사향노루 · 산양 · 수달 · 스라소니† · 여우† · 작은관코박쥐 · 표범† · 호랑이† | |
| 조류 | 검독수리 · 고니 · 넓적부리도요 · 노랑부리백로 · 느시 · 두루미 · 먹황새 · 뿔제비갈매기 · 저어새 · 참수리 · 청다리도요사촌 · 크낙새† · 호사비오리 · 혹고니 · 황새 · 흰꼬리수리 | ||
| 파충류 | 비바리뱀 | ||
| 양서류 | 수원청개구리 | ||
| 어류 | 감돌고기 · 꼬치동자개 · 남방동사리 · 모래주사 · 미호종개 · 얼룩새코미꾸리 · 여울마자 · 임실납자루 · 좀수수치 · 퉁사리 · 흰수마자 | ||
| 곤충 | 붉은점모시나비 · 비단벌레 · 닻무늬길앞잡이 · 산굴뚝나비 · 상제나비 · 수염풍뎅이 · 장수하늘소 · 큰홍띠점박이푸른부전나비 | ||
| 기타 무척추동물 | 귀이빨대칭이 · 나팔고둥 · 남방방게 · 두드럭조개 | ||
| 식물 | 광릉요강꽃 · 금자란 · 나도풍란 · 만년콩 · 비자란 · 암매 · 죽백란 · 제주고사리삼, · 탐라란 · 털복주머니란 · 풍란 · 한라솜다리 · 한란 |
- [ II급 ]
- ||<width=15%> 포유류 ||<colbgcolor=#fff,#1c1d1f>노란목도리담비 · 북방물개 · 삵 · 큰바다사자 · 토끼박쥐 · 하늘다람쥐 ||
| †:대한민국에 더 이상 서식하지 않는 종 |
한반도에 서식하는 스라소니 아종은 시베리아스라소니인데, 과거 북한 지역에 널리 분포했으나 현재는 서식지 파괴, 사냥 등으로 인해 개마고원 같은 오지 지역에만 남았다.
남한에서는 강원특별자치도나 충청북도 등의 일부 지역에서 목격담이 있고 발자국도 발견된다는 얘기가 있다.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된 스라소니로 추정되는 고양이과 동물이 있다는 영상도 유튜브에 떠돌지만, 정확한 기록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애초에 남한에 비교적 최근까지 살았음이 확실한 시베리아호랑이나 아무르표범과는 달리, 우수리불곰과 시베리아스라소니는 공식적으로 한반도 중남부에 서식하였는가에 대한 논란이 있기도 하다. 이에 따라 세계자연보전연맹에서는 불곰과 스라소니의 과거 절멸된 서식지에 남한을 포함하지 않았다. 어쩌면 표범과 생태 지위[5]가 같기 때문에 경쟁에서 밀려 남한으로 진출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6]
설악산 및 경상북도 영양군에서 스라소니 복원 사업을 진행하려 했지만 스라소니의 남한 서식 여부가 명확하지 않다는 이유로 무산되었다.
5. 대중매체
- 엘더스크롤 시리즈에 등장하는 수인 종족 카짓은 여러 고양잇과 동물처럼 생겼는데, 이 중 5편 스카이림에 등장한 카짓은 스라소니를 닮았다.
- 플래닛 주 유럽 DLC를 구매하면 사육 가능한 동물로 나온다.
- 만화경에서 연재된 웹툰 Winter Game의 주인공으로 나온다.
- 붕괴: 스타레일의 캐릭터 링스의 이름을 스라소니에서 따왔다.
- 젠레스 존 제로의 에이전트 세스 로웰은 스라소니 시렌이다.[7]
- 명일방주의 오퍼레이터 켈시와 팬텀(명일방주)의 모티브이기도 하다.
6. 여담
맹수지만 인간의 손에 길들여 지기도 한다. 위 사진은 일제강점기 함경북도 경성군에서 맹수 사냥과 리조트를 운영하며 살았던 폴란드계 러시아인 '얀코프스키(Yankovsky)' 일가가 키우던 스라소니다. 얀코프스키 일가의 이야기는 1970년대에 '사냥꾼 이야기'라는 책을 통해 한국에도 알려져 있다.
- 러시아에는 그냥 길고양이 인줄 알고 데려가 키웠는데 데려올 때부터 스라소니(Lynx)를 닮았길래 링시(Lynxy)라는 이름을 지어줬지만 진짜 스라소니였다는 황당한 일이 있다. 근데 사람에게 키워져서 그런지 주인말에 따르면 매우 온순하고 아이들과도 잘 지내며 애교가 많은 편이라 집고양이랑 별반 다를 게 없다고 한다.
- 에스토니아, 러시아, 노르웨이, 아르메니아, 이라크에선 스라소니 사냥이 합법이다. 사냥 시즌의 경우 에스토니아에선 12월 1일~2월 28일, 러시아에산 11월 15일~3월 15일, 노르웨이에선 2월 1일~3월 31일까지며, 아르메니아와 이라크에선 딱히 정해져있지 않다.
- 우리나라 일부 지역에서는 한때 '호랑이 새끼가 버려져서 악착같이 살아남은 게 스라소니'라는 속설이 있었다. 그래서 호랑이 새끼를 부르는 단어인 개호주가 스라소니를 지칭하기도 했다. 조선시대부터 고양잇과 맹수를 싸잡아 범이라 불렀고 이런 속설들이 겹쳐서 저런 기사가 나온 것이다. 그래서 예로 부터 '범 새끼가 열이면 스라소니도 있다'는 속담처럼, 집단에서 못난 사람을 가리키거나, 이도 저도 아닌 어중간한 포지션을 가진 자를 뜻하기도 했다. 야인시대의 시라소니는 오히려 이걸 역으로 빗대어 '한물 갔다고 해서 시라소니가 고양이 새끼 되진 않는다'고 하기도 한다.
- 대잠헬기로 쓰이는 링스 헬기는 이 동물의 이름을 딴 것이다.
국내에서는 위 그래프에 등장하는 동물로도 잘못 알려져 있다. 이 그래프는 고등학교 생명과학1의 포식과 피식 단원에서 예시로 자주 나오는데, 이 정보는 캐나다스라소니에 관한 정보이고 따라서 다른 종인 스라소니에는 적용되지 않는다.[9]
[1] 인간에 의해 절멸되었으나 현재 복원 계획이 검토되는 중이다.[2] 해당 영상은 라트비아에서 촬영되었다.[3] 소형 아종들은 스라소니가 상대할 수 있지만, 대형 아종들은 체급, 쪽수로 스라소니보다 우위를 점해, 스라소니 입장에선 매우 상대하기 곤란한 적이다. 실제로 여러 지역에서 늑대의 개체수가 늘어나자 스라소니의 개체수는 줄어들었다는 보고가 전해온다.[4] 이쪽도 스라소니와 체급이 비슷하고, 사실상 서로 죽일 수 있는 관계지만, 유연한 신체와 질긴 가죽, 매우 흉포한 성격을 지니고 있는 터라 스라소니가 상대적으로 밀린다. 때문에 스라소니들은 웬만해선 울버린을 피해 다닌다.[5] 동아시아와 극동 러시아에서 서식하며 먹이도 모두 고라니나 노루 같은 중형 우제류와 너구리나 오소리 같은 잡식 식육목 동물들을 노린다.[6] 대한민국에서 아시아 지역에서만 사는 동물들의 개체수가 많지만, 유라시아 전역에 분포하는 동물들의 개체수가 상대로 적은 것도 생태 지위가 같은 탓에 경쟁관계에서 밀린 것과 같다.[7] 공식적으로는 고양잇과 시렌이라고만 하지만 코팅 다이어리 일러스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8] 본래 암수 한 쌍이 함께 있었으나 새끼가 태어난 이후로는 새끼의 보호와 건강을 위해 수컷을 따로 분리해 두었다고 한다. 이 개체들은 체코에서 데려왔다. #[9] 애초에 체급이 달라서 사냥감도, 생태적 지위도 다르다. 캐나다스라소니는 눈덧신토끼만을 주식으로 하지만, 스라소니는 노루를 주식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