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3 13:45:38

양방향좌회전차로



1. 개요2. 상세
2.1. 목적2.2. 통행방법2.3. 설치 기준
3. 국내 도입 여건4. 둘러보기

1. 개요

兩方向左回轉車路 | Two-way Left Turn Lane (TWLTL)

왕복 4차로 이하의 도로에서 방향 구분없이 양방향으로 어디서나 보행자 또는 마주오는 차량에 주의하여 좌회전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특수 차로. 주로 미국캐나다에서 매우 활발하게 도입되어 북미 주택가의 집산도로국지도로를 상징하는 아이콘이 되었다. 다만 2010년대 중반부터는 교통정온화가 대세가 되면서 보도자전거도로 확보를 위한 차로다이어트를 실시하면서 TWLTL이 다시 철거되는 사례도 조금씩 있다.

실선과 점선이 혼합된 두 줄의 중앙선과 양방향 화살표 교통노면표시로 구분한다.

좌회전 포켓차로를 연속적으로 구비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

가변차로와 노면표시가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교통운영방법이다. 또한 단방향 추월금지 중앙선과도 노면표시가 비슷하지만, TWLTL에서는 추월이 양쪽으로 금지된다.

2. 상세

파일:TWLTL.svg

2.1. 목적

  • 좌회전 하려는 차량을 공간적으로 분리시키므로써 뒤따라오던 직진차량이 불필요하게 속도를 줄여 교통혼잡을 야기하거나 추돌하는 사고를 예방한다.
    • 특히 마주오는 차량이 많은 경우 좌회전 차량이 계속 대기해야 하므로 공간 분리가 없다면 혼잡이 크게 발생할 것이다. 미국에서는 TWLTL을 설치한 구간에서 직진 및 좌회전류의 혼잡 개선과 교통 사고 예방 효과가 상당 부분 보고되었다.
  • 1개 차로 공간만 할애하여 좌회전 포켓차로를 양방향으로 확보할 수 있다.
    • 좌회전 차량이 특별히 많지 않은 도로에서 일반적인 좌회전 포켓차로를 양쪽에서 일일이 구비하는 것보다 공간 효율성이 좋고, 도로 노면표시가 깔끔하여 미관이 개선된다.
  • 전구간 신호 없이 비보호로 좌회전이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신호대기가 없다.
  • 구간 전체에서 좌회전이 가능하게 만들어 맞은 편 도로, 주차장, 상가, 주택가의 접근성 개선된다.
    • 특히 진입로나 접근로 등 좌회전 수요가 구간 전체에 밀도 높게 분포할 때 효과가 좋다.
  • 응급 상황 시 긴급자동차가 주행할 수 있는 공간 확보된다.

2.2. 통행방법

  • 주도로에서 좌회전하려는 차량은 좌회전하려는 지점의 30m 전부터 TWLTL에 진입한 후, 보행자나 마주오는 차량에 주의하여 좌회전할 수 있다.
  • 양방향 차로이기 때문에 같은 차로에서 좌회전하기 위해 반대편에서 다가오는 차량에 주의한다.
  • 긴급자동차 외에는 TWLTL에서 계속 직진 할 수 없다.
  • 긴급자동차 외에는 TWLTL나 반대편 차로를 통해 추월할 수 없다.
  • 각 주의 도로교통법에 따라 다르지만, TWLTL에서 유턴할 수 없다. 어떤 주는 허용한다.
  • 각 주의 도로교통법에 따라 다르지만, 부도로에서 좌회전할 때에는 TWLTL로 진입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차로로 진입해야 한다. 어떤 주는 허용한다.

2.3. 설치 기준

주 마다 다르지만, 콜로라도 주 교통부의 설계 기준(#)에 따르면,
  • 연평균일교통량(AADT)이 왕복4차로에서는 1만대/일 이상 2만대/일 이내, 왕복2차로에서는 5천대/일 이상 1.2만대/일 이하
  • 첨두시 전체 통행량의 20% 이상이 좌회전류 혹은 1천 피트 내 70곳 이상의 좌회전 지점이 있을 때
  • 최소길이 1000피트(300m) 이상 또는 2~3 블록 이상
  • 최고속도 50 마일/시(80km/h) 이하
  • TWLTL 폭 10 피트(3m) 이상 16 피트(4.9m) 이하
  • 부도로와 접속되는 교차로는 신호 없이 연속적으로 TWLTL을 설치하고, 부도로 쪽은 2방향 정지(2-way stop)로 운영.
  • 신호등 또는 4방향 정지(4-way stop)로 운영되는 교차로의 접근로에서는 양방향좌회전차로를 일시적으로 일반 좌회전차로로 전환

3. 국내 도입 여건

대한민국에서는 도입 사례가 없다. 도로교통법에서 이를 설치할 수 있는 근거 조문이 부재한 상황이다. 학술적으로는 도입 염두 해 설계기준을 검토해본 논문이 몇 건 있다.(배광수 외, 2007; 이지선, 2012; 이지선 외, 2014)

4. 둘러보기

파일:도로교통.png 도로교통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c8123><colcolor=#fff> 도로 <colbgcolor=#808080><colcolor=#fff> 등급 분류 고속국도 · 국도 · 지방도 · 시도
형태 고속도로 · 고속화도로 · 도시고속도로 · 강변로 · 산복도로 · 순환로 · 비포장도로 · 임도 · 제방도로 · 측도 · 농어촌도로 · 사도 · 이면도로 · 단지내도로 · 사실상도로
시설 도로의 횡단 구성 중앙분리대 · 차도 · 갓길 · 측대 · 측구 · 도로경계석 · 식수대 · 자전거도로 · 보도
전용 시설 전용차로 · 자동차전용도로 · 자전거전용도로 · 다인승전용차로 · 오토바이전용차로 · 노면전차 전용로 · 버스전용차로
교차로 평면교차로 · 회전교차로 · 입체교차로 · 나들목 · 분기점 · 88도로 · 램프 · 텍사스 유턴 · 미시간 좌회전
횡단 시설 건널목 · 지하차도 · 고가차도 · 교량 · 터널(해저터널) · 암거 · 횡단보도 · 대각선 횡단보도 · 자전거횡단도 · 육교 · 지하도 · 생태통로
안전 시설 신호등(신호등/대한민국, 점멸등, 감응신호, 수신호) · 도로교통표지판(도로교통표지판/대한민국) · 교통노면표시(중앙선, 차선, 정지선, 노면 색깔 유도선) · 무인단속장비 · 포장 · 가드레일 · 안전지대 · 교통섬 · 갓길 · 가로등 · 비상제동시설 · 졸음알리미 · 출차주의등 · 도류화 · 오르막차로 · 테이퍼 · 클린로드 · 그루빙 · 럼블 스트립 · 양방향좌회전차로
편의 시설 휴게소(고속도로 휴게소) · 졸음쉼터 · 버스 정류장 · 가로수 · 주차장
규칙 제도 통행방향 · 지정차로제 · 안전속도 5030 · 견인 · 거주자 우선 주차 · 도로 통행금지 · 어린이보호구역 · 노인보호구역 · 장애인보호구역 · 가변차로 · 급행차로 · 일방통행 · 교통정온화 · 마을주민보호구간
위법 행위 음주 운전 · 약물 운전 · 졸음운전 · 속도 위반 · 신호위반과 지시위반 · 안전운전의무불이행 · 교차로운행방법위반 · 보행자보호의무위반 · 진로양보불이행 · 안전거리미확보 · 역주행 · 예측출발 · 끼어들기 · 꼬리물기 · 불법 주정차 · 12대 중과실 · 좌측 방향지시등 우회전 · 뺑소니 · 물피도주
운전 규칙 주차 · 양보 · 서행 · 일시정지 · 앞지르기 · 비보호 좌회전 · 적신호시 우회전 · 유턴 · 훅턴
특례 교통수단 긴급자동차 · 어린이보호차량 · 자전거 · 개인형이동장치 · 보행자
도로명주소 대로 · ·
법률 도로법 · 농어촌도로 정비법 · 사도법 · 유료도로법 · 도로교통법 · 도로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 농어촌도로의 구조ㆍ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 도로의유지ㆍ보수등에관한규칙 · 도로와 다른 시설의 연결에 관한 규칙 · 도로명주소법 · 도로표지규칙 · 한국도로교통공단법 · 한국도로공사법
기관 도로관리청
기타 오프로드 · 병목 현상 · 엇갈림구간 · 로드킬 · 교통 체증 · 방어운전 · 캥거루 운전 · 비상활주로 · 요금소 · 컬드색 · 한국 교통 문제점 · 오토바이/고속도로 통행(대한민국 사례 · 대만 사례) }}}}}}}}}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