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01:48:05

아브로 랭커스터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군 항공병기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242b3d>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항공기
전투기 복엽기 <colbgcolor=#fefefe,#191919>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
단엽기 볼튼 폴 디파이언트,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F/LF/HF, 호커 허리케인, 호커 타이푼, 호커 템페스트, 슈퍼마린 스파잇풀
함재기 글로스터 시글래디에이터, 페어리 풀머, 페어리 파이어플라이, 호커 시허리케인, 슈퍼마린 시파이어 F, 슈퍼마린 시팽, 호커 시퓨리 FBA, 드 해빌랜드 시호넷 F/NFA
쌍발기 브리스톨 보파이터, 웨스트랜드 훨윈드,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FB/NF, 드 해빌랜드 호넷A
제트기 글로스터 미티어, 드 해빌랜드 뱀파이어A, 슈퍼마린 어태커A
뇌격기 페어리 소드피시, 페어리 알바코어, 페어리 바라쿠다, 블랙번 파이어브랜드, 브리스톨 뷰포트
폭격기 경폭격기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B, 페어리 배틀, 브리스톨 블렌헤임
中폭격기 빅커스 웰링턴, 암스트롱-위트워스 휘틀리, 핸들리 페이지 햄든, 잉글리시 일렉트릭 캔버라A
重폭격기 숄트 스털링, 핸들리 페이지 핼리팩스, 아브로 랭커스터, 아브로 링컨
급강하폭격기, 공격기 블랙번 스쿠아, 페어리 바라쿠다, 브리스톨 브리건드A, 웨스트랜드 와이번A
수송기 빅커스 발레타
정찰기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FR/PR, 슈퍼마린 시파이어 FR,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PR, 드 해빌랜드 호넷 FR/PRA
렌드리스 항공기 전투기 벨 에어라코브라, 커티스 키티호크, 리퍼블릭 썬더볼트, 노스 아메리칸 머스탱, 브루스터 버팔로(B-339E), 그루먼 마틀렛, 그루먼 가넷(헬캣), 보우트 콜세어, 록히드 라이트닝
뇌격기, 공격기 제너럴 모터스 어벤저, 브루스터 버뮤다,V-156 체사피크, 더글라스 하복, 벌티 벤전스
폭격기 록히드 허드슨, 록히드 벤추라, 마틴 볼티모어, 컨설리데이티드 리버레이터 B, 보잉 포트리스, 노스 아메리칸 미첼, 마틴 머로더, 보잉 워싱턴A, 마틴 메릴랜드
회전익기 시코르스키 호버플라이
수상기 슈퍼마린 왈루스, 컨솔리데이티드 카탈리나, 컨솔리데이티드 코로나도, 숄트 선더랜드
시제기 빅커스 베놈, 글로스터 E.28/39, 에어스피드 플리트 쉐도워, 호커 토네이도, 블랙번 파이어크레스트
노획 기체 메서슈미트 Bf 109, 포케불프 Fw 200, 포케불프 Fw 190, 포케불프 Ta 152, 하인켈 He 219, 하인켈 He 70, BV 184, BV 185, BV 187, 하인켈 177, 슈토르히 Fi 156, 융커스 188 A-2, A-3, 아라도 232 B-0, MXY-7 오카A, C-012A, 도르니에 335A, 융커스 352A, 메서슈미트 Me 410 A-3A
무기대여법으로 공여받은 기체는 영국식 표기로 기재하였다. 윗첨자A: 전후 도입/노획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external/www.aircraft-list.com/Avro_Lancaster_64.jpg
Avro Lancaster

1. 개요2. 제원3. 개발의 시작, 아브로 맨체스터
3.1. 랭커스터
3.1.1. 파생형
4. 실전
4.1. 여생
5. 매체에서6. 둘러보기


1. 개요



아브로사가 개발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공군(RAF)를 대표하는 중(重)폭격기다.

2. 제원

아브로 랭커스터 I
승무원: 7명
전장: 21.11m
전폭: 31.09m
전고: 6.25m
공허중량: 16,738kg
이륙최대중량: 30,884kg
최고 속력: 454km/h[1]
항속거리: 4,073km
최대 상승 고도: 6,500m[2]
무장: 전방터렛 7.7mm 브라우닝 기관총 2정, 동체 상부 터렛과 후방 터렛에 7.7mm 브라우닝 기관총 4정[3]
폭장량: 최대 14,000 lb(6,400kg)
출력원: 롤스로이스 멀린 XX 수랭식 V12 엔진 4기(1,280 마력)
아브로 링컨 I
승무원: 7명
전장: 23.86m
전폭: 36.58m
전고: 5.27m
공허중량: 19,686kg
이륙최대중량: 37,195kg
최고 속력: 513km/h
항속거리: 4,714km
최대 상승 고도: 9,296m
무장: 전방, 후방터렛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2정, 동체 상부 터렛 히스파노 Mk.V 기관포 2정
폭장량: 최대 14,000 lb(6,400kg)[4]
출력원: 롤스로이스 멀린 85 수랭식 엔진 4기(1,750 마력)

3. 개발의 시작, 아브로 맨체스터

파일:external/francecrashes39-45.net/avro-manchester-1.jpg
  • 랭커스터의 전신인 맨체스터 쌍발 폭격기

1939년 6월, 영국의 애브로 사에서 첫 비행을 한 신형 쌍발엔진 폭격기 맨체스터(Avro Manchester)는 공기역학적으로 우수한 동체 설계에 폭장량과 항속거리가 우수한 폭격기였으나, 사용한 대출력 벌쳐 엔진에 문제가 많아 비전투 운용 손실률이 높았다.[5] 결국 맨체스터 폭격기는 209대로 생산 중지 되었으나, 맨체스터의 동체와 날개 설계를 그대로 살리고 신뢰성이 낮은 벌쳐 엔진 대신 높은 신뢰성이 입증된 롤스로이스 멀린 엔진을 탑재한 4발 엔진 폭격기로 되살아난 것이 바로 랭커스터 폭격기의 시작이었다.

3.1. 랭커스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ritish_WW2_bombers_comparison.png
  • 영국 공군의 4발 폭격기 크기 비교, 노란색은 스털링, 분홍색은 핼리팩스, 파란색이 랭커스터다.

3.1.1. 파생형

  • 랭커스터 B I: 랭커스터의 최초 모델이다. 초기에는 멀린 XX 엔진을 장비했다. 후기형은 멀린 22, 24 엔진을 장비 하였으나 별도 모델로 분류되지는 않았다. 가장 많이 생산된 형식이다.
    • 랭커스터 B I 스페셜: 랭커스터 B I에 톨보이그랜드슬램을 장착하도록 개조된 모델이다.
    • 랭커스터 PR I: B I을 개조한 사진 정찰기다.
    • 랭커스터 B I(FE): 일본 본토 공습에 참가할 "타이거 포스"부대용으로 개조된 모델이다. FE는 극동(Far East)을 의미한다. 동남아시아 작전과 일본에 대한 장거리 폭격을 위해 열대용 장비를 추가하고 무전기, 레이더, 항법 장비를 개선, 그리고 추가 연료 적재 공간을 설치한 모델이다. 대신 동체 상부 방어 총좌는 제거 되었다. 작전 불발로 실전에 투입되지 못했다.
  • 랭커스터 B II: 멀린 엔진 대신 브리스톨 허큘리스 공랭식 엔진을 장착한 버전이다. 300대만이 생산되었으며 랭커스터 중 유일하게 하방 총좌가 설치된 모델이다.
  • 랭커스터 B III: 미국 팩커드사에서 생산한 멀린 엔진(P-51 머스탱에도 설치된 엔진)을 장착한 버전이다. 기본적으로는 B I과 같다.
    • 랭커스터 B III 스페셜: B III를 기초로 댐 폭파용 도약 폭탄을 발사하도록 개조된 모델이다.
    • 랭커스터 ASR III: B III를 기초로 만들어진 해난구조기다. 함선 탐지용 레이더와 투하식 구명보트를 장비했다.
    • 랭커스터 GR 3/MR 3: B III를 기초로 개발된 해상 장거리 초계기다.
  • 랭커스터 B IV, V, VI: 랭커스터의 동체와 날개, 플랩 등을 재설계하고 신형 방어총좌를 장비한 모델이다. 양산 시에는 애브로 링컨으로 개칭되었다.
  • 랭커스터 B X: 캐나다에서 생산된 모델로 미제와 캐나다제 부품이 많이 사용되어 여러 면에서 영국제와는 다른 특징이 많았다.
  • 아브로 링컨 시리즈
  • 링컨 I: 랭커스터의 단점을 계량한 후속기이지만 거의 후기형 취급을 받는다.
    • 링컨 II: 암스트롱-위트워스 사와 빅커스 사가 생산한 버전. 링컨 I과 다른 엔진을 사용했다.
    • 링컨 IV: 링컨 II의 엔진을 롤스로이스 멀린 85로 교체한 버전이다.[6]
  • 링컨 III: 해상초계기 버전 링컨이다. 나중에 아브로 새클턴이 된다.
  • 링컨 Mk.15: 빅토리 애어크래프트(Victory Aircraft) 캐나다 지사가 생산한 버전이다.
  • 링컨 Mk.30: 장거리 폭격기 버전이다.
  • 링컨 Mk.30A: 오스트레일리아 생산 버전이다. 엔진과 기수가 좀 다르다.
  • 링컨 MK.31(GR 31) : 정찰기 버전이다. 기수터렛을 제거했다.
    • 링컨 MR 31 : 대잠초계기 버전이다. GR 31을 기반으로 개조했다.
  • 아브로 695 링커니언(Lincolnian) : 랭커스터의 수송기 버전인 아브로 랭커스트리언(Lancastrian)처럼 링컨을 기반으로 한 수송기다.

4. 실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ancaster_I_NG128_Dropping_Load_-_Duisburg_-_Oct_14_-_1944.jpg
  • 랭커스터의 폭격 장면이다. 왼쪽 사진의 얇은 것들은 채프의
기원인 윈도우고 오른쪽 사진의 드럼통 같은 게 블록버스터다.

랭커스터 폭격기는 1942년 봄부터 실전에 투입되어 종전때까지 156,000소티의 임무를 수행했고, 608,612t의 폭탄을 투하 했다. 기뢰 부설이나 함선 공격같은 다양한 임무에도 투입되었지만 주된 임무는 독일 도시에 대한 야간 무차별 폭격이었으며, 이를 위해 더 많은 방어 무장을 장착할 여유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방어 무장은 7.7mm브라우닝 기관총을 총 8정을[7]탑재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이렇게 하방 방어 총좌가 없다는 약점 때문에 독일군 야간 쌍발 요격기들은 소위 "슈레게무지크(schrage Musik)"라는 동체 상부에 탑재되는 경사 기관포로 랭커스터 폭격기의 아래쪽에서 공격하는 전술을 사용하여 많은 피해를 입히기도 했다.

그러나 랭커스터의 많은 폭장량과 긴 항속거리 때문에 수많은 독일 도시들이 잿더미가 되는 지옥을 경험하게 되었으며, 당시 독일인들에게 영국 공군을 뜻하는 약자 RAF는 죽음과 파괴를 의미하는 불길한 단어로 인식되었고, 이것은 이후 독일의 바더 마인호프단이 자신들의 약호를 RAF로 정하는 요인 중의 하나가 되었다.

이러한 야간 무차별 폭격 이외에도 도약 폭탄, 톨보이, 그랜드슬램 등의 특수 폭탄을 사용하여 루르지역의 댐 파괴, 비스마르크급 전함 티르피츠를 격침하는 등의 전과를 올린 것으로도 명성을 떨쳤다.

랭커스터는 거의 대부분의 임무를 유럽전선에서 수행했지만, 일본 제국을 침몰시키는 몰락 작전의 계획상으로는 "타이거 포스"로 명명된 영연방공군 폭격부대의 주력으로 활동할 예정이었으나, 일본이 원자폭탄 두 발과 소련의 만주 작전으로 항복해 버리는 바람에 불발로 끝났다.

이러한 공격 임무 이외에도 랭커스터는 많은 무장 탑재 능력을 살려 나치 독일 치하에서의 폭정으로 기아에 빠진 네덜란드 국민들에게 식량을 긴급 공수/투하하는 "만나 작전"에 투입되어 6600톤에 달하는 식량을 투하했고, 종전 후에는 봉쇄된 베를린에 식량과 물자를 공수하는 항공기들에게 공중 급유기로 개조된 랭커스터들이 공중 급유를 실시하는 임무를 맡기도 했다.

영화감독 크리스토퍼 놀란의 조부가 이 랭커스터의 항법사로 대전 간에 전사했다고 한다.

영국 본토 항공전의 울분을 되갚아주는 블록버스터급 폭격을 날렸지만 영국군의 손실도 극심했다. 영국군이 독일 본토 폭격에만 10045기의 폭격기를 격추 당했다. 이 중 약 4000대가 랭커스터로, 전쟁 중 제작된 랭커스터가 7000대 남짓임을 생각하면 절반 이상이 격추당한 셈이다. 격추 이외 손상까지 생각하면 더욱 아득하다. 독일군 방공망은 1944년 크리스마스에 히틀러가 아르덴 숲에서 삽질을 대판으로 저지르기 때까지는 건재했다. 다만 1945년부터는 거의 붕괴되었다. 약 12만 명의 영국 폭격기 승무원 중 약 5만명이 돌아오지 못했으니 전체 인원의 42% 가량이 전사한 것이다. 세계 대전의 참혹함을 여과 없이 보여주는 수치다. 이런 고난에 무심한 태도를 보인 아서 해리스는 폭격기 승무원들에게서 '도살자 해리스'라는 별명을 얻게 된다.

4.1. 여생

랭커스터 자체는 1947년이후 영국 공군 폭격기에서 퇴역하지만[8], 랭커스터의 개량형 아브로 링컨(Avro Lincoln) 폭격기가 1945년부터 배치되기 시작해서[9] 1961년까지 영국 공군에서 운용되었고, 랭커스터를 바탕으로 개발된 수송기 "아브로 요크"(Avro York)와 "아브로 랭커스트리안"(Avro Lancastrian), 아브로 링컨을 기반으로 한 애브로 튜더(Avro Tudor)가 군용 및 민간 항공기로 60년까지 사용되었다. 랭커스터 자체도 전후 프랑스에 공여된 장거리 초계기 버전이 1960년대 중반까지 프랑스 공군에서 운용되었다. 랭커스터 계열기 중에 마지막까지 운용된 기체는 아브로 링컨을 기반으로 한 아브로 셰클턴(Avro Shackleton) 장거리 해상 초계기로, 1992년까지 운용되었다.

아브로 링컨, 아브로 요크[10], 아브로 셰클턴

랭커스터의 후계기(혹은 후기형)인 아브로 링컨은 영국 최후의 프로펠러 추진 폭격기로 이후 V폭격기 계획에 따라 빅커스 밸리언트, 핸들리 페이지 빅터, 아브로 벌컨이 오면서 프로펠러 폭격기는 영국 역사의 뒤편으로 가게된다.

5. 매체에서

  • 문명 4에서 폭격기의 모델로 등장한다. 그리고 문명 5에서도 등장한다.
  • 워 썬더에서도 등장한다. 미국의 B-29 폭격기와 함께 인게임 최고의 연합군 4티어 폭격기로써 막강한 폭장량과 4,000파운드 폭탄인 쿠키의 탑재로 대전 당시의 쑥재배기 맛을 볼수 있다. 후계기인 링컨도 4랭크에 위치해있다. 다만 높은 폭장량을 위해 방어무장이 매우 빈약하기 때문에 동고도 혹은 고고도에서 요격기가 달려들면 아무것도 못하고 격추당하기 일수다. 20mm 기관포에 12.7mm 소이탄이라는 어마어마한 방어무장을 달아놓아 잘못 들어온 전투기는 역으로 잡아버리는 소련의 날아다니는 폭격요새 Pe-8과는 완전 반대다.
23년 3월 "Sky Guardians" 업데이트로 무려 12656파운드의 무게[11]를 자랑하는 12000Ib H.C mk1 블록버스터 폭탄이 추가됨에 따라 가장 강한 항공폭탄의 자리를 소련Pe-8이 운용하는 FAB-5000에게서 가져오게 되었다. 당연히 FAB-5000보다 더 강한 화력과 좀 더 넓은 파괴범위를 가지고 있어 지상전에서 사용할 시 소련의 것과 마찬가지로 주변에 아군이 없는지 확인하고 투하해야 한다. [12]
  • 히어로즈 인 더 스카이 에서 120레벨 기체로 정규트리에 출시되었다. 기존 랭카스터와 달리 인게임 내에서 검은색 도색으로 되어있었기에 상당히 멋진 외형을 가져서 준수한 성능과 더불어 관상용으로 애용하는 유저들이 많았다.

6. 둘러보기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현대 아르헨티나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아르헨티나군|
아르헨티나 공화국군 (1945~현재)
Fuerzas Armadas de la República Argentina
]]'''
<colbgcolor=#74ACDF> 회전익기 <colbgcolor=#74ACDF> '''[[무장헬기|
경헬기
]]'''
MD 500D | 벨 407GXi | SA.315 라마 | AS555 SN 페넥 | AW109A | FH-1100 | SA.319B 알루에트 III | 벨 47G | S-51
'''
다목적 헬기
'''
{H215M} | 벨 412EP | 벨 212 | Mi-171E | AS332 B 슈퍼 퓨마 | UH-1(D/H) 휴이 | SA.330L 퓨마 | UH-3H | S-58T | S-55
수송헬기 CH-47C 치누크
대잠헬기 S-61D-3 시킹 | 링스 Mk.23 | AS-61(D/H) | S-58
'''[[전투기|
전투기
]]'''
프롭 G.59-2A | P-36 호크 | F4U-5(N/NL) 콜세어
'''[[1세대 전투기|
1세대
]]'''
F-86F 세이버 | 미티어 F.4 | F9F-2 팬서
'''[[3세대 전투기|
3세대
]]'''
미라주 III(BE/BJ/CJ/EA/DA) | 대거 A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세대
]]'''
F-16(AM/BM) 블록 20 MLU 파이팅 팰콘
공격기 A-4AR 파이팅 호크 | 쉬페르 에탕다르 | IA 58A 푸카라 | 미라주 5P | A-4(B/C/Q) 스카이호크 | I.Ae. 24 칼퀸
폭격기 캔버라 B.62 | 랭커스터 · 링컨 | B-10
'''[[정찰기|
정찰기
]]'''
전술 DA42 | PA-18 슈퍼 컵
전자 L-188 ELINT
'''[[수송기|
수송기
]]'''
경량 ERJ-140LR | 사브 340 | C-212 | 포커 F28 | 포커 F27 | G.222 | DH.104 도브 | 브리스톨 프레이터 | IA 50 과라니 2 | C-47 스카이트레인 | DC-3 | DC-2 | AS.65 콘술 | CT-32 콘도르
전술 C-130(E/H) 허큘리스 | L-188PF 일렉트라 | DC-6 | C-54 스카이마스터
수상기 HU-16 알바트로스 | PBM 마리너 | PBV-1A 칸소 A | 월러스 I | 사우스햄튼 Mk.3 | G-21 구스 | P2Y | J2F
다목적기 TC-12B 휴론 | DHC-6 트윈 오터 | 세스나 208 | PC-6B-H2 | 비치 B65 퀸에어 | C-45H 익스퍼다이터
'''
지원기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P-3(B/C/N) 오라이언 | 비치 B200 슈퍼 킹에어 | L-188A | SP-2(E/H) 넵튠 | S-2(A/E/G/T) 트래커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KC-130H
전자전기 EC-21A
'''[[UAV|
무인기
]]'''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비히아 2A
'''[[훈련기|
훈련기
]]'''
프롭 T-6C+ 텍산 II | G 120TP | EMB 312 투카노 | T-34C 터보 멘토 | Su-29AR | T-28P 트로젼 | SNJ-5C | AT-11 캔전 | 피아트 G.46 | I.Ae. 22 DL | 프렌티스 T.1 | NA-16 | CW-16E.3 | N2S | Fw 58
제트 IA 63 팜파 | 대거 B | MB-339A | MB-326(GB/GC) | 캔버라 T.64 | F9F-8T 쿠거
헬기 벨 206B-3 제트레인저 III | UH-12ET 레이븐
VIP 탑승기 B757-256 | B737-76N | 세스나 550 사이테이션 II | S-70A | S-76B | 리어젯 35A | B707 | 카라벨 | HS.125 | S-61R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현대 스웨덴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스웨덴군 (1945~현재)
Försvarsmakten
회전익기 경헬기 <colbgcolor=#fefefe,#393b42>HKP 9(A/B)육/공/R, HKP 6(A/B/C)육/해/공/R, HKP 5(B)육/R, HKP 2육/해/공/R
다목적 헬기 HKP 16, HKP 15A, HKP 14, HKP 10(A/B/D), HKP 11R, HKP 3(A/B/C)육/공/R
수송헬기 HKP 4AR, HKP 1R
대잠헬기 HKP 15B, HKP 4(B/C/D)해/R, HKP 1해/R
전투기 프롭 J 21(A-1 · 2 · 3)R, J 22(A/B)R, J 23, J 26R, J 27, J 30R
1세대 J 21R · A 21RBR, J 28(A/B/C)R, J 29(A/B/D/E/F) 툰난R, J 32(B/D/E/F) 란센R, J 33R, J 34R,
2세대 J 35(A/B/D) 드라켄R
3세대 J 35(F/J) 드라켄R
4세대 / 4.5세대 AJ · AJS 37 비겐R, JAS 39(A/B/C/D) 그리펜 , {JAS 39(E/F) 그리펜NG}
5세대 {FS2020}
공격기 A 38, A 32A 란센R, B 17(A/B/C)R, B 24
폭격기 A 36, Tp 52X/R, Tp 80X/R, B 18(A/B) · T 18BR
수송기 Tp 100, Tp 88CX/R, Tp 86X, Tp 84(A/B/C/D) 허큘리스, Tp 55X/L/R, Tp 83R, Tp 82X/R, Tp 79R, Tp 46R, Tp 45(A)R
지원기 조기경보기 S 100B 아르고스, {사브 글로벌아이}
해상초계기 SH 89해/R
전선통제기 / 연락기 Fpl 53육/R, Flp 51(A/B)육/R, Tp 78R
정찰기 S 102B, SF · SH 37R, Tp 85R, J S35ER, J 32CR, S 29CR, S 26R, S 22R, S 17(BL/BS)R, S 18AR, NC.701R
공중급유기 Tp 84B Lufttankning
무인기 SUAV UAV 05B 콜펜, UAV 04R · 05A 스발란, UAV 02 팔켄
UAV UAV 03 오르넨, UAV 01 우글라R
훈련기 프롭 Tp 54해/공, Sk 61R, Sk 50(A/B/C)R, Sk 16(A/B/C)R, Sk 25R MFI-15 사파리, MFI-17 서포터
제트 Sk 38, Sk 60(A/B/C) · Sk 60(D/E)R, Sk 35CR, Sk 37(E)R
가상적기 RB 06(A/B) 스트리커, RB 04R, RB 03R, RB 02R, RB 01R
비행정 Tp 81R, Tp 47R, Tp 24R
특수목적기 Tp 103, Tp 102D, Tp 102(A/C) Tp 100R, Tp 88(B)R, Tp 87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 이 속력은 거의 이륙최대중량에 가까운 29,000kg일때의 기록이다.[2] 이 최대상승고도는 이륙최대중량에 가까운 29,000kg일때의 기록이다.[3] 모델에 따라 동체 하단에 브라우닝 기관총 2정이 있기도 하며, 상부 터렛의 기관총이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을 달기도 했다.[4] 특별하게 22,000 lb(10,000kg) 폭탄 1발을 장착 할 수 있다.[5] 여담으로 벌쳐 엔진은 엔진 2개를 결합해서 큰 출력을 내는 형식에 가까운 물건이다. 이런 방식으로 신뢰성을 많이 깎아먹은 비행기가 독일의 He 177이다[6] 롤스로이스 멀린 85는 링컨 I에 쓰이는 엔진이다.[7] 전방2, 동체 상부2, 후방4정이다.[8] 이후 이 공백을 차지하게 된 것이 잉글리시 일렉트릭 캔버라이다.[9] 이전 문서 버젼에서는 실전투입이라고 되어있지만, 태평양에서 전쟁이 끝나기 전까지 배치된 아브로 링컨 비행대는 2개밖에 없었고, 그중 하나는 일본의 패망까지 링컨을 3기밖에 지급받지 못한 뉴질랜드 왕립 공군의 제75비행대였다.[10] 자세히 보면 수직미익이 하나 더 있다.[11] 약 5.7톤[12] FAB-5000의 기갑차량 파괴범위 105m, 12000Ib mk1의 기갑차량 파괴범위 114m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