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9 12:42:33

스코르펜급 잠수함

스콜펜급 잠수함에서 넘어옴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현대의 프랑스 해군 군함 파일:프랑스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008080> 잠수함 <colbgcolor=#008080> 재래식 아레튀즈급R, 다프네급R, 아고스타급R, 스코르펜급E
SSN 루비급, 쉬프랑급
SSBN 랑 플렉시블급R, 르 트리옹팡급, {SNLE 3G}
초계정 P400급R
초계함 원양초계함 콩피엉스급, 알바트로스급, 플라망급, 데스티엔 도르브급, 고윈드급R/E, {B2M급}
호위함 경호위함 프로레알급, 라파예트급
대잠호위함 르 코르스급R, 아코니트R, 투르빌급R, 조르쥬 레그급R
방공호위함 쉬프랑급R, 카사드급R, 아키텐급, 포르방급, {아미랄 로나크급}
구축함 쉬르쿠프급R, T53급R, 샤토르노급R
순양함 라 갈리소니에르급R, 드 그라스급R, 콜베르R, 잔 다르크급R
전함 리슐리외급R
항공모함 재래식 아로망쉐R, 클레망소급R, PA2
핵추진 샤를 드골급, {PANG}
상륙정 CDIC-급, EDA-R-급, CTM-급
상륙함 LPH 미스트랄급
LPD 푸드로급R
LST 샹플랭급R
소해함 에리단급
군수지원함 듀랑스급, {자크 슈발리에급}
훈련함 레오파드급, 글리신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E: 수출용 함선
취소선: 계획만 되었거나, 취소된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아비조는 경무장 초계함 정도로 구분될 수도 있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scorpc3a8ne.jpg 파일:cdsff.jpg
Classe Scorpène

1. 개요2. 제원3. 상세4. 수출
4.1. 도입국
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프랑스DCNS[1]스페인의 나반티아가 합작해 개발한 수출용 재래식 잠수함. 프랑스의 DCNS사가 기존의 재래식 잠수함의 수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스페인의 조선사 나반티아에 합작개발을 제의한 뒤 합작사를 설립하고 개발한 것이 스코르펜급 잠수함이다. 2010년 이후에는 프랑스가 독점 판매, 생산하고 있다.

2. 제원

스코르펜급 잠수함 제원
만재 배수량 1,565톤 (CM-2000)
1,870톤 (AM-2000)
2,000톤 (S-BR)
전장 61.7m / 70m / 75m
선폭 6.2m
흘수선 5.8m
최고 속도 12knots/h (수상)
20knots/h (수중)
항속거리 12,000km (8knots/h 기준, 수상)
1,020km (5knoth/s 기준, 수중)
작전 기간 50일 (AIP 탑재형 71일)
최대 잠항 심도 300m
잠수함 승조원 31명
무장 533mm 어뢰 발사관 6문[2]
엑조세 대함 미사일
기뢰

3. 상세

1950년대부터 원자력 잠수함에 올인하면서 이후 재래식 잠수함을 건조하지 않아 재래식 잠수함 건조 기술을 완전히 상실한 미국과 달리, 프랑스1960년대에 원자력 잠수함을 개발함과 동시에 꾸준히 재래식 잠수함을 건조하며 재래식 잠수함 건조기술을 유지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재래식 잠수함을 외국에 수출해 재미를 보아온 잠수함 수출강국이다.

1960년대에는 다프네급 잠수함을 건조해 프랑스 해군에 배치함과 동시에 외국에도 수출했으며, 1970년대~1980년대에는 아고스타급 잠수함을 건조해서 역시 프랑스 해군에 배치함과 동시에 스페인 해군, 파키스탄 해군, 말레이시아 해군에 수출했다. 그리고 1990년대에는 아고스타급 잠수함을 대폭개량한 파키스탄 해군 수출용 잠수함인 아고스타 90B급 잠수함을 수출하면서 재래식 잠수함 건조 노하우를 유지해왔다.

1970년대 말에 건조된 루비급 잠수함 또한 1960년대부터 르두타블급 탄도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을 건조하면서 축적한 원자력 잠수함 건조기술과 기존의 재래식 잠수함 건조기술을 조합하여 당시에 자국에서 건조되던 아고스타급 잠수함을 원형으로 건조한 원자력 잠수함이다.

냉전 종식이후 1990년대에 들어서자, 독일제 수출용 잠수함[3]의 독주를 막기위한 경쟁할 새로운 수출용 잠수함이 필요하게 되었고 1990년대초 프랑스의 DCNS와 스페인의 나반티아가 손잡고 1990년대 파키스탄 해군에 수출된 아고스타 90B급 잠수함의 건조기술을 바탕으로 이를 대폭 개량해 개발한 수출용 잠수함이 바로 스코르펜급 잠수함이다.

두 국가의 협력은 스코르펜급 잠수함이 1998년 칠레 해군에 처음으로 2척이 판매되었고 2002년에 말레이시아가 2척을 구매해 순항하는 모양세였다.

문제는 스페인이 스코르펜급 잠수함 개발과정에서 프랑스가 스페인에 이전해준 잠수함 건조 기술과 미국록히드 마틴의 지원을 받아 이삭 페랄급 잠수함(S-80급 잠수함)을 자체 개발하려고 시도한 것이다. 프랑스와 협력하는 동시에 자체 국산 잠수함을 개발한 것으로 스페인은 2개의 잠수함 개발에서 일종의 양다리를 걸친 형세가 되었다. 이삭 페랄급 잠수함이 향후 국제경쟁에서 스코르펜급과 경쟁할수 있다는 것에 불쾌함을 느낀 프랑스는 2008년에 성사된 브라질 해군 판매에서 나반티아를 제외시켜버리고 프랑스 DCNS 단독으로 계약을 진행했으며, 중재재판소에 합작개발에서 나반티아를 축출하는 소송을 제기해서 두 회사 사이에 분쟁이 발생했다. #

분쟁의 결과, 프랑스와 스페인 협력이 깨지고 국제시장에서 프랑스는 스코르펜급 잠수함을, 스페인은 이삭 페랄급 잠수함(S-80급 잠수함)을 각각 판매하기로 하여 각자의 길을 가게되었다. 스코르펜 잠수함은 프랑스- 스페인 합작하에 개발되었지만 스코르펜 잠수함 자체는 프랑스가 전담해서 설계했기 때문에 향후 독점판매권, 생산권 또한 온전히 프랑스가 가져올 수 있었다.

독일제 수출용 잠수함인 209급 잠수함214급 잠수함과 경쟁할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209급 잠수함에서도 비교적 신형이던 209-1400 모델에 비해서도 작전기간이 우월하고 정숙성이나 항해성능도 앞섰으며, 잠항심도 또한 더 깊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해군 잠수함 입찰 경쟁에서는 탈락했다. 제작사인 DCNS가 프랑스의 국영 기업이어서 기술 이전 등과 관련해서 협상할 때 프랑스 정부와 직접 양해각서까지 교환해야 하며 프랑스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등 절차상으로도, 기술적으로도 복잡했기 때문이다. 또한 스코르펜급 잠수함의 AIP인 MESMA가 214급 잠수함의 양성자교환막 연료전지 기반 AIP보다 성능에서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한 이유도 컸다. 프랑스 해군이 사용하지 않는 함급이라 신뢰성이 없어서 탈락했다는 루머가 있는데, 209급 잠수함과 214급 잠수함도 독일 해군에서는 운용한 적이 없는 수출용 잠수함이다.

4. 수출

칠레 해군이 2척을 질렀다. 국내에는 잘 안 알려졌지만 칠레는 중남미의 손꼽히는 해군 강국이며, 잠수함 운용역사도 깊다. 그런 칠레 해군이 1990년대 말 스코르펜급 잠수함 2척을 주문해서 2000년대 중반에 인도받고, 또 잘 운용하며 만족감을 나타내자 세계 잠수함 시장의 다크호스로 급부상했다. 사실 칠레가 스코르펜급 잠수함을 구입하려던 시점에서는 스코르펜급 잠수함보다 특별히 낫다고 할 잠수함이 없긴 했다.

이후 말레이시아 해군해군력 증강을 위해 역시 2척을 주문했으며, 무기시장의 큰 손인 인도는 무려 6척을 라이선스 생산했다. 이후 브라질 해군도 군사력 증강을 위해 4척을 주문하여 2024년 현재 인도가 진행중이다.

칠레 해군 및 말레이시아 해군형은 일반적인 재래식 잠수함이지만, 인도 해군형은 확대개량형인 스코르펜 AM-2000 모델, 브라질 해군은 S-BR 모델이다. 단순한 확대개량형이 아니라, AIP 기관을 탑재해서 정숙성 및 작전가능기간을 획기적으로 증대시켰다. AIP 기관이 재래식 잠수함의 대세가 되면서 스코르펜급 잠수함도 AIP 탑재형으로 업그레이드를 한 것이다.

HDW의 차세대 수출형 잠수함인 214급 잠수함그리스 해군에서 문제가 생겨 신뢰성에 상처를 입은 사건이 기회가 되었다. 또한 초도운용국가인 칠레가 별 문제 없이 운용한 사례를 적극 홍보해 재래식 잠수함 시장에서 214급 잠수함의 맞상대로 급부상 중이다. 하나같이 제3국가에서 알아주는 나라에서 구입했다. 어뢰 발사관도 ATP형 발사관을 탑재 가능하다는 점에서 자주추진/압축공기(WES) 발사관만 적용된 209급 잠수함과 214급 잠수함보다도 훨씬 선진적이다.

스코르펜급 잠수함이 짧은 개발 기간에 비해 높은 성능을 보이는 이유는 프랑스의 조함능력에 기인한다. 프랑스는 범선 시대부터 영국을 능가하는 조선기술을 보유했던 전통 있는 조선강국이다. 제2차 세계 대전에도 됭케르크급 전함이나 리슐리외급 전함 같은 고성능 전함을 만든 탄탄한 기술기반을 가졌다. 현대에도 결함은 있을지언정 미합중국 해군 외 유일하게 원자력 추진 항공모함샤를 드 골급 항공모함 건조사례가 있다. 최근에는 미스트랄급 강습상륙함이집트 해군에 판매하기도 했다. 프랑스 해군이 저평가되고 있지만 이는 함 척수 등 해군 전력의 규모 전략과 전술, 인적 자원 등에서 영국 해군에 뒤쳐진 탓이며, 함의 개별 성능은 영국 해군보다 낫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스코르펜급 잠수함의 도입국은 칠레 해군 2척, 말레이시아 해군 2척, 인도 해군 6척, 브라질 해군 4척으로 합계 14척으로, 214급 잠수함의 도입국이 그리스 해군 4척, 대한민국 해군 9척, 포르투갈 해군 2척, 튀르키예 해군 6척으로 합계 21척이라 아직 실적 면에선 뒤지고 있다.

6척을 구매한 인도 해군이 3척 추가구매를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 필리핀 해군, 인도네시아 해군에서 각각 2척씩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2022년, 루마니아 해군에서도 2척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프랑스제 헬리콥터 2대와 함께 구매 의향서를 작성했다고 한다.#

2024년 4월 2일, 인도네시아 해군이 Scorpène® Evolved 잠수함 2척을 현지에서 건조하는 계약을 나발 그룹과 체결했다.#

4.1. 도입국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현대의 브라질 해군 군함 파일:브라질 국기.svg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colbgcolor=#009c3b> 잠수함 <colbgcolor=#009c3b> 재래식 투피급, 리아추엘로급
원자력 {알바로 알베르토급}
모니터함 파르나이바
초계정 그라자우급
초계함 인하우마급, 바로소급
원양초계함 임페리얼 마리네이루급R, 아마조네스급, 마카에급
호위함 그린할그급, 니테로이급, {타만다레급}
구축함 파라급초대R, 파라급2대R, 마르실리오 디아스급R, 파라급3대R
순양함 바로소급R, 바이아급R
전함 미나스제라이스급R
항공모함 미나스제라이스R, 상파울로R
상륙함 LPH 아틀란티코급
LPD 바이아급
LSD 세아라급R
LST 마토소 마이아급
LSL 알미란테 사보이아급
소해함 아라투급
군수지원함 알미란테 가스탕 모타급
훈련함 브라실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현대 말레이시아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1280px-Naval_Ensign_of_Malaysia.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000066> '''[[잠수함|
잠수함
]]'''
<colbgcolor=#000066> '''
SSK
'''
툰쿠 압둘 라만급 | 웨상T/R
어뢰정(PT) 페르카사급R
'''[[초계정|
초계정
]]'''
PB 두용R | 케다급 (초대/1961)R | 팡리마R | 베독R | 판지R | 무티아라R | 심방R
'''[[고속정|
고속정
]]'''
'''
PCF
'''
CB90급 | 제룽급 | 스리 티가급 | 케리스급 (초대/1964)
FIC G2000 Mk.(1/2)급 | MPB급 | 펭가왈급
'''
미사일 고속정 (PCFG)
'''
페르다나급 | 한달란급
원양초계함(OPV) {LMS 배치2} | 케리스급 (2대/2020) | 케다급 (2대/2006) | 무시타리급R
'''[[초계함|
초계함
]]'''
'''
PCG
'''
카스투리급 | 락사마나급
'''[[호위함|
호위함
]]'''
FF 항 투아 (초대/1963)R | 항 투아 (2대/1977)R | 리버급T/R
'''
FFG
'''
{마하라자 렐라급} | 레키우급 | 라흐마트R
'''[[상륙함|
상륙함
]]'''
'''
LPD
'''
{MRSS 사업}
'''
LSD
'''
스리 인데라 삭티급
'''
LST
'''
스리 인데라푸라급R | LST-542급R | 마크8 LCTR | 마크 3 LCTR | 스리 펄리스R
기뢰부설함 (MLS) 싱가푸라R
'''[[소해함|
소해함
]]'''
'''
MHC
'''
마하미루급 (2대/1985)
'''
MSC
'''
스리 조호르급R | 마하미루급R(초대/1960)
'''
지원함
'''
'''
급유함 (AOR)
'''
붕가 마스 리마급 | 툰 아지즈급
'''[[구조함|
잠수함 구조함 (ASR)
]]'''
메가 박티
지원정 툰다 사투급 (YT) | 소통급R (YT) | 스리 케다급R (YUB)
연구함 페란타우 | 다양 사리 | 아이사흐 | 무티아라R
훈련함 가가 사무데라급 | 투나스 사무데라 | 파자르 사무데라R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T: 훈련함 전환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파일:칠레해군기.png 현대의 칠레 해군 함정 파일:칠레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d52b1e> 잠수함 오브라이언급R, 톰슨급, 오히긴스급
고속정 우리베급R, 이키케급R, 카스마급
초계정 그루메테 디아즈급
원양초계함 필로토 파르도급, 타이타오급, 프로텍터급
호위함 알미란테 라토레급(1986)R, 콘델급R, 알미란테 윌리엄스급, 알미란테 코크란급, 알미란테 블랑코 엔칼라다급, 알미란테 라토레급
구축함 블랑코 엔칼라다급R, 알미란테 린치급R, 세라노급R, 알미란테급R, 오렐라급R, 캐피탄 프랫급R
순양함 오히긴스급R, 알미란테 라토레급(1971)R
전함 알미란테 라토레급(1920)R
상륙함 <colbgcolor=#d52b1e> LPD 사젠토 알데아급, {Escotillón IV}
LST 마이포급
LSM 오롬펠로급
군수지원함 아라우카노급, 알미란테 몬트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루마니아 해군 선수기.png 현대 루마니아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루마니아 해군 (1945~현재)
Forțele Navale Române
<colbgcolor=#002B7F><colcolor=#FFF> '''[[잠수함|
잠수함
]]'''
<colbgcolor=#002B7F><colcolor=#FFF> '''[[재래식 잠수함|
SSK
]]'''
델피눌S
강상 경비정 (PBR) MAI2201급 | VG50급
모니터함 스마르단급 | 미하일 코갈리차누급
어뢰정 (PT) 널루차급1/R(2대/1979) | VTAP51급R | VT81급R | 널루차급R(초대/1920)
구잠정 (PC) V1급R
'''[[초계정|
초계정
]]'''
PB VG10급R
'''[[고속정|
고속정
]]'''
'''
PCF
'''
VM20급R
'''[[미사일 고속정|
미사일 고속정 (FACG)
]]'''
쇼이물급 → 에피트로프급
'''[[초계함|
초계함
]]'''
'''
PCE
'''
콘트라아미랄 니콜라에 크리스테스쿠급R
'''
PCG
'''
어드미럴 페트레 바르부네아누급 | 콘트라아미랄 유스타슈 세바스찬급 | 즈보룰급
'''[[호위함|
호위함
]]'''
'''
FFH
'''
레겔레 페르디난드급(2대/2003)
'''
FFG
'''
머러셰슈티급
'''[[구축함|
구축함
]]'''
DD 레겔레 페르디난드급R(초대/1927)
기뢰부설함 (MLS) 코사르급
'''[[소해함|
소해함
]]'''
'''
MSO
'''
데모크라치아급R
'''
MSC
'''
무스카급 | DR1급R
'''
MHC
'''
수브로코테넨트 이온 기쿨레스쿠급
지원정
강상 소해정
로코테넨트 알렉산드루 크리스토도레스쿠급R | VD241급R
훈련함 미르체아급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S: 비축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0px-Naval_Jack_of_Indonesia.svg.png 현대 인도네시아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인도네시아 해군 (1945~현재)
Tentera Nasional Indonesia Angkatan Laut
<colbgcolor=#ED1C24> '''[[잠수함|
잠수함
]]'''
<colbgcolor=#ED1C24> '''
SSK
'''
{스코르펜급} | 나가파사급 | 차크라급(2대/1981) | 차크라급R(초대/1959)
구잠정 (PC) 클라방급R | 바라쿠다급R | 히우급R
어뢰정 (PT) 세리갈라급R | 앙인 보호록급R
'''[[초계정|
초계정
]]'''
PB 도랑급 | FPB-57급 | 파리급 | 바다우급 | 시바라우급 | 두리안급R | 방고급R | 알카이급R | 메르바부급R | HDML급R
PG PGM-39급R | 프로옉트 191M급R
'''[[고속정|
고속정
]]'''
'''
PCF
'''
KAL-28m급 | 보아급 | PC-28m급 | 비루엔급 | 시나방급 | CB-18m급
[[미사일 고속정|'''
미사일 고속정 (FACG)
''']]
{KCR-60m급} | 클레왕급 | 삼파리급 | 클루리트급 | 만다우급 | 클라플린타급R
'''[[초계함|
초계함
]]'''
'''
PCE
'''
카피탄 파티무라급 | 파티무라급R | 항 투아급R
'''
PCG
'''
{PPA급} | 붕 카르노급 | 디포네고로급 | 붕 토모급 | 파타힐라급 | 데완타라급R
호위구축함 (DE) 사마디쿤급R | 이맘 본졸급R
'''[[호위함|
호위함
]]'''
FF 요스 수다르소급R | 마르타 크리스티나 티아하후급R
'''
FFG
'''
{메라 푸티급} | {카를로 베르가미니급} | {마에스트랄레급} | 마르타디나타급 | 아흐마드 야니급
'''[[구축함|
구축함
]]'''
DD 실리왕이급R | 가자 마다급R
'''[[순양함|
순양함
]]'''
CA 이리안R
'''[[상륙함|
상륙함
]]'''
'''[[상륙수송선거함|
LPD
]]'''
마카사르급
'''[[전차상륙함|
LST
]]'''
뜰룩 빈투니급 | 뜰룩 랑사급 | 뜰룩 세망카급 | 뜰룩 길리마눅급 | 뜰룩 파리기급R
'''[[상륙정|
상륙정
]]'''
'''
LCU
'''
쿠팡급R | 도르급R
'''
LCT
'''
뜰룩 와조급R
'''
LCSL
'''
LCS(L)(3)-1급R
'''
LCI
'''
아마하이급R
'''[[소해함|
소해함
]]'''
'''
MCMV
'''
풀라우 릉앗급
'''
MHC
'''
풀라우 파니급
'''
MSC
'''
풀라우 로테급
'''
지원함
'''
'''
수송함 (AP)
'''
탄중 캄바니급 | 카랑 필랑급
'''
물류 저장함 (AKS)
'''
뜰룩 믄타와이급
'''
급유함 (AOR)
'''
타라칸급 | 아룬급 | 숭아이 그롱급
'''
지휘함 (AGF)
'''
물타툴리
'''
병원선 (AH)
'''
닥터 와히딘 수디로후소도급 | 세마랑 | 닥터 수하르소
'''
해저 조사선 (AGOR)
'''
리겔급 | 데와 켐바급
'''[[무인기|
무인함
]]'''
'''
UUV
'''
후긴 AUV
'''[[예인선|
예인선
]]'''
'''
ATF
'''
소푸탄급
'''
YTB
'''
갈룽궁급
지원정 YTM
훈련함 비마 수치 | 데와루치 | 아룽 사무데라 | 카데트급
※ 윗첨자R: 퇴역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 해상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War_Ensign_of_Germany_1903-1918.svg.png
독일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정부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제2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82px-Naval_Ensign_of_Poland_%28normative%29.svg.png
폴란드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00px-Military_Flag_of_Finland.svg.png
핀란드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중화민국
파일:만주군기.svg
만주국
파일:19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제2세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해군기.svg
동독
파일:Naval_Ensign_of_Poland_(1980-1993,_normative).svg
폴란드
제3세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685050>북미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
중미/카리브
'''
파일:쿠바 함수기.svg
쿠바
남미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해군기.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해군 표준기.png
콜롬비아
서유럽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Jack_of_the_Netherlands.svg.png
네덜란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Belgium.svg.png
벨기에
중부유럽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폴란드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군함기.pn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선수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해군 선수기.png
루마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Naval_Ensign_of_Bulgaria.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파일:크로아티아 해군기.svg
크로아티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해군기.png
핀란드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동유럽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대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nsign_of_Vietnam_People%27s_Navy.png
베트남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the_Philippines.svg.png
필리핀
파일:Naval_Ensign_of_Singapore.png
싱가포르
파일:브루나이 해군기.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해군기.svg
미얀마
남아시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5px-Naval_Ensign_of_India.svg.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파일:Naval_Ensign_of_Israel.svg.png
이스라엘
파일:800px-Naval_Jack_of_Iran.svg.png
이란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파일:아랍에미리트 해군기.png
{{{#!wiki style="margin: -0px -9px"]]
파일:640px-Flag_of_the_Royal_Bahrain_Naval_Force.svg.pn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오세아니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아프리카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이집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전함 | 잠수함
}}}}}}}}}}}}



[1]나발 그룹(Naval Group)[2] 운용국가 요구에 따라 ATP(Air Turbine Pump) 발사관과 자주추진형(Swim-Out) 발사관 선택 가능.[3] 209급 잠수함[4] 칼바리급 잠수함 문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