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22 01:32:23

카피타니 로마니급 경순양함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제2차 세계 대전의 이탈리아 왕립 해군 군함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고속 어뢰정 <colbgcolor=#fefefe,#393b42>M,A,S 어뢰정
구축함 호위 어뢰정 스피카급, 오르사급, 아리에테급, 치클로네급
구축함 알레산드로 포에리오급, 카를로 밀레발로급, 팔레스트로급, 제네랄리급, 쿠르타토네급, 레오네급, 퀸티노 셀라급, 나자리오 사우로급, 투르비네급, 나비가토리급, 다르도급(프레치아급), 폴고레급, 마에스트랄레급, 알프레도 오리아니급, 솔다티급(*), 코만단티 메달리에 도로급(*)
잠수함 발릴라급, 아르고나우타급, 아르키메데급, 시레나급, 페를라급, 아두아급, 브린급, 아르고급, 아차이오급, 마르첼로급, 로몰로급(*)
장갑순양함 산 조르지오급
방호순양함 니노 빅시오급(**)
경순양함 콘도티에리급, 코스탄조 치아노급, 카피타니 로마니급(*), 타란토급, 에트나급E
중순양함 프로젝트 1923년형, 트렌토급, 차라급, 볼차노, 프로젝트 안살도E, 프로젝트 안살도 초중순양함E
항공모함 전함 프란체스코 카라치올로 재건조 계획, 전함 임페로 재건조 계획, 아퀼라(*), 스파르비에로(*)
수상기모함 주세페 미랄리아
순양전함 1928년형(**), 1930년형(**), 1933년형(**)
전함 쿠니베르티 17,000톤 노급(**), 단테 알리기에리(**), 프로젝트 페라티(**), 콘테 디 카보우르급, 카이오 두일리오급, 프란체스코 카라치올로급(**), 리토리오급(*), 프로젝트 UP.41형E(*)
노획함 순양함: 카타로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FR11파일:프랑스 국기.svg, FR12파일:프랑스 국기.svg
구축함: 프레무다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시베니코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류비야나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FR21파일:프랑스 국기.svg, FR22파일:프랑스 국기.svg, FR23파일:프랑스 국기.svg, FR24파일:프랑스 국기.svg, FR31파일:프랑스 국기.svg, FR32파일:프랑스 국기.svg, FR33파일:프랑스 국기.svg, FR34파일:프랑스 국기.svg, FR35파일:프랑스 국기.svg, FR36파일:프랑스 국기.svg, FR37파일:프랑스 국기.svg
잠수함: 프란체스코 리스몬도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안토니오 바자몬티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FR118파일:프랑스 국기.svg
기타 2차대전기 이탈리아 포획 함선
포함 에리트레아 포함, 디아나 포함
(*) 표기: 해당 함급의 일부 또는 전부가 건조 중단된 함급
(**) 표기: 1차 세계 대전 전후 2차 세계 대전 이전 해체 및 계획 취소되었지만 편의상 틀에 넣은 함급
윗첨차E 표기: 수출용 함급, 취소선 표기: 계획만 및 취소된 함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현대의 이탈리아 해군 함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잠수함/정 <colbgcolor=#fefefe,#393b42>플루토급RM/R, 아차이오급RM/R, 타졸리급R, 토리첼리급R,
가자나 프리아로자급R, 리비오 피오마르타급R, 엔리코 토티급R, 사우로급, 토다로급
어뢰정 MS472급R, 스피카급RM/R, PT 보트R
고속정 풀미네급R, 프레시아급R, 폴고레급R, 람포급R, 에스플로라토레급
미사일 고속정 스파르비에로급R
원양초계함 시리오급, 카시오페아급, 코만단티급
초계함 가비아노급RM/R 피에트로 드 크리스토파로급R,
알바트로스급R, 미네르바급R, 타온 디 레벨(PPA)급
호위구축함 알데바란급R
호위함 경호위함 루포급
대잠호위함 첸타우로급R, 카를로 베르가미니급(1962)R, 알피노급R, 마에스트랄레급
방공호위함 카를로 베르가미니급, {FREMM EVO}
구축함 구축함 산 조르지오급RM/R 임페투오소급R, 판테급R, 아르티에르급R, 아비에르급R
방공구축함 임파비도급R, 아우다체급R, 뒤랑 드 라펜급, 오리존테급, {DDX}
순양함 두카 델리 아브루지급RM/R, 안드레아 도리아급R, 비토리오 베네토급R,
상륙정 MTP(LCVP)R, MTM(LCM)-2/3/6급R, SR.N6급 호버크래프트R
MTP96급, MTM217급, LCM62급
상륙함 LPH 산 조르지오급, 트리에스테급
LST 안테오R, 에트나R, 안드레아 바필레R,
그라도급R, 콰트로급R
소해함 레리치급, 가에타급
수송함 폰자급, 고르고나급
군수지원함 스테로페R, 에트나급, 스트롬볼리급, 파네레아급, 불카노급
정보수집/연구함 스테뻬타R, 오스티아R, 바르바라R, 아미랄료 마나기,
알리안스, 레오나르도, 로세티급, 니페급, 일레트라급
경항공모함 주세페 가리발디급, 콘테 디 카보우르급
훈련함 아메리고 베스푸치, 아라고스타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RM: 이탈리아 왕립해군(Regina Marina) 소속이었던 것을 개장한 함선들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3vt31m1b359z.jpg
파일:imageproxy2.png
Incrociatore leggero di classe Capitani Romani

1. 개요2. 제원3. 특징 및 활약4. 동형함 목록5. 매체에서의 등장6. 둘러보기

1. 개요

이탈리아 해군의 라이벌은 프랑스 해군이었다. 당시 지중해에서 이탈리아가 패권을 잡으려면 반드시 옆나라인 프랑스를 뛰어 넘어야했기 때문이다. 한편 프랑스는 소형함에 대한 규제가 적은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을 기반으로 대형 구축함에 대한 연구를 많이 해서 르 팡타스크급 구축함이나 모가도르급 구축함을 건조했다.[1] 특히 르 팡타스크급은 콘도티에리급 경순양함중 알베르토 다 주사노급과 루이지 카도르나급의 설계에도 영향을 줬을 정도였다. 하지만 르 팡타스크급은 첩보와 다르게 42노트로 날아다니는 구축함이었고[2] 새로 건조하는 모가도르급은 138.6mm 연장포탑 4개에 39노트[3]로 당시 기준으로 상대 할 수 있는 구축함이 이탈리아에는 없다고 보았다.[4]

원래 이탈리아는 정찰함과 대형 구축함계획이 둘다 있었다. 다만 모가도르급의 등장으로 이탈리아는 굳이 2가지 함종을 만들 필요보다는 '한놈으로 다하자!'라는 심정으로 두 함급의 장점을 잘 섞어서 탄생한 것이 카피타니 로마니급이었다. 카피타니 로마니는 로마의 지도자를 뜻한다. 총 12척을 계획했고 함명은 전부 과거 로마시대 장군과 영웅이름을 붙였다.

2. 제원

카피타니 로마니급 경순양함
Incrociatore leggero di classe Capitani Romani
이전급 코스탄조 치아노급 (취소)
두카 델리 아브루지급
다음급 산 조르지오급 구축함 (계보상)[5]
표준배수량 3,810톤[6]
만재배수량 5,510톤[7]
전장 142.2m
전폭 14.4m
흘수 4.9m
레이더 EC-3/ter 구포
승조원 418명
출력 110,000SHP
최고 속력 41 ~ 42노트 (약 76 ~ 77km/h)[8]
항속거리 18노트 (약 33km/h) 순항 시 8,060km
동력 기관 벨루조 증기 터빈 × 2기[9]
소니크로프트 보일러 × 4기
추진 2축 프로펠러
무장 주포 오데로 테르니 오를란도-안살도 2연장 135mm 45구경장 Mod.1938 함포 × 4기
부포 브레다 37mm 54구경장 대공포 × 8문
외를리콘 2연장 20mm 70구경장 기관포 × 4기
대잠 4연장 533mm 어뢰 발사관 × 2기
기타 기뢰 × 70발
장갑 포탑 6 ~ 20mm
사령탑 15mm

3. 특징 및 활약

파일:Cannoni_135_Doria.jpg



135/45 3연장 포탑(전함 안드레아 도리아의 부포탑)

카피타니 로마니급의 화력은 출중했다. OTO/안살도 사가 1937년형 135/45 3연장 포탑을 카이오 두일리오급 전함에 장착해본 뒤 135/45의 화력와 연사력을 보고 이정도면 프랑스의 138.6mm 포와 맞먹는다고 고려해서 연장 포탑버전인 1938년형을 제작하게 된다. 이탈리아 해군은 신형 순양함은 최소 모가도르급 수준의 화력을 요구했기에 연장포탑 4개를 달게 되었다. 135/45 Mod. 1938은 최대 19.5km까지 포탄을 날릴 수 있고 포신 부앙각은 -5~45도 였다. 포구속도는 825m/s에 포탄 무개는 32.7kg이다. 이때는 대공능력이 포함되지 않았다.[10]

어뢰의 성능도 좋았다.[11] 4연장 어뢰관 2개로 현측에 각각 배치되어서 한번에 투사가능한 어뢰는 4발이었지만 이탈리아는 어뢰관때문에 갑판활용이 나빠지는 걸 원하지 않아서 크게 문제삼지 않았다. 구축함과의 교전때 동시투사가능한 어뢰의 수는 중요하지만, 카피타니 로마니급은 출중한 화력으로 어뢰투사와 별개로 적 구축함을 도륙 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카피타니 로마니급은 화력보다 특출한 점이 있는데 바로 속력이었다. 이전에 건조한 콘도티에리급 경순양함중 가장 출력이 좋은 세리에 콰트로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두카 다오스카급과 동일한 11만 마력을 낼 수 있는 기관을 가지고 있었는데, 카피타니 로마니급은 터빈은 4개로 늘리고 보일러는 야로우-안살도에서 토니크로프트로 바꾼 뒤 개수는 4개로 줄였다. 11만 마력이라는 강력한 출력을 기반으로[12] 41~42노트를 간단히 낼 수 있었으며 18노트로 4,000해리를 갈 수 있는 좋은 기동성을 가지고 있었다. 실제 무장을 하지 않고 한 시험주행때는 무려 45노트(!!!)를 기록했다고 하니 이탈리아의 높으신 분들은 '드디어 르 팡타스크급 구축함을 따라잡았군.'라면서 감탄했다고 한다. 카피타니 로마니급은 독보적인 속력을 가지고 있고 현재까지 가장 빠른 순양함으로 기록되었다.[13]

다만 경순양함이라고 명명되었지만 실제 역할은 애틀랜타급 경순양함처럼 대형 구축함이었다보니 장갑은 구축함수준이었다.

케이프 마타판 해전을 통해 레이더라는 신무기의 효율성을 알아내서 건조중에 설계를 살짝 변경해서 카피타니 로마니급은 처음부터 레이더를 단 이탈리아 군함이 된다.

다만 1942년 첫 취역이 있어서 카피타니 로마니급의 실전에서 활약은 오직 하나뿐이다. 1943년 7월, 메시나 해협에서 영국이 스킬라 작전(Operation Scylla)을 발동해 밤중에 시칠리아이탈리아 반도사이에 있는 이탈리아 군함을 기습한다는 계획이었는데 이때 영국의 MTB 어뢰정 4척이 카피타니 로마니급 2번함 쉬피오 아프리카노(Scipio Africano)와 조우했다. 쉬피오 아프리카노는 레이더를 이용해 영국 어뢰정을 전부 포착했고 이를 기반으로 조준사격을 시작했다. 영국 어뢰정이 반격을 했지만 결국 어뢰정 1척이 침몰하고 2척이 큰 손상을 입고 후퇴했다. 이탈리아의 대승리(?)였다.

파일:sangiorgio.jpg

이탈리아의 항복때 총 3척이 건조가 완료되었고 나머지 8척은 완성되지 못했고 전후 스크랩되었다. 4척중 2척은 프랑스가 전쟁배상으로 가져갔고[14] 나머지 2척은 이탈리아 공화국이 '산 조르지오'(San Giorgio)와 '산 마르코'(San Marco)라는 새 이름을 붙힌 뒤 무장을 미제로 교체하고 1980년대까지 운용했다. 무장은 127/38 연장포탑 3기, 보포스 40mm 포 20문, 폭뢰투사기에 SPS-6,SG-6B 레이더에 SQS-11 소나를 달았다.

파일:San_Giorgio_in_navigazione.jpg

함생은 꽤나 긴 편이라서 1963년, 한번더 개장을 하게 된다. 포탑 하나를 제거하고 오토멜라라 76mm 함포 3문을 장착하고 대잠어뢰를 달았다. 이때 산 조르지오급(이미 개명한 뒤니)은 40노트라는 어마어마한 속력은 함체에 무리가 된다고 생각했는지 아니면 굳이 빠르게 항해할 필요를 못느꼈는지 28노트로 속력을 줄였다. 이후 80년대까지 운용되다가 퇴역했다,

4. 동형함 목록

함명건조취역경력
아틸리오 레골로(Attilio Regolo)[15]1939년 9월 28일1942년 5월 14일1948년, 프랑스에 넘어가 샤토르노(Châteaurenault)로 개명
쉬피오 아프리카노(Scipio Africano)[16]1939년 9월 28일1943년 4월 23일1948년, 프랑스에 넘어가 기샹(Guichen)으로 개명
폼페오 마뇨(Pompeo Magno)[17]1939년 9월 28일1943년 6월 4일1950년, 이탈리아 공화국이 함명을 산 조르지오(San Giorgio)로 변경
줄리오 제르마니코(Giulio Germanico)[18]1939년 4월 3일1956년 1월 19일[19]1950년, 이탈리아 공화국이 함명을 산 마르코(San Marco)로 변경
울피오 트라이아노(Ulpio Traiano)[20]1939년 9월 28일건조 중단1942년 11월 30일 진수
오타비아노 아우구스토(Ottaviano Augusto)[21]1939년 9월 23일건조 중단1942년 5월 31일 진수
카이오 마리오(Caio Mario)[22]1939년 9월28일건조 중단1941년 8월 17일 진수
루치오 코르넬리오 실라(Lucio Cornelio Silla)[23]1939년 10월 12일건조 중단1941년 6월 28일 진수
클라우디오 드루소(Claudio Druso)[24]1939년 9월 날짜불명건조 취소
클라우디오 티베리오(Claudio Tiberio)[25]1939년 9월 28일건조 취소
파올로 에밀리오(Paolo Emilio)[26]1939년 10월 12일건조 취소
빕사피노 아그리파(Vipsapino Agrippa)[27]1939년 10월 날짜불명건조 취소

5. 매체에서의 등장

  • 월드 오브 워쉽에서 이탈리아 구축함으로 11번함 파올로 에밀리오가 9티어 프리미엄 선박으로, 1번함 아틸리오 레골로가 10티어 정규 선박으로 등장한다. 파올로 에밀리오는 연구처 포인트로 구매 가능하다.
공통적 특징으론 비상용 엔진 추진기, 배기식 연막에 철갑탄 대신 반철갑탄을 사용한다.
파올로 에밀리오는 배기식 연막을 이용한 적 근접 및 어뢰투사에 최적, 아틸리오 레골로는 우월한 주함포 DPM과 반철갑탄의 조합, 사거리가 긴 어뢰로 중장거리 포격에 최적되어있다.
파일:Yildun_Starboard.png

6. 둘러보기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현대의 프랑스 해군 군함 파일:프랑스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008080> 잠수함 <colbgcolor=#008080> 재래식 아레튀즈급R, 다프네급R, 아고스타급R, 스코르펜급E
SSN 루비급, 쉬프랑급
SSBN 랑 플렉시블급R, 르 트리옹팡급, {SNLE 3G}
초계정 P400급R
초계함 원양초계함 콩피엉스급, 알바트로스급, 플라망급, 데스티엔 도르브급, 고윈드급R/E, {B2M급}
호위함 경호위함 프로레알급, 라파예트급
대잠호위함 르 코르스급R, 아코니트R, 투르빌급R, 조르쥬 레그급R
방공호위함 쉬프랑급R, 카사드급R, 아키텐급, 포르방급, {아미랄 로나크급}
구축함 쉬르쿠프급R, T53급R, 샤토르노급R
순양함 라 갈리소니에르급R, 드 그라스급R, 콜베르R, 잔 다르크급R
전함 리슐리외급R
항공모함 재래식 아로망쉐R, 클레망소급R, PA2
핵추진 샤를 드골급, {PANG}
상륙정 CDIC-급, EDA-R-급, CTM-급
상륙함 LPH 미스트랄급
LPD 푸드로급R
LST 샹플랭급R
소해함 에리단급
군수지원함 듀랑스급, {자크 슈발리에급}
훈련함 레오파드급, 글리신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E: 수출용 함선
취소선: 계획만 되었거나, 취소된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아비조는 경무장 초계함 정도로 구분될 수도 있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War_Ensign_of_Germany_1903-1918.svg.png
독일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정부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제2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82px-Naval_Ensign_of_Poland_%28normative%29.svg.png
폴란드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00px-Military_Flag_of_Finland.svg.png
핀란드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중화민국
파일:만주군기.svg
만주국
파일:19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제2세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해군기.svg
동독
파일:Naval_Ensign_of_Poland_(1980-1993,_normative).svg
폴란드
제3세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685050>북미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
중미/카리브
'''
파일:쿠바 함수기.svg
쿠바
남미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해군기.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해군 표준기.png
콜롬비아
서유럽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Jack_of_the_Netherlands.svg.png
네덜란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Belgium.svg.png
벨기에
중부유럽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폴란드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군함기.pn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선수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해군 선수기.png
루마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Naval_Ensign_of_Bulgaria.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파일:크로아티아 해군기.svg
크로아티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해군기.png
핀란드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동유럽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대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nsign_of_Vietnam_People%27s_Navy.png
베트남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the_Philippines.svg.png
필리핀
파일:Naval_Ensign_of_Singapore.png
싱가포르
파일:브루나이 해군기.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해군기.svg
미얀마
남아시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5px-Naval_Ensign_of_India.svg.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파일:Naval_Ensign_of_Israel.svg.png
이스라엘
파일:800px-Naval_Jack_of_Iran.svg.png
이란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파일:아랍에미리트 해군기.png
{{{#!wiki style="margin: -0px -9px"]]
파일:640px-Flag_of_the_Royal_Bahrain_Naval_Force.svg.pn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오세아니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아프리카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이집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전함 | 잠수함
}}}}}}}}}}}}



[1] 모가도르급은 프랑스 침공으로 2척만 만들고 건조중단된다.[2] 프랑스는 르 팡타스크급을 건조 할 때 37노트로 예상했고, 주사노급도 37노트로 건조했다. 물론 구축함만큼 빠른 주사노급은 굉장히 빠른축에 속했지만, 정작 프랑스가 르 팡타스크급을 직접 건조해 운용해보니 45노트까지 질주 할 수 있었던 것.[3] 볼타로 시운전했을때 43노트를 기록했다.[4] 모가도르급은 알렌 M. 섬너급 구축함이나 기어링급 구축함이 와도 이기기 힘든 성능을 가지고 있다.[5] 에트나급이 있는데, 이건 태국 수출용이었기 때문에 이탈리아 해군 기준 다음급으로 보기엔 애매하다.[6] 이탈리아 문서 기준 3,745톤[7] 이탈리아 문서 기준 5,334톤[8] 시험 주행 때는 43노트 (약 79.6km/h)도 기록[9] 폼페오 마노는 파슨스[10] 나중에 해당구경과 같은 양용포를 만들게 된다. 또한 단장포탑버전도 만들어 신형 구축함인 메달리에 도로급(Medaglie d'Oro)에 탑재 하려고 했다.[11] 소련이 자국제 어뢰가 너무 문제가 많아서 이탈리아제 어뢰를 보고 배울정도였다.[12] 참고로 미국 최후의 중순양함디모인급 중순양함의 출력이 89,000 kW이다. 디모인급은 1만 8천톤이라는 거구지만 카피타니 로마니급은 고작 만재 4,500톤 수준이니..[13] 그 이전에 이탈리아가 40노트대 구축함을 보유한 적이 없는데, 아마도 소련이 주문한 타슈켄트급 구축함을 건조하면서 얻은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것 같다.[14] 프랑스는 이 두 척의 카피타니 로마니급에게 건조되지 못한 드 그라스급 경순양함 2, 3번함의 이름을 물려주었다.[15] 1차 포에니 전쟁집정관이었던 마르쿠스 아틸리우스 레굴루스.[16] 2차 포에니 전쟁한니발을 물리친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17] 이름만 보면 다 알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 삼두정치중 한명.[18] 로마 4대 황제 클라우디우스의 형 게르마니쿠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클라우디아누스. 게르만족을 정벌해서 유명했다.[19] 독일이 나포했는데, 연합군의 공격으로 작처한걸 인양해서 재취역[20]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의 황제이자 오현제, 마르쿠스 울피우스 네르바 트라야누스[21] 로마 초대 프린켑스이자 임페라토르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옥타비아누스 아우구스투스[22] 공화정 로마의 장군, 가이우스 마리우스[23] 공화정 로마의 장군이자 독재관,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24] 로마 2대 황제 티베리우스의 동생 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25] 로마 2대 프린켑스이자 임페라토르,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26] 마케도니아를 정복한 로마의 장군, 루키우스 아에밀루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 피드나 전투때 로마의 지휘관으로 안티고노스 왕조를 멸망시켰다.[27] 악티움 해전의 주역이자 아우구스투스의 사위이자 친구, 조력자인 로마의 장군,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